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686B1 -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686B1
KR101961686B1 KR1020180127118A KR20180127118A KR101961686B1 KR 101961686 B1 KR101961686 B1 KR 101961686B1 KR 1020180127118 A KR1020180127118 A KR 1020180127118A KR 20180127118 A KR20180127118 A KR 20180127118A KR 101961686 B1 KR101961686 B1 KR 101961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intake
type body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중
Original Assignee
김휘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휘중 filed Critical 김휘중
Priority to KR102018012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686B1/ko
Priority to PCT/KR2019/013267 priority patent/WO20200856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1/00Target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2Plate construction
    • F41H5/04Plate construction composed of more than one layer
    • F41H5/0442Layered armour containing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요자가 요구하는 어떠한 장소 또는 운영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 어디든지 이동 설치하여 바로 이용할 수 있고, 현장에서 별도의 환기 및 전기 시설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실탄 사용으로 인하여 사격장 내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유해물질이 훈련자나 관리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형에 가까운 탄두를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과 환경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 출입 도어가 형성되는 컨테이너형 바디;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에 구성되어 내부 공기를 흡기 정화하고 환기시키기 위한 벤틸레이션 유닛(ventilation means);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표적지 측에 구비되어 실탄 탄두를 회수하기 위한 실탄 탄두 회수 유닛; 및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과 제어반을 포함한 전력 필요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자가발전 방식의 전력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MOBILE AMMUNITION FIRING RANGE OF CONTAINER TYPE}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요자가 요구하는 어떠한 장소 또는 운영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 어디든지 이동 설치하여 바로 이용할 수 있고, 현장에서 별도의 환기 및 전기 시설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실탄 사용으로 인하여 사격장 내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유해물질이 훈련자나 관리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형에 가까운 탄두를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과 환경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관한 것이다.
업무의 특성상 소총, 권총 등과 같은 총기를 취급하는 군부대나 경찰 등에서는 유사시 필요한 사격능력을 배양하고 전투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들 개인화기의 사격훈련을 꾸준히 실시해 오고 있다. 이들 개인화기를 이용한 사격훈련은 실내 또는 야외의 영점사격장과 실거리 사격장에서 주로 실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실탄사격장에서 발사된 탄두에 포함된 중금속이 주변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탄두의 처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군부대의 경우에는 5.56mm, 7.62mm, 9mm 등의 권총 및 소총을 사용하여 사격하는 경우 주로 실내 실탄사격장을 이용하는데, 대한민국 육군에만도 약 240여 개의 실내 실탄사격장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실내사격장의 경우, 현장에서 설비를 시설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 시설하게 되면 한 장소에서 폐쇄될 때 유지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탄사격장의 시설 이후, 사격장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탄두에서 비산되어 발생하는 납 등 중금속 성분들의 오염으로 인한 사격장 인근 주민들의 민원제기와 환경보호단체들의 문제 제기로 인해 대부분의 실내실탄 사격장들이 폐쇄되어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실내 실탄사격장은 권총, 소총 등의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가 피탄지의 철판이나 피탄지 부근의 벽면과 시설물에 부딪혀 큰 소음과 분진 등을 발생하고, 특히 충격으로 으깨진 탄두에서 중금속 성분이 비산하여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등의 각종 문제가 제기되었다. 그리고 실내 사격장의 경우에는 탄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폐타이어나 타이어 칩을 표적지 뒤에 두기도 하지만, 탄두와의 충돌로 폐타이어에 포함된 납, 카드뮴 등의 중금속 성분이 분진으로 공기 중에 비산되게 되므로 오히려 실내공기 오염을 더 높이는 단점이 있었으며, 결국 군부대 및 경찰의 실내 실탄사격장 운영이 중단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설비 시설이 용이하고, 탄두 파쇄로 인한 중금속 오염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두를 손상없이 수집할 수 있는 실탄사격장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62298(2013.05.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96233(2017.01.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75273(2015.12.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125144(2011.02.25.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요자가 요구하는 어떠한 장소 또는 운영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 어디든지 이동 설치하고, 환기 및 전기 시설의 시설 과정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탄 사용으로 인하여 사격장 내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유해물질이 훈련자나 관리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원형에 가까운 탄두를 회수할 수 있어 탄두의 재활용 및 환경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탄두 회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회수 작업성과 설비 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일측에 출입 도어가 형성되는 컨테이너형 바디;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에 구성되어 내부 공기를 흡기 정화하고 환기시키기 위한 벤틸레이션 유닛(ventilation means);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표적지 측에 구비되어 실탄 탄두를 회수하기 위한 실탄 탄두 회수 유닛; 및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과 제어반을 포함한 전력 필요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자가발전 방식의 