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233B1 -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 및 그 탄두회수함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 및 그 탄두회수함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233B1
KR101696233B1 KR1020160010362A KR20160010362A KR101696233B1 KR 101696233 B1 KR101696233 B1 KR 101696233B1 KR 1020160010362 A KR1020160010362 A KR 1020160010362A KR 20160010362 A KR20160010362 A KR 20160010362A KR 101696233 B1 KR101696233 B1 KR 10169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late
warhead
water
plat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중
김선구
김선재
강민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김휘중
김선구
김선재
강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김휘중, 김선구, 김선재, 강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Priority to US15/163,91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90855B2/en
Priority to EP16173256.5A priority patent/EP3199908A1/en
Priority to CA2952033A priority patent/CA2952033C/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00Targets; Target stands; Target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1/00Target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 F41J13/02Bullet catchers combined with targ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탄두회수함은, 금속 재질의 사각파이프들을 직육면체 형태로 결합하여 구성한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전면부와 상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들에 도금강판들을 결합해서 내부에 공간을 만든 몸체(1a); 상기 몸체(1a)의 전면부에서 제1의 두께로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고무판 삽입홈(40a)을 갖는 전면 브라켓(40); 상기 전면 브라켓(40)의 고무판 삽입홈(40a)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전면 고무판(4); 상기 몸체(1a)의 내부 공간 안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전면 고무판(4)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내부 고무판(6); 상기 몸체(1a)의 내부 공간 안에서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의 후방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는 제2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2내부 고무판(7);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의 사이에 존재하는 탄두 포집공간(131); 상기 몸체(1a)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상부뚜껑(3); 상기 몸체(1a)의 양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이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고무판 지지대(6a); 상기 몸체(1a)의 양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내부 고무판(7)이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무판 지지대(7a); 상기 몸체(1a)의 내부에서 상기 탄두포집공간(131) 안에 채워지며, 입자 크기가 0.1~3㎜인 가루 충전재들(9); 상기 몸체(1a)의 밑면판(51)에 형성된 밑면 개구부(52); 및 상기 밑면판(51)에 대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밑면판(51)과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밑면 개구부(52)를 막을 수 있는 밑면 마개판(5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 및 그 탄두회수함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bullet head recovery box which is stackable, and bullet head recovery system at indoor shooting ranges using the same bullet head recovery box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lead fume}
본 발명은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 및 그 탄두회수함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군부대의 기존 실내 실탄사격장의 경우 피탄지(被彈地)가 철판으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탄두가 철판에 부딪치면서 탄두가 부서지고 탄두 안에 포함된 납, 구리 등의 중금속 성분들이 공기 중으로 퍼져서 환경오염의 피해가 컸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루 형태의 충전재를 이용해서 탄두를 손상없이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탄두에 포함된 납, 구리 등의 중금속 유해물질들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두를 회수하여 재활용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탄두 회수함 및 그 탄두 회수함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수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군부대 및 경찰에서 총기의 능숙한 사용을 훈련하기 위해서 실내 실탄 사격장의 설치 및 운영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실내 실탄 사격장에서 탄두가 피탄지의 철판에 부딪침에 의해 탄두에 들어있는 납, 구리 등의 중금속 성분들이 공기중으로 그대로 비산되고 흩어져서 공기를 오염시키고 주변의 환경에 피해를 준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군부대 및 경찰의 실내 실탄사격장 운영이 중단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기존의 실내사격장은 탄두를 받아들이는 피탄지가 철판으로만 제작되어 있어서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가 철판에 부딪칠 때 소음이 매우 크고, 탄두가 산산이 부서져서 으깨져버리므로 탄두를 회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렇게 탄두가 부서지는 과정에서 아주 작은 미립자 성분들로 쪼개지므로 탄두 중의 납, 구리와 같은 중금속 성분들이 그대로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사격장에서 훈련하는 군인, 경찰 등의 사람들에게 중금속 오염을 일으켜 건강을 해칠 염려가 있었으며, 실내 사격장 주변의 환경이 중금속 오염으로 큰 피해를 받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탄두 속에 포함된 납, 구리 등의 중금속 성분들은 한편으로는 소중한 자원들인데, 이러한 자원들을 전혀 재활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전액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가의 국방 및 경찰 예산의 운영에 관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우리나라의 군부대 및 경찰 훈련소에 설치된 실내사격장들의 조속한 정상 운영화를 위하여 탄두를 손상없이 수집할 수 있도록 하고, 탄두 파쇄로 인한 공기의 중금속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탄두 회수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탄두 회수함 안에 복수 개의 고무판들을 설치하고 그 안에 0.1~3㎜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고무가루 충전재들을 채워 실내 실탄 사격장에서 발사된 탄두를 손상없이 포집하도록 한 탄두회수함 및 그 탄두회수함을 실내 실탄 사격장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탄두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내 실탄사격장의 피탄지를 기존의 철판을 이용하는 방식에서 가루충전재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새롭게 개선하여 납 성분 연기(납흄)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사격장의 조기 정상화와 창조 국방에 기여할 수 있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실탄사격장의 피탄지에 박스 형상의 탄두회수함들을 높이방향으로 필요한 단수 만큼 적층하여 탄두를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고무가루 충전재에 의해 탄두가 손상없이 안전하게 포집될 수 있도록 하고, 탄두를 안정적인 방식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탄두에 포함한 소중한 자원인 구리와 납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두회수함의 가루충전재에 탄두가 포집되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사격장의 탄두포집부에 물을 방출할 수 있는 살수관을 설치하되, 살수관을 통해서 방출된 물은 계속적으로 화재방지를 위한 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실탄사격장에서 사용된 물을 외부에 폐수로 방출하지 않는 '폐수 무방류 시스템'을 확립한 탄두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군대에서 사용연한이 끝나 폐기된 상태에 있는 폐함선을 이용해서 그 폐함선의 내부에 실내 실탄 사격장을 꾸밀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군함 등의 폐함선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은, 금속 재질의 사각파이프들을 직육면체 형태로 결합하여 구성한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전면부와 상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들에 도금강판들을 결합해서 내부에 공간을 만든 몸체(1a); 상기 몸체(1a)의 전면부에서 제1의 두께로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고무판 삽입홈(40a)을 갖는 전면 브라켓(40); 상기 전면 브라켓(40)의 고무판 삽입홈(40a)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전면 고무판(4); 상기 몸체(1a)의 내부 공간 안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전면 고무판(4)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내부 고무판(6); 상기 몸체(1a)의 내부 공간 안에서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의 후방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는 제2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2내부 고무판(7);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의 사이에 존재하는 탄두 포집공간(131); 상기 몸체(1a)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상부뚜껑(3); 상기 몸체(1a)의 양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이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고무판 지지대(6a); 상기 몸체(1a)의 양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내부 고무판(7)이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무판 지지대(7a); 상기 몸체(1a)의 내부에서 상기 탄두포집공간(131) 안에 채워지며, 입자 크기가 0.1~3㎜인 가루 충전재들(9); 상기 몸체(1a)의 밑면판(51)에 형성된 밑면 개구부(52); 및 상기 밑면판(51)에 대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밑면판(51)과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밑면 개구부(52)를 막을 수 있는 밑면 마개판(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은, 상기 가루 충전재(9)가 고무, 합성고무, 천연고무, 폐타이어의 분쇄물, 카본블랙, 실리카 및 실리콘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은, 상기 몸체(1a)의 밑면판(51)에 결합되어 설치된 지지다리(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5)는, 상기 몸체(1a)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사각파이프(5a), 상기 사각파이프(5a)의 전방에 배치되며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탄두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블록(5c), 및 상기 사각파이프(5a)와 고무블록(5c)의 사이에 개재된 자석(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은, 실내 실탄사격장(101)에 있어서 실탄을 사용하는 총기(7)로부터 탄두(8)를 발사하는 총기 발사위치(106a); 상기 총기 발사 위치(106a)로부터 제3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표적; 및 상기 표적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총기(7)에 의해 발사되어 비행한 탄두(8)를 포집하는 탄두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두 포집부는 높이방향으로 적층 설치된 복수 개의 탄두회수함들(1)을 포함하며, 상기 탄두회수함(1)은, 금속 재질의 사각파이프들을 직육면체 형태로 결합하여 구성한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전면부와 상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들에 도금강판들을 결합해서 내부에 공간을 만든 몸체(1a), 상기 몸체(1a)의 전면부에서 제1의 두께로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고무판 삽입홈(40a)을 갖는 전면 브라켓(40), 상기 전면 브라켓(40)의 고무판 삽입홈(40a)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전면 고무판(4), 상기 몸체(1a)의 내부 공간 안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전면 고무판(4)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내부 고무판(6), 상기 몸체(1a)의 내부 공간 안에서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의 후방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는 제2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2내부 고무판(7),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의 사이에 존재하는 탄두포집공간(131), 상기 몸체(1a)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상부뚜껑(3), 상기 몸체(1a)의 양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이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고무판 지지대(6a), 상기 몸체(1a)의 양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내부 고무판(7)이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무판 지지대(7a), 상기 몸체(1a)의 내부에서 상기 탄두포집공간(131) 안에 채워지며 입자 크기가 0.1~3㎜인 가루 충전재들(9), 상기 몸체(1a)의 밑면판(51)에 형성된 밑면 개구부(52), 및 상기 밑면판(51)에 대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밑면판(51)과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밑면 개구부(52)를 막을 수 있는 밑면 마개판(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은, 상기 탄두 포집부가, 상기 적층 설치된 탄두 회수함들(1)의 상단에 설치된 살수관(116); 상기 살수관(1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살수관(116)의 둘레를 감쌈으로써 상기 총기(7)에서 발사된 탄두(8)에 의해 상기 살수관(116)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케이스(117); 및 상기 탄두회수함들(1)의 내부 또는 주변 1m 이내의 공간 안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센서(10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수관(116)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503); 상기 물 공급관(503)상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상기 물 공급관(503)으로 물을 보내거나 또는 보내지 않도록 하는 전동밸브(504); 상기 화재감지센서(108) 및 전동밸브(5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재감지센서(108)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서 상기 탄두 포집부 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전동밸브(504)에 개방 제어신호를 출력해서 살수관(116)으로부터 물이 방출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탄두 포집부의 전방에서 바닥면에 홈을 파서 설치된 배수 트렌치(105); 상기 배수 트렌치(105)를 통해서 방출된 물을 집수하는 집수조(500); 및 상기 집수조(5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수조(500) 내의 물을 상기 물 공급관(503)으로 보내는 수중펌프(5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두 회수함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므로 높이 방향으로 원하는 단수만큼 적층이 가능하며 기존의 실내 실탄사격장들의 큰 구조변경없이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탄두 회수함은 가루충전재들과 탄두의 분리 회수가 용이하여 후처리에 드는 관리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은 실내 사격장에서 탄두의 파손 및 분쇄 비산에 의해 납, 구리 등의 중금속 물질들이 공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실내 사격장 주변의 환경보호와 자원재활용 등에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루충전재와 고무판을 사용한 탄두 포집 구조에 의해서 탄두를 손상없이 안전하게 포집하여 탄두 중의 납 성분들이 연기로 비산하면서 생기는 납흄(lead fume)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그 결과 현재 환경오염의 문제점으로 인해 운영에 제약을 받고 있는 군부대와 경찰의 실내 실탄사격장들을 조기 정상화시켜 창조 국방 및 치안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가루 등을 포함한 가루 충전재로 탄두포집부를 구성하여 탄두가 가루 충전재에 의해 손상없이 안전하게 포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두의 안정적인 회수를 가능하도록 하고, 탄두에 포함된 소중한 자원인 구리와 납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재방지를 위한 화재감지센서 및 살수장치를 갖추고 있어서 만일의 경우에 탄두와 가루충전재의 마찰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조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실내 사격장을 운영할 수 있게끔 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화재 진압에 사용된 물은 외부로 방출됨이 없이 계속적으로 재활용하도록 하였으므로 환경보호와 물 절약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 오염 원인을 설명하며,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가 사격장의 철판에 부딪쳐 납흄(lead fume) 및 분진을 발생하는 장면을 함께 도시한다.
