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548B1 -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548B1
KR101696548B1 KR1020150095177A KR20150095177A KR101696548B1 KR 101696548 B1 KR101696548 B1 KR 101696548B1 KR 1020150095177 A KR1020150095177 A KR 1020150095177A KR 20150095177 A KR20150095177 A KR 20150095177A KR 101696548 B1 KR101696548 B1 KR 101696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riving
pleat
running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056A (ko
Inventor
방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8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10Operations, e.g. scheduling or time tables
    • B61L27/18Crew rosters; Itiner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그 방법은, 관제 서버로부터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제1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플리트의 제1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운행 스케줄과 상기 제1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플리트의 상기 운행 상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MANAGING METHOD FOR SERVICE SCHEDULE OF FLEET}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을 관리하는 다양한 기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2013-0025052호는 버스정보 안내에 대한 성능평가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공개 특허의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과 통신 모듈이 구비되며,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제공되는 버스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버스정보 안내기로 버스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과, 수신된 상기 버스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버스의 실제 운행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버스의 실제 운행정보를 상기 버스정보 안내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버스정보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는 비교 검증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측에 있어서,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관제 서버로부터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제1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플리트의 제1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행 스케줄과 상기 제1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리트의 상기 운행 상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행 스케줄은,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에 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도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운행 정보는, 상기 복수의 노드에 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실제 도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노드는, 제1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노드에 관한 상기 운행 스케줄의 예정 도착 시간과 상기 제1 운행 정보의 실제 도착 시간의 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이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빠름을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운행이 상기 예정 운행보다 느림을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디케이터와 상기 제2 인디케이터는 서로 반대 방향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상기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은,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부터 상기 제2 노드까지의 운행에 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제2 플리트로부터 상기 제2 플리트의 제2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운행 정보와 상기 제2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와 상기 제2 플리트의 운행 간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행 간격 정보는, 상기 제1 플리트와 상기 제2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운행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와 상기 제2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리트 중에 제1 플리트로 운행 스케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리트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 스케줄과 상기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제1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상기 운행 스케줄은,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에 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도착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복수의 노드에 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실제 도착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운행 상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노드에 포함된 제1 노드에 관한 상기 운행 스케줄의 예정 도착 시간과 상기 운행 정보의 실제 도착 시간의 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이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빠름을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운행이 상기 예정 운행보다 느림을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은,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부터 상기 제2 노드까지의 운행에 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간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상기 운행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와 상기 제2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관제 서버로부터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제1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제1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 스케줄과 상기 제1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전자 장치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이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빠름을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운행이 상기 예정 운행보다 느림을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은,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부터 상기 제2 노드까지의 운행에 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제2 플리트로부터 상기 제2 플리트의 제2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운행 정보와 상기 제2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와 상기 제2 플리트의 운행 간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운행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와 상기 제2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리트는 정시성 및 운행 간격에 관한 정보를 통해 운행 스케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관제 서버는 정시성 및 운행 간격에 관한 정보를 통해 하나 