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604B1 -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 - Google Patents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604B1
KR101697604B1 KR1020150162485A KR20150162485A KR101697604B1 KR 101697604 B1 KR101697604 B1 KR 101697604B1 KR 1020150162485 A KR1020150162485 A KR 1020150162485A KR 20150162485 A KR20150162485 A KR 20150162485A KR 101697604 B1 KR101697604 B1 KR 101697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roll
base material
center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종원
박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원
Priority to KR1020150162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01L21/0228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printing, e.g. ink-jet printing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3Batch processes
    • H01L2224/95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 H01L2224/951Supplying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224/95115Supplying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using a roll-to-roll transfer techni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코팅모재의 표면이 롤러와 접촉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상에 감긴 코팅모재를 회전으로 풀어내는 얼레롤과; 얼레롤에서 풀려나오는 코팅모재를 회전으로 감는 권취롤과; 상기 얼레롤과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어 얼레롤에서 풀려나오는 코팅모재가 권취롤에 감기기 전에 통과되는 코팅챔버와; 상기 얼레롤로부터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코팅모재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코팅모재를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롤을 포함하되, 상기 안내롤 중 코팅챔버로부터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롤의 단면 중심은 코팅챔버로부터 권취롤에 걸쳐 형성되는 곡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을 기준으로 나뉘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됨으로써, 코팅된 제품 표면에 롤러가 접촉되지 않으므로 롤러 표면에 이물질이 묻음으로써 발생되는 주기적인 찍힘, 눌림, 얼룩 등으로 초래되는 제품 불량의 문제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Coater of flexible substrate of having non-contact surface and coating method of flexible substrate of having non-contact surface}
본 발명은 롤투롤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팅모재의 표면이 롤러와 접촉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 증착 코팅 설비는 모두 코팅 직후 코팅모재에서 코팅된 면에 가이드 롤러가 접촉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 경우 가이드롤러 표면의 청결이 유지되도록 엄격한 실시간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이물질이 언제든지 가이드 롤러 표면에 묻게 될 가능성이 상존한다.
가이드롤러 표면에 이물질이 묻게 되면 즉각 발견하게 되더라도 코팅 공정은 계속 진행 중이므로 이물질을 발견하여 제거하기까지 진행된 제품은 모두 불량품이 되므로 상당한 손실이 발생된다.
더욱이 이물질이 가이드롤러 표면에 묻는 순간 이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코팅 라인을 정지시킬 경우 코팅 설비에서 특별한 가열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라인 정지로 인하여 제품이 표준 온도 이상으로 가열됨으로써 라인이 정지된 구간의 제품 또한 모두 불량 처리되므로 라인을 정지시켜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상당한 손실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의 롤러 표면에의 유입으로 인한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시킬 기술이 요청된다.
종래의 롤 코팅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2201호(공개일자: 2015.04.20)의 '롤 코팅 방법 및 장치'에 나타난 것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코팅이 수행되는 코팅모재가 유연하므로 코팅 모재의 고른 펼쳐짐을 위하여 코팅 모재의 양 면에 롤러가 접촉되어 코팅모재가 펼쳐진 상태를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취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이물질의 롤러 표면에의 침투로 인한 불량 발생의 문제가 언제든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상존한다. 따라서 종래의 롤러 배치와는 다른 구조의 코팅 장치가 요청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2201호(공개일자: 2015.04.20)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코팅장치에서 롤러의 배치를 개선함으로써 롤러 표면에 이물질이 묻음으로써 제품 표면에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눌림, 찍힘으로 인한 제품 불량 발생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는 외주면상에 감긴 코팅모재를 회전으로 풀어내는 얼레롤과, 얼레롤에서 풀려나오는 코팅모재를 회전으로 감는 권취롤과, 상기 얼레롤과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어 얼레롤에서 풀려나오는 코팅모재가 권취롤레 감기기 전에 통과되는 코팅챔버와, 상기 얼레롤로부터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코팅모재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코팅모재를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롤을 포함하되, 상기 안내롤 중 코팅챔버로부터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롤의 단면 중심은 코팅챔버로부터 권취롤에 걸쳐 형성되는 곡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을 기준으로 나뉘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곡선을 따라 코팅모재가 통과되는 시간은 코팅모재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의 건조시간보다 길게 조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모재가 코팅챔버로 진입되기 전에 코팅모재 표면에 점착층 또는 전처리층이 도포되는 경우 상기 얼레롤로부터 코팅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롤의 단면 중심은 얼레롤로부터 코팅챔버에 걸쳐 형성되는 제2곡선 상에 배치되고, 제2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된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과 제2곡선의 공률 중심은 상기 곡선과 제2곡선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곡선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된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안내롤에 구비되어 코팅모재의 양 측단을 감지하는 코팅모재의 센터감지센서와, 안내롤의 양 측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센터감지센서의 정보를 입력받아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코팅모재 센터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를 이용한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으로서, 상기 안내롤 중 코팅챔버로부터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롤의 단면 중심을 코팅챔버로부터 권취롤에 걸쳐 형성되는 곡선상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코팅모재의 양 면 중 한 면에만 코팅모재를 접촉시키면서 코팅모재를 권취롤 까지 연결하여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되게 안내롤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방법에 의하면 코팅된 제품 표면에 롤러가 접촉되지 않으므로 롤러 표면에 이물질이 묻음으로써 발생되는 주기적인 찍힘, 눌림, 얼룩 등으로 초래되는 제품 불량의 문제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 코팅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구성간의 유기적 결합에 따른 작용관계를 설명한 다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이하에서는 '제1실시예'라 하기로 한다.)에 의한 코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레롤(110)과, 권취롤(120)과, 얼레롤(110) 및 권취롤(120) 사이의 코팅챔버(140)와, 얼레롤(110)로부터 권취롤(12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안내롤(130a,130b)로 이루어진다.
