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508B1 - 양방향 응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응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508B1
KR101699508B1 KR1020150080049A KR20150080049A KR101699508B1 KR 101699508 B1 KR101699508 B1 KR 101699508B1 KR 1020150080049 A KR1020150080049 A KR 1020150080049A KR 20150080049 A KR20150080049 A KR 20150080049A KR 101699508 B1 KR101699508 B1 KR 10169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control signal
cheering
appl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396A (ko
Inventor
이병남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이병남
김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남, 김수영 filed Critical 이병남
Priority to KR102015008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5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렉터와 관람객이 휴대단말기로 서로 통신하며 응원을 진행함으로써, 관람객의 응원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관람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더욱 다양한 응원 효과를 연출하면서 응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응원 디렉터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제1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응원진행을 위한 응원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 관중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제2 휴대단말기에 각각 설치되고, 개인좌석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응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응원제어신호에 따른 장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장치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장치제어신호에 따라 특정한 색상, 패턴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상태로 발광하는 응원 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개인좌석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응원 장치부들이 서로 동일한 색상, 패턴 및 밝기로 발광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응원제어신호, 또는 상기 응원 장치부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특정한 형상, 패턴,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현되도록 상기 응원 장치부 각각에 할당되는 섹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응원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응원 시스템{A SYSTEM FOR BIDIRECTIONAL CHEER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스포츠 경기의 응원은 응원 단장의 구호에 따라 응원가를 따라 부르거나 막대 풍선 등과 같은 단순한 응원도구를 이용하거나, 카드 섹션 등을 이용하였다.
한편, 야간에 경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관중 또는 관람객들은 빛을 발광하는 라이트 스틱(light stick)을 이용하여 응원을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라이트 스틱은 다양한 색을 발광하도록 제작되어 있어 관람객들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원하는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카드 섹션을 이용한 응원의 경우 관람객들이 좌석에 맞는 카드들을 일일이 배포해야 하는 등 응원 준비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라이트 스틱을 이용하는 경우 관람객 개인이 발광 색을 설정하기 때문에 공연장이나 경기장에서 색의 통일감과 일체감이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21695호(2014.07.15) ‘발광 장치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및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0519067호(2005.09.27.) ‘경기관람 및 응원효과를 높이는 응원도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렉터와 관람객이 휴대단말기로 서로 통신하며 응원을 진행함으로써, 관람객의 응원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관람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더욱 다양한 응원 효과를 연출하면서 응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응원 시스템은, 응원 디렉터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제1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응원진행을 위한 응원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 관중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제2 휴대단말기에 각각 설치되고, 개인좌석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응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응원제어신호에 따른 장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장치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장치제어신호에 따라 특정한 색상, 패턴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상태로 발광하는 응원 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개인좌석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응원 장치부들이 서로 동일한 색상, 패턴 및 밝기로 발광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응원제어신호, 또는 상기 응원 장치부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특정한 형상, 패턴,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현되도록 상기 응원 장치부 각각에 할당되는 섹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응원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개인좌석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좌석정보 수신부;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응원타입 및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응원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응원타입 선택부;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에 각각 포함되는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응원정보 설정부; 및 상기 응원정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응원신호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원정보 설정부는, 상기 제1 응원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응원 장치부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발광색상, 발광패턴 및 밝기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환경을 제공하는 제1 설정부; 상기 제2 응원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카드섹션으로 표현될 형상, 패턴,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입력환경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응원 장치부들의 조합을 통해 표현되도록 상기 개인좌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원 장치부에 각각 할당되는 섹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원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1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 각각 송신하고, 상기 제2 설정부를 통해 생성된 섹션 데이터를 상기 개인좌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 각각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는, 개인좌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좌석정보 입력부; 상기 좌석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개인좌석정보를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하기 위한 좌석정보 송신부;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 및 제2 응원제어신호를 각각 수신하기 위한 응원신호 수신부; 상기 응원 장치부의 색상, 패턴 및 밝기를 설정하기 위한 제3 설정부; 및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에 따른 제1 장치제어신호,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에 따른 제2 장치제어신호, 및 상기 제3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데이터로 상기 응원 장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장치제어신호를 각각 상기 응원 장치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원 장치부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제1 