이상의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관제 서버는 정시성 평가 정보를 통해 플리트의 운행 서비스를 평가하고, 운행 스케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 상태 및 운행 간격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 상태의 표시를 위한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 간격의 표시를 위한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플리트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정시성 평가 정보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 스케줄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운행 스케줄러(5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운행 스케줄러(500)는 플리트에 구비되어 플리트의 운행자에게 운행 스케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리트는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열차, 전차, 기차, 전동차, 전철, 지하철, 트램, 자동차, 이륜차, 선박, 비행기 등을 다양한 교통수단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운행 스케줄링 방법을 운행 스케줄러(500)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110)에서, 운행 스케줄러(500)는, 관제 서버(400)로부터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을 수신한다. 미리 정해진 노선은 복수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는 플리트의 정류소 및 교차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스케줄은 미리 정해진 노선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에 관한 플리트의 예정 도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정 도착 시간은 효율적인 운행을 위해 플리트가 각각의 노드에 도착해야 할 시간을 의미한다. 예정 도착 시간은 관제 서버(4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단계(120)에서, 운행 스케줄러(500)는,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플리트의 제1 운행 정보를 생성한다. 운행 정보는 복수의 노드에 관한 플리트의 실제 도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제 도착 시간은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플리트의 실제 도착 시간을 의미한다. 설명의 대상이 되는 플리트의 운행 정보를 다른 플리트의 운행 정보와 구별하기 위해 제1 운행 정보로 나타낸다. 플리트의 위치 정보는 플리트에 구비된 위치 수집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위치 수집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네트워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플리트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방식은 Cell ID 방식, ToA(time of arrival) 방식 또는 AOA(angle of arrival)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30)에서, 운행 스케줄러(500)는, 운행 스케줄과 제1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플리트의 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운행 상태 정보는 플리트가 운행 스케줄을 준수하며 운행하는지 나타내는 정보이다. 운행 상태 정보는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상태 정보는 플리트가 운행 스케줄에 비해 시간적인 지연이 없는지 여부 또는 운행 스케줄에 따른 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운행 상태 정보는 복수의 노드에 포함된 제1 노드에 관한 운행 스케줄의 예정 도착 시간과 제1 운행 정보의 실제 도착 시간의 차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스케줄러(500)는 실제 도착 시간의 차에 기초하여 플리트가 운행 스케줄을 준수하며 운행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단계(140)에서, 운행 스케줄러(500)는,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플리트의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 정시성 평가 정보는 플리트가 운행 스케줄을 얼마나 잘 준수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정시성 평가 정보의 생성 알고리즘은 도 7을 참조하여 추후 설명한다.
단계(150)에서, 운행 스케줄러(500)는,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인접 플리트로부터 인접 플리트의 제2 운행 정보를 수신한다. 인접 플리트는 설명의 대상이 되는 플리트와 동일한 노선을 운행하는 플리트를 의미한다. 운행 스케줄러(500)는 관제 서버(400) 또는 인접 플리트로부터 제2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운행 정보는 제1 운행 정보와 같이 복수의 노드에 관한 인접 플리트의 실제 도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60)에서, 운행 스케줄러(500)는, 제1 운행 정보와 제2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플리트와 인접 플리트의 운행 간격 정보를 생성한다. 운행 간격 정보는 플리트와 인접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운행 간격 정보는 플리트와 인접 플리트 간의 운행 간격을 시간적 또는 거리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운행 간격 정보는 플리트의 운행 전체적으로 생성되거나, 특정 노드에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운행 간격 정보는 플리트와 인접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따른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간격 정보는 특정 노드의 실제 도착 시간에 따른 시간 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상태 정보와 운행 간격 정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 상태 및 운행 간격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에는 복수의 플리트의 실제 도착 시간이, 도 2의 (b)에는 복수의 플리트의 운행 상태가, 도 2의 (c)에는 복수의 플리트의 운행 간격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제1 플리트 내지 제4 플리트는 제1 노드 내지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한다.
도 2의 (a)에서 예정 도착 시간은 운행 스케줄에 따른 시간을 의미하고, 실제 도착 시간은 플리트가 각각의 노드에 실제로 도착한 시간을 의미한다. 제1 플리트 내지 제4 플리트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제1 노드 내지 제4 노드를 운행할 수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난 것처럼 예정 도착 시간과 실제 도착 시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2의 (b)에서 운행 상태는 운행 스케줄을 준수하며 운행하는지 나타낸다. 도 2의 (b)에서 운행 상태는 시간 차 정보를 포함한다. '+'는 플리트의 운행이 운행 스케줄에 따른 예정 운행보다 빠름을 나타내고, '-'는 플리트의 운행이 운행 스케줄에 따른 예정 운행보다 느림을 나타낸다. '0'은 플리트가 운행 스케줄에 따른 예정 운행대로 운행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2의 (c)에서 운행 간격은 플리트 간의 운행 간격을 나타낸다. 도 2의 (c)에서 운행 간격은 플리트 간의 시간 차 및 거리를 포함한다. 도 2의 (c)의 운행 간격은 특정한 시점 또는 특정한 지점에서의 운행 간격일 수 있다. 특정한 지점은 미리 정해진 노선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운행 간격은 다양한 시점 또는 다양한 지점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도 2의 (c)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플리트와 제3 플리트, 제1 플리트와 제4 플리트, 제2 플리트와 제4 플리트 간의 운행 간격도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단계(170)에서, 운행 스케줄러(500)는, 운행 상태 정보 또는 운행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운행 상태 또는 운행 간격을 출력한다. 운행 상태 또는 운행 간격의 출력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 상태의 표시를 위한 화면(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리트의 실제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0), 운행 스케줄에 따른 플리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4), 미리 정해진 노선(20)이 도시되어 있다. 인디케이터(10)과 관련하여, 플리트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1), 플리트의 식별정보(12) 및 플리트의 지연 정보(13)가 표시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노선(20)과 관련하여, 제1 노드(21) 및 제2 노드(22)가 표시될 수 있다.