도2는 탄환(80)의 단면구조도이다.
도3은 종래의 철판으로 된 피탄지(被彈地)를 갖는 실내 사격장과 본 발명에 따른 탄두 포집부를 갖는 실내 사격장에서의 납 농도의 검출결과를 그래프로 대비하여 표시한 것이다.
도4 및 도5는 기존의 철판 피탄지를 갖는 실내 사격장의 피탄지(820)에서의 납 성분의 분진(8b) 상태와 납 성분 잔해(8a)의 사진들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1)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에 도시된 탄두회수함(1)의 상부뚜껑(3a)을 분리하여 탄두회수함(1)의 내부 구조가 일부 보이게 도시한 것이다.
도8 및 도9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탄두회수함(1)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10은 도8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탄두회수함(1)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도8의 Y-Y선을 따라 절단한 탄두회수함(1)의 단면도이다.
도12는 도8의 Z-Z선을 따라 절단한 탄두회수함(1)의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14는 도13에 도시된 탄두 회수 시스템(100) 중의 탄두 포집부(130)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15는 도6에 도시된 탄두회수함(1)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고 수평방향으로 복수열 설치하여 탄두 포집부(130)를 구성한 예를 도시한다.
도16은 도13에 도시된 탄두 포집부(130)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17은 도16에서 탄두 포집부(130)의 탄두회수함들(1) 앞에 표적이동기(111)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표적판(110a)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8은 본 발명에 있어 하나의 탄두회수함(1)의 전면 면적 중의 일부 위치에 표적판을 위치시키고, 그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탄두들을 포집하는데 있어 하나의 탄두회수함의 전면 면적 전체를 골고루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의 평면구성도이다.
도20은 대테러 작전 등의 특수전 상황에서 실탄 사격훈련을 할 수 있도록 꾸며진 실내 사격장(101a)에 본 발명에 따른 탄두회수함(1)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도21 및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탄두회수함을 실내 사격장에 적용함에 있어 전면 고무판의 재질별로 시험 사격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수 회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루 충전재(9)의 입자 크기별로 탄두(8)의 회수 상태를 보인다.
도2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사격훈련 후에 납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고, 도25는 구리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26은 본 발명의 실내 실탄 사격장에서 포집된 탄두들(8)을 회수하기 위한 이동식 탄두 분리 회수장치(310)를 도시한 것으로서, 탄두 수거차량(300) 위에 탄두 분리 회수장치(310)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다.
도27은 도26의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 장치(310)를 사시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28은 도26의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 장치(310)의 진동호퍼(313) 위에 도6의 탄두회수함(1)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탄두회수함(1)의 밑면 마개판(53)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탄두회수함(1) 안의 가루 충전재(9)와 탄두들(8)이 분리 스크린(314) 위로 쏟아져 내리고 있다.
도29는 도28의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317)가 작동하여 진동호퍼(313)가 강제적으로 흔들림으로써 탄두회수함(1)안의 가루 충전재들(9)과 탄두들(8)이 진동호퍼(313) 안으로 쏟아져 내리고, 분리스크린(314)에 의해 탄두(8) 만의 분리가 진행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30은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장치(310)를 이용한 탄두(8)와 가루 충전재들(9) 간의 분리가 완료되어, 탄두(8)는 분리스크린(314) 위에 남겨지고, 가루 충전재들(9)은 진동호퍼(313)의 하부에 있는 충전물 회수통(311) 안에 담겨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31은 LST(landing ship tank) 함선(600)의 평면도(그림<a>)와 측면도(그림<b>)를 도시한다.
도32는 도31의 LST 함선의 내부공간(601)에 본 발명에 따른 탄두 회수 시스템을 적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과 상기 탄두회수함들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 오염 원인을 설명하며, 특히 도1의 하단 그림 부분에는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가 사격장의 철판에 부딪쳐 납흄(lead fume) 및 분진을 발생하는 장면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1을 참고하면, 국군의 표준 소총탄으로 사용되는 5.56㎜ x 45㎜ 탄환(80)의 탄두(8)에는 약 2.44g의 납(Pb)이 포함되어 있다. 도1의 상단 우측의 작은 그림에는 탄환(80)의 앞부분에 탄두(8)가 위치하고, 탄환(80)의 나머지 공간은 탄약(81)으로 채워진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1의 중간단에 위치한 그림들에는 5.56㎜ 보통탄과 7.62㎜ 보통판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들의 함유량들이 원형 차트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5.56㎜ 보통탄의 경우에는 탄두의 중량이 3.55g이고, 그 중에서 69%가 납으로 채워져 있다. 그리고 7.62㎜ 보통탄의 경우에는 탄두의 중량이 9.56g이고, 그 중에서 77%가 납으로 채워져 있다.
도1의 제일 아래단의 작은 그림들에는 사진들에는 탄두(8)가 사격장에 설치된 피탄지의 철판에 부딪쳐서 납흄 및 분진이 발생하는 장면이 나타나 있다. 기존의 실내 실탄 사격장의 경우에는 이렇게 탄두가 철판에 부딪쳐서 가루가 되어 버리고 그 미세한 가루들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므로 공기 오염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우리나라의 군 및 경찰에서 사용하는 개인화기로서의 소화기(小火器)에 사용되는 탄약은 구경이 30㎜(0.6인치)이하의 탄약으로서, 소화기 탄약에는 권총 탄약(구경 9㎜, 22㎜), 소화기 탄약(5.56㎜, 7.62㎜), 기관총 탄약(5.56㎜, 7.62㎜) 등이 있으며, 소화기 탄약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2에 나타나 있다.
도2를 참고하면, 탄환(탄약, 80)은 크게 화약(81)을 담아 폭발력에 의해서 탄두(8)에 발사에너지를 제공하는 약협부(801)와 상기 약협부(801)의 앞쪽에 결합된 탄두(8)로 구성된다. 상기 약협부(801)는 탄피라고도 불리는 약협(藥莢, carriage case, 805)과 상기 약협(805) 안에 내장된 추진화약(81)으로 구성되며, 약협(805)의 아랫부분에는 추출홈(8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두(8)는 탄자(彈子)라고도 부르는데, 껍데기에 해당하는 피갑(jacket, 802)과 그 내부의 탄심(803) 및 그 사이 공간을 채우는 탄두충전물(incendiary, 80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갑(802)은 니켈, 황동(구리+아연의 합금)으로 구성되고, 탄두 충전물(804)은 안티몬(Sb) 및 납(Pb)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납은 탄두(8)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각 탄환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대략적으로 69~85%의 중량을 차지하며, 구리는 전체 탄두 중량의 14~27%를 차지하고, 아연은 0.7~4%의 중량을 차지한다. 탄두 제조시 미량으로 사용되는 안티몬은 강도 증진과 화학적 부식방지, 수축 방지 및 합금의 융점을 낮추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평균적으로 1.5% 범위 내에서 함유된다.
도3은 종래의 철판으로 된 피탄지가 설치된 실내 사격장과 본 발명에 따른 탄두 포집부가 설치된 실내 사격장에서의 납 농도의 검출결과를 각각 그래프로 대비하여 표시한 것으로서, 이 중 그림<a>는 종래의 철판 피탄지를 갖는 기존 실내 사격장의 사선(射線)과 피탄지에서 검출한 납 농도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그림<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내 사격장의 사선과 피탄지에서 검출한 납 농도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을 참고하면, 실내 실탄사격장에 대해서 설정된 납 검출농도의 기준치는 0.05㎎/㎥인데, 기존의 실내 사격장의 경우에는 총기를 발사하는 사선(射線)에서의 납 농도가 2㎎/㎥ 이상으로 검출되었으며, 피탄지에서의 납 농도는 2.4㎎/㎥ 정도가 검출되어서 기준치 0.05㎎/㎥의 약 1000배를 넘는 높은 수치가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수 회수 시스템이 적용된 실내 실탄사격장의 경우에는 피탄지에 고무가루 충전재를 사용한 결과, 사선에서의 납 농도가 0.018㎎/㎥ 정도로 나타났으며, 피탄지에서의 납 농도는 0.026㎎/㎥ 정도로 나타나서 기준치 0.05㎎/㎥보다 훨씬 오염도가 낮은 결과를 얻었다(그림<b> 참조).