전력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이 구비되는 측의 컨테이너형 바디의 단부 면은 개방되거나 탈락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어가 구성되고,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을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에서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입출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입출 가이드유닛은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바닥면과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의 바닥면 중 하나에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바닥면과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의 바닥면 중 다른 하나에 구성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는 철재의 외판과, 상기 외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소정 두께의 방탄 플레이트와, 상기 방탄 플레이트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완충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방탄 플레이트와 완충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충전되는 완충 재질의 충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은 격자형 프레임과, 상기 격자형 프레임의 외곽을 탈착가능하게 커버하고, 실탄 탄두가 완충되면서 통과할 수 있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 완충 부재, 및 상기 전면 완충 부재로 둘러싸인 공간에 충전되는 신축성 재질의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플레이트와 전면 완충 부재는 소정 두께의 난연재를 포함하는 고무판 또는 압축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전층 및 충전재는 2 ~ 5mm의 고무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은 발사위치 전방의 직하방 바닥에 설치되는 제1 흡기 유닛과, 표적지의 직하방 또는 전방 직하방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2 흡기 유닛과, 발사위치와 표적지 사이의 양측면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3 흡기 유닛과, 발사위치와 표적지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4 흡기 유닛과, 상기 제1 내지 제3 흡기유닛으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도록 구동하는 흡기구동유닛과, 상기 흡기구동유닛을 통해 흡기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정화유닛, 및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내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환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환기유닛은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천장으로부터 외기를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외기 공급구와,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측방에서 외기를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외기 공급구와, 발사위치의 후방 측에 구성되되 송풍되는 외기가 상기 제1 흡기유닛 측을 지향하도록 구성되는 제3 외기 공급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외기공급구에 연결되는 외기공급덕트에 구비되어 외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유닛은 상기 전력 공급 유닛은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수요자가 요구하는 어떠한 장소 또는 운영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 어디든지 이동 설치하고, 환기 및 전기 시설의 시설 과정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어 설치성과 경제성 및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실탄사격장에서 실탄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금속 유해물질을 신속히 제거하여 훈련자나 관리자가 중금속 유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훈련자나 관리자의 건강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중금속 발생의 주요 원인인 탄두를 손상없이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탄두에 포함된 납, 구리 등의 중금속 유해물질들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탄두에 포함된 납 등의 중금속 성분들이 공기와 토양 속으로 그대로 축적되어 공기,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차단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원형에 가까운 탄두를 회수할 수 있어 탄두의 재활용 및 환경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탄두 회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회수 작업성과 설비 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기본형 사격장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 연결하여 결합시킬 경우 영점 사격장으로도 구성할 수 있어 범용성을 더욱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을 일부 절개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의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포함되는 컨테이너형 바디의 벽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포함되는 컨테이너형 바디의 벽체가 흡음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로, 완충 플레이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을 평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포함되는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포함되는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을 컨테이너트럭 이동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을 일부 절개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의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포함되는 컨테이너형 바디의 벽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포함되는 컨테이너형 바디의 벽체가 흡음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로, 완충 플레이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을 평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포함되는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에 포함되는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을 컨테이너트럭 이동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은,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성되거나, 출입 도어(110)가 형성되는 컨테이너형 바디(100);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100)에 구성되어 내부 공기를 흡기 정화하고 환기시키기 위한 벤틸레이션 유닛(ventilation means);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표적지 측에 구비되어 실탄 탄두를 회수하기 위한 실탄 탄두 회수 유닛(300); 및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과 제어반을 포함한 전력 필요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유닛;을 포함한다.
