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665B1 -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665B1
KR101697665B1 KR1020150097837A KR20150097837A KR101697665B1 KR 101697665 B1 KR101697665 B1 KR 101697665B1 KR 1020150097837 A KR1020150097837 A KR 1020150097837A KR 20150097837 A KR20150097837 A KR 20150097837A KR 101697665 B1 KR101697665 B1 KR 10169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leg
inverter
current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735A (ko
Inventor
서영민
변민수
Original Assignee
(주)디알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알젬 filed Critical (주)디알젬
Priority to KR102015009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6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X-Ray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전원과, 상기 직류전원과 병렬 연결되는 3개의 레그를 갖는 3레그 인버터와, 상기 레그들을 통해 인가된 전압을 변압하여 대초점 필라멘트 및 소초점 필라멘트에 각각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필라멘트 변압기를 포함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필라멘트 구동 회로를 사용하여 소초점과 대초점의 전류를 동시에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투시촬영 중 즉시 스팟촬영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FILAMENT CONTROL CIRCUIT FOR X-RAY FLUOROSCOPY APPARATUS}
본 발명은 X선 투시촬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필라멘트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X선 제너레이터의 주요 구성품인 필라멘트 구동 회로는 X선관 음극의 필라멘트를 가열하기 위한 회로로서 고주파 교류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풀브리지 변환기, 초점 절체회로, 필라멘트 변압기로 구성된다(도 1참조).
의료용 X선관은 대부분 중성점 접지로 되어 있어 양극과 음극에는 각각 관전압의 절반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필라멘트의 전위는 X선을 조사하기 전에는 영전위를 갖고 X선을 조사할 때에는 음의 고압이 걸리게 되므로 고전압 절연이 가능한 필라멘트 변압기를 필요로 한다.
X선량은 X선관에 흐르는 관전류에 비례하는데, 관전류는 필라멘트에서 발생한 열전자에 크게 좌우된다. 필라멘트 변압기는 고전압 절연을 위해 보통 절연유로 밀폐된 고압 탱크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변압기의 1차측 전류를 피드백 제어를 통해 열전자가 일정하게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X선관의 음극에는 소초점(SF,Small Focus)과 대초점(LF;Large Focus) 두 개가 있으므로 대초점과 소초점용으로 두 개의 필라멘트 변압기가 필요하고,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절체회로를 갖는다.
열전자가 방출되지 않을 않도록 낮은 필라멘트 전류에서는 X선관에 관전압이 인가되더라도 관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전류를 예열전류라고 하며, 평상시에는 예열전류로 필라멘트를 예열하고 있다가 X선 조사를 시작할 때 필라멘트를 급속 가열하여 단시간에 원하는 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필라멘트 온도에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두 개의 초점 중에서 사용하는 초점에만 가열하면 되는 X선 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와 달리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는 투시에서는 소초점을 사용하고 스팟촬영에서는 대초점을 사용하기 때문에 두 개의 초점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어야 한다.
