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479B1 -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479B1
KR101694479B1 KR1020150081207A KR20150081207A KR101694479B1 KR 101694479 B1 KR101694479 B1 KR 101694479B1 KR 1020150081207 A KR1020150081207 A KR 1020150081207A KR 20150081207 A KR20150081207 A KR 20150081207A KR 101694479 B1 KR101694479 B1 KR 10169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lip
main body
lip member
molte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721A (ko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김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수 filed Critical 김철수
Priority to KR102015008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47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47/16
    • B29C47/0021
    • B29C47/165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립의 간격이 일정하게 세팅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는 상부에 압출기로부터 용융수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수지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유입구와 연통되어 용융수지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매니폴드가 마련되어 있는 다이스 본체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토출되는 용융수지를 필름형상으로 압출하기 위하여 토출되는 용융수지의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다이스 본체의 하부에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두 개의 립부재와, 상기 다이스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다이스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용융수지의 길이방향 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스 본체의 매니폴드 하부로 삽입되는 이너바를 포함하는 데클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Double ribs integrated fixed structure of the formula T- die coating}
본 발명은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립의 간격이 일정하게 세팅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다이스(T-dies) 가공방법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의 필름을 성형하는 가공방법 중의 하나로서, 가열 용융된 수지를 압출기에 넣고 T-다이스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한 후, 종이, 셀로판지, 플라스틱 필름, 금속박 등의 기재에 포갠 다음, 냉각롤과 압착롤 사이의 중간에서 압착 냉각하여 고착하는 가공방법이다.
이러한 T-다이스는 2개의 립(rip)과 내부의 매니폴드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용융수지를 필름형상으로 압출하는 T-다이스 본체와, T-다이스 본체의 양쪽에 배치되어 위치 조절을 통해 필름 폭을 규제하는 데클부와, 데클부의 위치 조절을 위한 조작부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T-다이스 본체에 있는 립 조정용 볼트를 조작하여 필름 두께에 맞는 립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시에 T-다이스 본체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데클부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필름 폭을 맞추는 작업을 선행한 다음, 압출기로부터 용융수지를 약 200∼350k/㎠ 정도의 압력으로 압출하면, 이렇게 압출된 수지는 T-다이스 본체 내의 매니폴드로 유입된 후, 양편의 데클부에 의한 폭 규제를 받으면서 T-다이스 본체의 하단 립을 통해 압출되고, 계속해서 아래의 원지와 라미네이팅되면서 소정의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 대부분의 T-다이스는 고온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복되는 성형 과정에서 립의 단부가 변형되고, 이에 의해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단일체로 되어 있는 데클부를 조절하여 필름 폭을 규제하기 때문에 필름 폭 또한 미세하게 조절하는데 한계가 갖는 단점이 있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고 정확한 사이즈로 필름을 압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11951호 : 진공포장용 필름 제조장치 및 그 필름 한국등록특허 제10-1296319호 : 일회용 비닐장갑의 성형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다이스 본체와 양 립부재의 결합만으로 양 립부재의 간격이 설정 간격으로 세팅되어 정확한 폭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데클부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난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는 상부에 압출기로부터 용융수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수지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유입구와 연통되어 용융수지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매니폴드가 마련되어 있는 다이스 본체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토출되는 용융수지를 필름형상으로 압출하기 위하여 토출되는 용융수지의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다이스 본체의 하부에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두 개의 립부재와, 상기 다이스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다이스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용융수지의 길이방향 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스 본체의 매니폴드 하부로 삽입되는 이너바를 포함하는 데클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다이스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립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립장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립장착홈은 립부재의 일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부와, 립부재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상면지지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립장착홈은 상기 립부재가 장착될 때, 상기 립부재 사이의 이격거리가 설정된 간격으로 세팅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지지부와 상면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상방으로 인입되어 상기 립장착홈에 장착되는 립부재의 모서리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립부재는 상기 용융수지가 토출되면서 통과하는 단부의 내구성 및 형태 유지력 상승을 위해 텅스텐 코팅되어 있고, 상기 다이스 본체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다이스 본체와 결합될 때, 양단이 상기 다이스 본체의 양 단부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립부재의 양 단부에 돌출되는 돌출부분은 상기 데클유닛을 장착할 때, 데클유닛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는 내구성이 뛰어나며, 양 립부재의 조립만으로 설정된 립 간격이 세팅될 수 있어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가 적용된 코팅용 T-다이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이스 본체와 양 립부재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이스 본체와 립부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다이스 본체와 립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립부재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가 적용된 코팅용 T-다이스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코팅용 T-다이스 장치(10)는 다이스 본체(100)와, 필름의 두께 조절을 위한 립부재(200), 필름의 폭 조절을 위한 데클유닛(300)을 포함한다.
