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831B1 -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831B1
KR101696831B1 KR1020150084285A KR20150084285A KR101696831B1 KR 101696831 B1 KR101696831 B1 KR 101696831B1 KR 1020150084285 A KR1020150084285 A KR 1020150084285A KR 20150084285 A KR20150084285 A KR 20150084285A KR 101696831 B1 KR101696831 B1 KR 10169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tating shaft
shaft member
disposed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485A (ko
Inventor
서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8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83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는, 스크린설비를 향해 낙하하는 낙하물을 수용 가능한 낙하물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된 낙하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용된 낙하물을 상기 스크린설비로 공급하는 버퍼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린설비 보호장치{Protecting device for screening equipment}
본 발명은 스크린설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스크린설비로 낙하되는 낙하물로부터 스크린설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낙하하는 원료를 처리하는 원료처리설비에는, 낙하하는 원료가 직접적으로 원료처리설비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원료처리설비에 투입되는 원료의 입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스크린설비가 설치된다.
스크린설비는 원료를 스크리닝하는 스크린부재를 구비하며, 스크린부재의 형상은 원료처리설비에서 요구되는 원료의 물성 및 입도 등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부재는 망(net)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바(bar)가 일정 간격으로 나열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스크린부재는 스크린설비 상에 고정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스크린부재가 진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1451호(2004.05.1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설비로 낙하하는 낙하물로부터 스크린설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는, 스크린설비를 향해 낙하하는 낙하물을 수용 가능한 낙하물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된 낙하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용된 낙하물을 상기 스크린설비로 공급하는 버퍼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는, 상기 스크린설비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낙하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기 버퍼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유닛은 상기 회전축부재에 연계되되, 상기 회전축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낙하물 수용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상기 낙하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채널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프레임은 상기 회전축 부재에 방사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와 함께 상기 낙하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채널프레임은 상기 회전축 부재에 배치되되, 내측에 상기 낙하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만곡 또는 절곡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는, 상기 회전축부재의 적어도 일 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의 회전 반경을 기 설정된 각도로 제한 가능한 제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유닛은,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재가 관통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설비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재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재가 관통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축부재의 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와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부재의 중심부측으로 가압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향되는 제2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향되는 제1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한유닛은 상기 홈부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배치되되,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접촉되는 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 및 걸림홈부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돌기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한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부재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에 고정 배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는 실린더부를 구비하며, 상기 3 프레임은 상기 실린더부와 대향되는 일측에는 상기 실린더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배치되는 실린더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실린더공간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배치되되, 상기 실린더부의 선단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제3 프레임이 배치되는 일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제한유닛은,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나사산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3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부재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는 스크린설비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원료가 스크린부재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는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원료가 스크린부재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바, 스크린부재의 마모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스크린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부재의 보수 및 교체에 따른 설비 중단이 현저히 감소하며, 그에 따라 생산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는, 스크린설비에 투입되는 원료의 입도조절이 가능하며, 스크린설비의 개공부 막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는 원료의 자중 및 원료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원료의 투입 속도를 조절하는바, 설비의 단순화가 가능하며,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 없이 원료 투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가 스크린설비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가 설치된 스크린설비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가 스크린설비에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도시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채널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는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한유닛 및 회전축부재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회전축부재의 일단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X 방향에서 회전축부재를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1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제2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한유닛 및 회전축부재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설비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코크스 등의 원료를 처리하는 원료처리설비 등에는 일반적으로 투입되는 원료의 입도 및 투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크린설비를 구비한다. 스크린설비는 바 또는 망 형태의 스크린부재를 구비하며, 낙하하는 원료는 스크린부재에 충돌 함으로서 원료의 입도가 조절되고, 원료의 투입 속도가 조절된다. 코크스와 같은 고체 원료는 일반적으로 고 중량이며, 그 표면이 불균일하다. 