장치제어신호, 상기 제2 장치제어신호 및 상기 제3 장치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모듈; 상기 제1 장치제어신호, 상기 제2 장치제어신호 및 상기 제3 장치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상기 LED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및 상기 응원 장치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USB 포트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원 장치부는 카드 타입, 막대 타입, 웨어러블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에는 관중 참여 형태의 게임 및 퀴즈 실행 프로그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에는 상기 게임 및 퀴즈 실행 프로그램부를 진행하기 위한 게임 및 퀴즈 진행 프로그램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게임 및 퀴즈 진행 프로그램부를 통해 상기 게임 및 퀴즈 실행 프로그램부의 실행을 개시하고, 상기 게임 및 퀴즈 실행 프로그램부의 실행 시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를 통해 상기 게임 및 퀴즈 진행 프로그램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응원 시스템은, 관람객의 응원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관람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더욱 다양한 응원 효과를 연출하면서 응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응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응원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를 통해 경기 관람 전 응원 종목, 응원 팀 및 경기장 좌석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를 통해 응원 타입을 선택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를 통해 선택된 제1 응원 타입에 따라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할 응원제어정보를 설정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를 통해 선택된 제2 응원 타입에 따라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할 응원제어정보를 설정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송된 제1 응원제어신호에 따라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를 통한 응원 장치부의 개별 동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송된 제2 응원제어신호에 따라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들을 통한 응원 장치부들의 조합된 동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원 장치부들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의 퀴즈 프로그램을 이용한 응원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의 게임 프로그램의 이용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응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응원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응원 시스템(1000)은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 및 응원 장치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는 응원 디렉터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제1 휴대단말기(10)에 설치되고, 소정의 응원진행을 위한 응원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는 응원 디렉터가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렛 PC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응원 디렉터는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를 통해 앱 스토어 등에서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30)를 통해 응원제어신호를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로부터 소정의 정보나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로부터 상기 개인좌석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응원 장치부(300)들이 서로 동일한 색상, 패턴 및 밝기로 발광하기 위한 제1 응원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응원 장치부(300)들이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특정한 형상, 패턴,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현되도록 상기 개인좌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원 장치부(300) 각각에 섹션 데이터를 할당하기 위한 제2 응원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는 좌석 정보 수신부(110), 응원 타입 선택부(120), 응원 정보 설정부(130), 응원 신호 송신부(140) 및 게임/퀴즈 진행 프로그램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석 정보 수신부(110)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로부터 개인좌석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개인좌석정보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를 통해 관중 개개인이 입력한 좌석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를 통해 입력된 좌석정보는 상기 관리 서버(30)에 업로드된 후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상기 응원 타입 선택부(120)는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응원타입 및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응원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응원타입은 상기 응원 장치부(300)들을 이용한 관중들의 통일된 응원을 유도하기 위한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에는 상기 응원 장치부(300)를 통해 표시될 색상, 패턴 및 밝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응원 장치부(300)들은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에 따라 모두 동일한 색상, 패턴, 밝기로 발광됨으로써, 통일된 응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응원타입은 카드섹션 응원 방식과 같이 상기 응원 장치부(300)들을 이용한 관중들의 단합된 응원을 유도하기 위한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응원 장치부(300)들을 통해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특정한 형상, 패턴,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에는 상기 응원 장치부(300) 각각에 할당되는 섹션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응원 정보 설정부(130)는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에 각각 포함되는 정보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응원 정보 설정부(130)는 제1 설정부(131)와 제2 설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부(131)는 상기 응원 타입 선택부(120)를 통해 상기 제1 응원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응원 장치부(130)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발광색상, 발광패턴 및 밝기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설정부(132)는 상기 응원 타입 선택부(120)를 통해 상기 제2 응원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카드섹션으로 표현될 형상, 패턴,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입력환경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응원 장치부들의 조합을 통해 표현되도록 상기 개인좌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원 장치부(300)에 각각 할당될 섹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응원 신호 송신부(140)는 상기 응원정보 설정부(130)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를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로 각각 송신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응원신호 송신부(140)는, 상기 제1 설정부(131)를 통해 설정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로 각각 송신하거나, 상기 제2 설정부(132)를 통해 생성된 섹션 데이터를 상기 개인좌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로 각각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 200)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본인인증 및 회원가입 절차를 거친 후 로그인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 휴대단말기(10, 30)에 대한 휴대폰 번호 또는 아이디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30)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 200)는 로그인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30)에 등록된 상기 제1 및 제2 휴대단말기(10, 30)에 대한 휴대폰 번호 또는 아이디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나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의 