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418B1 -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 Google Patents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418B1
KR101699418B1 KR1020150056921A KR20150056921A KR101699418B1 KR 101699418 B1 KR101699418 B1 KR 101699418B1 KR 1020150056921 A KR1020150056921 A KR 1020150056921A KR 20150056921 A KR20150056921 A KR 20150056921A KR 101699418 B1 KR101699418 B1 KR 101699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water treatment
connector
treatmen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183A (ko
Inventor
이승만
이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5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41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 개의 모듈화된 피씨블록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수조의 용량 조절 및 유체의 유도가 용이하여 다양한 수처리시설에 경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는, 내부에 상면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의 것으로서, 전후측면으로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다수 개의 수용공이 다양한 높이 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피씨블록; 및 전후측면이 마주보도록 인접한 두 피씨블록에서 서로 연접하게 되는 상기 수용공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피씨블록들을 연결하는 관형상의 연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는, 전체 길이상에서 큰 연통공이 형성된 개방형, 전체 길이 중 적어도 일부분이 완전히 폐쇄된 폐쇄형, 전체 길이 중 적어도 일부분에 가장자리로 치우친 작은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 내에서 회전 가능한 미세조절형 중 하나 이상의 종류가 선택되어 피씨블록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Modulized water treatment facility system with precast concrete blocks}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모듈화된 피씨블록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수조의 용량 조절 및 유체의 유도가 용이하여 다양한 수처리시설에 경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화조, 오수처리시설, 빗물저장조 등의 수처리시설의 시공은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거푸집을 제작한 후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법은 처리수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다양한 규모, 배치 등을 가지는 수처리시설을 현장 여건에 맞추어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데 반해, 콘크리트의 양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양생 조건에 따라 시설의 구조적 성능이 달라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내부에 처리수 저장공간을 가지는 블록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공장에서 제작된 블록은 자체의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므로 이러한 블록을 조립하여 만들어진 수처리시설의 구조적 성능 또한 우수하다. 그러나 수처리시설은 처리수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필요가 있음에 비하여 일정한 크기의 블록을 이용하여 다양한 규모와 배치를 만들어내는 것이 쉽지 않고, 블록들 간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오히려 수처리시설에 누수 등의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
등록번호 10-0988026의 '정화조용 조립식 블록'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 중 하나로서, 블록의 전후면에 높이가 서로 다른 다수 개의 상·하부 관통홈을 구비하여 블록이 정화의 어느 단계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다른 높이의 관통홈을 현장에서 망치 등으로 파쇄함으로써 다양한 높이의 블록간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블록을 다양한 수처리시설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관통홈을 현장에서 파쇄할 수 있도록 관통홈 위치의 벽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기는 하지만, 관통홈이 파쇄되어 형성된 연결통로의 내측면을 매끈하게 만드는 것이 쉽지 않아 연결통로 내측면의 요철에 의해 블록간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KR 10-098802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다수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블록들 간 연결통로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블록들 간 연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어 다양한 수처리시설을 쉽게 구축할 수 있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상면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의 것으로서, 전후측면으로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다수 개의 수용공이 다양한 높이 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피씨블록; 및 전후측면이 마주보도록 인접한 두 피씨블록에서 서로 연접하게 되는 상기 수용공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피씨블록들을 연결하는 관형상의 연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는, 전체 길이상에서 큰 연통공이 형성된 개방형, 전체 길이 중 적어도 일부분이 완전히 폐쇄된 폐쇄형, 전체 길이 중 적어도 일부분에 가장자리로 치우친 작은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 내에서 회전 가능한 미세조절형 중 하나 이상의 종류가 선택되어 피씨블록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구는 피씨블록 두께의 두 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인접하는 피씨블록들 중 일 피씨블록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볼트에 의해 연결구에 체결되면서 타 피씨블록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 개의 피씨블록 중 일 피씨블록의 저장공간 하부에는 호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용공의 내측면을 따라서는 피씨블록의 몸체와 일체화된 강재보강관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강재보강관의 저장공간 측 단부는 외측을 향해 단턱지게 형성되어 단턱과 연결구 외측면 사이에 지수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지수공간 내에는 링형의 지수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강재보강관의 저장공간 측 말단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에는 플랜지를 관통하여 피씨블록 몸체에 정착되는 장너트가 구비되어 있어 지수공간 및 플랜지를 덮는 덮개가 장볼트를 장너트에 체결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는 일정한 규격을 가지는 다수 개의 피씨블록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피씨블록들을 연결하는 동시에 피씨블록들 사이의 처리수 흐름을 조절하는 연결구를 통해 다양한 규모 및 종류의 수처리시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처리시설의 시공을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져 조의 용량 및 처리수가 흐르는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결구와 피씨블록 사이의 틈을 지수재로 밀실하게 채울 수 있으므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를 구성하는 피씨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인접하는 피씨블록이 연결구에 의해 접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연결구를 종류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피씨블록의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상기 수처리시설의 구조가 적용된 수처리시설의 제1실시예이다.
