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284B1 -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284B1
KR101697284B1 KR1020150057315A KR20150057315A KR101697284B1 KR 101697284 B1 KR101697284 B1 KR 101697284B1 KR 1020150057315 A KR1020150057315 A KR 1020150057315A KR 20150057315 A KR20150057315 A KR 20150057315A KR 101697284 B1 KR101697284 B1 KR 10169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information
financial transaction
automation
autom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352A (ko
Inventor
이해동
고규범
성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to KR102015005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2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11Software architecture within ATMs or in relation to the ATM net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자동화기기와 연동하여 금융 거래를 진행하며, 상기 금융 거래에 따른 거래내역을 거래로그 정보로 기록하는 금융 거래 관리부, 그리고 상기 자동화기기의 현금 방출/수납 내역을 포함하는 기기동작정보를 상기 자동화기기로부터 수집하며, 상기 거래로그 정보와 상기 기기동작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자동화기기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검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 자동화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는 입금, 지급, 통장 정리 등 은행 출납계(teller)의 역할을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단말 장치이다. 자동화기기는, 영업 시간 이외에 금융 서비스 제공, 은행 업무의 처리 시간의 단축, 은행 창구 업무의 생력화(laborsaving, 省力化) 등을 목적으로, 은행이나 우체국 등의 점포 안이나 무인 창구 등에 설치된다.
한편, 현금 거래를 수반하는 자동화기기의 특성 상, 내/외부로부터 각종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는 해킹으로 인한 각종 위험이 존재하며, 내부에서는 관리자에 의한 악의적인 조작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기기를 통한 거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자동화기기의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각종 사고에 노출 시 실시간으로 이를 확인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자동화기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내/외부로부터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리스크에 노출 시 담당자가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자동화기기와 연동하여 금융 거래를 진행하며, 상기 금융 거래에 따른 거래내역을 거래로그 정보로 기록하는 금융 거래 관리부, 그리고 상기 자동화기기의 현금 방출/수납 내역을 포함하는 기기동작정보를 상기 자동화기기로부터 수집하며, 상기 거래로그 정보와 상기 기기동작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자동화기기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검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방법은, 자동화기기와 연동하여 금융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금융 거래에 따른 거래내역을 거래로그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자동화기기의 현금 방출/수납 내역을 포함하는 기기동작정보를 상기 자동화기기로부터 수집하는 단계, 상기 거래로그 정보와 상기 기기동작정보를 상호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거래로그 정보와 상기 기기동작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자동화기기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금융 거래를 처리하는 코어 시스템에서 기록한 금융거래 내역을 자동화기기의 실제 동작 정보와 상호 비교하는 검증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자동화기기의 기기 이상, 통신 장애 또는 해킹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문 전달, 악의적인 기기조작에 따른 비정상적인 출금 등 코어 시스템의 기록만으로 검출이 어려운 비정상적인 동작을 실시간으로 검출해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자동화기기(10)는 코어 시스템(30)과 연동하여 입금, 지급, 통장 정리 등 금융 거래를 수행한다. 또한, 자동화기기(10)는 금융 거래에 의해 자동화기기(10)를 통해 실제 방출되거나 수납된 현금에 대한 정보를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으로 전달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자동화기기(10)는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 로그파일 데이터베이스(120), 사용자 입력부(130), 통신부(140), 자동화기기 제어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는 실제 현금을 수납하고 방출하는 기계장치이다. 즉,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는 자동화기기(10)에서 수행되는 현금 거래(입금 또는 출금)에 의해 현금을 수납하거나 방출하는 기계장치이다.
로그파일 데이터베이스(120)는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의 기계적인 동작에 따른 현금 수납/방출 내역을 로그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즉, 로그파일 데이터베이스(120)는 수납/방출 시각, 수납/방출 계좌, 수납/방출 금액, 권종 등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를 통해 현금이 수납되거나 검출된 내역을 로그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여기서, 수납/방출 금액은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를 통해 실제 방출되거나 수납되는 현금을 카운트하여 획득한 정보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로그파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의 기계적인 현금 수납/방출 내역을 '기기동작정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자동화기기(10)에서 수행되는 금융 거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거래 종류, 계좌번호, 사용자 인증정보(계좌 비밀번호 등), 거래 금액, 권종 등 자동화기기(10)를 통해 수행되는 금융 거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과 연결하여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40)는 금융 거래의 보안 유지를 위해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과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코어 시스템(30)과 연결하여 코어 시스템(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40)는 코어 시스템(30)과 전용회선(private circuit)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자동화기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금, 출금, 이체, 통장 정리 등 각종 금융 거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이를 토대로 코어 시스템(30)과 연동하여 금융 거래를 진행한다.
