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137B1 -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137B1
KR101697137B1 KR1020160089621A KR20160089621A KR101697137B1 KR 101697137 B1 KR101697137 B1 KR 101697137B1 KR 1020160089621 A KR1020160089621 A KR 1020160089621A KR 20160089621 A KR20160089621 A KR 20160089621A KR 101697137 B1 KR101697137 B1 KR 101697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foam
polyol
foaming
impreg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군일
Original Assignee
유군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군일 filed Critical 유군일
Priority to KR102016008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85Use of fibrous compounding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6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04Use of compounding ingredients,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which is unknown, broadly defined, or irrelev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8Destruction of cell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성분인 바이오 조성물을 함침재 안에 배합하여서, 폴리우레탄 폼이 내재적으로 가지는 독성 성분을 중화시켜 피부 알레르기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해소함으로써 화장품의 품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콩류로부터 추출한 바이오 조성물(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하여 친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함침재에 배합된 바이오 조성물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높은 항균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rosity pad with bio polyol}
본 발명은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콩류에서 추출한 식물 성분인 바이오 조성물(Bio Polyol)을 함침재 원료에 배합하여, 함침재의 주성분인 폴리우레탄 폼이 내재적으로 가지는 독성 성분을 중화시켜서 피부 알레르기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해소함으로써 화장품의 품질 안정성을 확보하고, 친환경성을 향상시킨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품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나, 크게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make-up) 화장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그 용도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화장품으로는 메이크업 화장품으로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은 분 형태의 파운데이션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볼 터치 등에 사용되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마스카라, 아이 라인, 립스틱 등이 있다. 이들의 화장품들 중 소모성이 가장 많은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을 들 수 있다. 파운데이션은 색조가 있는 분말 원료에 고착제, 유화제와 같은 성분을 혼합하고 일정의 온도에서 용융, 냉각시킨 다음 고형화된 파우더를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하고, 사용 시 내부에 함침된 화장 용구인 퍼프를 이용하여 파우더를 묻혀 얼굴에 바르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고형의 파우더가 갖고 있는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해 수분이 함유된 액상으로 개량하여 얼굴화장의 용이성은 물론 화장에 따른 피부에 뭉침이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 감이 있게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콤팩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콤팩트, 즉 화장품 용기는 저점도 유화 제형인 액상 화장료를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함침재에 함침시킨 화장품으로서, 화장료를 함침시킨 함침재와, 화장료와 함침재를 내장한 리필용의 내부 용기와, 리필용의 내부 용기를 결합하여 수용할 수 있는 외부 용기로 구성된다.
