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382B1 -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 Google Patents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382B1
KR101695382B1 KR1020150083284A KR20150083284A KR101695382B1 KR 101695382 B1 KR101695382 B1 KR 101695382B1 KR 1020150083284 A KR1020150083284 A KR 1020150083284A KR 20150083284 A KR20150083284 A KR 20150083284A KR 101695382 B1 KR101695382 B1 KR 10169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optical sensor
main body
optical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262A (ko
Inventor
고영균
Original Assignee
고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균 filed Critical 고영균
Priority to KR102015008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382B1/ko
Priority to PCT/KR2016/006001 priority patent/WO2016200117A1/ko
Publication of KR2016014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는 외부기기를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받침대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Case Having Mouse Function}
본 발명은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케이스에 광센서를 구비하여 마우스로 대체할 수 있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등장과 더불어 휴대 단말의 이용 가능성은 한계를 짐작하기 어려울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즉, 스마트폰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로 네비게이션, 웹검색, 위치기반 LBS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에는 다양한 기능에 필요한 고가의 부품들을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구매 비용 또한 종래 일반적인 휴대폰에 비하여 매우 비싼 실정이다.
이러한 고가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스마트폰 외부의 스크래치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폰 케이스를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휴대폰 케이스는 외부의 스크래치 방지 및 파손 방지를 위한 기능외에는 활용방안이 낮아 필요성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은 대부분 전화기능을 필수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소지하고 다니게 되나, 스마트폰보다 높은 처리 능력을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성된 데스크탑 PC나 노트북 등과 같은 기기를 같이 소지하고 있을 때, 휴대 단말의 사용빈도가 현격히 줄어든다.
더하여, 현재 이동통신을 지원하며 스마트폰보다 높은 사양을 가진 다양한 이동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일례로 노트북, 넷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기기들이 있다.
이러한 이동기기들은 휴대성을 강조하는데 반해 실 사용에서는 마우스 등과 같은 주변기기를 별도 소지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주변기기를 추가 소지하고 이동할 경우 거동에 불편함을 가중하며, 특히 태블릿 PC는 터치입력으로 주변기기를 대체하기는 하나 터치입력의 사용성과 정확성이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 수단에 비해 떨어지므로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해당 이동기기들과 연동하는 별도의 주변기기를 추가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이 낮은 마우스를 대체할 수 있도록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며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는 외부기기 후면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받침대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전력 에너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코일을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 에너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외부기기의 후면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 후면에 접하는 보호패널부와, 상기 보호패널부의 외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기기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부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기기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널부는 상기 외부기기의 후면에 구비되는 카메라,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가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패널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방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보호패널부의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지면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홀과, 상기 회전홀의 상부에서 일측이 돌출되어 지면과 접하며 상기 본체가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홀에서 회전하는 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개방홀 하단에 구비되며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광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보호패널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서 측정한 광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며 상기 회로기판의 하단에서 상기 수용부 방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기기에 결합되는 연결장치와, 상기 광센서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광센서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를 작동할 때 상부로 슬라이딩하는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홀과 상기 광센서의 경계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판이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회전힌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광센서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를 작동할 때 상부로 슬라이딩하는 보호판과, 상기 개방홀과 상기 광센서가 구비되는 상기 보호패널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판이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은 외부기기를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받침대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학장치와, 상기 광학장치의 움직임을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전력 에너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코일을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 에너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외부기기의 후면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 후면에 접하며 상기 외부기기의 후면에 구비되는 카메라,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가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패널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방홀을 구비하는 보호패널부와, 상기 보호패널부의 외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기기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부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기기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보호패널부의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지면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홀과, 상기 회전홀의 상부에서 일측이 돌출되어 지면과 접하며 상기 본체가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홀에서 회전하는 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개방홀 하단에 구비되며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광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보호패널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서 측정한 광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며 상기 조작부의 하단에서 상기 수용부 방면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외부기기에 결합되는 연결장치와, 상기 광센서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회로기판에서 측정한 상기 광센서의 광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외부기기의 전면에 마우스, 줌버튼, 캡쳐버튼, 숫자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출하는 표출부와,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이미지의 조작 명령을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신호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에 의하면, 본체 외측에 광센서를 구비하여 마우스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본체와 결합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케이스 내부에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여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로기판이 구비된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는 외부기기(10) 후면에 결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가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받침대(200)와,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학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에 수용되는 외부기기(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다양한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 등 마우스를 사용하는 장치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10)는 후면에 카메라, 조명 등 발광장치(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에서 발광장치(2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충격 보호와 개성 표현의 방법으로 사용이 보편화된 케이스를 노트북의 사용시 필수 장치인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과 휴대성을 고려하여 얇고 가벼워지는 추세의 노트북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노트북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우스의 사용이 필수적인데 마우스의 휴대성이 떨어지는 관계로 노트북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사용한다.