도4 및 도5는 기존의 철판 피탄지가 설치된 실내 실탄사격장의 피탄지(820)에서 볼 수 있는 납 성분의 분진(8b) 상태와 납 성분 잔해(8a)를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우선, 도4를 참고하면, 사격을 마친 후에는 피탄지의 철판 바닥에 삽으로 쓸어 담을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양의 분진들이 쌓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철판 피탄지의 바닥에서의 분진량은 235g/㎡이며, 분진 중의 납의 농도는 31.3g/kg으로 납에 의한 오염이 매우 높았다. 이 오염농도의 수치는 일반적인 토양오염의 대책 기준보다 약 1,00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이에 대한 대책을 시급하게 세울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도5는 종래의 실내 실탄 사격장에 설치된 철판 피탄지의 바닥에서 볼 수 있는 납 성분의 잔해(8a)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1)의 사시도이다. 도6을 참고하면, 탄두 회수함(1)은 직육면체형의 박스와 같은 외형을 갖고 있으며, 내부에 공간을 갖고 있는 몸체(1a)의 상면 개구부에 상부뚜껑(3)이 덮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몸체(1a)의 전면부에는 표적지(41)가 부착된 전면 고무판(4)이 위치하며, 상기 전면 고무판(4)은 몸체(1a)에 고정 설치된 전면 브라켓(4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표적지(41)에는 표적(42) 그림이 도시되어 있으며, 표적지(41)는 부착핀(43) 등의 수단에 의해서 상기 전면 고무판(4)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몸체(1a)의 밑면판(51, 도9 참조)에는 지지다리(5)가 설치되어, 상기 탄두회수함(1)이 지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탄두회수함(1)이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될 때 지지다리(5)가 하부에 있는 탄두회수함(1)의 상부뚜껑(3) 부분에 놓여질 수 있어서 탄두회수함들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6에서 도면부호 2는 몸체(1a)의 측면판(2)을 가리키는데, 측면판(2)은 그 내부에 금속 재질의 사각파이프들(23, 도8 참조)이 뼈대를 구성하고, 겉에는 도금강판(21)이 둘러씌워져 있다.
이때, 상기 도금강판(21)으로는 갈바늄(galvalum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갈바늄은 알루미늄과 아연을 혼합하여 만든 도금강판으로서, 부식에 강하고 도금 표면에 매끄러움, 평탄함과 흰 금속성의 외관을 제공하여 깨끗하게 보이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a)의 내부에서 뼈대로서의 프레임(20, 도8 참조)을 구성하는 사각파이프들(23)은 철, 알루미늄, 기타 합금을 사용한 금속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아연도금한 강철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a)의 전면부에 L자형으로 돌출 절곡되어 설치된 전면 브라켓(40)은 철제 또는 갈바늄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6에 도시된 상부뚜껑(3)은 손잡이(3a)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람이 손잡이(3a)를 잡고 상부뚜껑(3)을 들어올릴 수 있다(도7 참조).
도7은 도6에 도시된 탄두회수함(1)의 상부뚜껑(3a)을 분리하여 탄두회수함(1)의 내부 구조가 일부 보이게 도시한 것이다.
도7을 참고하면, 탄두회수함(1)의 몸체(1a)의 내부에는 상기 전면 고무판(4)과 나란한 방향으로 2개의 고무판들, 즉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이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은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설치된 제1고무판 지지대들(6a)의 틈새 사이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내부 고무판(7) 역시 마찬가지로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마련된 제2고무판 지지대들(7a)의 틈새 사이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은, 탄두회수함(1)의 전면고무판(4)을 뚫고 날아 들어온 탄두를 포집할 수 있는 탄두포집공간(131, 도8 참조)이며, 상기 탄두포집공간(131)에는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가진 가루 충전재들(9)이 채워진다. 상기 가루충전재들(9)은 0.1~3㎜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고무, 합성고무, 천연고무, 폐타이어의 분쇄물, 카본블랙, 실리카 및 실리콘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루충전재들(9)은 미세한 입자 크기로 된 분말 형태이므로, 탄두(8)가 탄두회수함(1) 안으로 뚫고 들어왔을 때 탄두의 충격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하며, 탄두(8)를 손상없이 정지시켜 포집할 수 있다.
한편, 도7에서는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두포집공간(131)에만 가루 충전재들(9)이 채워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처럼 탄두포집공간(131) 안에만 가루 충전재들(9)을 채워넣어도 되고, 혹은 이와 달리 탄두회수함(1)의 몸체(1a) 내부공간 전체를 가루 충전재들(9)로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탄두 회수함(1)의 몸체(1a) 내부 공간 전체에 가루충전재들(9)를 채울 경우에는 가루충전재(9)의 사용량이 많아져서 가루충전재(9)의 교체 작업 등에는 시간과 노력이 더 많이 드는 단점은 있지만, 탄두(9)의 충격량을 흡수하는 데는 보다 효과적이어서 발사력이 큰 대형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를 포집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도8 및 도9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탄두회수함(1)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우선 도8은 도6과 같은 각도에서 탄두회수함(1)의 구성부분들을 분리하여 내부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인데, 탄두회수함(1)의 몸체(1a)가 사각파이프들(23)로 짜여진 프레임(20) 위에 도금강판들(21, 22)이 안팎으로 결합되어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몸체(1a)의 측면판(21)과 후면판은 사각파이프들(23)로 뼈대가 짜인 프레임(20) 위에 도금강판들(21, 22)이 안팎으로 결합된 것이며, 밑면판(51, 도9)은 프레임(20)의 바깥쪽으로만 도금강판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1a)의 전면부에 설치된 전면 브라켓(40)은 L자형으로 절곡되어, 몸체(1a)의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사각파이프(23)와의 사이에서 고무판 삽입홈(40a)을 가지는데, 상기 고무판 삽입홈(40a)으로 전면 고무판(4)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사용이 끝난 전면 고무판(4)은 다시 빼내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는 제1고무판 지지대(6a)와 제2고무판 지지대(7a)가 각각 한 쌍씩 설치되는데, 그 제1 및 제2고무판 지지대들(6a, 7a)의 사이에 마련된 홈을 따라서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무판 지지대(6a)와 제2고무판 지지대(7a)는 사각파이프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표면이 아연 도금 처리된 사각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는 탄두회수함(1)을 아래쪽으로부터 비스듬히 올려다 본 각도에서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인데, 탄두회수함(1)의 밑면판(51)에 밑면 개구부(52)가 형성되어 있고, 밑면판(51)에 밑면 마개판(5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 탄두회수함(1)의 몸체(1a)의 밑면판(51)에 형성된 밑면 개구부(52)는 탄두회수함(1) 안에 든 가루 충전재들(9)을 배출시키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며, 밑면 마개판(53)은 상기 밑면판(51)에 결합될 수 있다. 밑면판(51)의 밑면 개구부(5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돌출턱(51a)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 마개판(53)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슬라이딩 홈(53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홈(53b)과 돌출턱(51a) 간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밑면 마개판(53)이 밑면판(51)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밑면 마개판(53)에는 손잡이(53a)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람이 손잡이(53a)를 잡고 밑면 마개판(53)을 밑면판(51)에 끼워넣거나 빼내는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탄두회수함(1)의 밑면에는 지지다리(5)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다리는 사각파이프(5a), 고무블록(5c) 및 자석(5b)이 일렬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사각파이프(5a)는 탄두 회수함(1)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좌우에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며, 철, 알루미늄, 기타 합금을 사용한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특히 아연도금된 철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각파이프(5a)는 볼트 등의 수단을 사용해서 밑면판(51)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용접 방식에 의해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사각파이프(5a)의 앞에는 자석(5b)이 결합되며, 이 자석(5b)은 탄두 회수함들을 적층 설치할 때에, 밑에 위치한 또 다른 탄두회수함의 몸체와 끌어당겨 서로 잘 붙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석(5b)의 앞쪽에는 고무블록(5c)이 위치하는데, 상기 고무블록(5c)은 뒤쪽의 자석(5b)과 사각파이프(5a)를 탄두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9에는 측면판(2)을 이루는 도금강판(21)이 볼트(2a) 등의 수단에 의해서 프레임(20)의 사각 파이프(23)에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는데, 이와 달리 도금강판(21) 자체를 사각파이프(23)에 직접 용접해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10은 도8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탄두회수함(1)의 단면도이다. 사각파이프들(23)로 짜여져 구성된 프레임의 하부에 지지다리를 구성하는 또 다른 사각파이프(5a)가 결합된 것이 나타나 있다. 도10에서 도면부호 H1은 탄두회수함(1)의 몸체(1a)의 전체 높이를 가리키며, H2는 지지다리를 구성하는 사각파이프(5a)의 두께 혹은 높이를 가리키고, H4는 프레임(2)을 구성하는 사각파이프(23)의 두께 혹은 높이를 가리키며, H2는 몸체(1a)의 전체 높이(H1)에서 상기 H3 및 H4의 높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높이를 가리킨다. 그리고 L1은 탄두회수함(1)의 좌우 너비를 가리키며, L14는 프레임(2)을 구성하는 사각파이프(23)의 폭을 가리킨다. L2는 상기 탄두회수함(1)의 전체 폭(L1)에서 양측 사각파이프들(23)의 폭(L14)들을 제외한 나머지 폭을 가리킨다.
도11은 도8의 Y-Y선을 따라 절단한 탄두회수함(1)의 단면도이다. 도11을 참고하면, 도면부호 L10은 몸체(1a)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리키며, 몸체(1a)의 앞쪽에 설치된 전면 브라켓(40)은 'ㄷ'자형으로 된 고무판 삽입홈(40a)을 가지고, 상기 고무판 삽입홈(40a)의 간격은 t1이다. 이때, 도면부호 L7은 상기 전면 브라켓(40)의 폭을 가리키며, L21은 탄두회수함의 전체 폭(L1)에서 전면 브라켓(40)의 양쪽 폭(L7)들을 제외한 나머지 폭을 가리킨다.
그리고 상기 제1고무판 지지대(6a)와 제2고무판 지지대(7a)는 사각파이프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면 모양의 사이즈가 25㎜ x 40㎜인 아연도금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1에서 상기 제1고무판 지지대(6a)와 제2고무판 지지대(7a)의 전후방향으로의 폭(L6, L4)은 25㎜가 된다. 상기 제1고무판 지지대(6a)와 제2고무판 지지대(7a)에 의해 만들어진 각각의 홈들의 간격(L5, L3)은 제1 및 제2내부 고무판들(6, 7)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에는 밑면판(51)에 밑면 개구부(52)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밑면 개구부(52)는 L12의 폭을 가지며, 밑면판(51)에서 밑면 개구부(52)의 폭(L1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폭은 각각 L11과 L13이 된다.