컨테이너형 바디(100)는 상면과 측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후술하는 벤틸레이션 유닛을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들이 수용되며,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수용 하우징(120)이 구비된다. 도 1에서 수용 하우징(120)은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상부와 측부에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메쉬형 환풍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형 바디(100)는 그 내벽에 방탄 및 도비탄과 같은 탄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벽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형 바디의 철재 외판(101)과, 상기 철재 외판(101) 내측에 구비되고, 실탄 관통을 방지할 수 있는 공지의 방판 재질로 이루어지는 소정 두께(예를 들면, 65mm)의 방탄 플레이트(102)와, 상기 방탄 플레이트(102)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도비탄과 같은 탄두의 충격을 1차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 플레이트(103), 및 상기 방탄 플레이트(102)와 완충 플레이트(103) 사이의 이격 공간에 채워져 도비탄과 같은 탄두의 충격을 2차 완충시키기 위한 소정 입경(예를 들면, 2 ~ 5mm)의 고무입자 충전층(104)을 포함한다.
완충 플레이트(103)는 소정 두께의 고무판 또는 압축 고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 플레이트(103)는 붕소, 염소, 브롬, 인 등의 난연성 원소(난연재)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형 바디(100)를 이루는 벽체는 최내측이 난연성 원소가 포함되는 고무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완충성과 방탄성을 가지면서 난연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되어 잘못 발사되는 탄두의 충격에 따른 마찰열이나 다른 화재 원인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내측 벽체를 구성하는 완충 플레이트(103)는 그 고무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는 내부에 평면적으로(전체 면적으로) 부직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파형으로 이루어지며, 파형 부직포가 간격을 갖고 복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 플레이트(103)는 내부에 파형의 부직포가 구비됨으로써 오발사되는 실탄이나 도비탄의 발생 시 컨테이너형 바디(100) 자체 및 주변 시설물의 파손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 플레이트(10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란판 형상을 갖는 흡음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 플레이트(103)는 계란판 형상, 즉 요홈(103a)이 소정의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고, 요홈(103a)과 요홈(103a) 사이에 돌출부(103b)가 형성되며, 돌출부(103b) 배면으로는 다시 요홈(103a)이 형성되고, 돌출부 배면에 형성된 요홈(103a)과 요홈(103a) 사이 즉, 요홈(103a)의 배면으로는 돌출부(103b)가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내측 벽체 또는 내측 벽체에 구비되는 완충 플레이트(103)는 상기한 계란판 형상을 가짐으로써 그 형상으로 인해 사격 소음을 상쇄 완화시켜 소음을 흡음하게 된다.
이러한 흡음 구조체는 완충 플레이트(103)가 고무판이 아닌 발포체 등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붕소, 염소, 브롬, 인 등의 난연성 원소(난연재)가 함유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단부 측 일면 벽, 구체적으로는 탄두 회수 유닛(300)이 위치되는 단부 측의 벽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또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가능한 개폐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탈락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일면 벽이 개방가능한 개폐 구조로 이루어져, 개방된 상태에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인입출 가이드유닛을 따라 실탄 탄두 회수 유닛(300)을 외부로 꺼낸 후, 외부에서 탄두의 회수 및 관련 구성들의 교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양단부 측 벽이 탈락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컨테이너형 바디(100)를 연속하여 연결 고정하여 영점 사격을 위한 사격장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은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일단부 측인 발사위치(F) 전방의 직하방 바닥에 설치되는 총연배기 흡기유닛(제1 흡기 유닛)(210)과,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타단부 측인 표적지 또는 피탄지(B)(이하, "표적지"로 통칭함)의 직하방 또는 전방 직하방의 바닥에 설치되는 표적지 흡기유닛(제2 흡기 유닛)(220)과, 발사위치(F)와 표적지(B)) 사이의 양측면 바닥부에 설치되는 측면 흡기유닛(제3 흡기 유닛)(230)과, 발사위치(F)와 표적지(B)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장 흡기유닛(제4 흡기 유닛)(240)과, 상기한 흡기유닛(210 내지 240)들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도록 구동하는 흡기구동유닛과, 상기 흡기구동유닛을 통해 흡기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정화유닛, 및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내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환기유닛을 포함한다.