자동화기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금융 거래(입금, 출금, 이체, 통장 정리 등)와 관련된 각종 정보(거래 종류, 계좌번호, 사용자 인증정보(계좌 비밀번호 등), 거래 금액 등)를 코어 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전달된 정보에 대응하는 전문(거래 데이터)을 코어 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한다. 자동화기기 제어부(150)는 코어 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되는 전문을 해석하여, 금융 거래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코어 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된 전문이 입금, 출금 등 현금 거래를 지시하는 경우, 이를 토대로 현금을 수납하거나 방출하도록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자동화기기 제어부(150)는 금융 거래가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코어 시스템(30)으로 거래 완료를 통지한다.
자동화기기 제어부(150)는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를 통해 현금 수납/방출이 완료되면, 이에 대한 기기동작정보를 로그파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또한, 자동화기기 제어부(150)는 통신부(140)를 통해 기기동작정보를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으로 전달한다.
다시, 도 1을 보면,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은 자동화기기(10)로부터 기기동작정보를 수집하며, 이를 코어 시스템(30)으로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은, 기기동작정보 데이터베이스(210), 통신부(220), 자동화기기 관리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기동작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자동화기기(10)로부터 수신한 기기동작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220)는 자동화기기(10)과 연결하여 자동화기기(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20)는 코어 시스템(30)과 연결하여 코어 시스템(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자동화기기 관리부(230)는 통신부(220)를 통해 자동화기기(10)로부터 기기동작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기기동작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자동화기기 관리부(230)는 자동화기기(10)로부터 수집한 기기동작정보를 통신부(220)를 통해 코어 시스템(30)으로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자동화기기 관리부(230)는 자동화기기(10)로부터 수집한 기기동작정보를 15분 주기로 코어 시스템(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보면, 코어 시스템(30)은 자동화기기(10)와 통신하여 금융 거래를 진행하며, 이에 따른 금융 거래내역을 계좌원장 정보에 기록하며, 거래시각에 따른 거래내역을 순차적으로 기록하여 거래로그 정보를 생성한다.
코어 시스템(30)은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과 연동하여 자동화기기(10)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코어 시스템(30)은 자동화기기(10)의 모니터링을 위해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으로부터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자동화기기(10)의 실제 기기동작정보와 코어 시스템(30)에서 기록한 거래로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자동화기기(10)의 비정상 동작을 검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코어 시스템(30)은 계좌원장 데이터베이스(310), 거래로그 데이터베이스(320), 통신부(330), 금융 거래 관리부(340), 모니터링부(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좌원장 데이터베이스(310)는 입금, 출금, 이체 등 각 계좌에 대한 금융 거래내역과 거래결과 등을 기록한 계좌원장 정보를 저장한다.
거래로그 데이터베이스(320)는 각 계좌에 대한 거래내역(금액 등)을 거래시각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기록한 로그파일 형태의 거래로그 정보를 저장한다. 거래로그 정보는, 입금/출금액, 입금/출금 시각, 입금/출금 계좌, 입금/출금이 진행된 자동화기기 식별정보, 권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로그 데이터베이스(320)는 계좌 또는 자동화기기 식별정보 별로 거래로그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자동화기기(10)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330)는 전용회선을 통해 자동화기기(10)와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금융 거래 관리부(340)는 자동화기기(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와 계좌원장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계좌원장 정보를 토대로 금융 거래를 진행한다.
금융 거래 관리부(340)는 통신부(330)를 통해 자동화기기(10)로부터 금융 거래와 관련된 정보(거래 종류, 계좌번호, 사용자 인증정보(계좌 비밀번호 등), 거래 금액 등)를 수신한다. 그리고, 자동화기기(10)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대응하는 계좌원장 정보를 토대로 금융 거래에 대한 전문을 생성한다. 생성된 전문은 통신부(330)를 통해 자동화기기(10)로 전달되며, 자동화기기(10)는 이를 해석하여 금융 거래를 진행한다.