얼레롤(110)은 코팅이 수행될 코팅모재(M)가 감겨진 롤로서 얼레롤(110)이 도 2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되면 얼레롤(110)에 감겨진 코팅모재(M)가 풀려나오게 된다.
권취롤(120)은 얼레롤(110)로부터 풀려나오는 코팅모재(M)에 코팅이 수행된 후 코팅이 수행된 코팅모재(M)가 다시 감기게 되는 롤이다. 여기서 얼레롤(110) 및 권취롤(120)의 외주면에는 코팅모재(M)가 감기는 중공의 코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얼레롤(110) 및 권취롤(120)은 상기 코어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으며, 코팅모재(M)는 코팅 공정에 투입될 때에는 코어에 감긴 상태로 얼레롤(110)에 거치되며, 이 경우 권취롤(120)에는 코팅모재(M)가 감기지 않은 코어가 거치된다. 따라서 코팅 공정이 완료되고 나면 얼레롤(110)에 거치된 코어 외주면에 감긴 코팅모재(M)는 모두 권취롤(120)로 이동되어 권취롤(120)에 거치된 코어의 외주면에 감긴 상태로 된다.
코팅챔버(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레롤(110)과 권취롤(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얼레롤(110)로부터 풀려나오는 코팅모재(M)가 권취롤(120)로 이동되기 전에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코팅챔버(140) 내부에는 코팅 기기(142)가 내장된다. 이 경우 코팅의 종류나 방식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코팅은 PET, PI, PC 등의 폴리머 계열에단층 또는 다층의 메탈 층 및 다층 산화물을 증착하는 코팅일 수도 있고, 구리나 알미늄 또는 스틸 등의 메탈 계열의 포일에 보호막 및 메탈층을 형성시키는 코팅일 수도 있고, 기타 접촉력에 의하여 코팅층이 묻어나올 수 있는 세슘이나 황화합물 등의 비 메탈층 증착 코팅일 수도 있고 기타 안내롤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나 안내롤에 묻는 이물질로 영향을 받아 코팅면이 손상되어 증착 코팅막의 안정성에 손상이 갈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코팅 공정에 해당될 수 있다.
코팅 챔버(140)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 기기(142)들이 내장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는 코팅 배면 지지롤(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코팅 배면 지지롤(170)은 코팅 챔버(140) 내부에서 코팅모재(M)에 코팅이 수행되는 표면을 코팅 기기(142)를 향하여 확장시키는 작용을 하며 또한 코팅 모재(M)가 진행되는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전체 코팅 공정이 점유하는 공간이 코팅 챔버(140)를 기준으로 코팅 챔버(140)의 양 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코팅 배면 지지롤(170)이 구비됨으로써 코팅모재(M)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으면서도 코팅 공정이 점유하는 공간은 작아질 수 있게 되어 공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안내롤(130a,130b)은 얼레롤(110)과 권취롤(120)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안내롤(110)은 코팅모재(M)의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코팅모재(M)가 권취롤(120) 까지 도달되어 권취될 수 있도록 코팅모재(M)를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코팅챔버(140) 내에서 코팅이 수행된 후 안내롤(130a,130b)은 코팅이 수행된 면에는 접촉되지 않으면서 코팅모재(M)의 장력 유지 및 안내 작용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이 경우 안내롤(130a,130b)의 배치가 중요하다.