필라멘트는 소등 상태에서 열전자를 발생시키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3~4초 이상이 소요되므로 투시 중간에 즉시 스팟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대초점에 예열전류를 미리 공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744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필라멘트 구동 회로를 사용하여 소초점과 대초점의 전류를 동시에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류전원과, 상기 직류전원과 병렬 연결되는 3개의 레그를 갖는 3레그 인버터 및 상기 레그들을 통해 인가된 전압을 변압하여 대초점 필라멘트 및 소초점 필라멘트에 각각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필라멘트 변압기를 포함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3레그 인버터는 상기 대초점 필라멘트 및 소초점 필라멘트에 공통으로 인가되는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레그와, 상기 대초점 필라멘트에 대초점 전압(Vlarge)을 인가하는 제2 레그와, 상기 소초점 필라멘트에 소초점 전압(Vsmall)을 인가하는 제3 레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레그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인버터와 제4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그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인버터와 제5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레그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인버터와 제6 인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라멘트 변압기는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 전압을 변압하는 제1 필라멘트 변압기와, 상기 제1 레그와 제3 레그 사이 전압을 변압하는 제2 필라멘트 변압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필라멘트 변압기의 1차측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3레그 인버터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위상천이 PWM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위상천이 PWM 모듈은 상기 제2 레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초점 전류 PI제어기와, 상기 제3 레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대초점 전류 PI제어기와, 상기 PI제어기들의 신호에 근거해 게이트 신호를 생성시키는 위상천이 PW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소초점 전류 PI제어기는 소초점 전류 기준값(ISF *)과 제1 필라멘트 변압기 1차측 전류를 RMS 값으로 변환한 전류 피드백(ISF)을 비교하여 지연시간 △t1 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소초점 전류 PI제어기는 상기 제1 필라멘트 변압기와 제2 레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필라멘트 변압기의 마이너스 단자는 제2 인버터와 제5 인버터 사이의 제1 노드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대초점 전류 PI 제어기는 대초점 전류 기준값(ILF *)과 제2 필라멘트 변압기의 1차측 전류를 RMS 값으로 변환한 전류 피드백(ILF)을 비교하여 지연시간 △t2 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대초점 전류 PI제어기는 상기 제2 필라멘트 변압기와 제3 레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필라멘트 변압기의 마이너스 단자는 제3 인버터와 제6 인버터 사이의 제2 노드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3레그 인버터와 상기 필라멘트 변압기 사이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근거하여 스위칭 되는 릴레이 회로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에 의하면, 하나의 필라멘트 구동 회로를 사용하여 소초점과 대초점의 전류를 동시에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투시촬영 중 즉시 스팟촬영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에 의하면, 종래 추가 부하를 이용하는 회로나 2개의 필라멘트를 구동하는 회로 등에 비해 간단한 구조의 회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X선 투시촬영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필라멘트 구동 회로의 블록도.
도 2는 추가 부하와 릴레이 접점을 이용하는 구동 회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라멘트 구동 회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위상천이 PWM 모듈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3레그 인버터에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게이트 신호에 대응되어 소초점에 가해지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게이트 신호에 대응되어 대초점에 가해지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추가 부하(Z)와 릴레이 접점을 이용하는 구동 회로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대초점과 소초점에 전류를 가하는 일반적인 필라멘트 구동 회로의 방식을 설명한다.
도 2에 따르면, 필라멘트 구동 회로는 풀브리지 변환기와, 필라멘트 변압기(140)와, 위상천이 PWM(Pulse Width Modulation) 모듈(150)과, X선관(160)과, 초점 절체회로(17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넓은 범위의 dc 입력 전압 범위에서 구동되고 낮은 권선비의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도록 풀브리지 변환기가 사용된다.
도시된 구동 회로에 따르면, 초점 절체회로(170)에는 추가 부하(Z)와 릴레이 접점이 포함된다. 사용 중인 초점(주 초점)에는 풀브리지 회로의 출력이 그대로 전달되고 대기 중인 초점(보조 초점)에는 추가 부하(Z)가 직렬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직렬 연결된 추가 부하(Z)는 전류를 감소시켜 보조 초점에 예열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도시된 구동 회로는 주 초점의 전류 변동에 따라 보조 초점의 예열전류가 변하게 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주 초점의 전류 변동에 따라 보조 초점의 예열전류가 변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초점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와 소초점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면 회로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라멘트 구동 회로이다.
도 3에 도시된 필라멘트 구동 회로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즉, 대초점과 소초점에 독립적으로 전류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간단한 회로를 구현하여 장치의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필라멘트 구동 회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는 직류전원과, 3레그 인버터(130)와, 필라멘트 변압기(140)와, 위상천이 PWM 모듈(150)과, X선관(160) 등을 포함한다.
X선관(160)은 대초점 필라멘트와 소초점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투시촬영시에는 소초점 필라멘트가 이용되고, 스팟촬영시에는 대초점 필라멘트가 이용된다.
필라멘트 변압기(140)는 소초점 필라멘트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필라멘트 변압기(141)와, 대초점 필라멘트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 필라멘트 변압기(142)를 포함한다.