경우 개인좌석에 따라 서로 다른 섹션 데이터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상기 응원 신호 송신부(140)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마다 해당 섹션 데이터가 포함된 제2 응원제어신호를 개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열 10번 좌석에 해당하는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와 C열 5번 좌석에 해당하는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되는 제2 응원제어신호에 포함된 섹션 데이터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응원 신호 송수신부(140)는 개인좌석에 맞게 할당된 섹션 데이터를 해당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석 정보 수신부(110)와 상기 응원 신호 송신부(140)는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블록으로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신호나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게임/퀴즈 진행 프로그램부(150)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에 설치된 게임/퀴즈 실행 프로그램부(26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게임/퀴즈 진행 프로그램부(150)와 상기 게임/퀴즈 프로그램부(260)는, 경기 중 또는 야구 경기의 경우 공격과 수비의 교대 시간과 클리닝 타임, 그리고 축구 경기의 경우 전반과 후반 사이의 휴식 시간에 관중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의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콘텐츠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게임/퀴즈 진행 프로그램부(15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1000)의 동작 방식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는, 관중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제2 휴대단말기(20)에 각각 설치되고, 개인좌석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응원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응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응원 장치부(300)에 장치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는 관중 또는 관람객(예를 들어 구단 서포터즈)이 각각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렛 PC를 의미할 수 있으며, 관중 또는 관람객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를 통해 앱 스토어 등에서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기 위한 관리 서버(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30)를 통해 개인좌석정보를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로부터 응원제어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좌석 정보 입력부(210), 좌석 정보 송신부(220), 응원 신호 수신부(230), 제3 설정부(240), 장치 신호 출력부(250) 및 상기 게임/퀴즈 실행 프로그램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석 정보 입력부(210)는 관중 개개인으로부터 좌석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관중 또는 관람객은 자신이 예매한 경기장을 선택한 후 상기 좌석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해당 경기장에 대한 좌석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좌석 정보 송신부(220)는 상기 좌석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개인좌석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로 전송된 개인좌석정보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의 좌석 정보 수신부(110)로 전달되며, 상기 제2 설정부(132)의 섹션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응원 신호 수신부(230)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로부터 전송된 제1 및 제2 응원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장치 신호 출력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석 정보 송신부(220)와 상기 응원 신호 수신부(230)는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블록으로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신호나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설정부(240)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응원 장치부(300)의 동작제어를 위해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관중 또는 관람객 각자가 상기 응원 장치부(300)를 통해 표현하고 싶은 상기 응원 장치부(300)의 발광 색상, 패턴와 밝기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 설정부(240)는 해당 정보가 설정되면,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장치제어신호를 구성하여 상기 장치 신호 출력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3 설정부(240)는 관중 또는 관람객 각각이 경기 내용에 대한 각자의 의사를 표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신호 출력부(250)는 상기 응원 신호 수신부(230)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및 제2 응원제어신호를 상기 응원 장치부(300)가 인식할 수 있는 통신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응원 장치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00)와 상기 응원 장치부(300)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경우 상기 장치 신호 출력부(250)는 USB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00)와 상기 응원 장치부(300)가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될 경우 상기 장치 신호 출력부(250)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신호 출력부(250)는 상기 제3 설정부(240)로부터 상기 제3 장치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응원 장치부(300)가 인식할 수 있는 통신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응원 장치부(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게임/퀴즈 실행 프로그램부(260)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에 설치된 게임/퀴즈 진행 프로그램부(150)의 진행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상기 게임/퀴즈 실행 프로그램부(260)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를 통해 상기 퀴즈/게임 진행 프로그램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게임/퀴즈 진행 프로그램부(150)와 상기 게임/퀴즈 프로그램부(260)는, 경기 중 또는 야구 경기의 경우 공격과 수비의 교대 시간과 클리닝 타임, 그리고 축구 경기의 경우 전반과 후반 사이의 휴식 시간에 관중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의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콘텐츠가 적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1000)의 동작 방식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응원 장치부(300)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와 페어링되어 상기 응원 신호 수신부(230)로부터 제1 및 제2 장치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3 설정부(240)로부터 제3 장치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장치제어신호에 따라 특정한 색상, 패턴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상태로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응원 장치부(300)는 데이터 통신 모듈(310), 제어 모듈(320), 발광 표시 모듈(330) 및 배터리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듈(310)은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와 통신하여 상기 제1 장치제어신호, 상기 제2 장치제어신호 및 상기 제3 장치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310)는 USB 포트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해 상기 장치 신호 출력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320)은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듈(310)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장치제어신호, 상기 제2 장치제어신호 및 상기 제3 장치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상기 LED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광 표시 모듈(3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이 표시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 표시 모듈(330)의 밝기는 상기 제어 모듈(320)의 제어되지만, 선수나 타인의 시각에 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이 적절하다.