총연배기 흡기유닛(제1 흡기유닛)(210)은 실내 실탄사격장의 발사위치(F) 전방의 직하방 바닥부에 설치되어 사격시 소화기(총기)에서 발사되는 시점에 발생되는 유해물질 함유의 총연 배기가스를 흡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총연배기 흡기유닛(제1 흡기유닛)(210)은 발사위치에 대하여 평행하게 바닥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측에 흡기구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기관을 갖는 흡기모듈로 구성되며, 그 일단 또는 양단이 후술하는 흡기구동유닛의 공동 흡기덕트(251)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총연배기 흡기유닛(제1 흡기유닛)(210)의 흡기모듈은 흡기구가 이물질 등으로 인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나 메쉬망으로 커버되거나 개구 방향이 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표적지 흡기유닛(제2 흡기 유닛)(220)은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타단부 측인 표적지의 직하방 이나 그의 전방 직하방 또는 탄두 회수 유닛(300)의 전방 직하방 바닥부에 설치되어 발사된 실탄의 탄두가 표적지(B)나 탄두 회수 유닛(300)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유해물 함유의 공기를 흡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표적지 흡기유닛(제2 흡기 유닛)(220)은 표적지(B)의 직하방이나 그의 전방 직하방 또는 탄두 회수 유닛(300)의 전방 직하방에서 바닥을 가로질러 설치되고(도면에서는 표적지(B)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도시됨), 상측에 흡기구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기관을 갖는 흡기모듈로 구성되며, 그 일단 또는 양단이 후술하는 흡기구동유닛의 공동 흡기덕트(251)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표적지 흡기유닛(제2 흡기 유닛)(220)의 흡기모듈 또한 흡기구가 이물질 등으로 인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나 메쉬망으로 커버되거나 개구 방향이 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측면 흡기유닛(제3 흡기 유닛)(230)은 발사위치(F)와 표적지(B) 사이의 공간에서 실탄 사격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가스는 상대적으로 그의 무게로 인해 바닥 측으로 가라앉는데, 이때 발사위치(F)와 표적지(B) 사이의 공간의 바닥 측에서 대류하는 공기를 바닥측 측면에서 흡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면 흡기유닛(제3 흡기 유닛)(230)은 발사위치(F)와 표적지(B) 사이 공간의 바닥측 측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흡기구, 및 상기 복수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분지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지관은 후술하는 흡기구동유닛의 공동 흡기덕트(251)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면 흡기유닛(제3 흡기 유닛)(230)의 흡기구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나 메쉬망으로 커버되거나 개구 방향이 하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측면 흡기유닛(제3 흡기 유닛)(230)의 전면은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측면을 이루는 측벽에서 돌출되지 않게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측면 흡기유닛(제3 흡기 유닛)(23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측면에 구성되는 하우징(120)에 수용되게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발사위치(F)와 표적지(B)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장 흡기유닛(제4 흡기 유닛)(240)은, 사격장의 발사위치(F)와 표적지(B) 사이의 공간에서 실탄 사격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면서 떠 있는 가스를 천장 측에서 흡기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천장 흡기유닛(제4 흡기 유닛)(240)은 실내 사격장의 발사위치(F)와 표적지(B) 사이 공간의 천장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흡기구로 구성되며, 이러한 천장 흡기유닛(제4 흡기 유닛)(240)의 흡기구는 후술하는 흡기구동유닛의 공동 흡기덕트(251)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천장 흡기유닛(제4 흡기 유닛)(240)의 흡기구는 메쉬망으로 커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천장 흡기유닛(제4 흡기 유닛)(240)의 전방 측에는 잘못 발사된 실탄에 의해 천장 흡기유닛의 흡기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판(241)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흡기구동유닛은 상기한 각 흡기유닛(제1 내지 제4 흡기유닛)(210 내지 240)이 각각 연결되는 공동 흡기덕트(251), 및 상기 공동 흡기덕트(251)의 말단부 경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기하여 배기하도록 구동되며,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흡기팬(25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흡기구동유닛은 흡기팬(252)을 보조하여 각 흡기유닛(제1 내지 제4 흡기유닛)(210 내지 240)에 각각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기를 흡기하기 위한 서브 흡기팬(2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측면 흡기유닛(240)에 대한 서브 흡기팬(253)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흡기구동유닛을 통해 흡기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정화유닛은, 흡기팬(252)의 배기 라인에 설치되어 실내 실탄사격장에서 총탄 사격에 의해 발생하는 화약성분들과 분진들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기하도록 구성되는 세정 집진 장치(261)로 구성될 수 있다.