노트북에 필수로 사용되는 마우스를 대체하기 위하여 케이스에 광학장치(300)를 구비하여 마우스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마우스를 휴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에 의하여 케이스의 본 목적인 스마트폰의 충격 보호와 노트북, 컴퓨터 등의 마우스가 필요한 장치에 마우스를 대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는 외부기기(10) 후면에 결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가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받침대(2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0)는 상기 외부기기(10)의 후면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10) 후면에 접하는 보호패널부(110)와, 상기 보호패널부(110)의 외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기기(10)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부기기(10)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121)을 구비하는 조작부(120)와, 상기 조작부(120)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기기(10)가 수용되는 수용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널부(110)는 상기 외부기기(10)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기기(10)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내부에 자체 쿠션감을 가질 수 있는 인조 피혁재로 형성되는 완충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패널부(110)는 상기 외부기기(10)와 접하는 면에 상기 외부기기(10)가 수용된 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거나 마찰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패널부(110)는 상기 외부기기(10)의 후면에 구비되는 카메라,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20)가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패널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방홀(111)을 구비하여 상기 외부기기(10)가 상기 보호패널부(110)에 수용된 후 상기 카메라, 조명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방홀(111) 외에도 상기 보호패널부(110)는 상기 외부기기(10)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20)는 상기 보호패널부(110)의 테두리에서 소정의 두께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기기(10)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기기(10)의 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20)는 상기 외부기기(10)가 수용부(130)에 수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이 상기 수용부(130) 방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20)는 상기 외부기기(10)의 측면에 구비된 조작장치와 동일한 위치에 조작버튼(121)을 구비하여 상기 외부기기(10)가 상기 수용부(130)에 수용된 후 상기 외부기기(10)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0)는 상기 보호패널부(110)와 상기 조작부(120) 일 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보호패널부(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기기(1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보호패널부(110)가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기(10)의 후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상기 외부기기(10)의 양 측면에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기기(10)의 후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00)는 상기 보호패널부(110)의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200)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와 지면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2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홀(220)과, 상기 회전홀(220)의 상부에서 일측이 돌출되어 지면과 접하며 상기 본체(100)가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홀(220)에서 회전하는 볼(2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200)는 상황에 따라 모서리 외에도 다수가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200)에 의하여 상기 보호패널부(110)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패널부(110)로 직접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0)는 상기 보호패널부(110)에 구비된 각각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0)는 상기 보호패널부(110)가 지면과 닿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0)의 내부에는 상기 볼(23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230)의 직경보다 넓은 회전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홀(220)은 상기 지지대(210)와 지면이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210)의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홀(220)의 형상은 상기 볼(230)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이나 상기 볼(230)의 직경보다 넓은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홀(220)은 상기 볼(230)이 삽입된 후 상기 볼(23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볼(2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230)은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패널부(110)가 지면에 닿았을 때 원활한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홀(22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로기판이 구비된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장치(300)는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보호패널부(110)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학장치(300)는 상기 개방홀(111) 하단에 