상기 배터리 모듈(340)은 상기 응원 장치부(3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응원 장치부(300)를 장시간 동작시킬 수 있는 사양의 배터리 팩인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응원 장치부(300)는 관중 또는 관람객의 응원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카드 타입, 막대 타입, 웨어러블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생활방수가 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응원 시스템(1000)의 동작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를 통해 경기 관람 전 응원 종목, 응원 팀 및 경기장 좌석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관중 또는 관람객은 경기 시작 전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에 로그인을 한 후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할 스포츠 종목(리그)와 응원할 팀(구단)을 각각 선택한 후, 상기 좌석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이 예매한 경기장 좌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스포츠 종목(리그) 선택 항목으로는 예를 들어 영국의 프리미어 리그, 미국의 메이져 리그와 슈퍼볼, 독일의 분대스리가, 스페인의 프리메라리가, 일본의 재팬리그, 한국의 프로야구, 월드컵 등의 국가 대항전, 대학리그 등이 있을 수 있다.
응원 팀(구단) 선택 시 해당 팀들의 경기가 진행될 경기장의 좌석배치정보가 로딩되어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를 통해 표시되고, 관중 또는 관람객은 상기 좌석배치정보를 참고하여 자신이 예매한 좌석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더불어, 게임/퀴즈 실행 프로그램부(260)의 이용에 필요한 셀카 사진이나 프로필 정보 등을 미리 업로드 시켜놓을 수도 있다.
도 4에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를 통해 응원 타입을 선택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 디렉터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의 응원 타입 선택부(120)를 이용하여 제1 응원 타입으로 응원을 진행할지 또는 제2 응원 타입으로 응원을 진행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를 통해 선택된 제1 응원 타입에 따라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로 전송할 응원제어정보를 설정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 디렉터는 상기 제1 설정부(131)를 통해 상기 응원 장치부(300)의 발광 색상(예를 들어 흰색, 적색, 청색 등), 발광 패턴(예를 들어 줄무늬, 도트, 없음 등), 및 밝기(예를 들어 상, 중 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응원제어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에 제1 응원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상기 제1 설정부(131)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응원 디렉터가 설정된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를 통해 선택된 제2 응원 타입에 따라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로 전송할 응원제어정보를 설정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응원 디렉터는 상기 응원 타입 선택부(120)를 통해 제2 응원타입을 선택할 경우, 상기 제2 설정부(132)를 통해 카드섹션으로 표시될 특정 형상, 패턴,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 모양이 카드섹션으로 표시될 이미지로서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설정부(132)는 상기 좌석 정보 수신부(110)로부터 받은 개인좌석정보에 기초하여 카드섹션 이미지를 개인좌석 수에 따라 분할하고 각 섹션에 표시될 패턴, 색상 및 밝기에 대한 데이터를 할당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섹션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설정부(1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카드섹션 이미지를 NxN-1 행렬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섹션에 표현될 패턴, 색상 및 밝기 정보를 할당함으로써 여러 개의 섹션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섹션에는 서로 다른 데이터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x1 행렬에 해당하는 섹션 데이터에는 검은색 색상 정보만 할당될 수 있고, 7x6 행렬에 해당하는 섹션 데이터에는 흰색의 색상 정보만 할당될 수 있으며, 9x7 행렬에 해당하는 섹션 데이터에는 흰색의 패턴과 검은색의 패턴 정보가 각각 할당될 수 있다. 또한, 1x1 행렬과 NxN-1 행렬에 해당하는 섹션 데이터들은 배경 이미지로서 서로 같은 색상, 패턴 및 밝기의 데이터가 설정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로부터 전송된 제1 응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를 통한 상기 응원 장치부(300)의 개별 동작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가 제1 응원제어신호를 전송한 경우,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수신된 신호가 타입을 표시하고, 관중 또는 관람객으로부터 수신 여부를 확인 받을 수 있다. 