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109B1 -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 Google Patents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109B1
KR101696109B1 KR1020150181791A KR20150181791A KR101696109B1 KR 101696109 B1 KR101696109 B1 KR 101696109B1 KR 1020150181791 A KR1020150181791 A KR 1020150181791A KR 20150181791 A KR20150181791 A KR 20150181791A KR 101696109 B1 KR101696109 B1 KR 101696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el sheet
weight
composition
water 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범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109B1/ko
Priority to CN201680074270.4A priority patent/CN108431300B/zh
Priority to PCT/KR2016/014897 priority patent/WO2017105160A2/ko
Priority to US16/062,926 priority patent/US11028322B2/en
Priority to JP2018531205A priority patent/JP6667638B2/ja
Priority to EP16876102.1A priority patent/EP33923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109B1/ko
Priority to US17/317,317 priority patent/US11332667B2/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14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lkaline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14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lkaline solutions
    • C23G1/16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lkaline solutions using inhibitors
    • C23G1/18Organic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14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lkaline solutions
    • C23G1/19Iron or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5/00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5/00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 C23G5/02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소디움카보네이트, 암모니움아세테이트,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AQUEOUS SOLUTION COMPOSITION FOR PICKLING STEEL SHEET AND METHOD FOR WASHING THE PICKLING STEEL SHEET USING THE SAME}
본원발명은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세 후 강판 표면이 재산화되어 생기는 황변을 방지하여 표면 품질이 우수한 강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산세 공정에서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온으로 열처리 후 열간압연을 실시하는 열연강판, 냉간압연 후 연속 소둔 공정에서 수냉을 실시한 일부의 냉연강판, 또는 일정 시간 이상 대기 중에 노출된 강판의 표면에는 여러 형태의 산화물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산화물 피막은 후공정의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산세 공정에서 제거하게 된다.
상기 산세 공정은 강판 표면의 산화물 피막을 산 용액으로 제거하는 산세 단계, 산세 시 강판에 묻어있는 산 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수세 단계 및 수세 시 묻어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 단계를 함께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세 단계 및 건조 단계에서 강판 표면이 다시 산화되어 강판의 표면이 어둡게 변하고, 황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고강도 강은 망간, 실리콘, 알루미늄, 마그네슘과 같은 강산화성 강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재산화에 의한 황변이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형성된 산화물은 후 공정인 인산염, 도금 또는 도장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황변 방지를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 상기 산세 공정의 표면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은, 한국특허출원 제2000-00821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세액의 pH 조절을 위해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기술이지만, 이와 같은 pH 조절만으로는 황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크게 부족하였다.
한편, 한국특허출원 제2006-0079405호는 알킬아민, 알킬디아민 및 알킬테트라아민 중 하나 또는 둘 이상, 고온 안정화제로서 테트라하이드로-1,4-옥사진 및 수용액 안정화제로서 무수 시트릭에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황변 방지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황변을 방지하여 강판의 표면 품질이 개선될 수 있는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세 방법이 제공되는 경우 관련 분야에서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원발명의 한 측면은 산세 후 강판 표면이 재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황변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표면 품질이 우수한 강판을 얻을 수 있는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수세 조성물을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소디움카보네이트, 암모니움아세테이트,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수세 조성물은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6 내지 14중량%, 아민계 화합물 6 내지 19중량%, 소디움카보네이트 1 내지 9중량%, 암모니움아세테이트 1 내지 9중량%, EDTA 1 내지 14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비스페놀 A-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트, 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 테트라페닐 m-페닐렌 비스(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에틸아민, 메틸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폴리에틸아민, 폴리프로필아민, 폴리부틸아민 및 폴리아릴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 조성물은 pH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 조성물은 pH가 8.5 내지 1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 조성물은 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에 희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소디움카보네이트, 암모니움아세테이트,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및 잔부의 물을 혼합하여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세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는 단계; 및 산세 강판을 상기 수세 조성물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수세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세 조성물을 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에 희석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 방법은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 조성물은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6 내지 14중량%, 아민계 화합물 6 내지 19중량%, 소디움카보네이트 1 내지 9중량%, 암모니움아세테이트 1 내지 9중량%, EDTA 1 내지 14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비스페놀 A-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트, 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 테트라페닐 m-페닐렌 비스(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에틸아민, 메틸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폴리에틸아민, 폴리프로필아민, 폴리부틸아민 및 폴리아릴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 조성물은 pH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 조성물은 pH가 8.5 내지 1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강판의 산세 공정에서 황변 방지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킴으로써, 고 산화성 강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기가급 고강도 강판의 생산 시에도 황변이 없는 우수한 표면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세 후 강판 표면이 재산화되고 황변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표면 