안내롤(130a,130b)은 코팅챔버(140) 내부로부터 권취롤(120)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곡선상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곡선은 전체가 하나의 곡률을 가지는 식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여러 가지 곡률을 가지는 다수의 곡선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중요한 점은 이때 상기 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위치한다는 점이다. 이로써 코팅모재(M)에서 코팅이 이루어진 면에 안내롤(130a,130b)이 접촉되지 않고서도 코팅모재(M)의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권취롤(120) 까지 코팅모재(M)가 이동되어 권취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코팅면이 일정시간 건조되어야 하는 코팅 작업의 경우에는 상기 곡선을 따라 코팅모재(M)가 통과되는 시간은 필요한 코팅면 건조시간 보다 길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이때 코팅모재(M)의 상기 곡선 통과 시간은 곡선구간의 총 길이와 코팅모재(M)의 진행속도 두 가지 변수를 조절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이하 제2실시예라 한다.)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차이점은 제1실시예에서의 코팅 배면 지지롤(170)이 제2실시예에서는 필요 없는 반면, 코팅 배면 지지롤(170)이 없어짐으로 인하여 얼레롤(210)로부터 코팅챔버(240)에 이르는 구간도 안내롤(230a,230b) 단면 중심을 지나는 곡선(이하 '제2곡선'이라 한다.)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이 제2곡선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 경우 코팅챔버(240)로부터 권취롤(220)에 이르는 구간에 설치되는 안내롤(230a,230b)의 단면 중심을 연결하는 곡선(이하에서는 '제1곡선'이라 하기로 한다.)과, 상기 제2곡선이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곡선(이하에서는 '제3곡선'이라 하기로 한다.) 의 전 구간에 걸쳐서 제3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제3곡선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는 얼레롤(210) 및 권취롤(220)에 대한 코팅챔버(240)의 상대위치는 도 3에서와 같이 하부일 수도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일 수도 있다. 도 3의 배치와 도 4의 배치는 본 발명에 의한 코팅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또는 건물의 구조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안내롤(230a,230b)에 구비되어 코팅모재의 양 측단을 감지하는 코팅모재의 센터감지센서(미도시)와, 안내롤(230a,230b)의 양 측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미도시) 및 상기 센터감지센서의 정보를 입력받아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지는 코팅모재 센터링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롤(230a,230b,330a,330b) 또는 회전구동수단이 연결되는 구동롤(미도시)이 코팅모재의 양 면을 모두 압착하여 파지하지 않더라도 코팅모재가 안내롤(230a,230b,330a,330b) 또는 권취롤(220,320)의 어느 한 쪽으로 쏠리지 않고 중심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코팅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 방법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된 코팅 장치의 내용과 대부분 중복되므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은 앞서 설명된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를 이용한 코팅 방법으로서, 안내롤(130a,130b,230a,230b,330a,330b) 중 코팅챔버(140,240,340)로부터 권취롤(120,220,320)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롤(130b,230b,330b)의 단면 중심을 코팅챔버(140,240,340)로부터 권취롤(120,220,320)에 걸쳐 형성되는 곡선상에 배치하는 단계와(S1), 상기 코팅챔버(140,240,340)로부터 배출되는 코팅모재(M)의 양 면 중 한 면에만 코팅모재(M)를 접촉시키면서 코팅모재(M)를 권취롤(120,220,320) 까지 연결하여 세팅하는 단계(S2)를 포함하되, 상기 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되게 안내롤(130b,230b,330b)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M: 코팅모재 110,210,310: 얼레롤
120,220,320: 권취롤 130a,130b,230a,230b,330a,330b: 안내롤
140,240,340: 코팅챔버 142,242,342: 코팅 기기
170: 코팅 배면 지지롤

Claims (6)

  1. 외주면상에 감긴 코팅모재를 회전으로 풀어내는 얼레롤과;
    얼레롤에서 풀려나오는 코팅모재를 회전으로 감는 권취롤과;
    상기 얼레롤과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어 얼레롤에서 풀려나오는 코팅모재가 권취롤레 감기기 전에 통과되는 코팅챔버와;
    상기 얼레롤로부터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코팅모재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코팅모재를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롤을 포함하되,
    상기 안내롤 중 코팅챔버로부터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롤의 단면 중심은 코팅챔버로부터 권취롤에 걸쳐 형성되는 곡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을 기준으로 나뉘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되며,
    상기 곡선을 따라 코팅모재가 통과되는 시간은 코팅모재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의 건조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모재가 코팅챔버로 진입되기 전에 코팅모재 표면에 점착층 또는 전처리층이 도포되는 경우 상기 얼레롤로부터 코팅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롤의 단면 중심은 얼레롤로부터 코팅챔버에 걸쳐 형성되는 제2곡선 상에 배치되고, 제2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과 제2곡선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과 제2곡선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곡선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에 구비되어 코팅모재의 양 측단을 감지하는 코팅모재의 센터감지센서와, 안내롤의 양 측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센터감지센서의 정보를 입력받아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코팅모재 센터링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으로 이루어지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를 이용한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으로서,