세정 집진 장치(261)는 습식 세정 집진 장치(wet sc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상부 측에 구성되는 하우징(120)에 수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세정 집진 장치(261)로 세정수로 사용되는 물이 투입되며, 세정 집진 장치(261)에서 배출되는 물에는 화약성분과 분진 등의 오염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처리 장치(262)에 의해 폐수를 정화처리한 후에 외부로 배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내사격장 내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환기유닛은, 실내 실탄사격장의 천장으로부터 외기를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천장 외기공급구(제1 외기 공급구)(271)와, 실내 실탄사격장의 측방에서 외기를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측방 외기공급구(제2 외기 공급구)(272)와, 상기 발사위치(F)의 후방 측에 구성되되, 송풍되는 외기가 상기 제1 흡기유닛(210) 측을 지향하도록 구성되는 발사위치 외기공급구(제3 외기 공급구)(273), 및 천장 외기공급구(271)와 측방 외기공급구(272) 및 발사위치 외기공급구(273)에 연결되는 외기공급덕트 상에 구비되어 외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천장 외기공급구(제1 외기공급구)(271)는 바람직하게 발사위치(F) 및/또는 표적지나 탄두 회수 유닛(300)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발사위치(F) 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천장 외기공급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천장 외기공급구(제1 외기공급구)(271)가 발사위치(F)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측방 외기공급구(제2 외기공급구)(272)는 실내 사격장의 발사위치(F)와 표적지(B) 사이 공간의 바닥측 측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흡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사위치 외기공급구(273)는 사격자의 두부 후방 측에 위치되고 제1 흡기유닛(210) 측을 지향하도록 설치되어 실탄 사격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총연배기가스가 발사위치의 사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흡기구동유닛 및 정화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은, 전체 설비시스템의 온/오프 조작과, 실내 실탄사격장의 일측에 마련되어 흡기팬(252, 253)과 송풍팬(미도시)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내부 공간 일측에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어반은 흡기팬(252, 253)과 송풍팬(미도시)을 일정 간격으로 자동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 회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검출센서를 더 포함하여 공기검출센서의 검출값에 근거한 구동제어신호에 의하여 흡기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각각의 흡기유닛과 정화유닛을 통해 실내 실탄사격장 내의 실내 공기를 정화함과 함께 정화된 공기 및/또는 신선한 외부 공기를 실내 사격장 내로 급기해서 실내 사격장의 공기오염을 방지하고 깨끗한 실내 공기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탄 탄두 회수 유닛(300)은 격자형 프레임(310)과, 상기 격자형 프레임(310)의 외곽을 탈착가능하게 커버하고, 실탄의 탄두가 완충되면서 통과할 수 있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 완충 부재(320)와, 전면 완충 부재(320) 내에 충전되는 신축성 재질의 충전재(330), 및 상기 격자형 프레임(31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40)을 포함하며, 본 발명은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300)을 컨테이너형 바디(100) 내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는 인입출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자형 프레임(310)은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형상이 직육면체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 측이 일측으로 실탄 발사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입방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완충 부재(320)는 앞서 설명한 완충 플레이트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완충 부재(320)는 소정 두께의 고무판 또는 압축 고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 플레이트(103)는 붕소, 염소, 브롬, 인 등의 난연성 원소(난연재)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면 완충 부재(320)는 난연성 원소가 포함되는 고무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완충성을 가지면서 난연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되어 탄두의 충격에 따른 마찰열이나 다른 화재 원인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 전면 측의 프레임(310)이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한 전면 완충 부재(320)에 의해 커버된다.