다이스 본체(100)는 압출기와 결합되어 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수지가 유입된 후 하부로 압출되면서 필름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이스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압출기와 연결되어 용융수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수지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고, 다이스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수지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용융수지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매니폴드(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매니폴드(120)는 다이스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형성되어 있으며, 수지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이스 본체(100)의 하부는 상기 매니폴드(120)를 통과한 용융수지가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게 개방되어 있다.
또한 다이스 본체(100)의 하부 양측에 립장착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립장착홈(130)은 후술하는 립부재(200)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이스 본체(100)의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어 있다. 상기 립장착홈(130)에는 측면지지부(131)와 상면지지부(132)가 있다. 측면지지부(131)는 립부재(2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지지부(132)는 측면지지부(13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립부재(20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매니폴드(120)의 하단은 용융수지가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측면지지부(131)는 상기 매니폴드(120)를 중심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연잘될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지지부(132)는 측면지지부(131)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립장착홈(130)은 단면이 'ㄱ'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특히 측면지지부(131)와 상면지지부(132)가 만나는 연결부에는 상방으로 인입되어 있는 인입홈(14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인입홈(140)은 립부재(200)를 립장착홈(130)에 장착할 때, 립부재(200)의 모서리가 간섭되어 립부재(200)의 설치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장착 또는 필름의 성형 과정에서 립부재(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단차진 형태로 립장착홈(13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립부재(200)를 상기 립장착홈(130)에 맞춰 장착하면 립부재(200)가 설정된 간격으로 자동 세팅될 수 있으며, 인입홈(140)에 의해 립부재(200)의 장착 과정 또는 필름의 성형과정에서 립부재(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장착홈의 상부에는 히터가 장착될 수 있는 히터장착부(15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히터들은 다이스 본체(100)를 통과하는 용융수지가 다이스 본체(100)의 내부에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립부재(200)는 상술한 것처럼 다이스 본체(100)의 립장착홈(130)에 체결되며 다이스 본체(100)를 통과하는 필름의 두께를 한정하게 된다.
립부재(200)는 다이스 본체(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며, 용융수지는 이 두 개의 립부재(200)들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설정된 립부재(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게 된다. 립부재(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볼트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볼트를 통해 다이스 본체(100)에 체결된다.
립부재(200)는 상면이 상기 장착홈의 상면지지부(132)에 지지되고 내측면이 측면지지부(131)에 지지되도록 설치가 이루어지며, 이 장착홈에 체결이 이루어지면 립부재(200)의 단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설정된 간격이 되므로 간격을 조절하는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에는 립부재(200)를 발췌한 사시도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도면에서는 립부재(200)가 다이스 본체(100)에 설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뒤집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립부재(200)의 상단 단부에는 텅스텐 코팅층(210)이 형성되어 있다.
필름의 성형을 위해 용융된 상태의 수지가 다이스 본체(100)에 주입되고, 다이스 본체(100) 내부에서 수지의 흐름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다이스 본체(100)에 다수의 히터가 설치된다. 이렇게 다이스 본체(100)의 내부에는 고온의 용융수지가 흐르게 되며, 립부재(200)를 통과해 토출되는 용융수지의 온도 역시 고온이다.