    상기 안내롤 중 코팅챔버로부터 권취롤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롤의 단면 중심을 코팅챔버로부터 권취롤에 걸쳐 형성되는 곡선상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코팅모재의 양 면 중 한 면에만 코팅모재를 접촉시키면서 코팅모재를 권취롤 까지 연결하여 세팅하는 단계; 및
    코팅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되게 안내롤을 설치하고,
    상기 코팅을 진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곡선을 따라 코팅모재가 통과되는 시간은 코팅모재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의 건조시간보다 길게 조정하며,
    상기 코팅모재가 코팅챔버로 진입되기 전에 코팅모재 표면에 점착층 또는 전처리층을 도포하는 경우 상기 얼레롤로부터 코팅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롤의 단면 중심은 얼레롤로부터 코팅챔버에 걸쳐 형성되는 제2곡선 상에 배치시키고, 제2곡선의 각 구간의 곡률 중심은 상기 곡선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만 배치되게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
KR1020150162485A 2015-11-19 2015-11-19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 KR10169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485A KR101697604B1 (ko) 2015-11-19 2015-11-19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485A KR101697604B1 (ko) 2015-11-19 2015-11-19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604B1 true KR101697604B1 (ko) 2017-02-02

Family

ID=5815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485A KR101697604B1 (ko) 2015-11-19 2015-11-19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6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52B2 (ja) * 1988-04-27 1996-03-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ープガイド装置
KR20120136029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석원 양면 스퍼터링 진공 증착 장치 및 방법
KR20150042201A (ko) 2012-08-09 2015-04-20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롤 코팅 방법 및 장치
KR20150043675A (ko) * 2013-10-15 2015-04-23 한국기계연구원 다공성 비접촉 제어 롤러를 가지는 웹가이드 장치
KR20150047685A (ko) * 2013-10-24 2015-05-06 주식회사 석원 무장력 상태에서의 진공 코팅 필름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52B2 (ja) * 1988-04-27 1996-03-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ープガイド装置
KR20120136029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석원 양면 스퍼터링 진공 증착 장치 및 방법
KR20150042201A (ko) 2012-08-09 2015-04-20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롤 코팅 방법 및 장치
KR20150043675A (ko) * 2013-10-15 2015-04-23 한국기계연구원 다공성 비접촉 제어 롤러를 가지는 웹가이드 장치
KR20150047685A (ko) * 2013-10-24 2015-05-06 주식회사 석원 무장력 상태에서의 진공 코팅 필름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3826B2 (en) Glass substrate comprising an edge web portion
TWI548463B (zh) Coating device
US20130224435A1 (en) Functional film
US20150231663A1 (en) Apparatus for directly applying liquid to a substrate
KR970061744A (ko) 종이 웨브 권취 방법
JP2014226634A (ja) 両面塗工システム
KR101697604B1 (ko)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장치 및 코팅면 비접촉 유연기판 증착 코팅 방법
KR102201006B1 (ko) 널링장치, 널링방법, 필름롤 제조방법
FI119981B (fi) Menetelmä ja laite kuiturainen paikkaamiseksi
KR101809117B1 (ko) 점착용 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ITVR20130193A1 (it) Dispositivo di applicazione attorno a gruppi di due o piu&#39; contenitori di un nastro dotato su una superficie di colla senza soluzione di continuita&#39;.
CN113351456A (zh) 双抗光电保护膜制备方法及双抗光电保护膜
JP2009241019A (ja) 塗布方法
ITPN950028A1 (it) Procedimento ed apparato di impregnazione con colla di una pluralita&#39; di nastri continui
TWI831315B (zh) 多層電路板製造設備
JP6753099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0191377Y1 (ko) 필름코팅장치가 구비된 테이프 열전사장치
KR20160042354A (ko) 롤투롤 필름코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코팅방법
JP5757901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20130109051A (ko) 권취장치
KR101389661B1 (ko) 릴투릴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의 양면에 포토솔더레지스트를 인쇄하는 방법
US3719315A (en) Tape aligning device
KR20110069549A (ko) 스트립 이송 장치
JP2008185982A (ja) ラビング方法及び装置、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4199390B2 (ja) 巻取りリールの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