또한, 충전재(330)는 소정 입경(예를 들면, 2 ~ 5mm)의 고무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입출 가이드유닛은 예를 들면, 탄두 회수 유닛(300)의 하부의 컨테이너형 바디(100) 바닥면에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281), 및 탄두 회수 유닛(300)의 하부에 구성되어 가이드 레일(281)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롤러부재(2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레일(281)과 롤러부재(282)는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281)은 실탄 탄두 회수 유닛(300)의 하면에 구성되고, 상기 롤러부재(282)는 컨테이너형 바디(100)에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과 제어반을 포함한 전력 필요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유닛은, 컨테이너형 바디(100)의 외부에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패널(400)을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전력 공급 유닛은 신재생에너지장치로서 태양광 발전패널 이외 풍력발전설비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패널와 같은 자가 발전 설비가 구성되는데, 통상의 전력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컨테이너형 바디
101: 철재 외판
102: 방탄 플레이트
103: 완충 플레이트
103a: 요홈
103b: 돌출부
104: 고무입자 충전층
110: 출입 도어
120: 하우징
210: 총연배기 흡기유닛(제1 흡기 유닛)
220: 표적지 흡기유닛(제2 흡기 유닛)
230: 측면 흡기유닛(제3 흡기 유닛)
240: 천장 흡기유닛(제4 흡기 유닛)
251: 공동 흡기덕트
252: 흡기팬
253: 서브 흡기팬
261: 세정 집진 장치
262: 수처리 장치
271: 천장 외기공급구(제1 외기 공급구)
272: 측방 외기공급구(제2 외기 공급구)
273: 발사위치 외기공급구(제3 외기 공급구)
281: 가이드 레일
282: 롤러 부재
300: 실탄 탄두 회수 유닛
310: 격자형 프레임
320: 전면 완충 부재
330: 충전재
400: 태양광 발전패널(전력 공급 유닛)

Claims (7)

  1. 일측에 출입 도어가 형성되는 컨테이너형 바디;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에 구성되어 내부 공기를 흡기 정화하고 환기시키기 위한 벤틸레이션 유닛(ventilation means);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표적지 측에 구비되어 실탄 탄두를 회수하기 위한 실탄 탄두 회수 유닛;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과 제어반을 포함한 전력 필요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자가발전 방식의 전력 공급 유닛; 및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을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에서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입출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이 구비되는 측의 컨테이너형 바디의 단부 면은 개방되거나 탈락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출 가이드유닛은,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바닥면과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의 바닥면 중 하나에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바닥면과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의 바닥면 중 다른 하나에 구성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는 철재의 외판과, 상기 외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소정 두께의 방탄 플레이트와, 상기 방탄 플레이트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완충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방탄 플레이트와 완충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충전되는 완충 재질의 충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은 격자형 프레임과, 상기 격자형 프레임의 외곽을 탈착가능하게 커버하고, 실탄 탄두가 완충되면서 통과할 수 있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 완충 부재, 및 상기 전면 완충 부재로 둘러싸인 공간에 충전되는 신축성 재질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플레이트와 전면 완충 부재는 소정 두께의 난연재를 포함하는 고무판 또는 압축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전층 및 충전재는 2 ~ 5mm의 고무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벤틸레이션 유닛은 발사위치 전방의 직하방 바닥에 설치되는 제1 흡기 유닛과, 표적지의 직하방 또는 전방 직하방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2 흡기 유닛과, 발사위치와 표적지 사이의 양측면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3 흡기 유닛과, 발사위치와 표적지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4 흡기 유닛과, 상기 제1 내지 제3 흡기유닛으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도록 구동하는 흡기구동유닛과, 상기 흡기구동유닛을 통해 흡기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정화유닛, 및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내측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환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환기유닛은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천장으로부터 외기를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외기 공급구와, 상기 컨테이너형 바디의 측방에서 외기를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외기 공급구와, 발사위치의 후방 측에 구성되되 송풍되는 외기가 상기 제1 흡기유닛 측을 지향하도록 구성되는 제3 외기 공급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외기공급구에 연결되는 외기공급덕트에 구비되어 외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유닛은,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이동 실탄사격장.