도 6은 상기 수처리시설의 구조가 적용된 수처리시설의 제2실시예이다.
도 7은 상기 수처리시설이 호퍼를 구비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연결구가 인접하는 피씨블록을 서로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도 9는 상기 피씨블록이 강재보강관을 구비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피씨(PC;Precast Concrete)블록을 이용해 구축되는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공장에서 제작되어 일정한 규격을 가지는 피씨블록으로 다양한 규모 및 종류의 수처리시설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는 크게, 다수 개의 피씨블록(100)과 인접하여 위치한 피씨블록(100)들을 연결하는 연결구(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씨블록(1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상면이 개방된 저장공간(S)을 구비하고 있어 처리수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피씨블록(100)의 전후측면(110A, 110B)에는 상기 저장공간(S)과 연통하는 다수 개의 수용공이 다양한 높이 상에 형성되어 내부에 연결구(200)가 끼워진다. 도 1의 (a)의 피씨블록에는 전후측면(110A, 110B)에 상부 수용공(H1)과 하부 수용공(H2)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1의 (b)의 피씨블록에는 측면에 상부 수용공(H1) 및 하부 수용공(H2) 외에 중간부 수용공(H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보다 다양한 높이 상에 수용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에서는 수용공이 피씨블록(100)의 마주보는 전후측면(110A, 110B)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나, 피씨블록(100)의 일측면에만 형성되거나 모든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공은 피씨블록의 전후측면에서 다양한 높이 상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수용공이 피씨블록 전후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구(200)는 피씨블록(100) 전후측면(110A, 110B) 두께의 두 배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관형상의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인접하는 두 피씨블록(100)에서 서로 연접하는 상·하부 수용공(H1, H2)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인접하는 두 피씨블록(100)을 서로 접합하는 동시에 각 피씨블록(100)의 저장공간(S)을 공간적으로 일체화하거나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구(200)가 각 피씨블록(100)의 저장공간(S)을 공간적으로 일체화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연결구(200)가 필요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유형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3에는 연결구(200)의 세 가지 유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개방형 연결구(200A)는 연결구의 전체 길이상에서 큰 연통공(Bh)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연결구를 관통하는 큰 연통공(Bh)을 통해 처리수가 원활하게 저장공간(S)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고,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폐쇄형 연결구(200B)는 연결구의 전체 길이 중 적어도 일부분이 완전히 폐쇄되어 있어 이 유형의 연결구를 통해서는 처리수가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도 3의 (d) 및 (e)에 도시된 미세조절형 연결구(200C)는 연결구의 전체 길이 중 적어도 일부분에 가장자리로 치우친 작은 연통공(Sh)이 형성되어 있어 작은 연통공(Sh)이 연결구 단면상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처리수의 통과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폐쇄형 연결구(200B)는 연결구를 통해 처리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면, 관을 막는 폐쇄부가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결구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결구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연결구의 길이 중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미세조절형 연결구(200C)는 연결구의 단면 일부분을 통해 처리수를 통과시킬 수 있다면, 작은 연통공(Sh)이 도 3의 (d)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결구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e)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결구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연결구의 길이 중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피씨블록(100)들은 각각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어, 연결구를 이용해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수처리시설을 구성하는 각 조(tank)의 규모를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피씨블록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동일한 전후측면 거푸집(F1, F2)의 간격을 다르게 하고 전후측면 거푸집의 간격에 맞는 길이를 가지는 좌우측면 거푸집(F3, F4)을 교체해주는 것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거푸집의 제작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처리시설을 사용하다가 규모 또는 종류가 다른 수처리시설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도 기존 피씨블록들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교체하거나, 기존에 설치된 피씨블록의 전후측면(110A, 110B)에 새로운 피씨블록의 전후측면을 인접시킨 후 연결구로 연결해주는 것만으로 수처리시설을 바꿀 수 있으므로 기존의 수처리시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처리시설의 규모 및 종류에 따른 연결구(20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제1실시예의 수처리시설(10)은 단순히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저수조로서 인접하여 위치하는 피씨블록(100)들의 상·하부 수용공(H1, H2)에는 모두 개방형 연결구(200A)가 위치한다. 이때의 연결구는 처리수에 특정한 방향으로의 흐름을 만들어주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피씨블록(100)들의 저장공간(S)을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하여 처리수 저장용량을 조절해주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저장공간(S)이 막힘없이 연결된 다수 개의 피씨블록(100)은 하나의 큰 저수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크기의 피씨블록(100)으로 보다 다양한 규모의 수처리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효과는 피씨블록(100)들의 상부 수용공(H1)에는 폐쇄형 연결구(200B)를 위치시키고 하부 수용공(H2)에는 개방형 연결구(200A)를 위치시킴으로써도 얻을 수 있다.