운행 정보에 따른 플리트의 운행이 운행 스케줄에 따른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빠른 경우, 인디케이터(11)는 운행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운행 정보에 따른 플리트의 운행이 운행 스케줄에 따른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느린 경우, 인디케이터(11)는 운행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운행 정보에 따른 플리트의 운행이 운행 스케줄에 따른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빠른 경우, 지연 정보(13)는 (-)일 수 있다. 또한, 운행 정보에 따른 플리트의 운행이 운행 스케줄에 따른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느린 경우, 지연 정보(13)는 (+)일 수 있다. 지연 정보(13)의 크기는 운행 정보에 따른 플리트의 운행과 운행 스케줄에 따른 플리트의 예정 운행 간의 차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 간격의 표시를 위한 화면(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리트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인디케이터와 운행 간격(16, 26)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5)가 도시되어 있다. 인디케이터(15)는 앞 플리트와의 간격 및 뒤 플리트와의 간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서 '3.1'은 뒤 플리트와의 간격을 나타내고, '4.1'은 앞 플리트와의 간격을 나타낸다. 인디케이터(15)는 운행 간격(16)을 나타내는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행 상태 및 운행 간격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운행 스케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관제 서버(6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관제 서버(600)는 플리트의 운행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운행 스케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운행 스케줄링 방법을 관제 서버(600)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210)에서, 관제 서버(600)는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리트로 운행 스케줄을 전송한다. 플리트는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열차, 전차, 기차, 전동차, 전철, 지하철, 트램, 자동차, 이륜차, 선박, 비행기 등을 다양한 교통수단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220)에서, 관제 서버(600)는 적어도 하나의 플리트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신한다. 운행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운행 정보는 복수의 노드에 관한 플리트의 실제 도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제 도착 시간은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플리트의 실제 도착 시간을 의미한다.
단계(230)에서, 관제 서버(600)는 운행 스케줄과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플리트의 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운행 상태 정보는 플리트가 운행 스케줄을 준수하며 운행하는지 나타내는 정보이다. 운행 상태 정보는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상태 정보는 플리트가 운행 스케줄에 비해 시간적인 지연이 없는지 여부 또는 운행 스케줄에 따른 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운행 상태 정보는 복수의 노드에 포함된 제1 노드에 관한 운행 스케줄의 예정 도착 시간과 제1 운행 정보의 실제 도착 시간의 차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서버(600)는 실제 도착 시간의 차에 기초하여 플리트가 운행 스케줄을 준수하며 운행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단계(240)에서, 관제 서버(600)는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플리트의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 정시성 평가 정보는 플리트가 운행 스케줄을 얼마나 잘 준수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정시성 평가 정보의 생성 알고리즘은 도 7을 참조하여 추후 설명한다.
