KR101427107B1 -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 Google Patents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107B1
KR101427107B1 KR1020130001077A KR20130001077A KR101427107B1 KR 101427107 B1 KR101427107 B1 KR 101427107B1 KR 1020130001077 A KR1020130001077 A KR 1020130001077A KR 20130001077 A KR20130001077 A KR 20130001077A KR 101427107 B1 KR101427107 B1 KR 101427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function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174A (ko
Inventor
안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Priority to KR102013000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10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12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tensioned springs, e.g. flat type
    • A47C23/1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tensioned springs, e.g. flat type forming nets; combined with nets
    • A47C23/155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tensioned springs, e.g. flat type forming nets; combined with nets with combinations of flat springs or link chains with wound spring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에 구성되어 매트리스의 지지기능 및 이중의 쿠션기능을 수행하는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프레임(12)과 하부프레임(14)의 사이 또는 하부프레임(14)의 상면에 탄성스프링(16)을 설치하여 구성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과 둘레면에 씌워지는 커버부(20) 및;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구성되고 커버부(20)에 의해 밀봉되는 완충부(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운데이션에 완충부를 개재함으로써, 상기 파운데이션에 주변물품이나 사람이 충돌하더라도 인적 및 물적피해가 최소화되어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파운데이션의 외관미가 향상되어 제품의 이미지가 극대화됨은 물론 소비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Foundation for bed mounting in cushion means}
본 발명은 침대에 구성되어 매트리스의 지지기능 및 이중 쿠션기능을 수행하는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운데이션의 둘레면에 완충기능을 부가하여 주변물품이나 주변사람과의 충돌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한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용 파운데이션은 투매트리스를 적층하여 구성하는 과정에서 하부 매트리스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이 파운데이션은 투매트리스의 적용시 상부매트리스를 지지함은 물론 상부매트리스와 하부매트리스간의 완충작용을 통해 이중의 쿠션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침대용 파운데이션(100)은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의 사이에 규칙적으로 탄성스프링(130)을 개재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부면과 둘레면에 각각의 완충부재(140)와 커버부재(150)를 씌워서 밀봉한다.
따라서, 상기 침대에 투매트리스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상부매트리스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파운데이션(100)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파운데이션에 구성된 탄성스프링(130)에 의해 완충되어 흡수되므로, 상기 상부매트리스가 갖는 편안함이나 안락감이 더욱 배가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파운데이션(100)은 주변물품과의 접촉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할만한 마땅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서, 예컨대 상기 파운데이션(100)의 둘레면에 주변물품이나 주변사람이 충돌하는 경우 상기 파운데이션의 자체손상은 물론 인적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게다가, 상기 파운데이션(100)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순한 박스형상의 이미지를 갖는 구조물로서, 상기 침대의 외관미를 저하하는 근본원인이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침대의 고급화가 어려워서 소비자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극대화할 수 없고 제품 이미지를 향상하기에 항상 미흡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파운데이션의 둘레면에 완충기능을 부가하여 주변물품이나 주변사람과의 충돌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한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탄성스프링을 설치하여 구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과 둘레면에 각각 덮혀 씌워져 밀봉기능 및 장식기능을 수행하는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에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에 의해 밀봉되어 외부하중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파운데이션의 둘레면에 완충부를 개재함으로써, 상기 파운데이션에 주변물품이나 사람이 충돌하더라도 인적피해 및 물적피해가 최소화되어 제품의 안정성 및 신뢰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둘째, 상기 파운데이션의 둘레면에 완충부를 개재함으로써, 상기 파운데이션의 외관미가 향상되어 제품의 이미지가 극대화됨은 물론 제품의 고급화가 가능해져 소비자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운데이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을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의 완충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12)과 하부프레임(14)의 사이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14)의 상면에 탄성스프링(16)을 설치하여 구성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과 둘레면에 각각 덮혀 씌워져 밀봉기능 및 장식기능을 수행하는 커버부(20) 및;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20)에 의해 밀봉되어 외부하중을 흡수하는 완충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파운데이션(1)은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커버부(20)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특히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커버부(20)의 사이에 도 2에서와 같은 완충부(30)를 개재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도 3에서와 같은 완충부(30)를 