구비되며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센서(310)와, 상기 광센서(310)에서 감지된 광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보호패널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로기판(320)과, 상기 회로기판(320)에 측정한 광신호를 상기 외부기기(10)로 전달하며 상기 조작부(120)의 하단에서 상기 수용부(130) 방면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외부기기(10)에 결합되는 연결장치(330)와, 상기 광센서(3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310)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기 위한 커버(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310)는 상기 보호패널부(110) 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홀(111)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가 지면에 접하였을 때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홀(111)과 상기 광센서(310)는 상기 개방홀(111)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센서(310)는 상기 광센서(3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홀(111)과 상기 광센서(310)까지 연장되는 연장홀(11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310)는 지면에 발광하는 광원은 적외선일 수 있으며 지면에 광원을 발광한 후 반사되어 전달되는 광원에 의하여 지면에서 상기 본체(100)가 이동할 때의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센서(310)는 광원이 지면에서 반사된 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20)은 상기 광센서(310) 주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패널부(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20)은 상기 광센서(310)에서 감지한 광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외부기기(1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20)이 수용된 상기 보호패널부(110)는 상기 회로기판(320)을 삽입한 후 성형하거나 상기 회로기판(320)을 개방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20)과 상기 광센서(310)는 서로 연결되거나 상기 회로기판(320)과 상기 광센서(310) 사이에 별도의 연결선이 구비되어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회로기판(320)과 동일하게 상기 보호패널부(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330)는 상기 본체(100)의 조작부(1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130) 방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30)로 수용되는 상기 외부기기(10) 하단에 구비된 전원삽입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330)는 상기 회로기판(320)에서 측정한 광신호를 상기 외부기기(1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기기(10)의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회로기판(320)과 상기 광센서(3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330)는 상기 외부기기(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기기(10)에 구비된 상기 전원삽입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장치(330)가 상기 조작부(120)에 구비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커버(340)는 상기 광센서(3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3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광센서(310)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외부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광센서(310)를 사용할 때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에너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코일(510)을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코일(510)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 에너지를 상기 외부기기(10)로 전달하는 무선 충전 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500)는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전력유도장치에 구비된 전력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력코일에 의하여 강한 자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500)는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전력유도장치에 케이스를 겹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500)에 구비된 코일(510)에서 외부의 전력유도장치에서 발생한 강한 자력이 그대로 유도되어 자력을 상기 회로기판(320)에서 전력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320)에서 전력 에너지로 변환한 전력 에너지를 상기 연결장치(330)에 의하여 상기 외부기기(10)로 공급하거나 상기 광센서(3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코일(510)에서 전력 에너지를 무선으로 수신한 후 상기 회로기판(320)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10)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500)는 상기 회로기판(320)과 함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340)는 상기 광센서(3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310)를 작동할 때 상부로 슬라이딩하는 보호판(34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340)는 상기 광센서(310)를 작동시켜 케이스에 구비된 마우스 기능을 실행시킬 때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광센서(3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340)에 의하여 상기 광센서(310)가 작동될 수 있으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센서(310)가 상기 커버(340)에 덮여 있을 때는 상기 광센서(3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광센서(310)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외부기기(10)의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40)는 상기 광센서(310)와 상기 개방홀(111)을 회전하며 각각 덮을 수 있다.
