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068B1 - 이동 가능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068B1
KR101699068B1 KR1020150077523A KR20150077523A KR101699068B1 KR 101699068 B1 KR101699068 B1 KR 101699068B1 KR 1020150077523 A KR1020150077523 A KR 1020150077523A KR 20150077523 A KR20150077523 A KR 20150077523A KR 101699068 B1 KR101699068 B1 KR 10169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fixed
signal
wireless
wireless 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933A (ko
Inventor
이영신
김원영
박형준
송희석
Original Assignee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5007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06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에 대한 무선랜 억세스포인트(AP)를 제공하는 고정형 AP 및 상기 고정형 AP에 연결되는 무선랜 멀티브리지로 기능하는 이동형 AP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형 AP는 상기 고정형 AP에 결합되어 충전되며, 상기 고정형 AP에 연결된 무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무선 단말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고정형 AP로 중계한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Movable Wireless LAN AP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AP)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중계기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통신 단말에 대해 음영지역 없는 무선 통신망을 제공하는 무선랜 AP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유선 LAN 형태인 이더넷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로서, 배선 작업과 유지관리 비용 및 설치비용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접속 기술로서, MIMO가 적용된 IEEE 802.11n은 반경 70m 이내에 있는 실내 단말에 대해 최대 150 Mbps의 고속 무선통신의 제공이 가능하다.
IEEE 802. 11 WLAN 은 802.11 네트워크의 프레임을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하여 다른 형태의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즉 무선과 유선의 브리징 기능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 함)와 무선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 처리가 가능한 무선 랜 장치가 장착되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패드 등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AP 는 랜 허브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며, 한 개의 AP당 반경 20~150m 정도의 영역에서 동시에 25~50 개의 단말이 접속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단일의 AP에서 커버할 수 있는 통신 커버리지는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AP에서 사용하는 2.4GHz 또는 5GHz 등의 고주파 대역의 특성상 중간에 벽이나 문 등의 장애물이 있으면 신호세기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 AP 장치에 더해 보조 AP 장치를 음영지역에 추가로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해당 영역에 다수의 음영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모두 커버하기 위하여 동일한 개수의 보조 AP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랜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이 음영 지역에 위치하더라도 원활한 신호 세기를 보장할 수 있는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무선 단말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무선랜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다수의 무선 단말에 대해 가능한 최적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에 대한 무선랜 억세스포인트(AP)를 제공하는 고정형 AP; 및 상기 고정형 AP에 연결되는 무선랜 멀티브리지로 기능하는 이동형 AP;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AP는 상기 고정형 AP에 결합되어 충전되며, 상기 고정형 AP에 연결된 무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무선 단말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고정형 AP로 중계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형 AP는, 음영 지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샘플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수신 신호의 세기 또는 사용자의 지시를 기초로 상기 샘플 포인트를 이동하며 각각의 샘플 포인트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이동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이동형 AP는 고정형 AP로부터 분리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무선랜 억세스포인트(AP)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는 구동 제어부; 이동 위치에서 상기 고정형 AP 및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고정형 AP로 중계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상기 이동 위치 및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로 관리부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샘플 포인트를 이동하여 각각의 샘플 포인트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는 무선랜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이 음영 지역에 위치하더라도 원활한 신호 세기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는 다수의 무선 단말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무선랜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연결된 다수의 무선 단말에 대해 가능한 최적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에서 무선랜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이하, 무선랜 AP 장치)는 이동형 AP(100) 및 고정형 AP(20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형 AP(100)는 상부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160)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으며, 고정형 AP(200)로부터 분리되어 원하는 위치에 이동하여 무선랜 AP로서 기능한다. 상기 이동형 AP(100)는 고정형 AP(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매립 콘센트(400)로부터 공급되는 AC 전력을 이용하여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상기 이동형 AP(100)는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형 AP(200)와 분리된 상태에서의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이동형 AP(100)는 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동 바퀴를 제어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어서, 고정형 AP(200)에 의한 무선랜 커버리지를 벗어나거나 커버되지 않는 음영지역으로 이동하여 음영지역 내의 무선 단말에 충분한 세기의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형 AP(100)는 전방 또는 상방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카메라(122, 1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형 AP(100)에는 외부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114) 및/또는 기타 리모컨(300)과의 무선 통신 등을 위한 센서부(112)를 더 포함하실 수 있다
고정형 AP(200)는 장치 외부에 배치된 안테나(210)를 통해 주기적으로 비콘(beacon) 프레임을 전송하여 주변의 무선 단말(UE)에의 수동 스캐닝(passive scanning)을 실시하거나 또는 주변의 무선 단말(UE)들과 무선랜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고정형 AP(200)를 통한 무선 통신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등(220)이 장치 외부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AP(200)은 벽체의 매립 콘센트(400)에 연결되어 AC 전력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전력을 일측에 형성된 인터페이스 단자(230)를 통해 이동형 AP(100)로 전송하여 이동형 AP(1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는 이동형 AP(100)의 작동, 설정 및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용도의 리모컨(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이동형 AP를 중심으로 하는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는 크게 고정형 AP(200)과, 상기 고정형 AP(200)에 결합되는 이동형 AP(100)을 포함하며, 추가로 리모컨(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AP(100)는 센서부(112), 마이크(114), 전방 카메라(122), 상방 카메라(124), 제어부(130), 구동부(140), 메모리(150), 안테나(160) 및 전원부(170)를 포함한다.