품질이 우수한 강판을 얻을 수 있는 산세 공정에서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은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소디움카보네이트, 암모니움아세테이트,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수세 조성물은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6 내지 14중량%, 아민계 화합물 6 내지 19중량%, 소디움카보네이트 1 내지 9중량%, 암모니움아세테이트 1 내지 9중량%, EDTA 1 내지 14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비스페놀 A-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트, 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 테트라페닐 m-페닐렌 비스(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이 6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황변 방지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14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세 시 강판에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8 내지 1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에틸아민, 메틸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폴리에틸아민, 폴리프로필아민, 폴리부틸아민 및 폴리아릴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이 6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황변 방지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19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세 시 강판에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10 내지 14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소디움카보네이트는 본 발명의 수세액 조성물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성분으로,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황변 방지에 유리한 pH로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9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세 시 침전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디움카보네이트는 4 내지 8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암모니움아세테이트는 본 발명의 수세액 조성물의 pH를 조절하고 용액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 성분으로,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세 시 침전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9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효과가 포화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모니움아세테이트는 3 내지 7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는 본 발명의 수세액 조성물의 황변 억제를 위해 사용된 성분으로,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황변 방지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14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액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EDTA는 6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은 잔부의 물을 포함한다. 즉, 상기 물은 본 발명의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함께 전제 조성물이 100 중량%가 되는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을 정제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은 강판의 부식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pH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세 조성물은 pH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세 조성물은 pH가 8.5 내지 11.5인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의 pH가 8.5 미만인 경우에는 부식 속도 감소 효과가 적어 충분한 황변 방지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원발명과 같이 pH가 8.5 이상인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강판이 약 부식 영역 혹은 안정 영역에서 수세 될 수 있기 때문에 황변 방지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수세 조성물은 산세 강판의 수세에 적용되는 경우, 추가의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에 희석될 수 있다. 상기 희석된 수세 조성물의 농도가 0.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황변 방지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포화되어 경제성 측면에서 더 이상의 첨가는 의미가 크지 않으므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수세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산세 강판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열연산세 공정, 열연산세도유 공정, 열연산세도금 공정, 연속소둔 공정, 스테인레스 공정, 용융도금 공정, 전기아연도금 공정 등과 같이 철강을 산세하는 어떠한 공정에서 산세된 강판일 수 있으며,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세 조성물을 이용하여 산세 공정에서 수세를 행할 경우 고강도 강판의 황변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은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소디움카보네이트, 암모니움아세테이트,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및 잔부의 물을 혼합하여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세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는 단계; 및 산세 강판을 상기 수세 조성물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에 있어서 수세 조성물의 각 성분 및 함량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세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세 조성물을 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에 희석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희석된 수세 조성물의 농도가 0.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황변 방지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포화되어 경제성 측면에서 더 이상의 첨가는 의미가 크지 않으므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침지하는 단계는 상온에서 1 내지 60초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초간, 예를 들어 약 10초간 수행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상온에서 짧은 시간 동안 충분한 수세가 가능하고, 강판의 황변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세 방법은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건조 방식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열풍 건조, 오븐 건조 등 의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원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원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원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예 1: 수세 조성물의 조성에 따른 황변 방지 효과 평가
산세 소재는 망간 2.8 중량%와 실리콘 1.1 중량%인 1.2mm 두께의 980DP 열연강판을 가로 x 세로 100 x 100 mm 크기로 가공하여 사용하였고, 15 중량%와 80℃의 염산 500ml에 30초간 침적하여 산세를 행하였다.
한편, 그 결과 획득되는 산세 강판의 수세는 상온의 증류수 500ml에 본원발명의 수세 조성물 0.5%를 첨가하여 10초간 침적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사용된 수세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여 최종 수세 조성물을 획득하였다. 하기 표 1에서 100 중량%를 기준으로 나머지 함량으로는 물이 포함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각각의 수세 조성물에 있어서 강판의 황변 방지능과 용액 안정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황변 방지능은 색차계(Minolta Spectrophotometer, CM3700d)를 사용하여 산세를 마친 시료의 황색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황변 방지능 평가 기준>
○: 황색도 2이하
X: 황색도 2초과
또한, 용액 안정성은 수세 조성물 원액을 50 ℃ 항온조에서 3일 동안 보관하여 보관 전후의 점도 변화를 측정하고 슬러지 발생여부를 관찰하는 방법과, 증류수에 수세 조성물 0.5%를 첨가하여 산세 시료를 수세한 후 침전물이나 부유물 발생 여부를 관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용액 안정성 평가 기준>
○: 점도변화 20% 이내 그리고 슬러지 발생 없음 그리고 침전물/부유물 발생 없음
X: 점도변화 20% 초과 또는 슬러지 발생 있음 또는 침전물/부유물 발생 있음
기타 문제점의 항목에 있어서는, 기타 문제점이 없는 경우를 ○로 표시하고, 기타 문제점이 있는 경우는 해당 문제점을 간략히 기재하였다.