도12는 도8의 Z-Z선을 따라 절단한 탄두회수함(1)의 단면도이다. 도12에서 도면부호 L15와 L9는 몸체(1a)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위치하는 사각파이프들(23)의 두께이며, L7은 상기 전면부의 사각파이프와 제1고무판 지지대(6a)와의 거리이고, L19는 제1고무판 지지대(6a)와 제2고무판 지지대(7a)간의 거리이며, L8은 제2고무판 지지대(7a)와 몸체(1a) 뒤쪽의 사각파이프(23) 간의 거리이다. 한편, 밑면판(51)의 하면에 결합된 사각파이프(5a)의 길이는 L18이고, 그 앞에 결합된 자석(5b)의 길이는 L16이며, 맨 앞에 위치한 고무블록(5c)의 길이는 L17이다.
도10 내지 도12를 참고하면, 상기 탄두회수함(1)의 몸체(1a)의 앞뒤 방향으로의 길이(L10)는 0.8~1.2m이고, 상기 몸체(1a)의 좌우 방향으로의 폭(L1)은 1~1.5m이며, 몸체(1a)의 높이(H1)는 0.9~1.3m이고, 상기 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각각의 사각파이프들(23)의 경우 단면 모양에 있어 한 변의 길이(H14, L14, L15, H4, L9)가 30~60㎜이고, 금속 재질 부분의 두께는 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금강판들(21, 22)의 두께는 1~1.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면 고무판(4), 제1내부 고무판(6) 및 제2내부 고무판(7)의 두께는 12~2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고무판(4)과 제1내부 고무판(6) 간의 이격 거리는 0.14~0.25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간의 이격거리는 0.5~0.7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자들이 실험한 바에 따르면, 상기 탄두회수함(1)의 몸체(1a)의 앞뒤 방향으로의 길이(L10)를 1m로 하고, 상기 몸체(1a)의 좌우 방향으로의 폭(L1)은 1.3m로 하며, 몸체(1a)의 높이(H1)는 1.1m로 하고, 상기 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각각의 사각파이프들(23)의 단면 모양은 40㎜ x 40㎜로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전면 고무판(4), 제1내부 고무판(6) 및 제2내부 고무판(7)의 두께는 15㎜로 하고, 전면 고무판(4)과 제1내부 고무판(6) 간의 이격 거리는 0.19~0.21m로 하며,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 간의 이격거리는 0.6~0.65m로 하는 경우에 가장 좋은 탄두 회수 효율을 나타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13을 참고하면, 실내 실탄사격장(101)의 한쪽 끝에는 발사위치(106a)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탄두 포집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사위치(106a)에서 사격수(106)는 총기(107)를 발사할 수 있으며, 발사위치(106a)로부터 날아온 탄두(8)는 표적판(109)을 관통하여 상기 탄두 포집부(130)의 탄두회수함들(1) 속으로 들어가 박혀서 정지한다. 탄두 회수함들(1)의 탄두 포집공간(131, 도8 참조) 안에는 고무가루 등의 작은 알갱이들로 이루어진 가루 충전재들(9)이 채워지므로, 탄두(8)가 탄두 회수함(1)의 전면 고무판(4, 도6 내지 도8)을 뚫고 탄두 포집공간(131)안으로 들어간 후에는 가루 충전재(9)와 부딪쳐 운동에너지가 소멸되며, 깨짐이 없이 원형 그대로 안전하게 정지하게 된다.
군 부대와 경찰 훈련소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존의 실내 실탄사격장들은 철판으로 제작된 피탄지(120)를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탄두 회수 시스템의 탄두 포집부(130)를 기존의 실내 실탄사격장들에 보다 수월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철판으로 된 피탄지(120)를 아예 뜯어내기 보다는 그 철판으로 된 피탄지(120) 설비를 활용해서 거기다가 탄두 포집부(130)를 더 접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실내 실탄사격장들(101)은 발사위치(106a)의 반대쪽 끝에 상부 기존철판(122)과 하부 기존철판(121)으로 구성된 철판 피탄지(120)가 존재하였는데, 이러한 기존의 철판 피탄지(120)를 그대로 두고, 그 앞쪽에 본 발명의 탄두회수함(1)을 이용한 탄두 포집부(13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기존의 철판 피탄지(120)는 탄두(8)가 철판에 부딪친 다음 바깥으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 기존철판(122)과 하부 기존철판(121)이 마치 '>'자 형태로 벌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었다. 즉, 상부 기존철판(122)은 앞쪽 단부가 천장에 연결되고, 실내 사격장의 후방을 향해서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자세로 설치되어 있었으며, 하부 기존철판(121)은 그 앞쪽 단부가 실내 사격장(101)의 바닥면(102)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내 사격장의 후방을 향해 점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진 자세로 설치되어 있었다. 그 결과 상부 기존철판(122)과 하부 기존철판(121)은 발사위치(106a) 쪽을 향해서 마치 입을 벌린 것처럼 '>'형태로 벌어져 있었으며, 철판들(122, 121)의 뒤쪽 단부는 후방끝에서 서로 만나 결합되어 있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두 포집부(130)는 탄두회수함들(1)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쌓은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탄두회수함들의 적층구조는 수평방향으로(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종의 벽처럼 설치된다(도15 및 도16 참조).
상기 탄두 회수함(1)에 채워지는 가루 충전재(9)로는 입자 크기가 0.1~3㎜인 고무가루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충전재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탄두(8)가 충돌해서 박힐 때 탄두(8)를 손상시키지 않아 탄두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고무가루 등의 충전재는 입자 크기가 1.5㎜이하인 것을 사용할 때에 탄두의 회수율이 93%가 넘게 되어, 우수한 탄두 회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가루 충전재(9)의 소재로는, 고무, 합성고무, 천연고무, 폐타이어의 분쇄물, 카본블랙, 실리카 및 실리콘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가루 충전재(9) 속에 분말 소화약제 성분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말 소화약제를 가루 충전재(9) 중에 포함시켜 탄두회수함(1) 안에 채워두면 만에 하나 혹시라도 탄두(8)와 충전재(9)의 마찰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분말 소화약제 성분의 방화(防火) 기능에 의해서 조기에 신속하게 화재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가루 충전재(9) 중에 혼합된 분말 소화약제의 중량은 상기 가루 충전재(9) 전체 중량의 2~1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3을 참고하면, 상기 탄두 포집부(130)의 상단부에는 물을 살포할 수 있는 살수관(撒水管, 1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살수관(116)의 둘레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금속재질의 보호케이스(117)가 설치되어 있어서 탄두(8)와의 충격으로 인해 살수관(116)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보호 케이스(117)의 밑판에는 다수개의 타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살수관(116)으로부터 방출된 물이 탄두 회수함(1) 쪽으로 쏟아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살수관(116)은 물 공급관(503)에 의해서 물을 공급받는데, 화재감지센서(108)에 의해서 화재 혹은 연기가 감지되면 제어부(506)는 전동밸브(504)와 수중펌프(501)를 작동시켜서 물 공급관(503)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살수관(116)에 의해서 방출된 물은, 탄두 포집부(130)의 바로 앞에 형성된 배수 트렌치(105)를 통해서 실내 실탄사격장(101)의 외부로 배수되며, 이렇게 빠져나간 물은 배수관(105a)과 물 유입관(502)을 통해서 집수조(500)로 흘러 들어가 모인다. 상기 집수조(500)는 실내 실탄 사격장(101) 공간의 지하에 설치되거나 또는 사격장 건물의 외부에 인접해서 설치될 수 있는데, 물의 자연스런 배수 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집수조(500)는 땅속에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조(500)의 내부에는 배수 트렌치(105)를 통해서 흘러나온 물이 모이는데, 물 속에는 수중펌프(501)가 설치되어 있어서 펌프(501)의 작동에 의해 물 공급관(503)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동밸브(504)는 물 공급관(503)의 라인 중에 설치되며, 집수조(500)의 물을 공급받거나 또는 별도의 상수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물 공급관(503)으로 보내는 일을 담당한다. 따라서 상기 전동밸브(506)는 집수조(500)의 물과 상수관의 물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물 공급관(503)으로 보낼 수 있도록 3방 밸브의 형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506)는 화재감지센서(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탄두 포집공간(130)안에 화재 또는 연기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에는, 수중펌프(501)와 전동밸브(504)를 작동시켜서 살수관(116)을 통해 물이 방출되도록 한다.
총기(107)를 발사하는 순간에는 탄환의 탄약이 연소하여 화약연기가 발생하고, 또 탄두가 탄두회수함(1)들의 고무판들(4, 6)을 뚫고 들어가는 순간에도 분진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화약연기와 분진들을 그대로 놔두면 실내 실탄사격장(101) 내의 공기가 오염되어 사격훈련을 하는 사람들의 건강에 좋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탄두 회수 시스템(100)은 발사위치(106a) 인근과 탄두 포집부(130)의 앞쪽에 공기를 빨아들여서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는 공조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발사위치(106a)의 차단벽(106b) 인근 바닥면(102)에 제1공기흡입덕트(71)를 설치하며, 표적판(9)의 인근 바닥면에는 제2공기흡입덕트(72)를 설치한다. 상기 제1공기흡입덕트(71)와 제2공기흡입덕트(72)는 실내 사격장(101)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도19 참조), 공기흡입덕트들(71, 72)의 상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공기흡입구들(71a, 72a)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실내 사격장(2)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즉시 상기 제1 및 제2공기흡입덕트들(71, 72)을 통해서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도13에는 설명의 편의상 2가지 방식의 표적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즉, 바닥면(102)에 세워진 형태의 표적판(109)이 도시되어 있는 것과 함께, 천장(104)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2)을 따라서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표적(110)도 도시되어 있다. 공중에 거치된 표적(110)을 설치할 수 있는 표적 이동기(111)는 상기 가이드레일(112)에 바퀴(111b, 도14 참조)가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12)은 천장(4)에 거치봉(112a)으로 연결되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실내 실탄사격장(101)의 바닥면은 발사위치(106a)와 배수 트렌치(105)까지는 물이 자연 배수될 수 있도록 1~5°의 경사를 가진 경사구배면(103)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3에서 도면부호 123a는 철판 피탄지(120)의 상하부 기존철판들(122, 121)과 후방 벽체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1빈공간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123b는 상하부 기존철판들(122, 121)과 탄두 포집부(130) 사이에 존재하는 제2빈공간을 가리킨다.
