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199B1 -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 - Google Patents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199B1
KR101695199B1 KR1020150103808A KR20150103808A KR101695199B1 KR 101695199 B1 KR101695199 B1 KR 101695199B1 KR 1020150103808 A KR1020150103808 A KR 1020150103808A KR 20150103808 A KR20150103808 A KR 20150103808A KR 101695199 B1 KR101695199 B1 KR 101695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lining
contact
curve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훈
김종범
김대한
Original Assignee
한국다이쇼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다이쇼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다이쇼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3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 F16L23/125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with an internal or external co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18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specially adapted for pipe fittings
    • F16L58/187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specially adapted for pipe fittings for flanged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을 서로 연통시키는데 사용되는 라이닝플랜지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플랜지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두께와 외경으로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외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에 대하여 평행하며, 배관의 일측단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내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며, 실링부재와 접할 수 있는 접면부; 상기 외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접면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형성된 후면부; 및 상기 내측면부와 상기 접면부 사이에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면부와 상기 접면부 사이를 연결해주는 곡면부; 를 포함하기에 코팅층의 두께가 좀 더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배관의 플랜지 부위의 내부식성 또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플랜지 또는 배관의 수명단축을 억제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Lining Flange and Corporate Body Thereof}
본 발명은 내면이 라이닝(lining)된 라이닝배관을 연결시켜주는 라이닝플랜지의 내측면 부식방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닝플랜지에서 오링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단차진 부위에 코팅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독성 물질을 이송시키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파이프, 탱크 등의 물품 내면은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내부식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나 탱크 등의 내면에 내부식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한 코팅재로 라이닝코팅처리 하여 파이프, 탱크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수명단축을 억제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이 제안되고 적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 기술 중에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952496호(발명의 명칭 : 고압배관파이프의 플랜지 형성방번. 이하 선행기술 1) 등이 있다.
선행기술 1에 따르면 고압배관파이프의 확관부분과 밀착된 보강프랜지의 접면테두리를 용접하여 고압배관 파이프의 말단에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1을 비롯하여 플랜지 또는 배관의 내부식성향상을 위한 코팅방법 등의 기술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1 등에 따르더라도 플랜지의 접면과 내측면 사이의 단차진 부위에 대한 내화학성 코팅층의 두께가 균등하게 형성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선행기술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의 끝단의 플랜지의 내면을 보면 지각으로 꺾여져서 형성되거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오링이 개재될 수 있도록 이 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되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플랜지의 구조에 따르면, 플랜지의 접면과 내측면 사이의 단차진 부위 내지 꺾인 부위에 대한 내화학성 코팅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밖에 없어서 이 부위의 내부식성 내지 내화학성을 보장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배관 내지 플랜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라이닝플랜지의 접면과 내측면 사이의 부위에 내부식성 또는 내화학성을 지닌 코팅층이 고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플랜지는 소정의 두께와 외경으로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외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에 대하여 평행하며, 배관의 일측단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내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며, 실링부재와 접할 수 있는 접면부; 상기 외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접면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형성된 후면부; 및 상기 내측면부와 상기 접면부 사이에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면부와 상기 접면부 사이를 연결해주는 곡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면부에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곡면부에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면부에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는 개스킷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곡면부의 곡면은, 하나 이상의 볼록한 면과 하나 이상의 오목한 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플랜지결합체는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라이닝플랜지를 지나가는 유체의 누출을 억제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 각각은, 소정의 두께와 외경으로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외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에 대하여 평행하며, 배관의 일측단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내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실링부재와 접할 수 있는 접면부; 상기 외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접면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형성된 후면부; 및 상기 내측면부와 상기 접면부 사이에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면부와 상기 접면부 사이를 연결해주는 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 각각의 상기 접면부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가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체결된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라이닝플랜지 각각의 상기 내측면부에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라이닝플랜지 각각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라이닝플랜지 각각의 상기 접면부에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는 개스킷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곡면부의 곡면은, 하나 이상의 볼록한 면과 하나 이상의 오목한 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는 종래의 플랜지들과는 다르게 각이 진 부위가 없으며, 완만하게 곡면이 형성된 곡면부를 통해 라이닝코팅층의 두께가 좀 더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배관의 라이닝플랜지 부위의 내부식성 또는 내마모성이 증진되며, 라이닝플랜지 또는 배관의 수명단축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를 이용한 라이닝플랜지결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 플랜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의 사시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결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는 외측면부, 내측면부, 접면부, 후면부 및 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측면부(110)는 소정의 두께와 외경에 의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은 환형의 라이닝플랜지(100)에서 외측의 테두리의 면이 외측면부(110)에 해당된다. 여기서, 소정의 두께란, 외주면에서의 폭 내지 너비를 말한다.