금융 거래 관리부(340)는 자동화기기(10)에 의해 금융 거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완료된 거래내역을 계좌원장 정보에 기록함으로써 계좌원장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완료된 거래내역을 토대로 거래로그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거래로그 정보를 갱신한다.
모니터링부(350)는 통신부(330)를 통해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으로부터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며, 이를 코어 시스템(30)에서 기록한 거래로그 정보와 비교한다. 모니터링부(350)는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와 코어 시스템(30)에서 기록한 거래로그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자동화기기(10)의 비정상 동작을 검출한다.
자동화기기(10)는 기기 이상, 통신 장애, 해킹, 악의적인 기기조작 등으로 인해 다양한 비정상 동작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이상으로 자동화기기(10)를 통해 수납한 금액이 다중 입금 처리되어, 코어 시스템(30)에서 기록한 거래로그 정보에서는 여러 번의 입금이 발생한 것으로 처리되어 입금액이 실제 수납액보다 많게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기 이상으로 자동화기기(10)에서는 입금 취소되어 방출되었으나, 코어 시스템(30)에서는 입금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되어 비정상적인 입금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기 이상으로 코어 시스템(30)에서는 출금 거래가 미처리되었으나, 자동화기기(10)에서는 현금이 방출되어 비정상적인 현금 방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기 이상으로 코어 시스템(30)에 기록된 출금액에 비해 많은 금액이 자동화기기(10)를 통해 방출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기 이상으로 조회 거래 진행 중 자동화기기(10)를 통해 비정상적인 현금 방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자동화기기(10)와 코어 시스템(30) 간에 통신 장애로 인해 자동화기기(10)가 비정상 동작하여, 자동화기기(10)에서 비정상적인 현금 방출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해킹 등으로 자동화기기(10)로 비정상적인 전문이 전달되어, 자동화기기(10)에서 비정상적인 현금 방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악의적인 조작에 의해 금융 거래와 무관하게 자동화기기(10)에서 현금 방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관리자에 의해 악의적인 자동화기기(10) 출금 조작이 발생하는 경우, 코어 시스템(30)에 기록된 거래로그 정보에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에는 없는 비정상적인 거래내역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화기기(10)가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자동화기기(10)에서 발생한 현금 수납/방출 내역에 대응하는 거래내역이 코어 시스템(30)에 기록된 거래로그 정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코어 시스템(30)에서 처리된 거래내역에 대응하는 현금 수납/방출 내역이 자동화기기(10)에서 기록한 기기동작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동화기기(10)에 의해 실제 수납되거나 방출된 금액이 코어 시스템(30)에서 거래로그 정보에 기록한 거래금액과 다를 수 있다.
모니터링부(350)는 전술한 자동화기기(10)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자동화기기(10)에 의해 기록된 기기동작정보와 코어 시스템(30)에 의해 기록된 거래로그 정보를 상호 비교한다. 거래로그 정보가 자동화기기 식별정보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경우, 모니터링부(350)는 자동화기기(10)에 대응하는 거래로그 정보를 거래로그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읽어와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반면에, 거래로그 정보가 계좌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경우, 모니터링부(350)는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에 기록된 현금 수납/방출 계좌 및 현금 방출/수납 시각을 토대로 대응하는 거래로그 정보를 거래로그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읽어와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350)는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와 거래로그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자동화기기(10)의 비정상 동작 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350)는 동일한 금융 거래에 대해 자동화기기(10)에 의해 기록된 수납/방출 금액과 코어 시스템(30)에 의해 기록된 입금액/출금액이 서로 다른 경우, 자동화기기(10)가 비정상 동작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350)는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에 기록된 현금 방출 내역에 대응하는 거래내역이 코어 시스템(30)에 의해 기록된 거래로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자동화기기(10)에서 비정상적인 현금 방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350)는 코어 시스템(30)에서 기록한 거래로그 정보에 기록된 출금 내역에 대응하는 현금 방출 내역이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코어 시스템(30)에서 비정상적인 출금 거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모니터링부(350)는 모니터링 결과 자동화기기(10) 또는 코어 시스템(30)에 의해 비정상 거래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가 비정상 동작을 최대한 빨리 감지하도록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미도시)로 비정상 동작 검출을 실시간으로 통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자동화기기(1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금융 거래가 시작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토대로 코어 시스템(30)과 연동하여 금융 거래를 진행한다(S101).