이렇게 고온에 립부재(200)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의 영향으로 립부재(200)가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고온에서도 형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텅스텐 코팅을 실시한다. 특히 텅스텐 코팅의 경우 일반적으로 금속에 사용하는 크롬도금에 비해 도금 입자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용융수지의 표면 거칠기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립부재(200) 단부 엣지(edge)가 날카로운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필름의 품질이 우수하게 된다.
아울러 립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길이가 다이스 본체(10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다이스 본체(100)에 체결되면 립부재(200)의 양측 단부가 다이스 본체(100)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소정 길이 더 돌출된다.
이렇게 립부재(200)가 다이스 본체(100)보다 길게 형성되어 다이스 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은 데클유닛(300)을 장착할 때, 데클유닛(300)의 장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데클유닛(300)은 성형되는 필름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다이스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체결되며, 다이스 본체(100)의 매니폴드(120)로 삽입되는 데클부재(330) 및 인너바(400)에 의해 필름의 폭을 조절하게 되는데, 데클유닛(300)이 정위치에 안착되어야 상기 데클부재(330) 및 인너바(400)가 정위치로 삽입되어 용융수지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데클유닛(300)은 다이스 본체(100)의 단부 측면과 결합되는 전방부의 하단이 상기 립부재(200)의 돌출된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데클유닛(300)을 돌출된 립부재(200)의 내측면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사용해 다이스 본체(100)와 데클유닛(300)을 상호 결합하여 데클유닛(300)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상기 데클유닛(300)은 매니폴드(120)로 삽입되는 데클부재(330)와 인너바(400)를 포함하며, 상기 데클부재(330)와 인너바(400)는 진퇴구동판(32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진퇴구동판(320)은 지지프레임(310)에 다이스 본체(100)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스크류(미도시)와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스크류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진퇴구동판(320)을 진퇴시키기 위한 스크류의 회전은 핸들(340) 또는 모터(3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350)를 통해 진퇴구동판(320)을 설정위치에 근접하게 이동시킨 상태에서 핸들(340)을 통해 작업자가 진퇴구동판(320)의 이동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터(350)의 구동 신호 전달 및 동력 전달을 위해서 지지프레임(310)의 상부에는 제어박스(3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박스(360)에는 모터(35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제어박스(360)로부터 연장된 케이블(370)은 커넥터(371)를 통해 연결되어 배선 정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가 적용된 코팅용 T-다이스 장치(10)는 립부재(200)의 장착시 립부재(200) 사이의 이격거리의 세팅이 용이하고, 고온에서 반복되는 필름의 성형에도 립부재(200)의 변형 또는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데클유닛(300)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코팅용 T-다이스 장치
100; 다이스 본체 110; 수지유입구
120; 매니폴드 130; 립장착홈
131; 측면지지부 132; 상면지지부
140; 인입홈 150; 히터장착부
200; 립부재 210; 텅스텐 코팅층
300; 데클유닛 310; 지지프레임
320; 진퇴구동판 330; 데클부재
340; 핸들 350; 모터
360; 제어박스 370; 케이블
371; 커넥터 400; 인너바

Claims (5)

  1. 상부에 압출기로부터 용융수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수지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유입구와 연통되어 용융수지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매니폴드가 마련되어 있는 다이스 본체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토출되는 용융수지를 필름형상으로 압출하기 위하여 토출되는 용융수지의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다이스 본체의 하부에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두 개의 립부재와;
    상기 다이스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다이스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용융수지의 길이방향 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스 본체의 매니폴드 하부로 삽입되는 이너바를 포함하는 데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스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립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립장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립장착홈은 립부재의 일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부와, 립부재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상면지지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립장착홈은 