KR1020180127118A 2018-10-24 2018-10-24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 KR10196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118A KR101961686B1 (ko) 2018-10-24 2018-10-24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
PCT/KR2019/013267 WO2020085691A1 (ko) 2018-10-24 2019-10-10 이동식 실탄 사격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118A KR101961686B1 (ko) 2018-10-24 2018-10-24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686B1 true KR101961686B1 (ko) 2019-03-25

Family

ID=6590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118A KR101961686B1 (ko) 2018-10-24 2018-10-24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68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268B1 (ko) * 2019-06-27 2019-12-10 주식회사 창대이앤씨 지하복합상업시설의 화재연계 지능형 통합 공조시스템
KR102134257B1 (ko) 2019-04-25 2020-07-15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이동식 실탄 탄두 분리 회수 장치
KR102293658B1 (ko) * 2020-03-12 2021-08-26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365474B1 (ko) * 2021-06-28 2022-02-23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외 실탄 사격장용 소음 저감 및 도비탄 방지 패널
KR102378149B1 (ko) * 2021-06-28 2022-03-24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용 친환경 벤틸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실탄사격 설비
KR102493372B1 (ko) * 2022-03-04 2023-01-31 우순 컨테이너형 스마트 사격장
KR102493325B1 (ko) * 2022-03-04 2023-01-31 우순 직사화기의 탄착점 추정 시스템 및 방법
WO2024049677A3 (en) * 2022-08-23 2024-04-11 Verco Materials, Llc Compact rifle protection ballistic shiel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144A (ko) 2008-08-27 2010-03-09 (주)아이브리즈 지리 정보 시스템과 건축도면을 기반으로 하는 건축물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2298B1 (ko) 2010-12-22 2013-05-08 김휘중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KR101575273B1 (ko) 2015-03-11 2015-12-2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
WO2016059221A1 (en) * 2014-10-16 2016-04-21 Ingenieursbureau En Technische Handelsonderneming Autron B.V. Modular shooting range
KR101696233B1 (ko) 2015-10-16 2017-01-13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 및 그 탄두회수함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144A (ko) 2008-08-27 2010-03-09 (주)아이브리즈 지리 정보 시스템과 건축도면을 기반으로 하는 건축물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2298B1 (ko) 2010-12-22 2013-05-08 김휘중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WO2016059221A1 (en) * 2014-10-16 2016-04-21 Ingenieursbureau En Technische Handelsonderneming Autron B.V. Modular shooting range
KR101575273B1 (ko) 2015-03-11 2015-12-2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
KR101696233B1 (ko) 2015-10-16 2017-01-13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적층 설치가 가능한 탄두회수함 및 그 탄두회수함을 이용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57B1 (ko) 2019-04-25 2020-07-15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이동식 실탄 탄두 분리 회수 장치
KR102054268B1 (ko) * 2019-06-27 2019-12-10 주식회사 창대이앤씨 지하복합상업시설의 화재연계 지능형 통합 공조시스템
KR102293658B1 (ko) * 2020-03-12 2021-08-26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365474B1 (ko) * 2021-06-28 2022-02-23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외 실탄 사격장용 소음 저감 및 도비탄 방지 패널
KR102378149B1 (ko) * 2021-06-28 2022-03-24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용 친환경 벤틸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실탄사격 설비
KR102493372B1 (ko) * 2022-03-04 2023-01-31 우순 컨테이너형 스마트 사격장
KR102493325B1 (ko) * 2022-03-04 2023-01-31 우순 직사화기의 탄착점 추정 시스템 및 방법
WO2024049677A3 (en) * 2022-08-23 2024-04-11 Verco Materials, Llc Compact rifle protection ballistic shie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686B1 (ko) 컨테이너형 이동 사격장
KR102009459B1 (ko)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KR101575273B1 (ko)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
KR101644918B1 (ko) 실내 실탄사격장의 납흄 발생 억제를 위한 탄두 회수 시스템
US5811718A (en) Bullet stop and containment chamber with airborne contaminant removal
EP1809978B1 (en) Modular shooting range
US4164901A (en) Indoor gun firing range enclosure having a ventilation system
US7967296B1 (en) Modular shooting system
KR102257194B1 (ko) 친환경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US20080258395A1 (en) Modular Shooting Range
KR101920269B1 (ko)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이동식 실탄사격장
US20140349564A1 (en) Enclosure for shooter
KR102009457B1 (ko)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이동식 실탄사격장
WO2020085691A1 (ko) 이동식 실탄 사격 장비
US20090235568A1 (en) Firearm Pre-Muzzle Lead Emission Containment Device
KR102009462B1 (ko) 실탄 탄두 회수 장치
KR102095343B1 (ko) 스마트 실탄 사격장의 도비탄 방지 및 환경 보호를 위한 이동식 실탄 사격-탄두회수 장치
KR102381754B1 (ko) 실내 실탄사격장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116752B1 (ko) 스마트 실탄 사격 표적 시스템
KR102378149B1 (ko)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용 친환경 벤틸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실탄사격 설비
KR102293658B1 (ko) 실내 실탄사격장 벤틸레이션 시스템
Seta Lead exposure and design considerations for indoor firing ranges
KR102670073B1 (ko) 실내사격장용 기압차 공조장치
KR102022642B1 (ko) 야외 전투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의 이동식 실탄 사격 장비
KR20230130876A (ko) 실내사격장용 기압차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