도14는 도13에 도시된 탄두 회수 시스템(100) 중의 탄두 포집부(130)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면부호 111a는 표적이동기(111)의 앞쪽에 표시된 사로번호표시이며, 표적이동기(111)의 하단에는 표적(11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탄두 회수함(1)의 전면 고무판(4) 및 내부 고무판들(6, 7)로 사용되는 주로 두께 10㎜~25㎜의 벨트 컨베이어용 고무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용 고무판은 그 내부에 섬유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사격시 고무판 표면에 작은 탄두 구멍들만이 형성될 뿐이고, 고무판 자체가 찢어지거나 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면 고무판(4) 및 내부 고무판들(6, 7)의 내구성을 시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약 100~200발 정도의 탄환을 우선 발사해 본 후에 전면 고무판(4)과 내부 고무판들(6, 7)에 나타난 구멍들의 상태를 확인하면 된다. 탄두회수함(1)으로 날아 들어온 탄두(8)는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 사이의 탄두포집공간 안에서 멈추게 되므로, 실제로는 제2내부 고무판(7)에는 탄두가 부딪치지 않게 되며, 제2내부 고무판(7)의 손상은 나타나지 않는 것이 정상적이다. 전면 고무판(4)과 제1내부 고무판(6)의 상태를 살펴봤을 때, 기준보다 연질의 고무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들 고무판들에게 마치 두꺼비의 등껍질처럼 작은 구멍들이 부풀어 솟아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런 경우에는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15는 도6에 도시된 탄두회수함(1)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고 수평방향으로 복수열 설치하여 탄두 포집부(130)를 구성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탄두 회수함(1)을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제작되므로, 바닥과 상면이 편평하여 높이 방향으로 계속 쌓아올리는 것이 용이하며, 쌓아올린 탄두회수함들(1)은 안정감있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탄두회수함(1)의 바닥에 설치된 지지다리(5) 중의 일부가 자석(5b)으로 형성되므로, 철 재질인 탄두회수함(1)의 몸체(1a) 및 상면뚜껑(3)과 자력에 의해서 끌어당기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어서 탄두회수함들(1)을 수직으로 쌓아올리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16은 도13에 도시된 탄두 포집부(130)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두 포집부(130)의 전체 피탄(被彈)면적은 마치 수직벽처럼 쌓아진 탄두회수함들(1)의 각각에 의해서 폭 방향으로는 8개의 사로들(201, 202, 203,..., 208)로 구분되고, 높이 방향으로는 1단부터 3단까지의 3개의 피탄구역들(211, 212, 213)로 구분된다. 도16에 도시된 피탄면적의 배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실제 실내 실탄사격장에서는 사로들의 개수를 증감할 수 있고, 또 높이방향으로의 단수(段數)도 반드시 3개로 할 것이 아니라 4개, 5개 등으로 더 늘리거나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도16과 같이 실내 사격장에 8개의 사로가 준비된 경우, 제일 가장자리에 위치한 2개의 사로들(201, 208)은 예비사로로 운영하고 본격적인 사로로서는 활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개 사로에서 주로 사격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예를 들어 2단 높이에 해당하는 면적 부분이 될 것인데, 이 1개 사로 중의 2단 높이 부분의 면적(피탄면적)은 탄두회수함의 정면의 면적이 된다.
한편, 상기 탄두포집부(130)는 복수 개의 탄두회수함들(1)로 구분되므로, 각각의 탄두회수함 별로 표적판을 위치시키면서 탄두가 특정 탄두회수함에 많이 박히도록 유도하여 탄두의 포집구역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실적으로는 2단 높이의 탄두회수함에 주로 표적이 위치하게 될 것이므로, 그 곳의 탄두회수함들에 탄두가 집중적으로 박히게 된다. 이렇게 2단의 피탄구역(212)에 탄두들이 집중적으로 박힌 상태에서는, 나중에 탄두의 회수를 위해 탄두회수함들의 가루 충전재(9)를 교체하는 작업을 시행할 때 전체 탄두회수함들(1)의 가루 충전재(9)를 동시에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2단의 피탄구역(212)이 속한 탄두회수함들(1)의 가루 충전재(9)만을 교체하면 된다.
본 발명자들이 실험한 바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용 고무판 소재를 전면 고무판(4)으로 사용하고 그 고무판(4)의 두께를 15~20㎜로 한 경우, 1개 사로당 20,640발을 사격했을 때 고무판(4)을 교체할 필요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1개 사로당 20,000발의 탄두가 박히기 전까지는 전면 고무판(4)과 가루 충전재(9)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었으며, 이러한 정도의 사격량을 현재 우리나라의 군부대의 실내 실탄사격장 운용실태에 반영해 보면, 주사격 피탄지점의 전면 고무판(4)과 가루 충전재(9)를 교체하는 작업은 6개월에 1회 정도의 주기로 수행하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에 있어 하나의 탄두회수함에 의한 피탄구역의 일부 위치에 표적판을 위치시키고, 그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탄두들을 포집하는데 있어 하나의 탄두회수함의 피탄구역 전체를 골고루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아이디어를 설명한다. 도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적판(110a)을 탄두회수함의 전면 면적 중의 일부 영역에 치우쳐서 위치시키는 이유는 고무판 피탄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표적(110)의 위치를 사격시 마다 조정하여 사격하게끔 하였다.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것처럼 1개 사로에 9개의 축소 표적지를 설치하여 사격하도록 하면, 탄두가 1개 사로의 탄두회수함 영역(주로 2단)에 고루 분포되게끔 할 수 있다. 즉, 도17에 도시된 것처럼 표적(110)의 위치를 변경해가면서 사격을 하도록 하면, 피탄구역의 어느 한 부분에만 탄두가 집중적으로 꽂히는 것을 방지하고 전체 면적에 대해서 골고루 탄두가 박히도록 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전면 고무판(4)과 내부고무판(6)의 어느 한 부분이 집중 포화를 맞아 파손되어 버리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것처럼 표적(110)의 위치를 이동시켜 가면서 전체 피탄구역을 골고루 활용하도록 하면, 전면 고무판(4)과 내부 고무판(6, 7)이 조기에 집중적으로 구멍이 뚫려서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고무판들의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도18에서 예를 들어 제4사로(204) 또는 제5사로(205)에 마련된 2단 높이의 피탄구역(212)을 각각 9개의 세부 피탄영역으로 나누고, 그 세부 피탄영역들(1~9)마다 표적이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서 위치하도록 하면, 피탄구역(212)에 위치하는 탄두회수함의 고무판들의 면적 전체를 골고루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고무판들의 파손을 방지하고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의 평면구성도이다. 실내 실탄사격장(101)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평면 구조를 가지며, 탄두 포집부(13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화재감지센서들(108)이 설치되어 있고, 탄두 포집부(130)의 상방에는 흡기후드(73a)가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흡기후드(73a) 및 이와 연결된 제3공기배출덕트(73)는 탄두 포집부(130)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설비로서, 유인송풍기(73b)에 의해 사격장(101) 내부의 공기가 흡기후드(73a)로 빨아들여져서 제3공기배출덕트(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발사위치(106a)와 표적판(109)의 인근에도 각각 사격장(101)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제1 및 제2공기흡입덕트(71, 7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공기흡입덕트(71, 72)에는 공기흡입구들(71a, 72a)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공기흡입덕트(71, 72)는 유인송풍기(71c)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인 송풍기(71c)의 작동에 의해 사격장(101) 내부의 화약연기, 분진 등 오염된 공기는 공기흡입구들(71a, 72a)을 통해 공기흡입덕트들(71, 72)의 내부로 빨아들여진 다음, 사격장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덕트들(71, 72, 73)을 통해 수집된 오염공기들은 공기정화장치(76)에 의해서 청정한 상태로 전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분진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물은 수처리 장치(77)에 의해서 깨끗하게 정화처리된 다음에 하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총기 발사에 의해서 발생한 실내 실탄사격장(101)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이렇게 공기배출수단들을 통해서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는데, 이와 별개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 실탄사격장(101) 내부로 공급하는 급기수단 역시 갖출 필요가 있다. 사격장(101)의 벽면(102a)에는 필요한 개수만큼의 공기공급구(75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공급구(75a)는 외부의 환풍팬(미도시)과 연결된 공기공급덕트(75)와 연결되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 실탄사격장(101) 내부로 불어넣을 수 있다.