피씨블록(100)은 도 5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마주보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상·하부 수용공(H1, H2)을 구비하고 있어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인접하는 두 측면 내지 네 측면에 상·하부 수용공(H1, H2)을 구비하고 있어 다수 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제2실시예는 오·폐수처리시설과 같이 여러 단계를 거쳐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수처리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로서 피씨블록(100)들 사이의 연결을 위해 개방형 연결구(200A), 폐쇄형 연결구(200B), 미세조절형 연결구(200C)가 복합적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수처리시설(10)은 유량조절조(11), 생물반응조(12), 침전조(13) 및 방류조(14)가 차례대로 배치되어 형성되는데, 유량조절조(11)는 큰 저장용량을 가질 수 있도록 제1실시예의 수처리시설에서와 같이 두 개의 피씨블록(100)으로 구성되며, 유량 조절조(11)를 구성하는 두 피씨블록(100)의 하부 수용공(H2)에는 개방형 연결구(200A)가 설치되어 두 피씨블록(100)이 서로 연통하게 되고, 상부 수용공(H1)에는 폐쇄형 연결구(200B)가 설치되어 유량조절조(11)의 두 피씨블록 사이에서는 하부 수용공(H2)을 통해서만 처리수가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조(11)와 생물반응조(12) 사이, 생물반응조(12)와 침전조(13) 사이, 및 침전조(13)와 방류조(14) 사이의 상부 수용공(H1)에는 미세조절형 연결구(200C)가 설치되고 하부 수용공(H2)에는 폐쇄형 연결구(200B)가 설치된다. 하부 수용공(H2)의 폐쇄형 연결구(200B)는 각 조 사이의 처리수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 수용공(H1)의 미세조절형 연결구(200C)는 작은 연통공(Sh)의 위치가 점점 낮아질 수 있도록 상부 수용공(H1) 내에서 회전되어 작은 연통공(Sh)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작은 연통공(Sh)은, 유량조절조(11)와 생물반응조(12) 사이에서는 상부에, 생물반응조(12)와 침전조(13) 사이에서는 중간부에, 침전조(13)와 방류조(14) 사이에서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조절되어 처리수가 각 단계의 조를 따라 역류하지 않고 순서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수처리시설보다 더 많은 단계의 처리과정을 요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수의 피씨블록(100)을 사용하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미세조절형 연결구(200C)에서 작은 연통공(Sh)의 위치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처리수의 흐름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처리시설의 구축시 현장에서 별도의 복잡한 작업 없이 미세조절형 연결구(200C)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처리수의 흐름을 유도해줄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규격의 피씨블록(100)을 이용해서 다양한 규모 및 종류의 수처리시설을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하다.