상기 커버(340)는 상기 광센서(3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310)를 작동할 때 상부로 슬라이딩하는 보호판(341)과, 상기 보호판(341)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홀(111)과 상기 광센서(310)의 경계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판(341)이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회전힌지(34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340)는 상기 본체(100)의 개방홀(111)에 구비되거나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판(341)은 상기 개방홀(111)과 상기 광센서(310)의 경계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힌지(342)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개방홀(111)과 상기 광센서(310)를 각각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판(341)은 상기 개방홀(111)과 상기 광센서(310)가 연결되는 연장홀(1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판(341)이 상기 개방홀(111) 및 상기 광센서(310)를 덮으면 상기 보호판(341) 윗면은 상기 보호패널부(110)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판(341)은 상기 연장홀(112)에서 억지낌움 또는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판(341)을 상기 연장홀(112)에서 회전시키지 않을 때는 상기 연장홀(112)에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힌지(342)는 상기 개방홀(111)과 상기 광센서(310)의 경계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판(341)의 일 단부에 관통되어 상기 회전힌지(34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힌지(342)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연장홀(112)에서 소정의 위치를 이동하며 상기 보호판(341)이 회전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연장홀(112)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기기(10)의 카메라 및 조명의 크기에 따라 개방홀(111)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는데 상기 개방홀(111)이 상기 광센서(310)보다 작게 형성될 때는 보호판(341)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호판(341)이 상기 광센서(310)를 덮을 때는 상기 회전힌지(342)는 상기 개방홀(111)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보호판(341)이 상기 개방홀(111)을 덮을 때는 상기 회전힌지(342)는 하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광센서(310)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힌지(342)를 상기 연장홀(112)에서 수직으로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를 사선으로 세울 수 있도록 상기 회전힌지(342)가 상기 연장홀(112)에서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3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광센서(3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310)를 작동할 때 상부로 슬라이딩하는 보호판(341)과, 상기 개방홀(111)과 상기 광센서(310)가 구비되는 상기 보호패널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판(341)이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4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341)은 상기 보호패널부(110)의 후면과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홀(112)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43)은 상기 연장홀(112)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판(341)이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은 외부기기(10)를 감싸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가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받침대(200)와,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학장치(300)와, 상기 광학장치(300)의 움직임을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어시스템(4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400)은 상기 회로기판(320)에서 측정한 상기 광센서(310)의 광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410)와, 상기 외부기기(10)의 전면에 마우스, 줌버튼(432), 캡쳐버튼(433), 숫자패드(434)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출하는 표출부(420)와, 상기 표출부(420)에 표출된 상기 이미지의 조작 명령을 처리하는 제어부(430)와, 상기 제어부(430)와 상기 수신부(410)에서 수신받은 신호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송신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410)는 상기 본체(100)와 연결된 연결장치(330)에 의하여 회로기판(320)에서 측정한 광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표출부(420)는 상기 외부기기(10) 전면에서 표출되는 디스플레이에 마우스 이미지(431)를 표출하여 사용자가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이미지(431) 상부에 줌버튼(432), 캡쳐버튼(433), 숫자패드(434) 등 다양한 아이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표출부(420)에 나타난 다양한 이미지가 터치될 때 수행되는 조작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 이미지(431)를 클릭하거나 휠의 이미지를 드래그하게 되면 마우스와 같은 효과를 노트북에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줌버튼(432)을 터치하게 되면 노트북, 컴퓨터의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줌버튼(432)을 터치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외부기기(10)의 화면을 복수개의 손가락으로 넓게하거나 좁게하여 줌을 실행할 수 있다.
캡쳐버튼(433)을 터치하면 노트북, 컴퓨터의 화면을 캡쳐할 수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에서 캡쳐한 화면이 외부기기(10)로도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숫자패드(434)를 터치하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이미지(431) 위에 숫자패드(434)가 생성되어 노트북과 같이 키보드 자판에 숫자패드(434)가 없을 경우 편리하게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440)는 상기 제어부(430)에서 처리하는 명령을 노트북, 컴퓨터 등 다양한 기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송신부(440)는 상기 노트북, 컴퓨터 등 다양한 기기와 WIFI 및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이나 유선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외부기기 100: 본체
110: 보호패널부 120: 조작부
130: 수용부 200: 받침대
300: 광학장치 310: 광센서
320: 회로기판 330: 연결장치
340: 커버 400: 제어시스템

Claims (14)

  1. 외부기기 후면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본체 후면에 구비되며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광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서 측정한 광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에 결합되는 연결장치와,
    상기 광센서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력 에너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코일을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 에너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외부기기의 후면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 후면에 접하는 보호패널부와,
    상기 보호패널부의 외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기기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부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기기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널부는 상기 외부기기의 후면에 구비되는 카메라,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가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패널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방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광센서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를 작동할 때 상부로 슬라이딩하는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방홀과 상기 광센서의 경계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판이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회전힌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광센서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를 작동할 때 상부로 슬라이딩하는 보호판과,