내측면부(120)는 외측면부(110)에 대하여 평행하며 라이닝플랜지(100)의 내경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다. 그리고, 내측면부(120)는 배관(10)의 일측단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면부(120)는 그 면에 내부식성이 있는 소재로 된 코팅층(160)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배관(10)의 일측단과 결합되지만, 일부 부위가 배관(10)측으로부터 흘러오는 유체에 직접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식성이 있는 소재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면부(130)는 외측면부(110)와 내측면부(120)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실링부재(300, 도 2참조)와 접할 수 있다. 또는 타 배관에 체결된 라이닝플랜지의 접면부와 면(面)접하면서 두 배관사이가 정확하게 연통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양 라이닝플랜지가 체결될 수 있다.
후면부(140)는 외측면부(110)와 내측면부(120) 사이에 위치한다. 외측면부(110)와 내측면부(120) 사이에 위치한다는 점에서는 상술한 접면부(130)와 같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후면부(140)는 접면부(130)에 대하여 반대측에 형성된다. 즉, 도 1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면이 접면부(130)이고, 접면부(130)의 반대측에 해당되는 하측에 형성된 면이 후면부(140)인 것이다.
이 후면부(140)에 볼트, 너트 또는 클리핑과 같은 고정적 체결수단이 접하거나 체결될 수도 있다.
곡면부(150)는 내측면부(120)와 접면부(130) 사이에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내측면부(120)와 접면부(130) 사이를 연결한다고 할 수 있다.
곡면부(150)는 배관(10)의 내경 또는 라이닝플랜지(100)의 지름(즉, 내측면부(120)의 지름(내경))에 따라서 곡면부(150)의 곡면에 대한 곡률반경을 정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배관(10)의 내경 또는 내측면부(120)의 내경이 작으면 곡면부(150)의 곡률반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관(10)의 내경 또는 내측면부(120)의 내경이 크면 곡면부(150)의 곡면에 대한 곡률반경 또한 크게 형성되어 곡면부(150)의 곡면기울기가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곡면부(150)의 곡면에 대한 곡률반경은 배관(10)의 내경보다 2 내지 3인치만큼 더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관(10)의 내경이 3인치인 경우에 곡면부(150)의 곡률반경은 5인치 내지 6인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곡면부(150)는 라이닝플랜지를 코팅시킬 때 곡면부(150)의 전반에 걸쳐 균등한 코팅층(16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면부(150)의 곡면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이루어지면, 라이닝플랜지(100)에 대하여 코팅층(160)을 형성시킬 때 곡면부(150)에 코팅되는 코팅층(160)의 두께가 좀 더 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 부위에 대한 내부식성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게 된다.
한 편, 라이닝플랜지의 곡면부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응용 내지 다른 실시 형태 또한 가능하다. 이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 및 배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는 외측면부(410), 내측면부(420), 접면부(430), 후면부(440) 및 곡면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측면부(410), 내측면부(420), 접면부(430) 및 후면부(440)에 관한 것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로 대신하기로 하며, 곡면부(45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면부(450)는 내측면부(420)와 접면부(430) 사이에서 곡면으로 형성되어 내측면부(420)와 접면부(430) 사이를 연결해준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의 곡면부(150. 도 1참조)와 대동소이하다. 여기서, 곡면부(450)는 하나 이상의 볼록한 면(451,453)과 하나 이상의 오목한 면(45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참고적으로 곡면부(450)의 볼록한 면(451,453)의 곡률반경은 꼭 동일하여할 것이 요구되지는 것은 아니다. 즉,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볼록한 면(451,453)들 각각의 곡률반경이 동일할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곡면부(450)의 오목한 면(452)의 곡률반경도 볼록한 면(451,453)의 곡률반경과 같은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볼록한 면(451,453)의 곡률반경을 1.5mm, 오목한 면(452)의 곡률반경을 3mm로 하여 라이닝플랜지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곡면부(450)에도 앞서 설명한 라이닝플랜지의 코팅층(160. 도 1참조)처럼 라이닝코팅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곡면부(450)의 볼록한 면(451,453) 사이에 오목한 면(452)가 형성되어 있으면, 이 오목한 면(452)에 접하도록 센터링(미도시)을 삽입할 수 있다. 이 오목한 면(452)에 센터링을 삽입하여 위치시키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배관과 배관 사이에 두 개의 라이닝플랜지를 결합시키면서 중심정렬을 시킬 수도 있다. 센터링을 곡면부(450)의 오목한 면(452)에 위치시킬 경우 금속소재의 개스킷 대신에 고분자소재로 된 오링(O-ring)을 2개의 라이닝플랜지 사이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형태로 위치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3에서 도면부호 415는 가공홈(415)을 나타낸다. 라이닝플랜지를 제조할 때 이 가공홈(415)을 통해 라이닝플랜지를 고정시킨 후 라이닝플랜지의 곡면부(450) 등에 대한 정확한 가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공홈(41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이닝플랜지에도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라이닝플랜지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결합체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결합체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결합체에서는 기본적으로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100, 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100, 200)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포함(300)하며, 여기에 배관(10, 20)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100, 200) 각각은 앞서 설명한 라이닝플랜지(100)와 대동소이하므로 각각의 부분에 대한 설명보다 이들이 결합된 구조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배관(10, 20)은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 흐름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관(10, 20)에는 유체가 독성물질 또는 부식성물질인 경우에 배관(10, 20)의 부식을 예방 내지 억제하기 위하여 배관(10, 20)의 내측벽(내주면)에 부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코팅층(16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코팅층(160)은 예를 들어 불소수지코팅층이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서 실링부재인 개스킷(300)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한 라이닝플랜지(100)와 배관(10)을 제1라이닝플랜지(100), 제1배관(10)이라고 설명의 편의상 명명하기로 하고, 실링부재인 개스킷(300)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라이닝플랜지(200)와 배관(20)을 제2라이닝플랜지(200), 제2배관(20)이라고 설명의 편의상 명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모습을 기준으로 볼 때, 제1배관(10)의 상단에 제1라이닝플랜지(100)이 결합된다. 