종래의 함침재는 원재료에 따라 폴리에테르 폴리올 폼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폼으로 구분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올 폼은 탄성이 뛰어나고, 가수 분해 성이 낮으며, 코스트가 낮은 장점이 있지만, 내유성이 약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폼은 극성 카르보닐기나 수소결합의 양이 많아 기포 조정이 용이하고, 기계적 성질이나 내약품성 등이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가수분해를 일으키기 쉽고, 고온에서 장기간 보관 시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국내 등록번호 10-1257628에 개시된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 화장품은 폴리우레탄 폼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과 폴리우레탄 폼 내에 많은 양의 화장료를 함침시키기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폴리에테르 폴리머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폼을 기재로 발포하고 있으므로, 폴리우레탄 폼이 내재적으로 가지는 독성 성분 또는 화학 성분이 피부 알레르기와 같은 피부 트러블(skin trouble)을 일으키는 등의 화장품의 품질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장료를 함침하는 함침재는 얼굴에 화장료를 바르기 위해 퍼프와 접촉되며, 이로 인하여 함침재는 미생물에 오염되기 쉽다. 얼굴은 피부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땀, 대기 중의 먼지, 미생물에 오염된 손으로 얼굴을 만지는 행위 등으로 인해, 미생물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얼굴에 퍼프를 사용하여 화장료를 분취하여 바름으로써, 퍼프로 미생물이 전이될 수 있고, 퍼프 또한 화장료에 의해 습도와 양분이 공급되며, 화장료가 물을 포함하는 액상이기 때문에 외부 용기나 내부 용기(리필용 용기)로 구성된 용기들은 보온성으로 인하여 미생물이 번식하기 좋은 온도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리필용 내부 용기의 상부에 미생물에 오염된 퍼프가 얹혀 있고, 내부 용기의 하부는 퍼프 사용으로 미생물에 오염된 함침재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1257628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318467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459017호
본 발명은 식물성분인 바이오 조성물을 함침재 원료에 배합하여서, 폴리우레탄 폼이 내재적으로 가지는 독성 성분을 중화시켜 피부 알레르기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해소함으로써 화장품의 품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콩류로부터 추출한 바이오 조성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성을 높인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침재 안에 배합된 바이오 조성물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함침재 제조방법은 바이오 조성물(바이오 폴리올)이 배합된 함침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함침재의 원료 입고 및 저장 단계; 원료준비 단계; 상기 원료를 토출하여 발포시키는 발포 단계; 탑 페이퍼(Top Paper) 및 사이드 페이퍼(Side Paper)를 제거하는 탈형 단계; 발포 폼을 숙성시키는 폼 숙성 단계;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클로즈 셀(Closed-Cell) 제거하는 막 처리(Reti) 단계; 상온 적치 후 레티 열 및 발생가스를 배출하는 탈취 단계; 및 제품 출하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함침재의 원료 입고 및 저장 단계에서는, 입고 원료 정기 성적서를 수령한 후, 아민계 촉매제(Amine catalyst), 실리콘(Silicone), 난연제, 칼라(Color)는 드럼 패킹(Drum Packing)으로 입고하고, 폴리올(Polyol)과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인 TDI(tolulene diisocyanate)는 벌크(Bulk) 상태로 입고한다.
상기 원료준비 단계에서는, 원료의 물질구성을 폴리올 52.60중량%, 바이오 폴리올 13.15중량%, 이소시아네이트 28.20중량%, 촉매제 3.30중량%, 첨가제 2.75중량%로 구성하여 20분 동안 혼합한 후, 워킹 탱크(working tank)로 이송하여 타 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되, 워킹 탱크 내의 원료 양을 레벨 게이지(Level Gage)를 통해 수시로 체크하고, 상기 워킹 탱크 내 원료 액온 관리를 22 ~ 24℃로 유지한다.
상기 원료를 토출하여 발포시키는 발포 단계에서는, Mix RPM : 4,000, 원료온도 : 22 ~ 24℃, 토출 압력 : 0.5 bar에 따라 정확한 토출량에 의한 발포를 하되, 발포 높이 및 셀 사이즈를 확인하고 수시로 체크하며, 발포 폭은 제품별로 조절하고, 발포시 셀 사이즈를 수시로 체크하면서 진행한다.
상기 발포 폼을 숙성시키는 폼 숙성 단계에서는, 발포 폼 블록을 숙성실로 이동한 후, 발포 폼 블록의 숙성 시간을 48-60 시간으로 유지하여 숙성시간을 준수하며, 숙성조건은 상온 숙성으로 하고, 발포 폼 블록의 숙성 동안 발포 폼 블록의 폼 내부에 남아있는 일부 취기성 유기 화합물이 휘발되어 날아가도록 한다.
상기 막 처리(Reti) 단계에서는, 제품 밀도, 타입별 가스 투입량을 조절하되, 특성별 레티 공정은 1~3회 반복 실시하고, 필요시에 표면 및 사이드 커팅 작업을 실시하며, 불완전 레티(반막) 및 과다 그을음을 주의하고 표면 부 육안 검사를 시행하여 셀 사이즈 및 통기성을 확인한다.
상온 적치 후 레티 열 및 발생가스 배출하는 탈취 단계에서는, 24시간 동안 진행하여 내부 잔여가스 배출하는데, 열 배출, 표면온도 확인을 하여 발생가스를 완전히 제거하여 냄새를 체크한다.