필라멘트 변압기(140)는 코어와 1차 권선 및 2차 권선으로 구성되며, 코어의 1차측은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단자 역할을 수행하며 1개의 1차 권선이 감겨져 있을 수 있다. 코어의 2차측은 복수의 2차 권선이 감겨져 있을 수 있으며 감겨진 2차 권선의 수와 1차 권선의 수의 비율에 따라 1차측의 전압을 배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3레그 인버터(130)는 각 레그가 직류전원과 병렬 연결되도록 연결된다.
3레그 인버터(130)는 대초점 필라멘트 및 소초점 필라멘트에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레그(131)와, 소초점 필라멘트에 소초점 전압(Vsmall)을 인가하는 제2 레그(132)와, 대초점 필라멘트에 대초점 전압(Vlarge)을 인가하는 제3 레그(13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레그(131)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인버터(QF1)와 제4 인버터(QF4)를 포함하고, 제2 레그(13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인버터(QF2)와 제5 인버터(QF5)를 포함하며, 제3 레그(133)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인버터(QF3)와 제6 인버터(QF6)를 포함한다.
제1 인버터(QF1)와 제4 인버터(QF4) 사이에는 필라멘트 변압기(140)의 플러스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노드(N0)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필라멘트 변압기(141) 및 제2 필라멘트 변압기(142)의 플러스 단자는 기준 노드(N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대초점 필라멘트 및 소초점 필라멘트에 기준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필라멘트 변압기(141)의 마이너스 단자는 제2 인버터(QF2)와 제5 인버터(QF5) 사이에 존재하는 제1 노드(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노드(N1)를 통해 제1 필라멘트 변압기(141)에 전류가 가해지며 제1 필라멘트 변압기(141)는 소초점 필라멘트에 소초점 전압(Vsmall)을 인가한다.
제2 필라멘트 변압기(142)의 마이너스 단자는 제3 인버터(QF3)와 제6 인버터(QF6) 사이에 존재하는 제2 노드(N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노드(N2)를 통해 제2 필라멘트 변압기(142)에 전류가 가해지며 제2 필라멘트 변압기(142)는 대초점 필라멘트에 대초점 전압(Vlarge)을 인가한다.
제1 노드(N1)와 제1 변압기의 마이너스 단자 사이에는 소초점 전류 PI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노드(N3)가 존재할 수 있다. 제2 노드(N2)와 제2 변압기의 마이너스 단자 사이에는 대초점 전류 PI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노드(N4)가 존재할 수 있다.
위상천이 PWM 모듈(150)은 제2 레그(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초점 전류 PI제어기와, 제3 레그(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대초점 전류 PI제어기 및 PI제어기들의 신호에 근거해 게이트 신호를 생성시키는 위상천이 PWM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천이 PWM 모듈(150)을 통해 제1 레그(131)와 제2 및 제3 레그(133)의 지연시간을 3레그 인버터(130)에 공급하여 필라멘트 전류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위상천이 PWM 방식을 통해 소초점의 전류와 대초점의 전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위상천이 PWM 모듈(150)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위상천이 PWM 방식을 이용한 소초점의 전류와 대초점의 전류의 독립적 제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위상천이 PWM 모듈(150)은 소초점 전류 PI제어기와, 대초점 전류 PI제어기와, 위상천이 PWM과, 전류감지 센서, RMS DC 변환기 등을 포함한다.
소초점 전류 PI제어기는 소초점 전류 기준값(ISF *)과 필라멘트 변압기(140) 1차측 전류를 RMS 값으로 변환한 전류 피드백(ISF)을 비교하여 소초점 지연시간 △t1 을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대초점 전류 PI제어기는 대초점 전류 기준값(ILF *)과 필라멘트 변압기(140)의 1차측 전류를 RMS 값으로 변환한 전류 피드백(ILF)을 비교하여 대초점 지연시간 △t2 을 생성한다.