센서부(112)는 외부로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몸체의 측면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장애물 검출센서와 주행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주행거리 검출센서, 그리고 리모컨(300)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애물 검출센서는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소자와,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소자의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행거리 검출센서는 구동부(140)의 구동 바퀴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이동형 AP(100)의 주행 거리 및 주행 방향을 검출한다.
마이크(114)는 이동형 AP(1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신호는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134)의 음성 인식부(134)에서 상기 수신된 음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기 등록된 명령 신호의 주파수 특성과 비교하여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 특히 이동형 AP(100)에의 동작 명령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방 카메라(122)는 이동형 AP(100) 전방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도록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다. 상기 전방 카메라(122)에 의해 촬상되는 일련의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상방 카메라(124)는 이동형 AP(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장치의 상방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취득한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이동형 AP(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상방 카메라(124)에 의해 촬영된 상방 이미지를 기초로 상방 영역에 대한 영상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위치에서의 상방 이미지를 취득하고 이를 설정된 특정 위치에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상기 특정 위치의 식별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위치는 대상영역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일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에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매칭시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위치는 전파 세기의 분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샘플 포인트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구동 제어부(132), 음성 인식부(134), 통신부(136) 및 경로 관리부(138)를 더 포함한다.
구동 제어부(132)는 전방 카메라(122)에서 생성되는 전방 이미지를 기초로 대상 영역을 주행하도록 구동부(140)를 제어한다. 이때, 구동 제어부(132)는 전방 이미지와 함께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상방 영역의 영상 지도를 참조하여 주행중의 현재 위치를 보다 상세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음성 인식부(13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신호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명령에 관한 신호로서, 예를 들어 기 등록된 특정 위치로의 호출 신호, 고정형 AP(200)로의 복귀 신호, 주행 경로의 변경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위치로의 호출 신호는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출 신호로서 “이동형 AP 이동”을 녹음하여 설정하고, 특정 위치에 관한 음성 정보로서 “두번째 방”을 녹음하여 설정한 경우에, 상기 음성 인식부(134)는 외부의 음신호로부터 “이동형 AP 이동” 음신호와 “두번째 방” 음신호가 일정 간격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식되면 상기 구동 제어부(132)를 통해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두번째 방에 해당되는 특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동형 AP(100)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는 고정형 AP(200)로 복귀하도록 복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동형 AP(100)는 고정형 AP(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매립 콘센트를 통해 제공되는 AC 전원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여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진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132)에서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형 AP(100)를 고정형 AP(200)으로 복귀하도록 하고, 복귀 경로 상에서 이동형 AP(100)에 연결된 무선 단말(UE)과의 전파 신호가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해당 무선 단말(UE)과의 통신 채널을 고정형 AP(200)로 스위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36)는 무선 단말(UE) 및 고정형 AP(2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36)는 안테나(160)를 통해 주기적으로 비콘(beacon) 프레임을 전송하여 주변의 무선 단말(UE)에의 수동 스캐닝(passive scanning)을 실시하거나 또는 연결된 무선 단말(UE)들과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36)는 후술할 경로 관리부(138)의 제어에 따라 경로 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샘플 포인트에서의 고정형 AP(200)와의 신호 세기 및 연결된 무선 단말(UE)과의 신호 세기의 측정을 위해 전파를 방사할 수 있다.