한편, 이와 별도로, 실내 실탄사격장(101)이 지상에 설치된 경우라면, 그 벽면(102a)에 큰 문(102b)들을 설치하여, 문(102b)을 개방하면 자연적으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19에서 도면부호 L31은 실내 실탄사격장(101)의 발사위치(106a)로부터 탄두 포집부(130)의 후방위치까지의 거리를 가리키며, 도면부호 L32는 상기 발사위치(106a)로부터 표적판(109)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도면부호 L33는 표적판(109)으로부터 탄두 포집부(130)의 후방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도면부호 L34는 탄두 포집부(130)의 앞뒤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실내 실탄사격장(101)에 있어서, 상기 L31은 35~70m로 할 수 있으며, L32는 30~60m로 할 수 있고, L33은 5~10m로 할 수 있으며, L34는 2~4m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실탄사격장(101)의 폭(L35)은 15~25m로 할 수 있으며, 20m 정도의 폭(L35)을 가진 실내 실탄사격장의 경우에는 10개 내외의 사로를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0은 대테러 작전 등의 특수전 상황에서 실탄 사격훈련을 할 수 있도록 꾸며진 실내 사격장(101a)에 본 발명에 따른 탄두회수함(1)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최근 유럽 등 외국에서 알카에다, IS 등의 외국 테러단체에 의해서 테러가 자행되고 있고, 해적 등에 의해서 우리나라 선박들이 납치되고 테러를 당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테러단체의 위협으로부터 우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신속히 보호하기 위해서는 테러단체에 맞설 수 있는 대테러부대 등 특수부대의 훈련이 절설히 필요하며, 특히 가까운 거리에서의 밀착 사격 훈련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설치된 대테러 작전 훈련 사격장에 본 발명에 따른 탄두회수함을 설치하여 탄두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도20에 도시된 대테러 훈련 사격장(101a)에는 실제 테러진압 장소와 유사하게 실내 공간을 마련하고, 그 실내공간의 벽 부분에 탄두회수함들(1)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설치한 다음 그 탄두회수함들(1)에 표적지(41)를 붙여 둠으로써 테러진압 훈련 병사들(106c)이 테러진압 사격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0의 대테러 훈련 사격장(101a)의 좌측에 있는 입구(102c)를 통해 병사들(106c)이 진입한 다음,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탄두회수함들(1)의 표적지(41)에 사격을 하고, 계속해서 이동하면서 출구(102d)로 빠져나오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사격장에서는 벽에 슬림(slim)하게 설치할 수 있는 탄두회수설비가 없었으므로, 대테러 사격훈련장 같은 좁은 통로로 이루어진 사격장에서는 탄두를 포집하고 회수할 방법이 없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좁은 통로로 이루어진 사격훈련장의 내부(101b)에도 벽에 밀착하여 탄두회수함들(1)을 쌓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대테러 사격훈련시의 탄두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21 및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탄두회수함을 실내 사격장에 적용함에 있어 전면 고무판의 재질별로 시험 사격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21을 참고하면, 연질의 벨트형 고무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고무판의 표면이 솟아오르는 현상이 나타나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연성 재질의 고무판은 탄두 구멍이 크게 생기고, 탄두회수함 내부의 가루충전재(9)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루 충전재(9)로서 입자 크기가 2㎜인 고무가루 등의 소재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탄두와의 충격으로 인한 마찰에 의해서 탄두의 손상이 발생하고 탄두 회수율이 약 6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부에 섬유질이 포함된 경질의 벨트형 고무판을 사용하고 입자 크기 1.5㎜ 이하의 가루 충전재(9)를 사용한 경우에는(도22), 고무판의 손상도 거의 없고, 탄두의 회수율도 약 93%에 달할 정도로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경우에는 가루 충전재의 입자 크기를 1.5㎜ 이하, 특히 1.0㎜ 이하의 작은 사이즈의 입자들을 사용할 경우에는 탄두를 온전한 상태로 회수할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수 회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루 충전재(9)의 입자 크기별로 탄두(8)의 회수 상태를 보인다. 우선, 본 발명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서 충전재로 사용하는 고무가루의 입자 크기가 5㎜일 때는 탄두가 많이 파손된 것을 볼 수 있다(그림<a>). 다음으로, 고무가루의 입자 크기가 1㎜가 되면 비교적 손상이 적은 탄두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그림<c>), 고무가루의 입자 크기가 0.5㎜일 경우에는 거의 손상이 없는 온전한 상태의 탄두를 회수하는 것을 보인다(그림<d>).
도2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사격훈련 후에 납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고, 도25는 구리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 먼저, 도2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수 회수 시스템을 적용한 실내 사격장에 있어서는 5.56㎜ 보통탄과 9.0㎜ 보통탄을 사용하여 사격훈련을 한 후에 납 농도를 측정한 결과, 사선(射線) 및 피탄지에서 모두 납흄의 농도가 기준치보다 낮게 검출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2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수 회수 시스템을 적용한 실내 사격장에 있어서는 5.56㎜ 보통탄과 9.0㎜ 보통탄을 사용하여 사격훈련을 한 후에 구리 농도를 측정한 결과, 사선 및 피탄지에서 모두 구리 농도가 기준치보다 낮게 검출됨을 알 수 있었다.
도26은 본 발명의 실내 실탄 사격장에서 포집된 탄두들(8)을 회수하기 위한 이동식 탄두 분리 회수장치(310)를 도시한 것으로서, 탄두 수거차량(300) 위에 탄두 분리 회수장치(310)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두회수함(1)을 이용하여 사격장에서 탄두를 포집한 이후에는, 가루충전재들(9) 안에 섞여있는 탄두(8)들을 효과적으로 분리해 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트럭 등의 차량에 설치해서 필요한 사격장마다 이동할 수 있는 이동식 탄두 분리 회수장치(310)를 발명하였으며, 2014. 12. 21.에 특허출원 제10-2014-0195543호로 특허출원을 완료한 바 있다.
도26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 장치(310)는 트럭 등 차량(300)의 적재함(311c) 상에 하부 지지대(320)가 설치되며, 그 하부 지지대(320)의 주변부에는 복수 개의 받침 포스트들(310a)이 세워져 있고, 상기 받침 포스트들(310a)에 완충 스프링들(316)을 매개로 하여 호퍼지지대(315)와 진동호퍼(3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호퍼(313)는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해서 분리 스크린(314)을 흔들어 분리 스크린(314) 위에 가해진 물건들을 가르는 기능을 하는데, 상기 분리 스크린(314)은 금속 재질 혹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그물(net) 형태를 취하고 있고, 그 그물눈의 크기는 상기 탄두 회수함(1)안에 들어 있는 가루 충전재들(9)의 크기보다는 크고, 탄두(8)의 크기보다는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 스크린(314)이 진동하게 되면, 그 분리 스크린(314) 위에 투하되어 쌓여있던 가루충전재들(9)은 분리스크린(314)의 그물눈을 빠져나가 호퍼 배출구(313b)를 지나서 충전물 회수통(311)안으로 들어가 쌓이게 되고, 가루충전물들(9) 중에 섞여 있던 탄두들(8)은 상기 분리 스크린(314)의 그물눈 위에 그대로 남겨지게 된다.
상기 진동호퍼(313)는 위쪽의 상부 개구부가 열려 있어서 탄두 회수함(1)이 놓여질 수 있으며(도28 참조), 하부에는 좁아진 면적을 가진 호퍼 배출구(31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 배출구(313b)의 위쪽으로는 경사부(313a)가 마련되어서 상기 분리 스크린(314)의 그물눈을 통과한 가루충전물들(9)이 경사부(313a)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호퍼 배출구(313b)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분리스크린(314)의 둘레에는 금속제 혹은 합성수지 재질의 테두리로서 스크린 프레임(314a)이 결합되어 있는데, 스크린 프레임(314a)이 상기 진동호퍼(313)의 내부면에 걸쳐짐으로써, 분리 스크린(314)이 진동호퍼(313)의 내부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진동호퍼(313)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호퍼 지지대들(315)이 결합되어 있으며, 호퍼 지지대들(315)은 각각 완충 스프링들(316)을 매개로 하여 그 아래의 받침 포스트들(310a)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진동호퍼(313)가 바이브레이터(317)에 의해서 심하게 진동하더라도, 그 진동은 완충스프링들(316)에 의해 적절하게 흡수될 수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317)는 전원스위치(319)를 "ON" 상태로 올리면 진동을 시작하게 된다. 전원스위치(319)는 전선(318a)에 의해서 전원장치(318)에 연결되는데, 상기 전원장치(318)는 차량의 배터리(301a)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발전기 엔진에 의해서 전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27은 도26의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 장치(310)를 사시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미설명 도면부호 312는 탄두 보관통으로서, 진동호퍼(313)의 작동에 의해 분리 스크린(314) 위에 남겨진 탄두들(8)을 작업자가 탄두 보관통(312)에 담아 보관할 수 있다.
도28은 도26의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 장치(310)의 진동호퍼(313) 위에 도6의 탄두회수함(1)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탄두회수함(1)의 밑면 마개판(53)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탄두회수함(1) 안의 가루 충전재(9)와 탄두들(8)이 분리 스크린(314) 위로 쏟아져 내리고 있다.
앞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두회수함(1)은 그 밑면판(51)에 결합된 밑면 마개판(53)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쉽게 빼거나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사격장에서 이미 사용하여 탄두들(8)을 많이 포집하고 있는 탄두회수함(1)을 진동호퍼(313)의 분리스크린(314) 위에 얹은 뒤, 밑면 마개판(53)을 빼내기만 하면, 상기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 장치(310)를 사용할 준비는 다 마친 셈이 된다. 밑면 마개판(53)을 빼낸 다음 바이브레이터(317)의 전원을 올리면, 탄두회수함(1)이 흔들리면서 그 안에 들어 있던 가루 충전물들(9)이 쏟아져 내려와 분리스크린(314) 위에 쌓이며, 탄두(8)와 가루 충전물들(9)이 분리된다(도29 참조).
도30은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장치(310)를 이용한 탄두(8)와 가루 충전재들(9) 간의 분리가 완료되어, 탄두(8)는 분리스크린(314) 위에 남겨지고, 가루 충전재들(9)은 진동호퍼(313)의 하부에 있는 충전물 회수통(311) 안에 담겨진 상태를 도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두회수함(1)은 실내 실탄 사격장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개월과 같은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탄두회수함(1)을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장치(310, 도26 내지 도30 참조)와 같은 분리장치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탄두와 가루충전재들을 분리할 수 있다.
도31은 LST(landing ship tank) 함선(600)의 평면도(그림<a>)와 측면도(그림<b>)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수 회수 시스템은 반드시 육상의 실내 실탄 사격장에만 국한하여 적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해군 병사들의 사격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군함 등의 함선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LST 함선(600)은 상륙작전용 함선으로서 탱크(611), 헬리콥터 등이 들어갈 수 있는 큰 내부공간(601, 602)을 갖고 있다. 이러한 LST 함선들은 현재 사용연한이 만료되어 퇴역되는 경우 동남아시아 국가들로 수출되고 있는데, 이렇게 퇴역처리되는 폐함선들을 재활용해서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탄두회수 시스템이 완비된 실내 실탄사격장을 설치한다면, 해군 병사들과 특수전 병사들의 사격훈련을 하는 장소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함선을 타고 근무하는 해군 병사들의 경우에는 사격훈련만을 위해서 육지로 귀항하기가 현실적으로 곤란하므로, 현재는 사격훈련을 거의 못하고 있는데, 해상전투에서 사격기술의 중요성이 현저히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폐함선에 실내 실탄사격장을 설치하고 해군 병사들의 소총 사격훈련용 설비로 활용한다면 해군의 실전 전투력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도31에서 도면부호 610은 육지를 가리키고, 612는 바다를 가리킨다.