위상천이 PWM은 이렇게 생성된 소초점 지연시간 △t1 과 대초점 지연시간 △t2 을 이용해 3레그 인버터(130)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도 5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3레그 인버터(130)에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6 인버터(QF6)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의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한 레그에 배치된 두 개의 스위치는 50%의 듀티를 갖고 상보동작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레그(131)에 배치되는 제1 인버터(QF1)와 제4 인버터(QF4), 제2 레그(132)에 배치되는 제2 인버터(QF2)와 제5 인버터(QF5), 제3 레그(133)에 배치되는 제3 인버터(QF3)와 제6 인버터(QF6)는 각각 50%의 듀티 사이클을 갖고 상보동작한다.
제2 인버터(QF2)와 제5 인버터(QF5)에는 제1 인버터(QF1) 및 제4 인버터(QF4)에 비해 △t1 만큼 위상천이된 게이트 신호가 공급되고, 제3 인버터(QF3)와 제6 인버터(QF6)에는 △t2 만큼 위상천이된 게이트 신호가 공급된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게이트 신호에 대응되어 소초점에 가해지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게이트 신호에 대응되어 대초점에 가해지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게이트 신호에 근거하여 소초점, 대초점에 각각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할 수 있다.
소초점에는 제2 레그(132)의 신호가 인가된다. 도 5에 도시된 제2 인버터(QF2) 신호 및 제5 인버터(QF5) 신호에 근거해 제1 필라멘트 변압기(141)의 1차 권선에 △t1동안 VP1전압이 가해지고 이에 의해 소초점 필라멘트에는 열전자를 방출할 수 있는 정도의 필라멘트 전류가 가해져 X선관(160)에 관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대초점에는 제3 레그(133)의 신호가 인가된다. 도 5에 도시된 제3 인버터(QF3) 신호 및 제6 인버터(QF6) 신호에 근거해 제2 필라멘트 변압기(142)의 1차 권선에 △t2동안 VP2전압이 가해지고 이에 의해 대초점 필라멘트에 필라멘트 전류가 가해진다. 이 때 대초점 필라멘트에는 △t1보다 짧은 △t2 동안만 전압이 인가되므로 열전자가 방출되지 않을 정도의 필라멘트 전류만이 흐르게 된다. 즉, 소초점 필라멘트를 이용해 투시촬영을 하고 있는 동안 대초점 필라멘트에는 예열 전류가 흘러 원하는 시점에 바로 스팟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에 의하면, 하나의 필라멘트 구동 회로를 사용하여 소초점과 대초점의 전류를 동시에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투시촬영 중 즉시 스팟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추가 부하를 이용하는 회로나 2개의 필라멘트를 구동하는 회로 등에 비해 간단한 구조의 회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X선 투시촬영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30 : 3레그 인버터 131 : 제1 레그
132 : 제2 레그 133 : 제3 레그
140 : 필라멘트 변압기 141 : 제1 필라멘트 변압기
142 : 제2 필라멘트 변압기 150 : 위상천이 PWM 모듈
160 : X선관 170 : 초점 절체회로

Claims (13)

  1. 직류전원;
    상기 직류전원과 병렬 연결되는 3개의 레그를 갖는 3레그 인버터; 및
    상기 레그들을 통해 인가된 전압을 변압하여 대초점 필라멘트 및 소초점 필라멘트에 각각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필라멘트 변압기를 포함하며,
    상기 3레그 인버터는 상기 대초점 필라멘트 및 소초점 필라멘트에 공통으로 인가되는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레그와, 상기 대초점 필라멘트에 대초점 전압(Vlarge)을 인가하는 제2 레그와, 상기 소초점 필라멘트에 소초점 전압(Vsmall)을 인가하는 제3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인버터와 제4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그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인버터와 제5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레그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인버터와 제6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변압기는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의 전압을 변압하는 제1 필라멘트 변압기, 상기 제1 레그와 제3 레그 사이의 전압을 변압하는 제2 필라멘트 변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필라멘트 변압기의 1차측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3레그 인버터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위상천이 PWM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위상천이 PWM 모듈은 상기 제2 레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초점 전류 PI제어기와, 상기 제3 레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대초점 전류 PI제어기와, 상기 PI제어기들의 신호에 근거해 게이트 신호를 생성시키는 위상천이 PW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초점 전류 PI제어기는 소초점 전류 기준값과 제1 필라멘트 변압기 1차측 전류를 RMS 값으로 변환한 