관중 또는 관람객은 제1 응원제어신호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예” 버튼을 누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응원 장치부(300)는 해당 제어신호에 설정된 정보에 따라 즉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는 통해 빗살무늬 패턴으로 발광되는 상기 응원 장치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관중 또는 관람객은 제1 응원제어신호를 수신하지 않고자 할 경우 “아니오” 버튼을 누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응원 장치부(300)는 동작(발광)하지 않거나,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의 제3 설정부(240)를 통해 관중 또는 관람객 자신이 설정한 제어정보에 따라 동작(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설정부(240)를 통해 설정한 제어정보에 따라 동작(발광)을 수행함으로써 관중 또는 관람객은 경기 내용에 대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구 경기에서 응원 팀의 투수가 사사구가 많다거나 안타 혹은 홈런을 허용하면 관중은 응원 장치부(300)를 통해 교체 요청 시그널(빨간불)을 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중도 경기에 직접적 의사 표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오늘의 수훈선수와 분발해야 할 선수를 관중이 직접 선택함으로써 선수에게도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100)로부터 전송된 제2 응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들을 통한 상기 응원 장치부(300)들의 조합(300A)된 동작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8에는 도 6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별 모양의 카드섹션이 상기 응원 장치부(300)들의 조합(300A)을 통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축구 경기를 예로 들면, 득점을 하는 경우에 “GOAL” 이라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점등될 수 있고, 간단한 에니메이션 등의 표현도 가능하다. 또한, 응원이 아닌 광고이미지(상표나 로고) 등을 표현할 수도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원 장치부(300)들의 구현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원 장치부(300)는 막대풍선(300a), 카드(300b) 또는 웨어러블 기기(300c)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300c)의 경우, 팔찌, 시계, 목걸이, 모자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에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의 퀴즈 프로그램을 이용한 응원 방식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구 경기 중 “1회 초 공격”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이번 회에 홈런이 나온다?”라는 문항의 퀴즈를 제공하여 관중 또는 관람객이 “YES” 또는 “NO”와 같은 답변으로 회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구 경기 중 “1회 초 공격”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홈팀 공격 예상 내용에 대한 질문 버튼(260a)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응원하는 팀이 어떠한 공격을 할지에 대해 답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대팀 견제 응원 버튼(260b)을 선택함으로써 견제 응원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초 수비”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이번 회에 병살타가 나온다?”라는 문항의 퀴즈를 제공하여 관중 또는 관람객이 “YES” 또는 “NO”와 같은 답변으로 회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초 수비”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홈팀 수비 예상 내용에 대한 질문 버튼(260a)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응원하는 팀이 어떠한 공격을 할지에 대해 답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대팀 견제 응원 버튼(260b)을 선택함으로써 견제 응원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경기 도중 또는 경기 시작 전에 응원 디렉터가 홈팀의 예상되는 공격/수비 내용에 대한 질문을 주고, 이에 대하여 관중이 답변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각 질문에 대해 가장 많은 정답을 모두 맞춘 관중에게 경품을 제공하여, 경기에 대한 관중의 관심도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2에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의 게임 프로그램의 이용 방식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팀(A팀)과 어웨이팀(B팀) 간에 클릭수 대결을 통해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을 주고, 그 시간 내에 홈팀(A팀)과 어웨이팀(B팀)의 관중 중 더 많은 클릭을 한 팀이 승리하는 방식의 게임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으며, 승리 팀에게는 추첨을 통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관중을 상대로 소개팅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기 시작 전 상기 제2 휴대단말기(20)를 통해 자신의 사진을 찍어 상기 관리 서버(30)에 업로드하면, 사진을 올린 남자 관중과 여자 관중 한 명씩을 뽑아 전광판에 해당 관중의 사진을 올리고, 이들에게 “만나겠다” 또는 “만나지 않는다” 와 같은 질문을 주고, “만나겠다”라고 서로 응할 경우 두 사람의 연락처를 서로 공유시켜주고 데이트 식사권 등을 지급해 줄 수 있다.