폐쇄형 연결구(200B)는 단순히 수처리시설의 첫 조나 마지막 조에서 다른 피씨블록(100)과 연결되는데 쓰이지 않은 수용공을 막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연결구(200)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연결구(200)의 단면은 원형 외에도 사각형, 육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씨블록(100) 수용공의 단면형상도 이에 맞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수처리시설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피씨블록(100) 중 일부 피씨블록(100)의 저장공간(S) 하부에는 호퍼(3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호퍼(300)가 피씨블록(100) 내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호퍼(300)는, 직각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의 호퍼블록(310) 다수 개가 저장공간(S)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피씨블록(100)의 내측면 하부와 바닥면(130) 사이에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호퍼(300)는 침전조와 같이 조의 하부에서 침전이 이루어지는 곳의 피씨블록(100)에 설치되어 침전물이 경사면을 타고 좁아진 바닥면(130)에 모이도록 해줌으로써 침전물의 배출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에는 상기 연결구(200)가 인접하는 두 피씨블록(100)을 서로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의 연결구(200)는 피씨블록(100) 두께의 두 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220)을, 타단부에는 볼트(B)에 의해 연결구(200)에 체결되는 가압스프링(230)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턱(220)은 인접하는 두 피씨블록(100) 중 일 피씨블록(100)의 내측면에 걸리고, 가압스프링(230)은 볼트(B)를 체결함에 따라 타 피씨블록(10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두 피씨블록(100)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피씨블록(100) 내측면에서 수용공의 둘레로는 홈(c)이 형성되어 걸림턱(220) 또는 가압스프링(230)이 피씨플록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의 내측면을 따라서는 피씨블록(100)의 몸체와 일체화된 강재보강관(12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9에는 상기 강재보강관(12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강재보강관(120)은 수용공과 같은 직경을 갖는 짧은 강관으로서,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피씨블록(100)의 전후측면(110A, 110B)에 수용공이 요철 없이 매끄러운 내측면을 가지고 정확한 규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구(200)가 수용공 내에 꼭 맞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200)를 수용공 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연결구(200)의 외측면과 수용공 내측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상기 강재보강관(120)은 상기와 같은 역할 외에도 수용공 주변부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보강해줄 뿐만 아니라 피씨블록(100)의 제작중 수용공 형성을 위한 거푸집의 역할을 한다.
상기 강재보강관(120)의 외측면으로는 스터드(126)가 부착되어 피씨블록(100)을 이루는 콘크리트 내에 정착됨으로써 강재보강관(120)이 피씨블록(100)의 몸체와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다.
강재보강관(120)의 저장공간(S) 측 단부는 외측을 향해 단턱지게 형성되어 단턱(121)과 연결구(200) 외측면 사이에 지수공간(a)이 구비되고, 상기 지수공간(a) 내에는 링형의 지수재(D)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수재(D)로는 수팽창 지수재, 탄성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지수재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지수공간(a)을 채움으로써 강재보강관(120)과 연결구(20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한다.
상기 지수공간(a)은 덮개(124)에 의해 폐쇄되어 지수공간(a) 내에서 지수재(D)가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덮개(124)는, 강재보강관(120)의 저장공간(S) 측 말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플랜지(122)와 접합되어 지수공간(a)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상기 플랜지(122)에는 플랜지(122)를 관통하여 피씨블록(100) 몸체에 정착되는 장너트(123)가 구비되어 있어 덮개(124)로 플랜지(122) 및 지수공간(a)을 덮은 채 장너트(123)에 장볼트(125)를 체결하여 매우 쉽게 덮개(124)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는 상기와 같은 구성들 외에도 피씨블록(100) 내의 처리수에 산소를 공급하는 배관, 피씨블록(100)의 상면을 구성하며 저장공간(S)을 폐쇄하는 뚜껑 등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피씨블록(100)들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이에 맞게 규격화된 배관, 뚜껑 등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처리시설의 구축을 경제적이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모듈형 수처리시설 100 : 피씨블록
110A, 110B : 전후측면 120 : 강재보강관
121 : 단턱 122 : 플랜지
123 : 장너트 124 : 덮개
125 : 장볼트 200 : 연결구
200A : 개방형 연결구 200B : 폐쇄형 연결구
200C : 미세조절형 연결구 220 : 걸림턱
230 : 가압스프링 300 : 호퍼
a : 지수공간 B : 볼트
Bh : 큰 연통공 D : 지수재
H1, H2, H3 : 수용공 S : 저장공간
Sh : 작은 연통공

Claims (6)

  1. 내부에 상면이 개방된 저장공간(S)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의 것으로서, 전후측면(110A, 110B)으로는 상기 저장공간(S)과 연통하는 다수 개의 수용공이 다양한 높이 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피씨블록(100); 및 전후측면(110A, 110B)이 마주보도록 인접한 두 피씨블록(100)에서 서로 연접하게 되는 상기 수용공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피씨블록(100)들의 저장공간(S)이 서로 연통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관형상의 연결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200)는, 전체 길이상에서 큰 연통공(Bh)이 형성된 개방형(200A), 전체 길이 중 적어도 일부분이 완전히 폐쇄된 폐쇄형(200B), 전체 길이 중 적어도 일부분에 가장자리로 치우친 작은 연통공(Sh)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 내에서 회전 가능한 미세조절형(200C) 중 하나 이상의 종류가 선택되어 피씨블록(100)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0)는 피씨블록(100) 두께의 