전류 피드백을 비교하여 지연시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초점 전류 PI제어기는 상기 제1 필라멘트 변압기와 제2 레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라멘트 변압기의 마이너스 단자는 제2 인버터와 제5 인버터 사이의 제1 노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대초점 전류 PI 제어기는 대초점 전류 기준값과 제2 필라멘트 변압기의 1차측 전류를 RMS 값으로 변환한 전류 피드백을 비교하여 지연시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대초점 전류 PI제어기는 상기 제2 필라멘트 변압기와 제3 레그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라멘트 변압기의 마이너스 단자는 제3 인버터와 제6 인버터 사이의 제2 노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레그 인버터와 상기 필라멘트 변압기 사이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근거하여 스위칭 되는 릴레이 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KR1020150097837A 2015-07-09 2015-07-09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KR101697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37A KR101697665B1 (ko) 2015-07-09 2015-07-09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37A KR101697665B1 (ko) 2015-07-09 2015-07-09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735A KR20170006735A (ko) 2017-01-18
KR101697665B1 true KR101697665B1 (ko) 2017-01-19

Family

ID=5799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837A KR101697665B1 (ko) 2015-07-09 2015-07-09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6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9298A (ja) 2003-04-17 2004-11-11 Origin Electric Co Ltd X線管のフィラメント加熱装置
JP2006120544A (ja) 2004-10-25 2006-05-11 Hitachi Medical Corp X線管のフィラメント加熱装置
JP2014229373A (ja) 2013-05-20 2014-12-08 株式会社東芝 X線高電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205B1 (ko) * 1998-07-25 2001-01-15 황기연 비발광성 디스플레이용 광시야각 장치
JP2001137223A (ja) 1999-11-08 2001-05-22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X線透視撮影装置、x線撮影方法およびx線透視撮影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9298A (ja) 2003-04-17 2004-11-11 Origin Electric Co Ltd X線管のフィラメント加熱装置
JP2006120544A (ja) 2004-10-25 2006-05-11 Hitachi Medical Corp X線管のフィラメント加熱装置
JP2014229373A (ja) 2013-05-20 2014-12-08 株式会社東芝 X線高電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735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8275B1 (en) High-voltage x-ray generator
US6031737A (en) AC-DC power supply
JP2005515681A (ja) 電力変調器
KR100763492B1 (ko) 방전용 전원 장치
KR101697665B1 (ko) X선 투시촬영장치용 필라멘트 구동 회로
JPH11155287A (ja) 最適制御による電気調整の装置および方法
EP2605393A2 (en) High-voltage X-ray generator
Song et al. Comparative study of pulse trigger and DC trigger circuit for xenon flash lamp drivers
JP2018022550A (ja) 高電圧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x線高電圧装置
JP2004296242A (ja) X線高電圧装置
US1907508A (en) Thermionic apparatus
CN113659841B (zh) 一种脉冲控制电路、高压发生器及射线成像设备
JP2007324068A5 (ko)
JP2007141676A (ja) マグネトロン駆動電源回路
JP3447017B2 (ja) X線管フィラメント加熱回路
JPH11204289A (ja) パルスx線装置
JPH10106793A (ja) パルスx線装置
US20230268752A1 (en) An electrical pulse generating device
JP4987498B2 (ja) バイアス電圧制御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x線発生装置
JP6575291B2 (ja) 閃光放電ランプ点灯装置及び照射装置
Cho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xenon flash lamp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onic printing application
US9748067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an electron beam
Seo et al. Hybrid type X-ray generator for fluoroscopy X-ray system available in low-capacity AC power source
US1343599A (en) X-ray system
KR20210060266A (ko) 인버터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