단계(250)에서, 관제 서버(600)는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플리트의 운행 간격 정보를 생성한다. 운행 간격 정보는 플리트와 인접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간격 정보는 플리트의 운행 전체적으로 생성되거나, 특정 노드에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운행 간격 정보는 플리트와 인접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따른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간격 정보는 특정 노드의 실제 도착 시간에 따른 시간 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상태 정보와 운행 간격 정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단계(260)에서, 관제 서버(600)는 운행 상태 정보 또는 운행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운행 상태 또는 운행 간격을 출력한다. 운행 상태 또는 운행 간격의 출력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플리트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운행 시간대에 따른 복수의 플리트의 예정 도착 시간(31) 및 실제 도착 시간(32)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예정 도착 시간(31) 및 실제 도착 시간(32)의 차가 출력될 수 있다. 관리자는 예정 도착 시간(31) 및 실제 도착 시간(32)에 기초하여 복수의 플리트의 운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리트의 예정 도착 시간(31) 및 실제 도착 시간(32)은 운행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관리자는 순차적인 예정 도착 시간(31) 및 실제 도착 시간(32)에 기초하여 복수의 플리트의 운행 간격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운행 정보에 따른 플리트의 운행이 운행 스케줄에 따른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빠름을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 또는 운행이 예정 운행보다 느림을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운행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플리트와 인접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정시성 평가 정보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리트 및 복수의 노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기점은 첫 번째 노드를, 종점은 마지막 노드에 대응될 수 있다.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러(500) 및 관제 서버(600)는 다음의 수학식들로부터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79014710-pat00001

[수학식 1]에서 TCV는 정시성 평가 정보를, J는 미리 정해진 노선에 포함된 노드의 수를, j는 미리 정해진 노선에 포함된 노드를, Tj는 j 번째 정류소까지의 예정 도착 시간을, Sj는 j 번째 정류소까지의 예정 도착 시간 대비 실제 도착 시간의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이하, 동일한 파라미터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Sj는 다음의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6079014710-pat00002

[수학식 2]에서 N은 플리트의 운행 횟수, 즉 동일 노선에 배치되는 플리트의 수를, ti j는 i 번째 플리트의 j 번째 노드까지의 실제 운행 시간을 의미한다. 일측에 따르면, 운행 스케줄러(500) 및 관제 서버(600)는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통해 기점부터 종점까지의 운행에 대한 복수의 플리트의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6079014710-pat00003

[수학식 3]에서 TCV는 정시성 평가 정보를, T는 종점까지의 예정 도착 시간을, S는 종점까지의 예정 도착 시간 대비 실제 도착 시간의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S는 다음의 [수학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6079014710-pat00004

[수학식 4]에서 N은 플리트의 운행 횟수, 즉 동일 노선에 배치되는 플리트의 수를, ti는 i 번째 플리트의 종점까지의 실제 운행 시간을 의미한다.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러(500) 및 관제 서버(600)는 운행 스케줄 및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노드부터 제2 노드까지의 운행에 대한 복수의 플리트의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노드 및 제2 노드는 기점 및 종점을 포함한 j 번째 노드일 수 있다. 운행자 및 관리자는 정시성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플리트의 운행 서비스를 평가하고, 운행 스케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 스케줄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운행 스케줄러(500)는 통신부(510), 프로세서(520), 저장부(530) 및 출력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운행 스케줄러(500)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데스크톱, 노트북, 랩톱, 넷북, 휴대 전화, 스마트폰, PMP, PDA, 및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부(510)는 운행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510)는 운행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관제 서버(600) 및 인접 플리트로부터 수신하거나, 운행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관제 서버(600) 및 인접 플리트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운행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520)는 스케줄 정보, 운행 정보, 운행 상태 정보, 정시성 평가 정보 또는 운행 간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운행 스케줄의 예정 도착 시간과 운행 정보의 실제 도착 시간의 차를 구하거나,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노드부터 제2 노드까지의 운행에 대한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20)는 인접 플리트의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운행 간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운행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530)는 통신부(510)로부터 수신한 운행 스케줄 정보나 인접 플리트의 운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5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케줄 정보, 운행 정보, 운행 상태 정보, 정시성 평가 정보 또는 운행 간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출력부(54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600)는 통신부(610), 프로세서(620), 저장부(630) 및 출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운행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610)는 운행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복수의 플리트로부터 수신하거나, 운행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복수의 플리트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운행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520)는 스케줄 정보, 운행 정보, 운행 상태 정보, 정시성 평가 정보 또는 운행 간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운행 스케줄의 예정 도착 시간과 운행 정보의 실제 도착 시간의 차를 구하거나,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노드부터 제2 노드까지의 운행에 대한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20)는 복수의 플리트의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운행 간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630)는 운행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530)는 통신부(510)로부터 수신한 운행 스케줄 정보나 복수의 플리트의 운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6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케줄 정보, 운행 정보, 운행 상태 정보, 정시성 평가 정보 또는 운행 간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출력부(64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관제 서버로부터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제1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플리트의 제1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행 스케줄과 상기 제1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리트의 상기 운행 상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 상에서 상기 제1 플리트의 실제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 상에서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1 인디케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방향 인디케이터, 상기 제1 플리트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플리트의 지연 정보