상기 출하 단계에서는 제품의 상 하차 시, 작업자 주의 요망을 숙지하고, 이동 중 필터 폼 습기 관련 주요사항을 관리하고 납품 거래처에 따른 제품 출하를 실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함침재는 바이오 폴리올이 배합되며, 폴리에테르 폴리올 폼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폼 중 어느 하나의 망상형 구조를 가지는 발포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이오 조성물인 바이오 폴리올을 함침재 안에 배합하여서, 폴리우레탄 폼이 내재적으로 가지는 독성 성분을 중화시켜 피부 알레르기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해소함으로써 화장품의 품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콩류로부터 추출한 바이오 조성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침재에 배합된 바이오 조성물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높은 항균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함침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함침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함침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현장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함침재의 물성표
도 6은 본 발명의 함침재의 물질구성표
도 7은 테크니컬 데이터 시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함침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함침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함침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현장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함침재의 물성표, 도 6은 본 발명의 함침재의 물질구성표, 및 도 7은 테크니컬 데이터 시트를 보인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외부 용기(10)(30); 상기 외부 용기에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는 내부 용기(40); 및 상기 내부 용기(40)에 내장되는 함침재(42)를 포함한다.
외부 용기(10)(30) 및 내부 용기(40)의 재질은 복합 PP(Composite PP),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코폴리머(SAN) 등도 가능하다.
내부 용기(40)는 밀폐 패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용기는 중앙으로 장착공간이 관통 형성된 케이스 본체(10)와, 케이스 본체(10)에 대하여 일방으로 개폐 조작되는 뚜껑(30)으로 구성된다. 뚜껑(30)의 내주 면으로 거울(31)이 구비될 수 있다.
내부 용기(40)는 리필 캡슐로서, 케이스 본체(10)의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그 내부로는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되어 제조된 함침재(42)가 수납됨과 동시에 그 상면이 실링 부재(44)로 실링될 수 있다. 실링 부재(44)는 제품의 유통 과정에서 함침재(42)에 함침된 액상 화장료의 외부 누설이나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함침재(42)는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되어 제조되며, 폴리에테르 폴리올 폼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폼 중 어느 하나의 망상형 구조를 가지는 발포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함침재(42)에 함침되는 액상 화장료는 퍼프(70)를 두드리는 경우 배어 나오는 정도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화장료의 함침은 별도의 공정을 통해 함침될 수도 있고, 내부 용기(40)의 내부에 함침재(42)를 집어넣은 다음, 액상 화장료를 직접 충진하는 방식으로 함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링 부재(44)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케이스 본체(10)로부터 뚜껑(30)을 개방하고 퍼프(70)를 함침재(42)에 묻혀 화장하면 되고, 화장 완료 후에는 퍼프(70)를 넣고 뚜껑(30)을 순차적으로 닫아 휴대 보관하면 된다. 내부 용기(40)에 수납된 함침재(42)의 액상 화장료가 소모된 후에는, 내부 용기(40)만을 교체 사용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함침재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함침재 제조방법은, 함침재(42)의 원료 입고 및 저장 단계; 원료준비 단계; 상기 원료를 토출하여 발포시키는 발포 단계; 탑 페이퍼(Top Paper) 및 사이드 페이퍼(Side Paper)를 제거하는 탈형 단계; 발포 폼을 숙성시키는 폼 숙성 단계;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클로즈 셀(Closed Cell) 제거하는 막 처리(Reti) 단계; 상온 적치 후 레티 열 및 발생가스를 배출하는 탈취 단계; 및 제품 출하 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함침재의 원료 입고 및 저장 단계에서는, 입고 원료 정기 성적서를 수령한 후, 아민계 촉매제(Amine catalyst), 실리콘(Silicone), 난연제, 칼라(Color)는 드럼 패킹(Drum Packing)으로 입고하고, 폴리올(Polyol)과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인 TDI(tolulene diisocyanate)는 벌크(Bulk) 상태로 입고한다.
원료준비 단계에서는, 원료의 물질구성을 폴리올 52.60중량%, 바이오 조성물인 바이오 폴리올 13.15중량%, 이소시아네이트 28.20중량%, 촉매제 3.30중량%, 첨가제 2.75중량%로 구성하여 20분 동안 혼합한 후, 워킹 탱크(Working tank)로 이송하여 타 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되, 워킹 탱크 내의 원료 양을 레벨 게이지(Level Gage)를 통해 수시로 체크하고, 상기 워킹 탱크 내 원료 액온 관리를 22 ~ 24℃로 유지한다.
원료를 토출하여 발포시키는 발포 단계에서는, Mix RPM 4,000, 원료온도 22 ~ 24℃, 토출 압력 0.5 bar에 따라 정확한 토출 량에 의한 발포를 하되, 발포 높이 및 셀 사이즈를 확인하고 수시로 체크하며, 발포 폭은 제품별로 조절하고, 발포시 셀 사이즈를 수시로 체크하면서 진행한다.