상기 립부재가 장착될 때, 상기 립부재 사이의 이격거리가 설정된 간격으로 세팅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다이스 본체에는 상기 측면지지부와 상면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상방으로 인입되어 상기 립장착홈에 장착되는 립부재의 모서리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재는 상기 용융수지가 토출되면서 통과하는 단부의 내구성 및 형태 유지력 상승을 위해 텅스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재는 상기 다이스 본체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다이스 본체와 결합될 때, 양단이 상기 다이스 본체의 양 단부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립부재의 양 단부에 돌출되는 돌출부분은 상기 데클유닛을 장착할 때, 데클유닛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KR1020150081207A 2015-06-09 2015-06-09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KR10169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207A KR101694479B1 (ko) 2015-06-09 2015-06-09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207A KR101694479B1 (ko) 2015-06-09 2015-06-09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721A KR20160144721A (ko) 2016-12-19
KR101694479B1 true KR101694479B1 (ko) 2017-01-10

Family

ID=5773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207A KR101694479B1 (ko) 2015-06-09 2015-06-09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4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1623A (ja) * 2003-03-12 2004-10-21 Sumitomo Chem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製多層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24462A (ja) * 2005-02-17 2006-08-31 Sekisui Chem Co Ltd Tダイ及びそ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001396B2 (ja) * 2012-09-19 2016-10-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並びにカッ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6Y2 (ja) * 1986-01-17 1994-01-1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押出ラミネ−タ用tダイのネックイン防止金具
KR20060111951A (ko) 2005-04-26 2006-10-31 김중돈 진공포장용 필름 제조장치 및 그 필름
KR101296319B1 (ko) 2013-02-13 2013-08-14 (주) 코멕스라텍스 일회용 비닐장갑의 성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1623A (ja) * 2003-03-12 2004-10-21 Sumitomo Chem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製多層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24462A (ja) * 2005-02-17 2006-08-31 Sekisui Chem Co Ltd Tダイ及びそ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001396B2 (ja) * 2012-09-19 2016-10-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並びにカッ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721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9378T2 (de) Fahrzeugdichtung
US5094792A (en) Adjustable extrusion coating die
EP3584058B1 (en) Rubber extrusion device and rubber extrude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JP7046541B2 (ja) 熱応答性のリップ調整アセンブリを有する押出ダイ
CN107088999B (zh) Tpu与abs复合板材设备
DE19907930A1 (de) Fahrzeugleuchte
DE112010003448T5 (de) Mehrlagige Fensterheberschiene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A2966379A1 (en) Multiple extrusion press head
KR101814358B1 (ko) 긴 부재의 제조 방법
KR101694479B1 (ko) 코팅용 t-다이스의 양립식 일체형 고정구조
KR101694480B1 (ko) 코팅용 t-다이스 폭조절용 양방향 대칭 텐덤 인너바
CN108145946B (zh) 一种板材挤出机模具
JP2011218651A (ja) 押出成形用フラットダイ
CN106536153A (zh) 挤出成形用平模以及薄膜成形方法
KR20180019431A (ko) 자동차용 성형 사출성형장치
CN220742079U (zh) 一种异型材挤出模具
CN108340513B (zh) 一种轮胎模具及其使用方法
EP2366606B1 (de) Dachblende
US20200215737A1 (en) Preform Device for Positioning Extruded Rubber Mixtures, and Extruder Mold System Comprising the Preform Device for Molding Extruded Rubber Mixtures into a Complete Rubber Element, and Corresponding Extruder System
EP3674070A1 (en) Rubber extrus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ubber extruded object
CN211441051U (zh) 一种应用于流延薄膜的新型挤出装置
KR100834509B1 (ko) 타이어용 고무 압출기의 최종 압출다이 구조
KR101228175B1 (ko) 광폭 압출 금형을 고정하는 금형 카세트
CN215464241U (zh) 一种挤压造粒机挤出模口
CN218749198U (zh) 一种灵活拆分的木塑共挤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