관중의 연락처(프로필)와 사진 등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200)를 통해 개인좌석정보를 등록할 때 함께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게임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의 동작이 경기장 내에서만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휴대단말기의 신호나 인터넷이 가능한 지역이며 응원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이 된 상태라면, 경기장이 아니어도 원거리에서도 응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원거리에 있는 휴대단말기와 응원 장치부가 페이링된 상태라면 상기 응원 장치부를 이용하여 경기장 내에서와 동일하게 응원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응원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응원 시스템 100: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
110: 좌석정보 수신부 120: 응원타입 선택부
130: 응원정보 설정부 131: 제1 설정부
132: 제2 설정부 140: 응원신호 송신부
150: 게임/퀴즈 진행 프로그램부 200: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
210: 좌석정보 입력부 220: 좌석정보 송신부
230: 응원신호 수신부 240: 제3 설정부
250: 장치신호 출력부 260: 게임/퀴즈 실행 프로그램부
300: 응원 장치부 310: 데이터 통신모듈
320: 발광 표시 모듈 330: 제어 모듈
340: 배터리 모듈

Claims (10)

  1. 응원 디렉터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제1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휴대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응원진행을 위한 응원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
    관중의 인터넷 접속 가능한 제2 휴대단말기에 각각 설치되고, 개인좌석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응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응원제어신호에 따른 장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장치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장치제어신호에 따라 특정한 색상, 패턴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상태로 발광하는 응원 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개인좌석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응원 장치부들이 서로 동일한 색상, 패턴 및 밝기로 발광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응원제어신호, 또는 상기 응원 장치부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특정한 형상, 패턴,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현되도록 상기 응원 장치부 각각에 할당되는 섹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응원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는,
    개인좌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좌석정보 입력부; 및
    상기 좌석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개인좌석정보를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으로 송신하기 위한 좌석정보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에는 관중 참여 형태의 게임 및 퀴즈 실행 프로그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에는 상기 게임 및 퀴즈 실행 프로그램부를 진행하기 위한 게임 및 퀴즈 진행 프로그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게임 및 퀴즈 진행 프로그램부를 통해 상기 게임 및 퀴즈 실행 프로그램부의 실행을 개시하고,
    상기 게임 및 퀴즈 실행 프로그램부의 실행 시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를 통해 상기 게임 및 퀴즈 진행 프로그램부로 전달하고,
    상기 게임 및 퀴즈 진행 프로그램부와 상기 게임 및 퀴즈 실행 프로그램부는 현재 진행 중인 경기의 예상 내용에 대한 퀴즈, 다수의 관중 중 서로 다른 응원 팀 간의 대결, 다수의 관중 간의 만남 주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진행 및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개인좌석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좌석정보 수신부;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응원타입 및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응원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응원타입 선택부;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에 각각 포함되는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응원정보 설정부; 및
    상기 응원정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응원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정보 설정부는,
    상기 제1 응원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응원 장치부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발광색상, 발광패턴 및 밝기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환경을 제공하는 제1 설정부; 및
    상기 제2 응원타입이 선택되는 경우 카드섹션으로 표현될 형상, 패턴,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입력환경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응원 장치부들의 조합을 통해 표현되도록 상기 개인좌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원 장치부에 각각 할당되는 섹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1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 각각 송신하고,
    상기 제2 설정부를 통해 생성된 섹션 데이터를 상기 개인좌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 각각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1 응원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 및 제2 응원제어신호를 각각 수신하기 위한 응원신호 수신부;
    상기 응원 장치부의 색상, 패턴 및 밝기를 설정하기 위한 제3 설정부; 및