발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파운데이션(1)의 골격을 유지함은 물론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4)의 사이공간에 외부하중을 흡수하는 탄성스프링(16)이 개재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4)은 상부매트리스 및 소비자의 하중을 지지할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면 상기 파운데이션의 사양에 따라 목재나 금속을 포함한 다양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고, 특히 상부프레임(12)은 금속으로 구성하고 하부프레임(14)은 목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상부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4)의 사이에 상기 탄성스프링(16)을 개재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밖에도 상기 상부프레임(12)을 배제하고 상기 탄성스프링(16)의 상단부에 헤리컬코일을 결합하였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16)은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을 포함한 모든 탄성부재를 의미하며, 그 형상은 상기 파운데이션(1)의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탄성스프링(16)을 대신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4)에 개재된 모든 중간대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4)이 상호 마주하는 모서리부에 에지포머(미도시)와 같은 보호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파운데이션을 보호함은 물론 외관미를 향상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에지포머는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외주면에 씌워져 밀봉기능 및 장식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에 씌워져 박음질되는 상면커버(22), 및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씌워져 상기 상면커버(22)와 봉합되는 측면커버(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면커버(22)는 요철형상이나 망형상을 갖는 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매트리스의 미끄러짐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22)는 상기 파운데이션의 디자인 및 수명을 고려하여 가죽과 같이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소재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버부(20)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측면커버(24)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형태의 형상유지부(26)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형상유지부(26)는 상기 측면커버(24)의 둘레면에 봉부재를 삽입하고 박음질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측면커버(24)의 둘레면을 박음질하여 한 줄 또는 다수 줄의 박음질라인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측면커버(24)에 형성된 상기 형상유지부(26)를 배제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0)에 의해 감싸져 밀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20)의 둘레면에 발포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접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커버부(20)의 사이에 개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발포물을 발포하여 반달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반원형상의 스펀지와 같은 완충부재를 개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30)의 둘레면에 상기 형상유지부(26)의 몸체를 대략 반 정도 수용함으로써 상기 커버부(20)의 외주면을 대략 반원형상으로 세팅하는 형상유지공간(36)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완충부(30)의 구성과정에서, 도 4의 "a" 내지 "d"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밀착되는 날개편(34) 및 상기 형상유지부(26)를 수용하는 형상유지공간(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30)가 발포물인 경우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망형상의 매개부재(32)를 개재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충부(30)로서 스펀지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매개부재(32)를 개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개부재(32)는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맞대어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발포물이 상기 몸체부(10)내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부직포나 펠트와 같은 소재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도 3의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1)을 구성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상부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4)의 사이에 상기 탄성스프링(16)을 고정하여 상기 몸체부(10)를 구성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상기 매개부재(32)를 맞대어 고정한 상태에서, 발포기(미도시)에 의해 발포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매개부재(32)의 외주면에 발포물인 상기 완충부(30)를 형성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 및 둘레면에 상기 상면커버(22) 및 상기 측면커버(24)를 재봉하거나 또는 및 태킹으로 마감하면, 상기 파운데이션(1)의 제조에 따른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20)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완충부(30)를 밀봉하는 경우, 상기 형상유지공간(36)에 상기 형상유지부(26)의 몸체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파운데이션의 외관미가 향상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파운데이션(1)의 사용과정에서 상기 파운데이션(1)에 외부하중이 가해지거나 상기 파운데이션(1)의 둘레면에 소비자가 충돌하더라도, 상기 완충부(30)에 의해 피해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특허청구범위가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파운데이션 10 : 몸체부
12 : 상부프레임 14 : 하부프레임
16 : 탄성스프링 20 : 커버부
22 : 상면커버 24 : 측면커버
26 : 형상유지부 30 : 완충부
32 : 매개부재 34 : 날개편
36 : 형상유지공간

Claims (13)

  1. 상부매트리스를 탑재하여 지지기능 및 이중 쿠션기능을 수행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으로서,
    상부프레임(12)과 하부프레임(14)의 사이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14)의 상면에 탄성스프링(16)을 설치하여 구성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 및 둘레면에 각각 씌워진 상면커버(22)와 측면커버(24)를 통해 밀봉기능 및 장식기능을 수행하는 커버부(20) 및;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20)에 의해 밀봉되어 외부하중을 흡수하는 완충부(30);