발포 우레탄 폼은 고분자 사슬 내 우레탄 결합(-NH-COO-)을 갖는 고분자로서 2가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Polyol) 등의 활성 수소화합물과의 결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포 폼을 숙성시키는 폼 숙성 단계에서는, 발포 폼 블록을 숙성실로 이동한 후, 발포 폼 블록의 숙성을 48-60 시간으로 유지하여 숙성시간을 준수하며, 숙성조건은 상온 숙성으로 하고, 발포 폼 블록의 숙성 동안 발포 폼 블록의 폼 내부에 남아있는 일부 취기성 유기 화합물이 휘발되어 날아가도록 한다.
막 처리(Reti) 단계에서는, 제품 밀도, 타입별 가스 투입량을 조절하되, 특성별 레티 공정은 1~3회 반복 실시하고, 필요시에 표면 및 사이드 커팅 작업을 실시하며, 불완전 레티(반막) 및 과다 그을음을 주의하고 표면 부 육안 검사를 시행하여 셀 사이즈 및 통기성을 확인한다.
상온 적치 후 레티 열 및 발생가스 배출하는 탈취 단계에서는, 24시간 동안 진행하여 내부 잔여가스 배출하는데, 열 배출, 표면온도 확인을 하여 발생가스를 완전히 제거하여 냄새를 체크한다.
아민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발포시 아민화합물 특유의 암모니아 냄새를 발산하는 문제가 있는데, 폴리우레탄 폼에서 발생하는 이취 현상은 제품에 잔류하는 미반응 아민계 촉매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아민계 촉매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결합시켜주거나 폴리올에 결합시켜 아민계 촉매가 폴리우레탄 폼에서 유출되지 않게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품 출하 단계에서는 제품의 상 하차 시, 작업자 주의 요망을 숙지하고, 이동 중 필터 폼 습기 관련 주요사항을 관리하고 납품 거래처에 따른 제품 출하를 실시한다.
함침재(42)는 스펀지나 발포 성형 품으로서, 폴리올과 이소네이트와 기타 첨가제(안정제, 가교제, 정포제, 안료 기타 등)를 혼 배합한 후, 발포성형기(미도시)에 투입하여 공기나 질소와 같은 기체를 투입하여 발포 성형하는바, 함침재의 폴리올은 석유화학에서 추출하는 것인데 에 비해서, 바이오 조성물인 바이오 폴리올은 콩류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하는 점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함침재(42)는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이소시아네이트에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아릴아리파틱 이소시아네이트(arylaliphatic isocyanate)와 사이클로아리파틱 이소시아네이트(cycloaliphatic isocyanate)가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여러 가지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MDI/TDI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터미네이티드프리폴리머(isocyanated-terminated prepolymer)로 제조한 후 사용하기도 한다.
함침재(42)의 제조에 있어 사용하는 발포제로 사용되는 탄화수소류에는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등과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류,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1,1,2-트리클로-1,2,2-트리플루오로메탄(1,1,2-trichloro-1,2,2-trifluoroethane),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dichlorotetrafluoroethane)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와 아세톤, MEK,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케톤류가 있다.