따라서, 코크스 등의 고체 원료를 스크리닝하는 스크린설비의 경우, 지속적인 가동에 의해 스크린부재가 마모되며, 종국에는 스크린부재의 절단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스크린부재의 절단 및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원료처리설비로 공급되는 원료의 입도 불균형, 스크리닝이 완료된 원료가 하부로 배출되는 개공부의 막힘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조업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조업을 중단하고 스크린설비의 스크린부재를 교체해주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스크린부재의 절단 및 파손 발생시 개공부 주변의 보수를 위해 조업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가 스크린설비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가 설치된 스크린설비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가 스크린설비에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10)는 스크린설비(1)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는 바 형상의 스크린부재(5)를 구비하는 스크린설비(1)를 도시하였지만, 스크린부재(5)는 바 형상에 국한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스크린부재(5)를 포함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도시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채널프레임의 다른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는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10)는 스크린설비(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부재(100) 및 회전축부재(100) 상에 배치되어 회전축부재(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버퍼유닛(200)을 포함한다. 버퍼유닛(200)은 회전축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되는 복수의 채널프레임(210)들을 포함하며, 채널프레임(210)들은 회전축부재(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된다. 이격배치된 채널프레임(210)들 사이에는 원료를 수용 가능한 낙하물 수용공간(215)이 형성된다. 회전축부재(100)의 단부측에는 스크린설비(1)에 연결되어 회전축부재(100)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회전축부재(10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한유닛(300)이 배치된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유닛(200)은 회전축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배치되는 채널프레임(210)을 포함하며, 복수의 채널프레임들(210)이 회전축부재(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프레임들(210)은 회전축부재(100)의 외주면에 기립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채널프레임들(210)은 회전축부재(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θ1234)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 및 (b)에는 4개의 채널프레임들(210)이 회전축부재(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채널프레임(210)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료의 입도 및 성격에 따라 채널프레임(21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웃한 채널프레임(210)은 회전축부재(100)와 협력하여 낙하물 수용공간(215)을 형성하며, 낙하물 수용공간(215)에는 낙하하는 원료가 수용될 수 있다. 채널프레임(210)은 용접 등에 의해 회전축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채널프레임(210)은 회전축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유닛(200)은 회전축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배치되며, 내측에 낙하물 수용공간(215a, 125b)을 형성하는 만곡 구조 또는 절곡 구조의 채널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 및 (b)에는 그 횡단면이 "ㄷ"자 형상인 채널프레임(21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채널프레임(21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국한될 것은 아니다. 복수의 채널프레임들(210')이 회전축부재(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θ1'=θ2'=θ3'=θ4')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ㄷ"자 형상인 채널프레임들(210')이 이웃하여 회전축부재(100)에 배치됨에 따라, 형상을 달리하는 낙하물 수용공간(215a, 215b)이 회전축부재(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즉, 채널프레임(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낙하물 수용공간(215a) 및 이웃하는 채널프레임들(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낙하물 수용공간(215b)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프레임(210')은 용접 등에 의해 회전축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채널프레임(210')은 회전축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에는 4개의 채널프레임들(210')이 회전축부재(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채널프레임(210')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료의 입도 및 성격에 따라 채널프레임(21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통해 채널프레임(210)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예시적인 형상이며, 채널프레임(210)의 형상이 반드시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제한유닛 및 회전축부재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a)는 회전축부재의 일단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X 방향에서 회전축부재를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1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제2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한유닛 및 회전축부재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100)의 일단부측에는 제한유닛(300)이 위치한다. 제한유닛(300)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310), 제2 프레임(320) 및 제3 프레임(330)을 포함하며, 제1 프레임(310)이 버퍼유닛(200)과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고, 제 3 프레임(330)이 버퍼유닛(200)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다. 제1 프레임(310)은 스크린설비(1)에 고정되며, 제1 프레임(310)에 형성된 제1 관통홀(316)에 회전축부재(100)가 관통 삽입 배치된다. 제2 프레임(320) 및 제3 프레임(330)은 회전축부재(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제3 프레임(300)은 결합부재(360)에 의해 회전축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과 제2 프레임(320) 사이에는 볼부재(350)가 배치되며, 제2 프레임(320)과 제3 프레임(330) 사이에는 탄성부재(3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100)의 단부측에는 회전축부재(100)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가이드홈부(106)가 형성되며, 가이드홈부(106)는 회전축부재(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회전축부재(100)에는 복수의 가이드홈부(10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20)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제2 프레임(32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부(106)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부(324)가 형성된다. 가이드돌기부(324)는 가이드홈부(106)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홈부(106)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회전축부재(100)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1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330)은 제1 나사산(102)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구비하여 회전축부재(100)에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나사산(102)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을 구비하는 결합부재(360a, 360b)에 의해 회전축부재(100)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320)에는 제2 관통홀(326)이 형성되며, 회전축부재(100)는 제2 관통홀(326)을 관통하도록 삽입 배치된다. 제2 프레임(320)의 가이드돌기부(324)는 가이드홈부(106)에 안착되며, 제2 프레임(320)은 가이드돌기부(324) 및 가이드홈부(106)에 의해 회전축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제2 프레임(320)의 일측에는 홈부(322)가 함몰 형성된다. 홈부(322)는 볼부재(35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부(322)에는 불부재(3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배치된다. 제2 프레임(320)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홈부(3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홈부(322)는 제2 관통홀(326)의 중심(O2)으로부터 동일한 거리(r1)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홈부(322)는 등간격(θb1b1b3b4)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홈부(322)에는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볼부재(350)가 삽입 배치된다.