    상기 제1 응원제어신호에 따른 제1 장치제어신호, 상기 제2 응원제어신호에 따른 제2 장치제어신호, 및 상기 제3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데이터로 상기 응원 장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장치제어신호를 각각 상기 응원 장치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 장치부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제1 장치제어신호, 상기 제2 장치제어신호 및 상기 제3 장치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모듈;
    상기 제1 장치제어신호, 상기 제2 장치제어신호 및 상기 제3 장치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상기 LED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및
    상기 응원 장치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은 USB 포트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 장치부는 카드 타입, 막대 타입, 웨어러블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응원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80049A 2015-06-05 2015-06-05 양방향 응원 시스템 KR10169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49A KR101699508B1 (ko) 2015-06-05 2015-06-05 양방향 응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49A KR101699508B1 (ko) 2015-06-05 2015-06-05 양방향 응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96A KR20160143396A (ko) 2016-12-14
KR101699508B1 true KR101699508B1 (ko) 2017-01-24

Family

ID=5757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049A KR101699508B1 (ko) 2015-06-05 2015-06-05 양방향 응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098B1 (ko) * 2016-12-20 2017-12-01 이매리 스마트 응원 시스템
CN110089137A (zh) * 2016-12-20 2019-08-02 阿佩克思项目公司 用于跨多个设备显示图像的系统和方法
KR101942809B1 (ko) * 2017-07-31 2019-01-31 이성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응원봉과의 페어링 방법
KR101862689B1 (ko) * 2017-11-16 2018-05-31 곽승훈 응원 장치, 이의 작동 방법, 및 상기 응원 장치를 이용한 응원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92341B1 (ko) * 2018-05-09 2020-03-23 주식회사 지피 발광 다이오드 피켓
KR102437858B1 (ko) * 2019-10-08 2022-08-31 주식회사 팬라이트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제어하는 군중 제어 시스템
KR102309329B1 (ko) * 2021-04-06 2021-10-08 (주)바인테크 사용환경이 확장된 응원봉 운영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95B1 (ko) * 2013-12-20 2014-08-01 주식회사 디에이치컴퍼니 발광 장치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067B1 (ko) 2004-02-16 2005-10-06 한국과학기술원 경기관람 및 응원효과를 높이는 응원도구
KR101393565B1 (ko) * 2012-09-07 2014-09-24 김길중 무선 통신을 이용한 매스 게임 진행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95B1 (ko) * 2013-12-20 2014-08-01 주식회사 디에이치컴퍼니 발광 장치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96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508B1 (ko) 양방향 응원 시스템
US202202339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experiences and controllers therefor
JP6849348B2 (ja) サードパーティ制御を含むゲームシステム
US2017031663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reality gaming with selectable viewpoints and context-sensitive wager interfaces
US201403043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experiences and controllers therefor
US10412470B2 (en) Event entertainment system
US20170368454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 viewer controller
CN101681539A (zh) 模拟具有交互的主持人和游戏者的真实游戏环境
KR20110027550A (ko) 온라인 캡슐 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1502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819766B2 (en) Game watching system, program, watching terminal and connection device
US20220139167A1 (en) Mobile promotional bingo game for personal mobile devices
US20240015365A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video viewing program
US2015033864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fficient rendering of game screens for multi-player video game
CN111641876A (zh) 直播间中虚拟活动场景交互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04821143A (zh) 基于屏幕动态显示的互动系统
Witkowski Counter-strike
KR102042417B1 (ko)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US20130288801A1 (en) Method for conducting a venue-wide multiplayer game
CN108367194A (zh) 用于从远程游戏场所实时参与重定位游戏场所处进行的游戏的系统
TWI668981B (zh) Performance scene linkage system
KR102349046B1 (ko) 온라인 대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30096211A1 (en) Remote playing card game
US11908284B2 (en) Combining sports wagering and television spor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1521467B2 (en) Remote playing card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