그리고, 내측면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코팅층(160)이 형성되어 라이닝플랜지의 부식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배관의 내면 또한 내부식성 재료로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제1라이닝플랜지(100)의 상측의 접면부(130)에도 코팅층(160)이 연속적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접면부(130)와 내측면부(120)의 사이에 있는 곡면부(150)에도 코팅층(160)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면부(150)의 곡면에 대한 곡률반경이 배관(10)의 내경보다 2 내지 3인치만큼 더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곡면부(150)는 내측면부(120)와 접면부(130) 사이를 완만하게 이어주는 면으로 되어 있기에 코팅층(160)이 비교적 균등한 두께로 형성된다.
제1라이닝플랜지(100)의 접면부(130)의 상측에는 실링부재인 개스킷(300)이 마련된다. 오링이 실링부재로서 사용될 수도 있겠으나, 오링의 경우 라이닝플랜지(100,200)간 체결시 제대로 위치잡을 수 있도록 설치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개스킷(300)을 실링부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종래의 라이닝플랜지와 달리 오링이 정착될 수 있는 단차진 부분이 없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라이닝플랜지(100)와 제2라이닝플랜지(200) 사이에 개스킷(300)이 놓인 구조적형태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개스킷(300)은 제1라이닝플랜지(100)와 제2라이닝플랜지(200)사이에서 유체의 누출을 억제하는 실링역할을 한다.
개스킷(300)의 상측에는 제2라이닝플랜지(200)의 접면부(230)가 위치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300)을 기준으로 상하의 모습이 대칭이 되게 결합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라이닝플랜지(200) 또한 제1라이닝플랜지(100)의 경우와 같이 접면부(230), 곡면부(250)와 내측면부(220)에 코팅층(26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배관(10)측으로부터 제2배관(20)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에 의한 부식이 억제 또는 방지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라이닝플랜지(100)와 제2라이닝플랜지(200)그리고 개스킷(300)이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체결수단이 제1라이닝플랜지(100)와 제2라이닝플랜지(20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라이닝플랜지(100)의 후면부(140)와 제2라이닝플랜지(200)의 후면부(240)를 압박하여 눌러주는 클램핑이나 제1라이닝플랜지(100)의 후면부(140)로 삽입되는 볼트가 제2라이닝플랜지(200)의 후면부(240)으로 관통하고, 이 볼트에 너트가 체결되는 형태로 제1라이닝플랜지(100)과 제2라이닝플랜지(200)을 체결시키는 형태 등이 있을 수 있다.
한 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닝플랜지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라이닝플랜지결합체를 실시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형태의 라이닝플랜지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라이닝플랜지결합체에서의 설명과 크게 다를 바 없으므로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라이닝플랜지를 이용한 라이닝플랜지결합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라이닝플랜지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구조를 통해 라이닝플랜지의 내부식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식으로 인한 라이닝플랜지의 수명단축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플랜지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플랜지결합체는 종래의 라이닝플랜지들과는 다르게 각이 진 부위가 없으며, 곡면부를 통해 코팅층의 두께가 좀 더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배관의 라이닝플랜지 부위의 내부식성 또는 내마모성이 증진되며, 라이닝플랜지 또는 배관의 수명단축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배관
100, 200 : 라이닝플랜지
110, 210, 410 : 외측면부 120, 220, 420 : 내측면부
130, 230, 430 : 접면부 140, 240, 440 : 후면부
150, 250, 450 : 곡면부 160, 260 : 코팅층
300 : 개스킷

Claims (14)

  1. 소정의 두께와 외경으로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외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에 대하여 평행하며, 배관의 일측단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내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며, 실링부재와 접할 수 있는 접면부;
    상기 외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접면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형성된 후면부; 및
    상기 내측면부와 상기 접면부 사이에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면부와 상기 접면부 사이를 연결해주는 곡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에는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부의 곡면은,
    두 개의 볼록한 면과 하나의 오목한 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곡면부의 가운데 부분이 하나의 상기 오목한 면이고,
    상기 오목한 면과 상기 내측면부 사이의 부분이 하나의 상기 볼록한 면이며,
    상기 오목한 면과 상기 접면부 사이의 부분이 다른 하나의 상기 볼록한 면이 되도록 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플랜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상기 곡면에 대한 곡률반경은,
    상기 배관의 내경보다 2 내지 3인치만큼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플랜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부에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플랜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면부에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플랜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개스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플랜지.