구분 수세액 조성물 (중량%) 품질 특성
인산에스테르 아민 화합물 소디움카보네이트 암모니움아세테이트 EDTA 황변
방지능
용액
안정성
기타
문제점
비교예 1 4 12 6 5 8 X
실시예 1 6 12 6 5 8
실시예 2 10 12 6 5 8
실시예 3 10 12 6 5 8
비교예 2 10 12 6 5 8 얼룩
비교예 3 10 4 6 5 8 X
실시예 4 10 6 6 5 8
실시예 5 10 12 6 5 8
실시예 6 10 19 6 5 8
비교예 4 10 22 6 5 8 X
비교예 5 10 12 0 5 8 X
실시예 7 10 12 1 5 8
실시예 8 10 12 6 5 8
실시예 9 10 12 9 5 8
비교예 6 10 12 10 5 8 X
비교예 7 10 12 6 0 8 X
실시예 10 10 12 6 1 8
실시예 11 10 12 6 5 8
실시예 12 10 12 6 9 8
비교예 8 10 12 6 10 8 냄새
비교예 9 10 12 6 5 0 X
실시예 13 10 12 6 5 1
실시예 14 10 12 6 5 8
실시예 15 10 12 6 5 14
비교예 10 10 12 6 5 16 X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의한 산세 조성물의 경우 황변 방지능과 용액안정성이 우수하고 기타 문제점 없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수세 조성물의 pH 및 첨가량에 따른 황변 방지 효과 평가
수세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여 사용 시 이때 pH와 수세 조성물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산세와 수세방법으로 실험한 시료의 황변 방지능과 용액 안정성을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수세 조성물 조건 품질 특성
pH 첨가량 (%) 황변 방지능 용액 안정성 기타 문제점
비교예 11 7.5 0.5 X
실시예 16 8.5 0.5
실시예 17 9.5 0.5
실시예 18 11.5 0.5
비교예 12 8.5 0.03 X
실시예 19 8.5 0.05
실시예 20 8.5 0.5
실시예 21 8.5 1.0
실시예 22 8.5 1.5 경제성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수세 조성물의 범위에 속하는 조건으로 산세를 행할 경우는 황변 방지능과 용액안정성이 우수하고 기타 문제점 없이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5)

  1.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6 내지 14중량%, 아민계 화합물 6 내지 19중량%, 소디움카보네이트 1 내지 9중량%, 암모니움아세테이트 1 내지 9중량%, EDTA 1 내지 14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비스페놀 A-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트, 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 테트라페닐 m-페닐렌 비스(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에틸아민, 메틸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폴리에틸아민, 폴리프로필아민, 폴리부틸아민 및 폴리아릴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조성물은 pH가 8.5 이상인,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조성물은 pH가 8.5 내지 11.5인,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조성물은 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에 희석되는,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8.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6 내지 14중량%, 아민계 화합물 6 내지 19중량%, 소디움카보네이트 1 내지 9중량%, 암모니움아세테이트 1 내지 9중량%, EDTA 1 내지 14중량% 및 잔부의 물을 혼합하여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세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는 단계; 및
    산세 강판을 상기 수세 조성물에 침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세 조성물을 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에 희석하여 수행되는,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수세 방법은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비스페놀 A-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레이트, 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 테트라페닐 m-페닐렌 비스(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에틸아민, 메틸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폴리에틸아민, 폴리프로필아민, 폴리부틸아민 및 폴리아릴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조성물은 pH가 8.5 이상인,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조성물은 pH가 8.5 내지 11.5인,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KR1020150181791A 2015-12-18 2015-12-18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KR101696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791A KR101696109B1 (ko) 2015-12-18 2015-12-18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CN201680074270.4A CN108431300B (zh) 2015-12-18 2016-12-19 酸洗钢板的水洗组合物及利用其的酸洗钢板的水洗方法、由此得到的钢板
PCT/KR2016/014897 WO2017105160A2 (ko) 2015-12-18 2016-12-19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이에 의해 얻어진 강판