    상기 개방홀과 상기 광센서가 구비되는 상기 보호패널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판이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9. 외부기기 후면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학장치와,
    상기 광학장치의 움직임을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어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본체 후면에 구비되며 지면으로 광원을 발광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광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서 측정한 광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에 결합되는 연결장치와,
    상기 광센서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센서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력 에너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코일을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 에너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외부기기의 후면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 후면에 접하며 상기 외부기기의 후면에 구비되는 카메라,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가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방홀을 구비하는 보호패널부와,
    상기 보호패널부의 외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기기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부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기기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회로기판에서 측정한 상기 광센서의 광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외부기기의 전면에 마우스, 줌버튼, 캡쳐버튼, 숫자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출하는 표출부와,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이미지의 조작 명령을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신호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
KR1020150083284A 2015-06-12 2015-06-12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KR101695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284A KR101695382B1 (ko) 2015-06-12 2015-06-12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PCT/KR2016/006001 WO2016200117A1 (ko) 2015-06-12 2016-06-07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284A KR101695382B1 (ko) 2015-06-12 2015-06-12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262A KR20160146262A (ko) 2016-12-21
KR101695382B1 true KR101695382B1 (ko) 2017-01-11

Family

ID=5750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284A KR101695382B1 (ko) 2015-06-12 2015-06-12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5382B1 (ko)
WO (1) WO20162001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4197A1 (de) * 2018-05-18 2019-11-21 Cuma Kilic Vorrichtung zur Vornahme von Steuerfunktionen einer Computermaus auf einen Bildschirm
KR20210088205A (ko) 2020-01-06 2021-07-14 박서형 노트북 케이스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마우스 역할 대체 ‘노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53Y1 (ko) * 2017-04-03 2018-05-21 최상범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KR200489139Y1 (ko) * 2017-09-06 2019-05-07 (주)한보이앤씨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
US11023054B2 (en) 2019-09-25 2021-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vice case computer mo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77B1 (ko) * 2011-11-03 2013-02-07 이고앤컴퍼니(주)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마우스 기능을 갖는 케이스
US20140187295A1 (en) * 2013-01-03 2014-07-03 Mukesh Kumar Electronic Device Case Capable of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77B1 (ko) * 2011-03-30 2013-02-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
KR20130107765A (ko) * 2012-03-23 2013-10-02 문현철 무선 광마우스의 장치를 구비한 핸드폰
KR101277278B1 (ko) * 2013-02-06 2013-06-20 이민찬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77B1 (ko) * 2011-11-03 2013-02-07 이고앤컴퍼니(주)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마우스 기능을 갖는 케이스
US20140187295A1 (en) * 2013-01-03 2014-07-03 Mukesh Kumar Electronic Device Case Capable of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4197A1 (de) * 2018-05-18 2019-11-21 Cuma Kilic Vorrichtung zur Vornahme von Steuerfunktionen einer Computermaus auf einen Bildschirm
KR20210088205A (ko) 2020-01-06 2021-07-14 박서형 노트북 케이스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마우스 역할 대체 ‘노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262A (ko) 2016-12-21
WO2016200117A1 (ko)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382B1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US11659271B2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40811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CN106055081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16251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a gesture to control functions
US9629268B2 (en) Mobile terminal
KR101578728B1 (ko) 휴대 단말기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US9854076B2 (en) Mobile terminal
CN102929424A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621661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9011625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usb type-c interface
CN112567320A (zh) 包括按钮的电子装置以及用于电子装置中的操作的方法
CN110139018A (zh) 摄像头控制模组、摄像头的移动控制方法及终端
US8878602B1 (en) Reducing noise effects in an electronic computing device
US9007179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7171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듈
CN112653828B (zh) 摄像模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11464677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2013257721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1105027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9120033B (zh) 电子设备及无线充电系统
KR102086718B1 (ko) 멀티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보호 장치
CN110995303B (zh) 可穿戴设备、其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465365A (zh) 无线充电座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