  7. 삭제
  8.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라이닝플랜지를 지나가는 유체의 누출을 억제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 각각은,
    소정의 두께와 외경으로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외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에 대하여 평행하며, 배관의 일측단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내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실링부재와 접할 수 있는 접면부;
    상기 외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접면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형성된 후면부; 및
    상기 내측면부와 상기 접면부 사이에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면부와 상기 접면부 사이를 연결해주는 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곡면부에는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부의 곡면은,
    두 개의 볼록한 면과 하나의 오목한 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곡면부의 가운데 부분이 하나의 상기 오목한 면이고,
    상기 오목한 면과 상기 내측면부 사이의 부분이 하나의 상기 볼록한 면이며,
    상기 오목한 면과 상기 접면부 사이의 부분이 다른 하나의 상기 볼록한 면이 되도록 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 각각의 상기 접면부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라이닝플랜지가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플랜지결합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상기 곡면에 대한 곡률반경은,
    상기 배관의 내경보다 2 내지 3인치만큼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플랜지결합체.
  10. 제 8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라이닝플랜지 각각의 상기 내측면부에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플랜지결합체.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라이닝플랜지 각각의 상기 접면부에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수지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플랜지결합체.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개스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플랜지결합체.
  14. 삭제
KR1020150103808A 2015-07-22 2015-07-22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 KR101695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808A KR101695199B1 (ko) 2015-07-22 2015-07-22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808A KR101695199B1 (ko) 2015-07-22 2015-07-22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199B1 true KR101695199B1 (ko) 2017-01-12

Family

ID=5781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808A KR101695199B1 (ko) 2015-07-22 2015-07-22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1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501A (ko) * 2010-04-01 2011-10-07 임상묵 강관 특수 이음장치
KR101127396B1 (ko) * 2011-12-29 2012-03-22 정희동 진공 배관용 플렌지 구조
KR20140065794A (ko) * 2012-11-22 2014-05-30 에스엘티 주식회사 배관용 커플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501A (ko) * 2010-04-01 2011-10-07 임상묵 강관 특수 이음장치
KR101127396B1 (ko) * 2011-12-29 2012-03-22 정희동 진공 배관용 플렌지 구조
KR20140065794A (ko) * 2012-11-22 2014-05-30 에스엘티 주식회사 배관용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7959B2 (ja) 内面被覆配管用の断面設計ガスケット
CN109477600B (zh) 管接头
AU2014236478B2 (en) Pipe end seal assembly
WO2018072522A1 (zh) 弓形环密封垫圈及弓形环密封管连接件
JP2016014468A (ja) 高圧用配管継手と高圧用バルブ
US10753521B1 (en) Inner diameter seal gasket
JP5570327B2 (ja) 渦巻形ガスケット
US10746330B2 (en) Pipe coupling
WO2009119410A1 (ja) 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及びそれを用いた鋼管の接合方法
KR101695199B1 (ko) 라이닝플랜지 및 라이닝플랜지결합체
JP4198636B2 (ja) ガラスライニング管の継手構造及びガスケット
EP1472484B1 (en) Flange member comprising a first flanged end designed with a, in a radial direction, concave endsurface and a flange joint comprising flange members
US9500305B2 (en) Fitting mechanism for use with multilayer composite pipe
JP2010535315A (ja) 回転成形のビード
JP2849345B2 (ja) 管継手
FR2524113A1 (fr) Assemblage etanche par brides et joint a effort de serrage limite
TW201908625A (zh) 墊片
JP5767592B2 (ja) 樹脂製ヘルール継手
KR101674949B1 (ko) 라이닝배관어댑터장치
RU62199U1 (ru) Втулка
JP2021148257A (ja) 配管接続部材及び配管継手構造
KR102466397B1 (ko) 배관 접속 장치
CN112413126B (zh) 一种密封定心
JP6949370B2 (ja) 継手金具、および継手金具付ホース
JP6906230B2 (ja) パイプ付継手金具、およびパイプ・継手金具付ホ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