경로 관리부(138)는 이동형 AP(100)의 주행 경로(이동 경로)를 관리하고, 상기 주행 경로 상의 하나 이상의 샘플 포인트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위치를 관리하며, 관리중인 각종 위치 정보 및 해당 위치에서 취득한 무선 단말(UE) 및 고정형 AP(200)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이동형 AP(100)가 이동할 최적의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경로 관리부(138)는 무선랜 지원 대상 영역에 대한 주행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이동 경로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경로일 수 있으며, 이동형 AP(100)가 대상 영역 전체를 이동하며 수집한 고정형 AP(200)와의 송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발견된 음영 지역까지의 이동 경로일 수도 있다. 상기 경로 관리부(138) 발견된 음영 지역마다 해당 음영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샘플 포인트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되는 샘플 포인트에는 위치 정보, 각각의 식별번호 및 해당 위치에서의 상방 이미지 정보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이동형 AP(100) 하부에 배치된 두 쌍의 바퀴와, 상기 두 쌍의 바퀴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를 회전 구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두 쌍의 바퀴 중에서 전방의 양측에 설치된 두 개의 바퀴는 이동형 AP(100)의 좌우 회전 구동되며, 후방의 양측에 설치된 두 개의 바퀴는 이동형 AP(100)를 정방향/역방향 회전 구동시킨다.
메모리(150)는 하나 이상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음신호의 주파수특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된 음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30)의 음성 인식부(134)는 취득한 음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 신호의 주파수 특성과 비교하여 특정한 동작 명령이 발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메모리(150)는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특정 위치, 이동 경로 또는 샘플 포인트에 대한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촬상된 상방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도 3은 상기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에서의 초기 설정 과정 및 장치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는 초기 설정 과정을 통해 대상 영역 전체의 상방 이미지 및 각 지점별 고정형 AP(200)와의 송수신 신호의 세기, 고정형 AP(200)를 기준으로 한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영상 지도 및 주행 경로 작성 과정이라고 한다(S100).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이동형 AP(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방 카메라(124)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 전체의 상방 이미지를 취득한다. 더불어서 대상 영역의 천장에 전등이나 화재경보기 등과 같은 특정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물체를 특징점으로 결정하여 주변의 상방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영상처리방식은 알려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된 이미지에 대해 그레이 레벨로 변환한 다음 유사한 값을 갖는 픽셀점을 이어 산출된 좌표값을 특징점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110). 상기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위치에 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특정 위치를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리모컨(300)을 이용하여 이동형 AP(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현재 위치를 등록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음성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되어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위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 및 대응되는 음성 정보와 상방 이미지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 지도 작성 과정에서 발견된 하나 이상의 음영 지역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샘플 포인트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거리 및 방향 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단계 S100 및 S110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동형 AP(100)는 평상시에는 고정형 AP(200)에 결합되어 충전 및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S120). 이 경우에도 상기 마이크(114)는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통한 호출 신호 또는 리모컨을 통한 호출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감지된 음성 호출 신호 또는 리모컨 호출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할 특정 위치를 파악하고,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형 AP(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거실, 큰방, 작은방의 세 지점을 각각 등록한 경우에, 사용자는 호출 신호로 설정된 임의의 음성 신호를 호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등록 지점을 판단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AP(100)는 고정형 AP(20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UE)과 고정형 AP(200) 간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모니터링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UE)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해당 무선 단말(UE)의 인근으로 이동하여 억세스 포인트(AP)를 제공할 수 있다(S130).
이 경우, 이동형 AP(100)는 미리 설정된 주행 경로를 일주하며 주행 경로 상의 하나 이상의 샘플 포인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위치 상에서 상기 신호가 약한 무선 단말(UE) 및 고정형 AP(200)와 채널 연결된 다른 무선 단말들로부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S140).
이후, 이동형 AP(100)는 각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이동할 최적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무선 단말(UE)이 고정형 AP(200)에 연결된 경우에는 고정형 AP(200)와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준치 이하인 무선 단말들만을 기준으로 최적의 이동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무선 단말(UE)이 고정형 AP(200)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실제로 통신 채널만 연결되고 통신이 이뤄지지 않는 무선 단말(UE)의 경우에는 제외하고 위치 설정을 할 수 있다. 이후, 이동형 AP(100)는 선택된 위치로 이동한 후, 해당 무선 단말(UE)과 고정형 AP(200)간의 통신 채널을 이동형 AP(100)로 전환하여 해당 무선 단말(UE)과 통신 채널을 연결한다(S150).