상기 S101 단계에서, 자동화기기(10)는 사용자로부터 금융 거래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따른 금융 거래 정보를 코어 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 코어 시스템(30)은 자동화기기(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계좌원장 정보를 토대로 금융 거래 전문을 생성하고, 이를 자동화기기(10)로 전송한다. 금융 거래 전문을 수신한 자동화기기(10)는 이를 해석하여 현금을 수납하거나 방출하여 금융 거래를 완료한다.
자동화기기(10)는 금융 거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금융 거래에 의해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에서 현금을 수납하거나 방출한 내역을 기기동작 정보로 기록한다(S102). 코어 시스템(30) 또한 금융 거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거래내역을 토대로 계좌원장 정보를 갱신하고, 거래내역을 거래로그 정보로 기록한다(S103).
상기 S102 단계에서, 기기동작 정보는 현금 수납/방출 시각, 현금 수납/방출 계좌, 현금 수납/방출 금액, 권종 등 현금 수납/방출 기기(110)를 통해 현금이 수납되거나 검출된 내역을 로그파일 형태로 기록한 것이다.
상기 S103 단계에서, 거래로그 정보는 입금/출금액, 입금/출금 시각, 입금/출금 계좌, 입금/출금이 진행된 자동화기기 식별정보, 권종 등 코어 시스템(30)에 의해 진행된 금융 거래내역을 로그파일 형태로 기록한 것이다.
자동화기기(10)는 기기동작 정보를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으로 전송하며(S104),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은 이를 수집하여 코어 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S105).
코어 시스템(30)은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20)으로부터 전달받은 기기동작 정보를 코어 시스템(30)에 의해 기록된 거래로그 정보와 비교한다(S106). 또한, 기기동작 정보와 거래로그 정보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자동화기기(10)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판별한다(S107).
상기 S107 단계에서, 모니터링부(350)는 동일한 금융 거래에 대해 자동화기기(10)에 의해 기록된 수납/방출 금액과 코어 시스템(30)에 의해 기록된 입금액/출금액이 서로 다른 경우, 자동화기기(10)가 비정상 동작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모니터링부(350)는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에 기록된 현금 방출 내역에 대응하는 거래내역이 코어 시스템(30)에 의해 기록된 거래로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자동화기기(10)에서 비정상적인 현금 방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모니터링부(350)는 코어 시스템(30)에서 기록한 거래로그 정보에 기록된 출금 내역에 대응하는 현금 방출 내역이 자동화기기(10)의 기기동작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코어 시스템(30)에서 비정상적인 출금 거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코어 시스템(30)은 자동화기기(10)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한 것으로 판단되면, 문자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미도시) 또는 관리자 단말(미도시)로 자동화기기(10)의 비정상 동작을 통지한다(S108).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시스템(30)에서 기록한 금융거래 내역을 자동화기기(10)의 실제 동작 정보와 상호 비교하는 검증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자동화기기(10)의 기기 이상, 통신 장애 또는 해킹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문 전달, 악의적인 기기조작에 따른 비정상적인 출금 등 코어 시스템(30)의 기록만으로 검출이 어려운 비정상적인 동작을 실시간으로 검출해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기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_ROM, DVD_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자동화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자동화기기로부터 수신되는 금융 거래 정보와 상기 금융 거래 정보에 대응하는 계좌원장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금융 거래 전문을 상기 자동화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자동화기기에 의해 상기 금융 거래 전문에 의한 금융 거래가 완료되면, 완료된 상기 금융 거래에 따른 거래내역을 토대로 상기 계좌원장 정보의 갱신 및 거래로그 정보의 기록을 수행하는 금융 거래 관리부, 그리고
    상기 자동화기기의 현금 방출/수납 내역을 포함하는 기기동작정보를 상기 자동화기기로부터 수집하며, 상기 거래로그 정보와 상기 기기동작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자동화기기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검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동작정보는, 상기 자동화기기에 의해 수납/방출된 금액을 포함하며,
    상기 거래로그 정보는, 상기 금융 거래 관리부에 의해 입금/출금 처리된 금액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거래로그 정보에 기록된 거래내역에 대응하는 현금 수납/방출 내역이 상기 기기동작정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판단하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금융 거래에 대해 상기 자동화기기에 의해 수납/방출된 금액과 상기 금융 거래 관리부에 의해 입금/출금 처리된 금액이 서로 다르면,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판단하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자동화기기의 현금 방출/수납 내역에 대응하는 거래내역이 상기 거래로그 정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판단하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이 검출되면,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의 검출을 통지하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화기기의 상기 기기동작정보를 수신하는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자동화기기 관리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기기동작정보를 수집하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8. 자동화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기기로부터 수신되는 금융 거래 정보와 상기 금융 거래 정보에 대응하는 계좌원장 정보를 토대로 금융 거래 전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금융 거래 전문을 상기 자동화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자동화기기에 의해 상기 금융 거래 전문에 대응하는 금융 거래가 완료되면, 완료된 상기 금융 거래에 따른 거래내역을 토대로 상기 계좌원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완료된 상기 금융 거래에 따른 거래내역을 거래로그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자동화기기의 현금 방출/수납 내역을 포함하는 기기동작정보를 상기 자동화기기로부터 수집하는 단계,