두 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인접하는 피씨블록(100)들 중 일 피씨블록(100)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턱(220)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볼트(B)에 의해 연결구(200)에 체결되면서 타 피씨블록(100)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23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피씨블록(100) 중 일 피씨블록(100)의 저장공간(S) 하부에는 호퍼(3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의 내측면을 따라서는 피씨블록(100)의 몸체와 일체화된 강재보강관(120)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보강관(120)의 저장공간(S) 측 단부는 외측을 향해 단턱지게 형성되어 단턱(121)과 연결구(200) 외측면 사이에 지수공간(a)이 구비되고, 상기 지수공간(a) 내에는 링형의 지수재(D)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보강관(120)의 저장공간(S) 측 말단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된 플랜지(122)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122)에는 플랜지(122)를 관통하여 피씨블록(100) 몸체에 정착되는 장너트(123)가 구비되어 있어 지수공간(a) 및 플랜지(122)를 덮는 덮개(124)가 장볼트(125)를 장너트(123)에 체결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KR1020150056921A 2015-04-23 2015-04-23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KR101699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921A KR101699418B1 (ko) 2015-04-23 2015-04-23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921A KR101699418B1 (ko) 2015-04-23 2015-04-23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183A KR20160126183A (ko) 2016-11-02
KR101699418B1 true KR101699418B1 (ko) 2017-01-24

Family

ID=5751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921A KR101699418B1 (ko) 2015-04-23 2015-04-23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161B1 (ko) * 2019-06-03 2020-02-1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모듈형 수조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모듈형 수조를 포함하는 오폐수처리시설
KR102631293B1 (ko) * 2023-08-10 2024-01-31 (주)지지산업 조립 설치성이 향상된 수처리시설용 피씨블록 연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75B1 (ko) * 2010-02-04 2010-08-26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150269B1 (ko) 2010-03-15 2012-06-12 화이버텍(주) 사이드 포트 타입 멤브레인 하우징용 연결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487B1 (ko) * 2001-08-07 2004-02-05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쇄석 채움 옹벽
KR100988026B1 (ko) * 2008-02-14 2010-10-18 대송환경개발(주) 정화조용 조립식 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75B1 (ko) * 2010-02-04 2010-08-26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150269B1 (ko) 2010-03-15 2012-06-12 화이버텍(주) 사이드 포트 타입 멤브레인 하우징용 연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183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418B1 (ko) 피씨블록을 이용한 모듈형 수처리시설의 구조
DE69831577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lammabführung
DE202006020519U1 (de) Warmwasserbereiter sowie Grundbehälter für einen Warmwasserbereiter
DE102007006970A1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Wasser, insbesondere Filtervorrichtung,und Kartusche
EP2083125A2 (de) Ablaufarmatur, insbesondere für Dusch- oder Badewannen
EP1914204A1 (de) Kunststoffbehälter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EP0763262B1 (de) Füllvorrichtung für batteriezellen mit einem schwimmer-betätigten ventil
EP2639364B1 (de) Armaturengrundkörper für eine Sanitärarmatur
DE102010053588B4 (de) Gärsaftabscheider
DE19827992A1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Volumenstrom-Messeinrichtung mit einer flüssigkeitsführenden Rohrleitung
DE202011052123U1 (de) Entwässerungsschacht für einen Tunnel
RU130603U1 (ru) Станция глубокой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US10518968B2 (en) Block connector for septic tank and water treatment facility, and prefabricated block using same
DE202009001934U1 (de) Kunststoffbehälter
DE10203076C1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r Flüssigkeit sowie Verfahren zum steuerbaren Überleiten einer Flüssigkeit
DE19821817C1 (de) Vorrichtung zum Sammeln und zum periodischen Einleiten eines abzumessenden Quantums von Flüssigkeit in ein Rohrleitungssystem
DE3329924A1 (de) Einrichtung zum nachreinigen von abwasser
CN109058488A (zh) 阀及具有阀的装置
WO2002010657A1 (de) Wasserdichter behälter für die eiserzeugung
CN209967761U (zh) 一种带有沉淀排泥功能的调节池
DE20318617U1 (de) Einlaufgehäuse
EP1097635A2 (de) Vorrichtung zum Ausgleich des Drucks einer Flüssigkeit und Verfahren zur Änderung des Druckausgleichsverhältnisses
US20230000023A1 (en) Fast filling and draining valve assembly and associated system
DE102010021593B4 (de) Sanitäre Mischarmatur zur Montage an einer Gebäudewand
DE102018209171A1 (de) Geruchsverschlusseinsatz für eine Ablaufarmat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