    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이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빠른 경우와 상기 제1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이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느린 경우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을 가리키고,
    상기 지연 정보의 크기는 상기 제1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과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 간의 차를 나타내는,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스케줄은,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에 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도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운행 정보는,
    상기 복수의 노드에 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실제 도착 시간을 포함하는,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는,
    제1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노드에 관한 상기 운행 스케줄의 예정 도착 시간과 상기 제1 운행 정보의 실제 도착 시간의 차를 포함하는,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은,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부터 상기 제2 노드까지의 운행에 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제2 플리트로부터 상기 제2 플리트의 제2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운행 정보와 상기 제2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와 상기 제2 플리트의 운행 간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간격 정보는,
    상기 제1 플리트와 상기 제2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와 상기 제2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10.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리트 중에 제1 플리트로 운행 스케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리트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행 스케줄과 상기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리트의 상기 운행 상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제1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 상에서 상기 제1 플리트의 실제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 상에서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1 인디케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방향 인디케이터, 상기 제1 플리트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플리트의 지연 정보
    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인디케이터는 상기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이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빠른 경우와 상기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이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느린 경우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을 가리키고,
    상기 지연 정보의 크기는 상기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과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 간의 차를 나타내는,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스케줄은,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에 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도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복수의 노드에 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실제 도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운행 상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노드에 포함된 제1 노드에 관한 상기 운행 스케줄의 예정 도착 시간과 상기 운행 정보의 실제 도착 시간의 차를 포함하는,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은,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부터 상기 제2 노드까지의 운행에 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간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와 제2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제 서버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16.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관제 서버로부터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제1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리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제1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행 스케줄과 상기 제1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리트의 상기 운행 상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전자 장치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 상에서 상기 제1 플리트의 실제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 상에서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1 인디케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방향 인디케이터, 상기 제1 플리트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플리트의 지연 정보
    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이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빠른 경우와 상기 제1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이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보다 느린 경우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을 가리키고,
    상기 지연 정보의 크기는 상기 제1 운행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운행과 상기 운행 스케줄에 따른 상기 제1 플리트의 예정 운행 간의 차를 나타내는,
    컴퓨터 프로그램.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은,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부터 상기 제2 노드까지의 운행에 대한, 상기 제1 플리트의 정시성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전자 장치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제2 플리트로부터 상기 제2 플리트의 제2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운행 정보와 상기 제2 운행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와 상기 제2 플리트의 운행 간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전자 장치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리트와 제2 플리트 간의 시간 차 정보 또는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전자 장치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95177A 2014-12-29 2015-07-03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KR101696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85,037 2014-12-29
US14/585,037 US9778045B2 (en) 2014-12-29 2014-12-29 Method for managing service schedule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056A KR20160080056A (ko) 2016-07-07
KR101696548B1 true KR101696548B1 (ko) 2017-01-23