만일, 이동형 AP(100)에 연결된 무선 단말(UE)의 접속이 종료되거나 이동형 AP(100)의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기준값 이후로 떨어진 경우, 상기 이동형 AP(100)는 고정형 AP(200)로 복귀한다(S160).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4)

  1.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에 대한 무선랜 억세스포인트(AP)를 제공하는 고정형 AP; 및
    상기 고정형 AP에 결합되어 충전되며, 연결에 의해 무선랜 멀티브리지로 기능하도록 구비되어, 기 설정된 경로로 이동 시 수집된 상기 고정형 AP의 송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음영 지역을 발견하고, 발견된 상기 음영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하나의 이상의 샘플 포인트를 선택하여 등록하며, 등록된 상기 샘플 포인트에서 상기 무선 단말의 수신 신호의 세기 또는 사용자의 음성인식에 의한 동작명령신호를 기초로 이동됨에 있어, 각각의 샘플 포인트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수신 신호 세기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무선단말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고정형 AP로 중계하는, 이동형 AP;를 포함하는,
    이동형 무선랜 AP 장치.
  2. 삭제
  3. 고정형 AP로부터 분리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무선랜 억세스포인트(AP)를 제공하는 이동형 AP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는 구동 제어부;
    이동 위치에서 상기 고정형 AP 및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고정형 AP로 중계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명령신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신호는 기 등록된 특정 위치로 호출신호, 상기 고정형 AP로의 복귀 신호, 및 주행 경로 변경 신호가 포함되는 동작명령신호를 상기 구동 제어부에 전달하여 구동을 제어하는 음성인식부; 및
    상기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동되는 대상영역 전체를 기설정된 경로로 이동 시 수집된 상기 고정형 AP의 송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발견된 음영 지역까지의 이동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음영 지역마다 해당 음영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샘플 포인트를 선택하여 등록하며, 상기 음영 지역에서 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샘플 포인트에서 상기 무선 단말의 수신 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생성된 동작명령신호를 기초로 상기 샘플 포인트를 이동하며 각각의 상기 샘플 포인트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상기 이동 위치 및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관리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AP.
  4. 삭제
KR1020150077523A 2015-06-01 2015-06-01 이동 가능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10169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523A KR101699068B1 (ko) 2015-06-01 2015-06-01 이동 가능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523A KR101699068B1 (ko) 2015-06-01 2015-06-01 이동 가능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933A KR20160141933A (ko) 2016-12-12
KR101699068B1 true KR101699068B1 (ko) 2017-02-02

Family

ID=5757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523A KR101699068B1 (ko) 2015-06-01 2015-06-01 이동 가능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2062A (zh) * 2017-03-31 2017-06-30 思依暄机器人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运动控制方法、装置和移动式无线中继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783A (ja) * 2001-12-17 2003-07-02 Fuji Photo Film Co Ltd 情報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363A (ko) * 2007-06-28 2009-01-09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 무선통신용 지능형 중계장치 및 그의 신호 중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1783A (ja) * 2001-12-17 2003-07-02 Fuji Photo Film Co Ltd 情報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933A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712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and sensors to monitor environments
US110309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and sensors to monitor environments
US202003948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roperty using drone beacons
US10356846B2 (en) Piconet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hicle
US20180184269A1 (en) Autonomous Mesh Enabled Mobile Drone Hive
EP1103510A2 (en) Informations trasmission in an elevator system
KR101603712B1 (ko)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CN111063051A (zh) 一种巡检机器人通信系统
CN105101315B (zh) 远程操控移动通信系统及方法
JP2018006844A (ja) 監視方法、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CN105007566A (zh) 一种室内外定位快速切换方法及系统
US201201649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Movement
CN105044665A (zh) 轨道交通地下车站室内定位和导航系统和方法
KR101699068B1 (ko) 이동 가능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CN112804705B (zh) 一种WiFi设备波束方向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4978027B2 (ja) ロボット遠隔操縦システム
US11729372B2 (en) Drone-assisted sensor mapping
EP3772227B1 (e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1313721B1 (ko) 무선통신형 위치인식 시스템
US11639002B2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30077410A (ko) 도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킹 방법
JP2015028442A (ja) 構内無線システム、無線端末、構内無線システムの位置把握切替方法及び無線端末の位置把握切替方法
KR20180074836A (ko) 복수의 지상 이동체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지상 이동체 및 관리 장치
CN110486894A (zh) 一种空气调节装置的控制方法和空气调节装置
JP6655909B2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