도32는 도31의 LST 함선의 내부공간(601)에 본 발명에 따른 탄두 회수 시스템을 적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다.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ST 함선(600)은 좌우 폭이 20~30m 이상으로 충분히 넓으므로, 그 내부의 공간(601)에 상술한 본 발명의 실내 실탄 사격장(101)과 탄두 회수 시스템(100)을 적용할 수 있다.
1: 탄두회수함 1a: 몸체
2: 측면판 2a: 볼트
3: 상부뚜껑 3a: 손잡이
4: 전면고무판 5: 지지다리
5a: 사각파이프 5b: 자석
5c: 고무블록 6: 제1 내부 고무판
6a: 제1고무판 지지대 7: 제2 내부 고무판
7a: 제2고무판 지지대 8: 탄두
8a: 납성분 잔해 8b: 분진
9: 가루 충전재 20: 프레임
21, 22: 도금강판 23: 사각파이프
40: 전면브라켓 40a: 고무판 삽입홈
41: 표적지 42: 표적
43: 부착핀 44: 탄두통과구멍
51: 밑면판 51a: 돌출턱
52: 밑면 개구부 53: 밑면 마개판
53a: 손잡이 53b: 슬라이딩 홈
71: 제1공기흡입덕트 71a: 공기흡입구
71b: 제1공기배출덕트 71c: 유인송풍기
72: 제2공기흡입덕트 72a: 공기흡입구
72b: 제2공기배출덕트 73: 제3공기배철덕트
73a: 흡기후드 73b: 유인송풍기
75: 공기 공급덕트 75a: 공기공급구
76: 공기정화장치 77: 수처리장치
80: 탄환 81: 화약
100: 탄두 회수 시스템 101: 실내 실탄 사격장
101a: 대테러훈련 실탄사격장 101b: 사격장 내부
102: 실내사격장 바닥면 102a: 벽면
102b: 문 102c: 입구
102d: 출구 103: 경사구배면
104: 천장 105: 배수 트렌치
105a: 배수관 106: 사격수
106a: 발사위치 106b: 차단벽
106c: 군인 107: 총기
108: 화재감지센서 109: 표적판
110: 표적 110a: 이동표적판
111: 표적이동기 111a: 사로번호표시
111b: 바퀴 111c: 표적 거치봉
112: 가이드레일 112a: 거치봉
113: 가이드레일 고정용 파이프 116: 살수관
117: 보호케이스 120: 철판 피탄지
121: 하부 기존철판 122: 상부 기존철판
123a: 제1빈공간 123b: 제2빈공간
130, 130a: 탄두포집부 131: 탄두포집공간
201, 202,....,208: 사로 211: 1단
212: 2단 213: 3단
300: 탄두회수차량 301a: 배터리
301b: 차량바퀴 310: 탄두 분리회수장치
310a: 받침포스트 311: 충전물 회수통
311a: 손잡이 311c: 트럭적재함
312: 탄두보관통 313: 진동호퍼
313a: 경사부 313b: 호퍼 배출구
314: 분리 스크린 314a: 스크린 프레임
315: 호퍼 지지대 316: 완충 스프링
316a: 상부연결부 316b: 하부연결부
317: 바이브레이터 318: 전원장치
318a: 전선 319: 전동 스위치
320: 하부지지대 500: 집수조
501: 수중펌프 502: 물 유입관
503: 물 공급관 504: 전동밸브
505: 상수도 506: 제어박스
600: LST 함선 601, 602: 내부공간
605: 함선의 선수부분 606: 함선외부 몸체
610: 육지 611: 탱크
612: 바다 801: 약협부
802: 피갑 803: 탄심
804: 탄두충전물 805: 약협
806: 추출홈 820: 피탄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실내 실탄사격장(101)에 있어서 실탄을 사용하는 총기(7)로부터 탄두(8)를 발사하는 총기 발사위치(106a);
    상기 총기 발사 위치(106a)로부터 제3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표적; 및
    상기 표적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총기(7)에 의해 발사되어 비행한 탄두(8)를 포집하는 탄두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두 포집부는,
    높이방향으로 적층 설치된 복수 개의 탄두회수함들(1);
    상기 적층 설치된 탄두 회수함들(1)의 상단에 설치된 살수관(116);
    상기 살수관(1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살수관(116)의 둘레를 감쌈으로써 상기 총기(7)에서 발사된 탄두(8)에 의해 상기 살수관(116)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케이스(117); 및
    상기 탄두회수함들(1)의 내부 또는 주변 1m 이내의 공간 안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센서(108);를 포함하며,
    상기 탄두회수함(1)은, 금속 재질의 사각파이프들을 직육면체 형태로 결합하여 구성한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전면부와 상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들에 도금강판들을 결합해서 내부에 공간을 만든 몸체(1a), 상기 몸체(1a)의 전면부에서 제1의 두께로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고무판 삽입홈(40a)을 갖는 전면 브라켓(40), 상기 전면 브라켓(40)의 고무판 삽입홈(40a)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전면 고무판(4), 상기 몸체(1a)의 내부 공간 안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전면 고무판(4)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내부 고무판(6), 상기 몸체(1a)의 내부 공간 안에서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의 후방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는 제2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2내부 고무판(7),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의 사이에 존재하는 탄두포집공간(131), 상기 몸체(1a)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상부뚜껑(3), 상기 몸체(1a)의 양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이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고무판 지지대(6a), 상기 몸체(1a)의 양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내부 고무판(7)이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무판 지지대(7a), 상기 몸체(1a)의 내부에서 상기 탄두포집공간(131) 안에 채워지며 입자 크기가 0.1~3㎜인 가루 충전재들(9), 상기 몸체(1a)의 밑면판(51)에 형성된 밑면 개구부(52), 및 상기 밑면판(51)에 대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밑면판(51)과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밑면 개구부(52)를 막을 수 있는 밑면 마개판(53)을 포함하고,
    상기 살수관(116)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503);
    상기 물 공급관(503)상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상기 물 공급관(503)으로 물을 보내거나 또는 보내지 않도록 하는 전동밸브(504);
    상기 화재감지센서(108) 및 전동밸브(5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재감지센서(108)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서 상기 탄두 포집부 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전동밸브(504)에 개방 제어신호를 출력해서 살수관(116)으로부터 물이 방출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탄두 포집부의 전방에서 바닥면에 홈을 파서 설치된 배수 트렌치(105);
    상기 배수 트렌치(105)를 통해서 방출된 물을 집수하는 집수조(500); 및
    상기 집수조(5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수조(500) 내의 물을 상기 물 공급관(503)으로 보내는 수중펌프(5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실탄사격장(101)의 천장(104)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탄두(8)의 비행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112);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표적 이동기(111); 및
    상기 표적 이동기(111)로부터 하방으로 거치되어 위치하며, 상기 발사위치 (106a)쪽으로 정면이 향하도록 설치된 표적(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루 충전재(9) 속에는 분말 소화제 성분이 혼합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분말 소화제의 중량은 상기 가루 충전재(9)의 전체 중량의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회수함(1)의 전면부는 m x n 개의 세부 구역들로 나눠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m과 n은 2 또는 3이고,
    상기 표적(110)은 상기 탄두회수함(1)의 전면부 영역 내에서 상기 세부 구역들 중의 하나에 위치되되, 상기 세부구역들을 번갈아 가며 이동하여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1개의 탄두회수함(110)의 전면부 영역 내에서 탄두들(8)이 포집되는 장소가 골고루 분포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11. LST(landing ship tank) 및 상륙작전용 함정을 포함하는 군함의 내부 공간에 실내 실탄사격장이 마련되며, 상기 실내 실탄사격장은,
    실탄을 사용하는 총기(107)로부터 탄두(8)를 발사하는 총기 발사위치(106a);
    상기 총기 발사 위치(106a)로부터 제3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표적; 및
    상기 표적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총기(107)에 의해 발사되어 비행한 탄두(8)를 포집하는 탄두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두 포집부는,
    높이방향으로 적층 설치된 복수 개의 탄두회수함들(1);
    상기 적층 설치된 탄두 회수함들(1)의 상단에 설치된 살수관(116);
    상기 살수관(1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살수관(116)의 둘레를 감쌈으로써 상기 총기(7)에서 발사된 탄두(8)에 의해 상기 살수관(116)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케이스(117); 및
    상기 탄두회수함들(1)의 내부 또는 주변 1m 이내의 공간 안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센서(108);를 포함하며,
    상기 탄두회수함(1)은, 금속 재질의 사각파이프들을 직육면체 형태로 결합하여 구성한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전면부와 상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들에 도금강판들을 결합해서 내부에 공간을 만든 몸체(1a), 상기 몸체(1a)의 전면부에서 제1의 두께로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고무판 삽입홈(40a)을 갖는 전면 브라켓(40), 상기 전면 브라켓(40)의 고무판 삽입홈(40a)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전면 고무판(4), 상기 몸체(1a)의 내부 공간 안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전면 고무판(4)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내부 고무판(6), 상기 몸체(1a)의 내부 공간 안에서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의 후방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는 제2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2내부 고무판(7), 상기 제1내부 고무판(6)과 제2내부 고무판(7)의 사이에 존재하는 탄두포집공간(131), 상기 몸체(1a)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상부뚜껑(3), 상기 몸체(1a)의 양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 고무판(6)이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고무판 지지대(6a), 상기 몸체(1a)의 양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내부 고무판(7)이 상기 몸체(1a)의 측면판들(2)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무판 지지대(7a), 상기 몸체(1a)의 내부에서 상기 탄두포집공간(131) 안에 채워지며 입자 크기가 0.1~3㎜인 가루 충전재들(9), 상기 몸체(1a)의 밑면판(51)에 형성된 밑면 개구부(52), 및 상기 밑면판(51)에 대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밑면판(51)과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밑면 개구부(52)를 막을 수 있는 밑면 마개판(53)을 포함하고,
    상기 살수관(116)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503);
    상기 물 공급관(503)상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상기 물 공급관(503)으로 물을 보내거나 또는 보내지 않도록 하는 전동밸브(504);
    상기 화재감지센서(108) 및 전동밸브(5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재감지센서(108)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서 상기 탄두 포집부 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전동밸브(504)에 개방 제어신호를 출력해서 살수관(116)으로부터 물이 방출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탄두 포집부의 전방에서 바닥면에 홈을 파서 설치된 배수 트렌치(105);
    상기 배수 트렌치(105)를 통해서 방출된 물을 집수하는 집수조(500); 및
    상기 집수조(5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수조(500) 내의 물을 상기 물 공급관(503)으로 보내는 수중펌프(5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함에 설치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KR1020160010362A 2015-10-16 2016-01-27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 및 그 탄두회수함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KR101696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63,911 US10190855B2 (en) 2015-10-16 2016-05-25 Bullet collecting box capable of stacking and installing, and bullet collecting system for preventing occurrence of lead fume in indoor shooting range using the bullet collecting box
EP16173256.5A EP3199908A1 (en) 2015-10-16 2016-06-07 Bullet collecting system for preventing occurrence of lead fume in indoor shooting range