함침재의 제조시에, 폼 발포시 셀(cell)의 구조를 적당한 크기로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로는 유기 실리콘화합물과 알킬페놀(ethyoxylated alkyl phenol), 지방족알콜(ethoxylated fatty alcohol), 파라핀오일(paraffinoils), 파마자유(castor oil) 등이 있다. 난연제로는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hate), 트리스-(1,3-디클로로프로필렌포스페이트)[tris-(1,3-dichloropropyl phosphate)], 트리스(2,3-디부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tris(2,3-dibromopropyl) phosphat]와 테트라키스(2-클로로에틸)에틸렌 디포스페이트[tetrakis (2-chloroethyl)ethylene diphosphate]등의 인계 난연제와 산화알미늄(aluminum oxide hydrate), 삼산화안티몬(antimony trioxide)등의 무기 난연제와 멜라민사이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등이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함침재(흡수재)(42)는 재질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폰지,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폴리아미드 폼, 폴리에스터 폼, 폴리에테르 폼, 폴리우레탄 폼, 코튼(면), 부직포,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피막 타입,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 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 부틸 및 네오프렌, 건식 우레탄 및 습식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함침재(42)에 함침되는 화장료는 수분산형, 유분산형, 유중수(W/O)형 또는 수중유(O/W)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그 점도가 최대 1500 CPS인 것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흡수재 또한 다양한 소재, 기공 크기 및 경도 등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흡수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 제한적이었던 흡수재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함침재(42)의 밀도가 너무 낮을 경우 화장료가 너무 많이 묻어나 사용성이 떨어지며, 너무 높을 경우 내용물이 함침할 수 있는 포어 수가 부족하여 효과적으로 함침하기 어렵다. 함침재(42)의 포어 수가 너무 적을 경우 함침재(42)의 탄성이 떨어져 사용성이 떨어지며, 너무 많을 경우 사용시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함침재(42)의 경도가 너무 무를 경우 팩트 타입에서 사용되는 퍼프(70)나 손으로 화장시 함침재(42)에 함침시킨 화장료 조성물이 과도하게 나올 수 있고, 너무 딱딱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쉽게 나오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함침재(42)는 전술한 여러 가지 사항들을 감안하여 제조되는바, 도 5를 참조하면, 함침재(42)의 물성은, 밀도(40℃)는 39.6㎏/㎥, 경도(I.L.D 25%)는 26.7㎏f/314㎠, 부피탄성은 30%, 인장강도는 1.9 ㎏f/㎠, 신율은 118%, 인열강도는 0.9 ㎏f/㎝, 경도는 애스커 경도기 기준 84경도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물성들은 JIS 규격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함침재(42)의 물성구성은 폴리올 52.60 중량%, 바이오 폴리올 13.15중량%, 이소시아네이트 28.20중량%, 촉매제 3.30중량%, 첨가제 2.75중량%로 제조되는데,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ether Polypropylene Glycol)을 포함한다. 바이오 폴리올은 콩 종류로부터 추출한 바이오 조성물을 말한다.
도 7의 실험 데이터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함침재는 수산기, 수분함유율, 점성, 밀도 특성이 각각 65, 0.06, 970, 1.002로서, 표준 규격 안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바이오 조성물을 함침재 안에 배합하여서, 폴리우레탄 폼이 내재적으로 가지는 독성 성분을 중화시켜서 피부 발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해소하고 인체 부작용을 방지함으로써 화장품의 품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류로부터 추출한 바이오 조성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케이스 본체
30: 뚜껑
31: 거울
40: 내부 용기
42: 함침재

Claims (5)

  1. 함침재의 원료 입고 및 저장 단계; 원료준비 단계; 상기 원료를 토출하여 발포시키는 발포 단계; 탑 페이퍼(Top Paper) 및 사이드 페이퍼(Side Paper)를 제거하는 탈형 단계; 발포 폼을 숙성시키는 폼 숙성 단계;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클로즈 셀(Closed Cell) 제거하는 막 처리(Reti) 단계; 상온 적치 후 레티 열 및 발생가스를 배출하는 탈취 단계; 제품 출하 단계를 포함하는 함침재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함침재의 원료 입고 및 저장 단계에서는, 입고 원료 정기 성적서를 수령한 후, 아민계 촉매제(Amine catalyst), 실리콘(Silicone), 난연제, 칼라(Color)는 드럼 패킹(Drum Packing)으로 입고하고, 폴리올(Polyol)과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인 TDI(tolulene diisocyanate)는 벌크(Bulk) 상태로 입고하며,
    상기 원료준비 단계에서는, 원료의 물질구성을 폴리올 52.60중량%, 바이오 폴리올 13.15중량%, 이소시아네이트 28.20중량%, 촉매제 3.30중량%, 첨가제 2.75중량%로 구성하여 20분 동안 혼합한 후, 워킹 탱크(working tank)로 이송하여 타 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되, 워킹 탱크 내의 원료 양을 레벨 게이지(Level Gage)를 통해 체크하고, 상기 워킹 탱크 내 원료 액온 관리를 22 ~ 24℃로 유지하며,