Family

ID=5616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77A KR101696548B1 (ko) 2014-12-29 2015-07-03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78045B2 (ko)
KR (1) KR101696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8613B2 (en) * 2012-11-13 2015-07-21 Gogo Llc Ground system for vehicle data distribution
US11080734B2 (en) 2013-03-15 2021-08-03 Cdk Global, Llc Pricing system for identifying prices for vehicles offered by vehicle dealerships and other entities
US10867285B2 (en) 2016-04-21 2020-12-15 Cdk Global, Llc Automatic automobile repair service scheduling based on diagnostic trouble codes and service center attributes
US10853769B2 (en) * 2016-04-21 2020-12-01 Cdk Global Llc Scheduling an automobile service appointment in a dealer service bay based on diagnostic trouble codes and service bay attributes
US10296200B2 (en) * 2016-09-08 2019-05-21 Gt Gettaxi Limited Drag and drop map for marking pickup and drop off locations on a predetermined line
US11501351B2 (en) 2018-03-21 2022-11-15 Cdk Global, Llc Servers, systems, and methods for single sign-on of an automotive commerce exchange
US11190608B2 (en) 2018-03-21 2021-11-30 Cdk Glob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tomotive commerce exchange
KR102118283B1 (ko) 2019-03-22 2020-06-03 주식회사 씨앤와이텍 스마트 차량관제시스템
US11080105B1 (en) 2020-11-18 2021-08-03 Cdk Global,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outing API calls
US11514021B2 (en) 2021-01-22 2022-11-29 Cdk Global,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canning a legacy database
US11803535B2 (en) 2021-05-24 2023-10-31 Cdk Global,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multaneously running parallel databases
US11983145B2 (en) 2022-08-31 2024-05-14 Cdk Global, Llc Method and system of modifying information on f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167B1 (ko) 1998-08-21 2003-08-09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운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차량 운행 지원 장치
JP2006215671A (ja) * 2005-02-02 2006-08-17 Hitachi Systems & Services Ltd 路線バスの時刻表示システム
JP2007018149A (ja) * 2005-07-06 2007-01-25 Hitachi Ltd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ダイヤ管理装置、列車運行情報提供装置および列車運行情報提供方法
JP2011168172A (ja) 2010-02-18 2011-09-01 Hitachi Ltd 列車運行予測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76357A (en) * 1976-03-24 1980-10-08 Bongiorno D Railway system and vehicle for such a system
US7092894B1 (en) * 1994-09-01 2006-08-15 Harris Corporation Cost reactive scheduler and method
US5836529A (en) * 1995-10-31 1998-11-17 Csx Technology, Inc. Object based railroad transport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3742336B2 (ja) * 2001-12-20 2006-02-01 株式会社東芝 航法支援装置、この航法支援装置を搭載する航空機、航法支援方法、および航法支援処理プログラム
US6799097B2 (en) * 2002-06-24 2004-09-28 Modular Mining Systems, Inc. Integrated railroad system
US6631322B1 (en) * 2002-12-06 2003-10-07 General Electric Co.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management
US20080068164A1 (en) * 2006-09-12 2008-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nd controlling spacing between railroad trains
US8244466B2 (en) * 2008-10-30 2012-08-14 Ge Aviation Systems, Llc Method and systems for required time of arrival performance display
JP6129521B2 (ja) * 2012-11-19 2017-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列車のリアルタイム走行情報を活用した運行関連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US9020754B2 (en) * 2013-03-22 2015-04-28 Here Global B.V. Vehicle arrival prediction
US20170061794A1 (en) * 2014-07-02 2017-03-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formation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167B1 (ko) 1998-08-21 2003-08-09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운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차량 운행 지원 장치
JP2006215671A (ja) * 2005-02-02 2006-08-17 Hitachi Systems & Services Ltd 路線バスの時刻表示システム
JP2007018149A (ja) * 2005-07-06 2007-01-25 Hitachi Ltd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ダイヤ管理装置、列車運行情報提供装置および列車運行情報提供方法
JP2011168172A (ja) 2010-02-18 2011-09-01 Hitachi Ltd 列車運行予測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89438A1 (en) 2016-06-30
US9778045B2 (en) 2017-10-03
KR20160080056A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548B1 (ko) 플리트의 운행 스케줄 관리 방법
JP6815685B2 (ja) 車両システム構成とワイヤレス通信性能を相関させるための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089864B2 (en) Operating management system, operating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6396584B2 (ja) 到着時刻予測装置、到着時刻予測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2964268A (zh) 用于获得多模式路线的方法及系统
Ceder et al. Transfer synchronization of public transport networks
KR101661883B1 (ko) 교통수단의 도착시간 예측 방법 및 장치
JP6068634B2 (ja) 路線運行実績予測時刻生成システム、路線運行実績予測時刻生成方法及び路線運行実績予測時刻生成プログラム
US92739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trip patterns
EP2821314A2 (en) Train operation control system, train operation simulation device, and train operation simulation method
KR101606646B1 (ko) 도로교통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하는 트램우선신호제어시스템
CN102288186B (zh) 导航系统以及使用此导航系统的路径规划方法
CN105303245A (zh) 交通分析系统以及交通分析方法
JP2011168172A (ja) 列車運行予測システム
CN109945880B (zh) 路径规划方法、相关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9541412B1 (en) Metho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for providing a safe mobility area
CN111688717A (zh) 用于控制车辆通行的方法和装置
WO2020122965A1 (en) Autonomous vehicle train
JP5566144B2 (ja) 乗車車両推定システム、乗車車両推定装置、及び、乗車車両推定方法
Ullrich et al. A robust schedule for Montpellier's Tramway network
US10546307B2 (en) Method,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levels of user dissatisfaction with transportation routes
Zheng et al. Time-of-arrival taxi conformance monitoring for surface operations
JP201613942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658292B2 (ja) 走行支援装置
JP6533381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