US16/062,926 US11028322B2 (en) 2015-12-18 2016-12-19 Composition for washing pickled steel plate, method for washing pickled steel plate by using same, and steel plate obtained thereby
JP2018531205A JP6667638B2 (ja) 2015-12-18 2016-12-19 酸洗鋼板の水洗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酸洗鋼板の水洗方法、これにより得られた鋼板
EP16876102.1A EP3392377B1 (en) 2015-12-18 2016-12-19 Composition for washing pickled steel plate, method for washing pickled steel plate by using same, and steel plate obtained thereby
US17/317,317 US11332667B2 (en) 2015-12-18 2021-05-11 Composition for washing pickled steel plate, method for washing pickled steel plate by using same, and steel plate obtain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791A KR101696109B1 (ko) 2015-12-18 2015-12-18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109B1 true KR101696109B1 (ko) 2017-01-13

Family

ID=5783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791A KR101696109B1 (ko) 2015-12-18 2015-12-18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1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2207A (ja) * 2004-06-17 2006-01-05 Sugimura Kagaku Kogyo Kk 金属の変色防止剤および金属の変色防止方法
JP2006028574A (ja) * 2004-07-15 2006-02-02 Sugimura Kagaku Kogyo Kk 酸洗鋼帯の水洗浄処理方法
JP4927322B2 (ja) * 2004-08-06 2012-05-09 朝日化学工業株式会社 熱間圧延鋼板の変色防止剤組成物、変色防止液および変色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2207A (ja) * 2004-06-17 2006-01-05 Sugimura Kagaku Kogyo Kk 金属の変色防止剤および金属の変色防止方法
JP2006028574A (ja) * 2004-07-15 2006-02-02 Sugimura Kagaku Kogyo Kk 酸洗鋼帯の水洗浄処理方法
JP4750386B2 (ja) * 2004-07-15 2011-08-17 スギムラ化学工業株式会社 酸洗鋼帯の水洗浄処理方法
JP4927322B2 (ja) * 2004-08-06 2012-05-09 朝日化学工業株式会社 熱間圧延鋼板の変色防止剤組成物、変色防止液および変色防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819B2 (en) Solution composition for steel sheet surface treatment, zinc-based plated steel sheet surface-treated with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29592B1 (ko) 산세 후의 강판 표면의 황변 방지 방법
US11332667B2 (en) Composition for washing pickled steel plate, method for washing pickled steel plate by using same, and steel plate obtained thereby
US2956956A (en) Inhibitors for acid solutions employed in the surface treatment of metals
US9347134B2 (en) Corrosion resistant metallate compositions
CZ236895A3 (en) Chromium-free passivating metal substrata and solution for making the same
JP3718638B2 (ja) 絶縁皮膜付き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950567A (zh) 一种用于罩式退火后冷轧钢卷的防锈剂及其应用方法
EP2670888A2 (en) Aluminum treatment compositions
JP6968825B2 (ja) 裸鋼および/または亜鉛めっき鋼を含む金属表面の酸洗いにおける材料の腐食除去を減少させるための組成物
KR101786348B1 (ko) 산세 강판의 내황변 처리 강판 및 내황변 처리 강판을 이용한 표면처리 강판 제조방법
KR101696109B1 (ko)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KR101696119B1 (ko) 산세 강판의 수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세 강판의 수세 방법
US20200040464A1 (en) Aqueous solu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corrosion resistance of a cr(iii) conversion coating and modified cr(iii) conversion coating
JPH06116768A (ja) 金属低温清浄用無燐アルカリ脱脂液
KR20210075494A (ko) 열연강판 스케일 억제용 냉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연강판 냉각 방법
CN109852975A (zh) 一种镀锌设备酸洗缓蚀剂
KR101663112B1 (ko) 통신용 rf 필터에 적용된 마그네슘 합금용 구리표면 부식방지제 조성물 및 처리방법
KR100328091B1 (ko) 산세액조성물
KR102348576B1 (ko) 내황변성 및 인산염 처리성이 향상된 강판 및 상기 강판을 이용한 표면처리 강판의 제조방법
US20200325582A1 (en) Proces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l surfaces using trivalent chromium compounds
WO2024047074A1 (en) Method of pre-treating metallic substrates
JPH0812994A (ja) 化成被膜除去用洗浄組成物
KR20190075655A (ko) 열연강판 냉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연 강판의 냉각 방법
JP2020056073A (ja) 金属材の表面処理方法、カチオン電着塗装用金属材、および電着塗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