제2 프레임(320)에 대향되는 제1 프레임(320)의 일측에는 걸림홈부(312)가 함몰 형성된다. 걸림홈부(312)는 볼부재(35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나, 걸림홈부(312)의 깊이는 홈부(322)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레임(310)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걸림홈부(3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걸림홈부(312)는 제1 관통홀(316)의 중심(O1)으로부터 동일한 거리(r1)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관통홀(316)의 중심(O1)으로부터 걸림홈부(312)까지의 거리(r1)는 제2 관통홀(326)의 중심(O2)으로부터 홈부(322)까지의 거리(r2)와 동일하도록, 걸림홈부(3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홈부(312)는 등간격(θb1'=θb1'=θb3'=θb4')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홈부(322)의 간격(θb1b1b3b4)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부재(350)와 접촉하는 제1 프레임(310)의 일측면에는 링형상의 접촉홈부(318)가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걸림홈부(312)는 접촉홈부(318) 상에 형성된다. 접촉홈부(318)의 깊이는 걸림홈부(312)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프레임(320)의 타측면에는 실린더부(328)가 돌출 형성되며, 제2 프레임(320)에 대향되는 제3 프레임(330)의 일측면에는 실린더부(328)의 형상에 대응하는 실린더공간부(338)가 함몰 형성된다. 실린더부(328)는 실린더공간부(338)에 삽입 배치되며, 실린더공간부(338) 내에는 탄성부재(340b)가 실린더부(328)의 일단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탄성부재(340a)는 실린더부(328)의 외측에 추가로 배치되어, 제2 프레임(320)의 타측면 및 제3 프레임(330)의 일측면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40a, 340b)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프레임(310)은 스크린설비(1)에 고정배치되며, 제2 프레임(320) 및 제3 프레임(330)은 회전축부재(100)와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제3 프레임(330)은 회전축부재(100)에 고정 배치되며, 제2 프레임(320)은 제1 프레임(310) 및 제3 프레임(33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홈부(106) 및 가이드돌기부(324)에 의해 제2 프레임(320)의 이동은 회전축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된다. 볼부재(350)를 구비한 제2 프레임(320)이 탄성부재(340a, 340b)에 의해 제1 프레임(310)을 버퍼유닛(200)측으로 가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원료는 버퍼유닛(200) 상의 낙하물 수용공간(215)에 수용된다.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원료는 버퍼유닛(200) 상의 각각의 낙하물 수용공간(215)에 균일하게 적재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낙하물 수용공간(215)에 그 하중이 집중되도록 적재된다. 하중이 집중된 낙하물 수용공간(215) 측으로 버퍼유닛(200)은 회전하게 되며, 버퍼유닛(200)의 회전에 따라 낙하물 수용공간(215) 상에 적재되었던 원료가 하부의 스크린설비(1)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또한, 상부로부터 버퍼유닛(200)을 향해 낙하하는 원료 중 일부는 버퍼유닛(200)의 채널플레이트(210)에 충돌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낙하하는 원료의 운동에너지 일부는 버퍼유닛(200)의 회전에너지로 전환된다.
스크린설비 보호장치(10)의 동작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볼부재(350)가 걸림홈부(312)에 안착된 상태로 제2 프레임(320)이 볼부재(350)를 제1 프레임(310) 측으로 가압하는바, 버퍼부재(200) 상의 원료 하중 불균형이 한계치 이상 발생하거나, 채널프레임(210)과 원료의 충돌에 따른 에너지 전환이 한계치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 한하여 버퍼부재(200)가 회전하게 된다. 버퍼부재(200)의 회전이 시작하면, 볼부재(350)는 종전에 안착되었는 걸림홈부(312)로부터 이탈되어 접촉홈부(318)를 따라 이웃하는 걸림홈부(312)로 이동하게 된다. 볼부재(350)가 종전에 안착되었던 걸림홈부(312)로부터 이탈되어 이웃하는 걸림홈부(312)로 이동함에 따라 버퍼부재(200)는 걸림홈부(312) 또는 홈부(312)의 간격(θb)만큼 회전하게 되며, 낙하물 수용공간(215)에 수용되었던 원료가 하부의 스크린설비(1)로 공급된다. 원료 낙하가 계속됨에 따라 버퍼유닛(200)은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설비 보호장치(10)는 스크린설비(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원료가 스크린부재(5)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크린부재(5)의 수명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따라서, 스크린부재(5)의 보수 및 교체에 따른 설비 중단이 현저히 감소하며, 그에 따라 생산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원료 중 과도한 입도를 가지는 원료는 버퍼부재(200)와 충돌하여 깨짐 현상이 발생하므로, 스크린설비(1)에 투입되는 원료의 입도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크린설비 보호장치(10)는 원료의 자중 및 원료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원료의 투입 속도를 조절하는바, 설비의 단순화가 가능하며,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 없이 원료 투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스크린설비 5: 스크린부재
10: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100: 회전축부재
200: 버퍼유닛 210: 채널프레임
215: 낙하물 수용공간 300: 제한유닛
310: 제1 프레임 320: 제2 프레임
330: 제3프레임 340: 탄성부재
350: 볼부재 360: 고정부재

Claims (13)

  1. 스크린설비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에 배치되고, 상기스크린설비를 향해 낙하하는 낙하물을 수용 가능한 낙하물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된 낙하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용된 낙하물을 상기 스크린설비로 공급하는 버퍼유닛;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적어도 일 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의 회전반경을 기 설정된 각도록 제한 가능한 제한유닛을 포함하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유닛은 상기 회전축부재에 연계되되,