    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커버(24)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20)의 측면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유지부(26), 및 상기 완충부(3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형상유지부(26)의 몸체일부를 수용하는 형상유지공간(36);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탄성스프링(16)은,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커버(22)는,
    상기 상부매트리스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형상 또는 망형상을 갖는 부재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26)는,
    상기 측면커버(24)에 봉부재를 개재하고 박음질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26)는,
    상기 측면커버(24)를 박음질하여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박음질라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둘레면에 접착 또는 발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0)는,
    발포물 또는 스펀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0)가 발포물인 경우,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매개부재(32)를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32)는,
    부직포 또는 펠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0)가 발포물인 경우,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밀착되는 날개편(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KR1020130001077A 2013-01-04 2013-01-04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KR101427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077A KR101427107B1 (ko) 2013-01-04 2013-01-04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077A KR101427107B1 (ko) 2013-01-04 2013-01-04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174A KR20140089174A (ko) 2014-07-14
KR101427107B1 true KR101427107B1 (ko) 2014-08-07

Family

ID=5173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077A KR101427107B1 (ko) 2013-01-04 2013-01-04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062A (ko) 2015-07-01 2017-01-11 원인희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KR102216239B1 (ko) 2019-08-20 2021-02-17 주식회사 이앤이트레이딩 침대용 파운데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235B1 (ko) * 2019-05-07 2020-08-20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다양한 느낌의 쿠션력 및 완충력을 제공하는 침대매트리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338B1 (ko) 1996-10-04 2005-10-19 오하이오 매트리스 캄파니 라이센싱 앤드 콤포넌츠 그룹 매트리스 내부 스프링 조립체와 상호 로킹식으로 결합 가능한내부 매트리스 벽 구조물
KR100575470B1 (ko) 2004-10-22 2006-05-03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침대용 매트리스 및 침대용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
KR100626854B1 (ko) 2006-02-17 2006-09-20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투과성 보강재 및 발포체를 이용한 침대용 매트리스 및 그제조 방법
KR100816475B1 (ko) 1999-03-04 2008-03-26 채정수 침구용 매트리스,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338B1 (ko) 1996-10-04 2005-10-19 오하이오 매트리스 캄파니 라이센싱 앤드 콤포넌츠 그룹 매트리스 내부 스프링 조립체와 상호 로킹식으로 결합 가능한내부 매트리스 벽 구조물
KR100816475B1 (ko) 1999-03-04 2008-03-26 채정수 침구용 매트리스,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575470B1 (ko) 2004-10-22 2006-05-03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침대용 매트리스 및 침대용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
KR100626854B1 (ko) 2006-02-17 2006-09-20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투과성 보강재 및 발포체를 이용한 침대용 매트리스 및 그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062A (ko) 2015-07-01 2017-01-11 원인희 매트리스 쿠션용 파운데이션
KR102216239B1 (ko) 2019-08-20 2021-02-17 주식회사 이앤이트레이딩 침대용 파운데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174A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9116B2 (ja) スペーサ布を含むマットレス及び関係する方法
KR200462261Y1 (ko) 매트리스용 마이크로 스프링
US9913538B2 (en) Sofa seat cushion core
KR101427107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NO20055064L (no) Polstring til mobel
US3069701A (en) Seat unit
US20190038043A1 (en) Dual density systems and methods for bedding applications
CN108778064A (zh) 用于软垫家具或车辆座的座部分或床部分或靠背的垫子的泡沫芯
JP2019507639A (ja) 一体に編まれたハイレリーフ(high−relief)グラフィック特徴部を有するクッションカバー、およびそのようなクッションカバーを使用したクッション
KR200462262Y1 (ko) 마이크로 포켓스프링이 내장된 이중 쿳션 매트리스
JP3185258U (ja) 体圧分散構造体及びマットレス
KR101172235B1 (ko) 폴더형 범퍼 침대
KR102503374B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20110125455A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KR101066523B1 (ko) 탄성망상체를 탑재한 침대매트리스
KR101512347B1 (ko) 쿠션조립체
KR100520332B1 (ko)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
KR20170000522U (ko) 매트리스
KR100837569B1 (ko) 스프링이 구비된 베개
KR102073357B1 (ko) 내구성이 보강된 스프링매트리스
KR101485546B1 (ko) 노출회선스프링의 노출회선부의 일 부분 또는 전체 부분을 발포물로 밀봉한 침대매트리스 및 이의 적층방법
JP2010284425A (ja) マットレス
KR101170975B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매트리스
KR200355039Y1 (ko) 매트리스
KR200272259Y1 (ko) 매트의 스프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