    상기 거래로그 정보와 상기 기기동작정보를 상호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거래로그 정보와 상기 기기동작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자동화기기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동작정보는, 상기 자동화기기에 의해 수납/방출된 금액을 포함하며,
    상기 거래로그 정보는, 상기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입금/출금 처리된 금액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로그 정보에 기록된 거래내역에 대응하는 현금 수납/방출 내역이 상기 기기동작정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동일한 금융 거래에 대해 상기 자동화기기에 의해 수납/방출된 금액과 상기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입금/출금 처리된 금액이 서로 다르면,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화기기의 현금 방출/수납 내역에 대응하는 거래내역이 상기 거래로그 정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이 검출되면,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의 검출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방법.
  14. 제8항, 제10항, 제11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50057315A 2015-04-23 2015-04-23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315A KR101697284B1 (ko) 2015-04-23 2015-04-23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315A KR101697284B1 (ko) 2015-04-23 2015-04-23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352A KR20160126352A (ko) 2016-11-02
KR101697284B1 true KR101697284B1 (ko) 2017-01-17

Family

ID=5751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315A KR101697284B1 (ko) 2015-04-23 2015-04-23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2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620B1 (ko) 2013-06-03 2014-10-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의 시재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79B1 (ko) * 2006-03-17 2008-10-29 주식회사 신한은행 금융거래 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073786A (ko) * 2007-12-31 2009-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핀패드 암호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핀패드의 보안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620B1 (ko) 2013-06-03 2014-10-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의 시재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352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6505B1 (en) Event handling
US8214290B1 (en) Self-service terminal reporting
US8161330B1 (en) Self-service terminal remote diagnostics
KR101153968B1 (ko) 금융사기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8229816B1 (en) Intelligent cash recycler remote capabilities
WO2011119261A1 (en) Self-service device inventory information control
JP5640735B2 (ja) 複数の携帯通信端末および現金取引装置と通信可能に接続された現金管理サーバ
JP2021196712A (ja) 監視サーバ、監視プログラム及び監視システム
EP3118804A1 (en) Self-service terminal service emergency method and site server
US10217328B2 (en) Assisted service terminal
JPWO2011142034A1 (ja) 現金管理システムおよび現金管理方法
CN111967979B (zh) 一种预约取款请求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092398B1 (ko) 통신장애 발생시의 금융거래 처리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KR101697284B1 (ko) 자동화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038232A1 (en) Automated management system
US20110106860A1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software and method
KR101450620B1 (ko) 금융기기의 시재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8475453B (zh) 自动交易装置、自动交易系统及非暂时性记录介质
US11765205B2 (en) Omni-channel end-point security
JP2004164209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2015028814A (ja) 現金管理システムおよび現金管理方法
JP7347773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86055B2 (ja) 自動取引装置の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管理方法
KR20070103634A (ko)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의 오류 보고 방법 및 이를 이용한금융 자동화 기기
JP5827597B2 (ja) 障害対応システム、自動取引装置、障害対応方法、および、障害対応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