    상기 원료를 토출하여 발포시키는 발포 단계에서는, Mix RPM : 4,000, 원료온도 : 22 ~ 24℃, 토출 압력 : 0.5 bar에 따라 정확한 토출 량에 의한 발포를 실시하되, 발포 높이 및 셀 사이즈를 확인하고 수시로 체크하며, 발포 폭은 제품별로 조절하고, 발포시 셀 사이즈를 수시로 체크하면서 진행하여, 밀도(40℃)는 39.6㎏/㎥, 경도(I.L.D 25%)는 26.7㎏f/314㎠, 부피탄성은 30%, 인장강도는 1.9 ㎏f/㎠, 신율은 118%, 인열강도는 0.9 ㎏f/㎝, 경도는 애스커 경도 기준 84인 물성의 함침재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89621A 2016-07-15 2016-07-15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 KR101697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621A KR101697137B1 (ko) 2016-07-15 2016-07-15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621A KR101697137B1 (ko) 2016-07-15 2016-07-15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137B1 true KR101697137B1 (ko) 2017-01-17

Family

ID=5799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621A KR101697137B1 (ko) 2016-07-15 2016-07-15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44974A (zh) * 2023-06-12 2023-07-18 山东联欣环保科技有限公司 耐高温二氧化碳基合金及其发泡材料和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28B1 (ko) 2011-03-24 2013-04-2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318467B1 (ko) 2013-03-26 2013-10-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리필 케이스를 갖는 화장품용기
JP2014037552A (ja) * 2010-04-02 2014-02-27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バイオポリウレタン樹脂
KR20140038880A (ko) * 2012-09-21 2014-03-31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KR101459017B1 (ko) 2014-05-08 2014-11-07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에어 쿠션 화장품이 직접 수납 사용되는 리필 타입의 콤팩트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7552A (ja) * 2010-04-02 2014-02-27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バイオポリウレタン樹脂
KR101257628B1 (ko) 2011-03-24 2013-04-2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140038880A (ko) * 2012-09-21 2014-03-31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KR101318467B1 (ko) 2013-03-26 2013-10-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리필 케이스를 갖는 화장품용기
KR101459017B1 (ko) 2014-05-08 2014-11-07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에어 쿠션 화장품이 직접 수납 사용되는 리필 타입의 콤팩트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44974A (zh) * 2023-06-12 2023-07-18 山东联欣环保科技有限公司 耐高温二氧化碳基合金及其发泡材料和制备方法
CN116444974B (zh) * 2023-06-12 2023-10-03 山东联欣环保科技有限公司 耐高温二氧化碳基合金及其发泡材料和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3254B2 (en) Urethane foam for use in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JP4666278B2 (ja) 高通気性・低反発弾性の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EP3228662B1 (en) Composition for gel cushion, and gel cushion manufactured therefrom
AU2013318825B2 (en) Urethane foam impregnated with cosmetic composition
CN105121526B (zh) 具有粗化微孔结构的聚氨酯泡沫
CA2506542A1 (en) Process for applying a polyurethane dispersion based foam to an article
TW201404333A (zh) 用於包含供於應用的海綿之化妝品組合物的容器
KR101697137B1 (ko) 바이오 조성물이 배합된 함침재의 제조방법
CN107001561A (zh) 具有水性聚合物分散体的粘弹性聚氨酯泡沫
JP7169797B2 (ja) 吸遮音材とその製造方法
CN107531866A (zh) 利用烃多元醇的软质聚氨酯泡沫及包含其的化妆品
KR20150008058A (ko) 다공질체
KR102151004B1 (ko)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
KR101574493B1 (ko) 액상 화장료 담지용 발포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포폼
TWI723333B (zh) 組合有生物膳食纖維組合物的含浸材料以及上述含浸材料的製造方法
CN111217983A (zh) 配合了生物膳食纤维组合物的浸渍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744864B1 (ko) 화장료 연질 발포체용 조성물 및 그 연질 발포체
JP2020116030A (ja) バイオ食物繊維組成物が配合された含浸材、及びその含浸材の製造方法
WO2013072072A1 (en) Gel bead production and incorporation in foam
KR101881007B1 (ko)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중합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TW202034816A (zh) 化妝品組成物載體
KR20180035771A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용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스폰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2065744A (ja) 衛生用被覆材
KR102524231B1 (ko) 항균성이 향상된 친환경 화장품 케이스
US20230389716A1 (en) Circular foam for cushions and matrasses, cushion and matrass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fo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