    상기 회전축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낙하물 수용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상기 낙하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채널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프레임은 상기 회전축 부재에 방사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와 함께 상기 낙하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구조인,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프레임은 상기 회전축 부재에 배치되되, 내측에 상기 낙하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만곡 또는 절곡 구조인,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유닛은,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재가 관통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설비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재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재가 관통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축부재의 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와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부재의 중심부측으로 가압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향되는 제2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향되는 제1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한유닛은 상기 홈부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배치되되,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접촉되는 볼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및 걸림홈부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돌기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부재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부재에 고정 배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는 실린더부를 구비하며,
    상기 3 프레임은 상기 실린더부와 대향되는 일측에는 상기 실린더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배치되는 실린더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실린더공간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배치되되, 상기 실린더부의 선단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제3 프레임이 배치되는 일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제한유닛은,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나사산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3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부재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KR1020150084285A 2015-06-15 2015-06-15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KR10169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285A KR101696831B1 (ko) 2015-06-15 2015-06-15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285A KR101696831B1 (ko) 2015-06-15 2015-06-15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485A KR20160147485A (ko) 2016-12-23
KR101696831B1 true KR101696831B1 (ko) 2017-01-16

Family

ID=5773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285A KR101696831B1 (ko) 2015-06-15 2015-06-15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8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300B1 (ko) * 2001-11-19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선별스크린에서의 광석분산장치
JP2011206735A (ja) * 2010-03-30 2011-10-20 Nec Corp 選別装置
KR101248065B1 (ko) 2010-09-30 2013-03-27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육류 절단용 수직 슬라이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381B1 (ko) 2002-11-11 2010-03-29 주식회사 포스코 간격조정이 용이한 그리즐리 바를 갖는 입도 선별 장치
KR101599417B1 (ko) * 2014-07-18 2016-03-03 하용간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300B1 (ko) * 2001-11-19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선별스크린에서의 광석분산장치
JP2011206735A (ja) * 2010-03-30 2011-10-20 Nec Corp 選別装置
KR101248065B1 (ko) 2010-09-30 2013-03-27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육류 절단용 수직 슬라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485A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448B1 (ko) 환상 디스크를 구비한 롤러 프레스
KR102163995B1 (ko) 콤 시스템을 구비한 분쇄 장치
RU2675274C1 (ru) Модульный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й вибрационный грохот с изменяемым пролетом и переменной амплитудой
KR101696831B1 (ko)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KR20100105660A (ko) 롤러 밀
CN102413938B (zh) 用于破碎物料的立轴冲击式破碎机、腔环及其安装方法
JP2008525170A (ja) モジュール構造のローラミル
KR102577620B1 (ko) 정제 세트
KR102417649B1 (ko) 상호 보완적인 롤러를 구비한 펠렛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위한 롤러
AT502541B1 (de) Platte oder plattensegment sowie vorrichtung mit derartigen platten oder plattensegmenten
CN102688850A (zh) 茶叶滚动圆筛机
CN210058576U (zh) 一种输送带物料分布调节装置
JP3573161B2 (ja) ライブリング(live−ring)内に懸下されたロータリドラム
KR102047474B1 (ko)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CN202570589U (zh) 茶叶滚动圆筛机
JP4154537B2 (ja) 回転ふるい装置
CN105195255A (zh) 八辊式破碎机
JPH04361651A (ja) 経編機のジャカードガイドバー
CN106903915B (zh) 一种成型鼓及侧环对
RU2528456C1 (ru) Молотковая дробилка
EP2921238B1 (en) Screening device and separation screen for screening solid materials
RU170904U1 (ru) Сборная матрица пресс-гранулятора
CN216174195U (zh) 一种筛分机入料端防砸防磨损结构
WO2008067804A8 (de)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n unter anwendung von ungedrehtem fasermaterial
US20170312786A1 (en) Screen gr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