CA2952033A CA2952033C (en) 2015-10-16 2016-12-16 Bullet collecting box capable of stacking and installing, and bullet collecting system for preventing occurence of lead fume in indoor shooting range using the bullet collect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010 2015-10-16
KR20150145010 2015-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233B1 true KR101696233B1 (ko) 2017-01-13

Family

ID=567087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899A KR101644918B1 (ko) 2015-10-16 2015-11-09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KR1020160010362A KR101696233B1 (ko) 2015-10-16 2016-01-27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 및 그 탄두회수함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899A KR101644918B1 (ko) 2015-10-16 2015-11-09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90855B2 (ko)
EP (1) EP3199908A1 (ko)
KR (2) KR101644918B1 (ko)
CA (1) CA2952033C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269B1 (ko) * 2018-05-31 2018-11-20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이동식 실탄사격장
KR101961686B1 (ko) 2018-10-24 2019-03-25 김휘중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
KR102009459B1 (ko) * 2018-05-17 2019-08-0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KR102009462B1 (ko) 2018-05-17 2019-08-0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탄 탄두 회수 장치
KR102009457B1 (ko) 2018-09-28 2019-08-12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이동식 실탄사격장
KR102022642B1 (ko) 2019-02-25 2019-09-18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야외 전투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의 이동식 실탄 사격 장비
KR102095343B1 (ko) 2019-08-13 2020-03-3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스마트 실탄 사격장의 도비탄 방지 및 환경 보호를 위한 이동식 실탄 사격-탄두회수 장치
WO2020085691A1 (ko) * 2018-10-24 2020-04-30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이동식 실탄 사격 장비
KR102116752B1 (ko) * 2019-12-18 2020-05-2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스마트 실탄 사격 표적 시스템
KR20210019926A (ko) 2020-01-09 2021-02-23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스마트 실탄 사격장의 도비탄 방지 및 환경 보호를 위한 이동식 실탄 사격-탄두회수 장치
KR102245643B1 (ko) * 2020-03-12 2021-04-2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레일이동형 멀티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탄 사격 시스템
KR102257194B1 (ko) 2020-12-17 2021-05-28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친환경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KR102293658B1 (ko) 2020-03-12 2021-08-26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378149B1 (ko) 2021-06-28 2022-03-24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용 친환경 벤틸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실탄사격 설비
KR102381754B1 (ko) 2020-09-29 2022-04-0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684025B1 (ko) * 2023-12-22 2024-07-12 유길웅 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62180A1 (en) * 2017-11-30 2019-05-30 Torna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a pressure sensor in a fire pump system
CN109443103B (zh) * 2018-12-27 2023-08-15 衡磊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集弹器
JP7219467B2 (ja) * 2019-06-03 2023-02-08 シバタ工業株式会社 射撃訓練装置
CN112504018A (zh) * 2020-11-05 2021-03-16 山东神鹰警用装备科技有限公司 船艇式水上运动靶标系统
WO2022131773A1 (ko) * 2020-12-17 2022-06-23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친환경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CN112696992A (zh) * 2021-01-06 2021-04-23 中国人民解放军63856部队 一种小口径高速弹丸无损回收装置
CN114923372A (zh) * 2022-06-14 2022-08-19 北京理工大学 一种装甲材料研发靶试试验用弹体回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8316A (ja) * 2007-06-27 2009-01-15 Kyosan Electric Mfg Co Ltd 移動標的装置
KR20120071200A (ko) * 2010-12-22 2012-07-02 김휘중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KR20130066856A (ko) * 2011-12-13 2013-06-21 중원사격장비(주) 탄두회수장치
KR20150085974A (ko) * 2014-01-17 2015-07-27 오인규 탄두 회수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4901A (en) * 1978-01-16 1979-08-21 American Air Filter Company, Inc. Indoor gun firing range enclosure having a ventilation system
US4509301A (en) * 1982-04-23 1985-04-09 Head Robert L Modular shooting range
US5848794A (en) * 1991-01-18 1998-12-15 Cas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Granulate backstop assembly
US5486008A (en) * 1993-11-17 1996-01-23 Passive Bullet Traps Limited Bullet trap
US5655775A (en) * 1994-11-15 1997-08-12 Lockheed Martin Tactical Systems, Inc. Rifle range backstop
DE19514660A1 (de) * 1995-04-20 1996-10-24 Bke Bildtechnik Inh Ernst Stec Verbindungsverfahren für Geschossfanglamellen
JPH08334297A (ja) * 1995-06-08 1996-12-17 Babcock Hitachi Kk 防弾装置と射撃訓練場
US6173956B1 (en) 1996-09-27 2001-01-16 O.M.F. Inc. Projectile backstop assembly
JPH1137697A (ja) 1997-07-23 1999-02-12 Babcock Hitachi Kk 射撃訓練装置
JP2005188894A (ja) 2003-12-26 2005-07-14 Babcock Hitachi Kk 停弾装置
US7967296B1 (en) 2006-03-14 2011-06-28 Sri Aquisition Corp. Modular shooting system
US9010230B2 (en) * 2012-10-24 2015-04-21 Shieldpro, Llc Anti-ballistic shelters
US20130201316A1 (en) * 2012-01-09 2013-08-08 May Patents Ltd. System and method for server based control
KR101505983B1 (ko) * 2013-05-09 2015-03-27 오인규 전투사격 훈련장용 탄두 회수 장치
KR101575273B1 (ko) 2015-03-11 2015-12-2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8316A (ja) * 2007-06-27 2009-01-15 Kyosan Electric Mfg Co Ltd 移動標的装置
KR20120071200A (ko) * 2010-12-22 2012-07-02 김휘중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KR20130066856A (ko) * 2011-12-13 2013-06-21 중원사격장비(주) 탄두회수장치
KR20150085974A (ko) * 2014-01-17 2015-07-27 오인규 탄두 회수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59B1 (ko) * 2018-05-17 2019-08-0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KR102009462B1 (ko) 2018-05-17 2019-08-0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탄 탄두 회수 장치
KR101920269B1 (ko) * 2018-05-31 2018-11-20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이동식 실탄사격장
KR102009457B1 (ko) 2018-09-28 2019-08-12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이동식 실탄사격장
KR101961686B1 (ko) 2018-10-24 2019-03-25 김휘중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
WO2020085691A1 (ko) * 2018-10-24 2020-04-30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이동식 실탄 사격 장비
KR102022642B1 (ko) 2019-02-25 2019-09-18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야외 전투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의 이동식 실탄 사격 장비
KR102095343B1 (ko) 2019-08-13 2020-03-3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스마트 실탄 사격장의 도비탄 방지 및 환경 보호를 위한 이동식 실탄 사격-탄두회수 장치
KR102116752B1 (ko) * 2019-12-18 2020-05-2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스마트 실탄 사격 표적 시스템
KR20210019926A (ko) 2020-01-09 2021-02-23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스마트 실탄 사격장의 도비탄 방지 및 환경 보호를 위한 이동식 실탄 사격-탄두회수 장치
KR102245643B1 (ko) * 2020-03-12 2021-04-2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레일이동형 멀티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탄 사격 시스템
KR102293658B1 (ko) 2020-03-12 2021-08-26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381754B1 (ko) 2020-09-29 2022-04-0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257194B1 (ko) 2020-12-17 2021-05-28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친환경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KR102378149B1 (ko) 2021-06-28 2022-03-24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용 친환경 벤틸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실탄사격 설비
KR102684025B1 (ko) * 2023-12-22 2024-07-12 유길웅 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11916A1 (en) 2017-07-27
KR101644918B1 (ko) 2016-08-03
CA2952033A1 (en) 2017-07-27
US10190855B2 (en) 2019-01-29
CA2952033C (en) 2020-08-04
EP3199908A1 (en)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233B1 (ko)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 및 그 탄두회수함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KR101262298B1 (ko)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KR101575273B1 (ko)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
US6732628B1 (en) Portable bullet trap
KR101961686B1 (ko)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
NL2013641B1 (en) Modular shooting range.
KR102030939B1 (ko) 탄두 회수시스템
KR101760319B1 (ko) 탄두의 자동적인 분리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실내 및 실외 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KR101607621B1 (ko) 실내 사격장용 탄두 회수 장치
KR101544905B1 (ko) 탄두 회수 장치
WO2014039933A1 (en) Projectile material reclamation platform with integrated paper and digital targeting systems
JP2002318097A (ja) 停弾装置
KR101505983B1 (ko) 전투사격 훈련장용 탄두 회수 장치
KR20170105260A (ko) 고무충진부 및 개구부가 구비된 탄두회수장치.
KR101667307B1 (ko) 탄두회수장치
KR102116752B1 (ko) 스마트 실탄 사격 표적 시스템
JP4001595B2 (ja) バックストップ
JP2003287399A (ja) 銃弾回収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80004070A (ko) 고무충진부 및 개구부가 구비된 탄두회수장치.
KR101633194B1 (ko) 이동식 탄두 분리회수 장치
JP3806878B2 (ja) 射撃訓練場および停弾装置
JP2002062095A (ja) 停弾装置
RU2367886C1 (ru) Пулеулавливатель
KR20170057562A (ko)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실사거리 및 영점사격장용 탄두흡착장치
KR102134257B1 (ko) 이동식 실탄 탄두 분리 회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