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116B1 -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116B1
KR101694116B1 KR1020140190120A KR20140190120A KR101694116B1 KR 101694116 B1 KR101694116 B1 KR 101694116B1 KR 1020140190120 A KR1020140190120 A KR 1020140190120A KR 20140190120 A KR20140190120 A KR 20140190120A KR 101694116 B1 KR101694116 B1 KR 101694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dual worm
speed reducer
reducer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176A (ko
Inventor
오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9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1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01Moulds provided with a feed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7Manufacturing or calibrating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는 단변몰드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 드라이빙 부재에 상기 드라이빙 부재를 감속하기 위한 듀얼워엄감속기를 취부하거나 또는 상기 상,하 드라이빙 부재로부터 듀얼워엄감속기를 취외하기 위한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로서,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몸체가 결합되며, 플런저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외측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실린더;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상부를 타격하기 위한 상부 타격부재; 상기 수직프레임에 몸체가 결합되며, 플런저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외측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실린더;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하부를 타격하기 위한 하부 타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실린더 및 상부 타격부재는 상부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 및 하부 타격부재는 하부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 하부 브라켓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부 브라켓의 체결부위에 다수의 체결공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브라켓을 상기 다수의 체결공 중 어느 하나에 선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disassemble and assembly apparatus for dual worm gear recucer}
본 발명은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연속주조 몰드용 폭 조절장치의 구성품인 듀얼워엄감속기를 드라이빙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해하거나 또는 드라이빙 부재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공정은 제강에서 정련이 완료된 용강을 연주 주상에서 강의 종류에 따라 냉각방법을 달리하고 주조속도를 결정함으로써 슬라브의 내부 또는 외부 품질을 확보하고 적정길이로 절단하여 열연공장으로 보내는 공정이다. 이때, 슬라브의 최초 두께와 폭은 몰드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몰드는 턴디쉬로부터 주입된 용강을 각형의 동판 형틀에 주입하여 수요자의 요구(폭, 두께)에 따라 슬라브를 주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즉, 베이스 프레임 상에는 장,단변의 워터재킷과 장,단변의 동판이 설치되고, 상기 동판은 서로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틀에 최초로 용강이 부어져 워터재킷 내부에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해 용강이 응고되어 수요자가 원하는 폭의 슬라브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요자가 원하는 폭의 슬라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주조중 단변 동판을 움직여 폭조절을 실시하는 단변 드라이빙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듀얼워엄감속기(dual worm reducer)가 정확하게 작동되어야만 수요자가 원하는 폭의 슬라브를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설비의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몰드설비에서 듀얼워엄감속기의 작동상태를 수시로 체크하여 듀얼워엄감속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교환하여야 하는바, 종래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은 방법으로 교환작업을 하였다.
즉, 구동모터(3)의 구동력이 듀얼워엄감속기(10)를 거쳐 감속된 상태에서 드라이빙부재(4)를 작동시켜 장변동판(5a,5b) 사이에 설치된 단변동판(미도시)을 밀거나 당기게 되어 슬라브의 주조폭을 조절하고 있었던 바, 듀얼워엄감속기(10)를 취외하기 위해서는 몰드의 베이스프레임(1)을 조정스탠드(2)에 안착시킨 후 크레인(c)을 이용하여 듀얼워엄감속기(10)의 양측을 와이어로프로 줄걸이 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듀얼워엄감속기(10)의 중앙부위, 즉 상,하부 스핀들(6a,6b) 사이의 공간에 수동 유압재킷(또는 하이드로 잭)(7)을 설치하여 유압을 가함으로써 드라이빙 부재(4)로부터 듀얼워엄감속기(10)를 취외하였다.
그러나, 상기 듀얼워엄감속기(10)를 취외할 때 힘을 받는 부분이 듀얼워엄감속기가 고정된 스핀들(6a,6b)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듀얼워엄감속기(10)에 필요 이상의 무리한 힘이 가해지거나 혹은 유압재킷의 고정포인트가 일정하지 않게 되면 상기 듀얼워엄감속기(10)가 쉽게 취외되지 않고 심할 경우에는 듀얼워엄감속기의 케이스가 과다한 유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듀얼워엄감속기(10)를 취부할 경우에도 크레인(c)을 사용하여 상기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하부 스핀들(6a,6b)을 드라이빙 부재(4)의 샤프트에 맞춘 후 대형 햄머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듀얼워엄감속기(10)의 외측을 타격함으로써 취부하여야 하므로 취부 시 듀얼워엄감속기(10)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고, 취외, 취부에 따른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작업부담이 급증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특허등록 제10-0583989호 특허문헌 2 : 국내공개특허 제2004-002391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연속주조 몰드용 폭 조절장치의 구성품인 듀얼워엄감속기를 드라이빙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해하거나 또는 드라이빙 부재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변몰드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 드라이빙 부재에 상기 드라이빙 부재를 감속하기 위한 듀얼워엄감속기를 취부하거나 또는 상기 상,하 드라이빙 부재로부터 듀얼워엄감속기를 취외하기 위한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로서,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몸체가 결합되며, 플런저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외측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실린더;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상부를 타격하기 위한 상부 타격부재; 상기 수직프레임에 몸체가 결합되며, 플런저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외측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실린더;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하부를 타격하기 위한 하부 타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실린더 및 상부 타격부재는 상부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 및 하부 타격부재는 하부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 하부 브라켓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부 브라켓의 체결부위에 다수의 체결공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브라켓을 상기 다수의 체결공 중 어느 하나에 선택 결합하는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 실린더의 플런저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상부 플랜지에 결속되며, 상기 하부 실린더의 플런저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하부 플랜지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의 본 발명은 감속기에 아무런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유압에 의해 취외 혹은 취부시킬 수 있으므로 교환작업의 용이성과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워엄 감속기의 취외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엄 감속기 분해조립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도 2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브라켓의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엄 감속기 분해조립장치의 설치상태 평면이고, 도 3은 도 2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브라켓의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100)는 몰드설비(M)에서 듀얼워엄감속기(10)의 분해 및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프레임(110), 상부 실린더(120), 상부 타격부재(130), 하부 실린더(140) 및 하부 타격부재(150)를 포함한다.
수직프레임(110)은 몰드설비의 외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실린더(120), 상부 타격부재(130), 하부 실린더(140) 및 하부 타격부재(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실린더(12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몸체(121)가 결합되며, 플런저(122)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10)의 외측 상부에 연결된 채, 플런저(122)의 진퇴 동작에 따라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부를, 단변몰드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드라이빙 부재(4)에 취부하거나, 또는 드라이빙 부재(4)로부터 취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실린더(120)의 플런저(122)는 그 선단에 구비되는 결속부재(123)를 매개로 상기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부 플랜지(11)에 볼트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122)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플랜지(11)의 수직 중심선(HO) 상에 위치한 부위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플런저(122)의 진퇴 동작에 따라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부가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일직선에 위치하는 상부 드라이빙 부재(4a)와 정확하게 취부되거나 또는 취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부 타격부재(13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결합된 채 상기 상부 드라이빙 부재(4a)에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부를 취부하거나 또는 상부 드라이빙 부재(4a)로부터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부를 취외할 때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부, 특히 상기 상부 드라이빙 부재(4a)의 축을 반복적으로 타격함에 따라 취부 및 취외를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타격강도는 듀얼워엄감속기(10)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각도로 타격되어야 한다.
하부 실린더(14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몸체(141)가 결합되며, 플런저(142)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10)의 외측 하부에 연결된 채, 플런저(142)의 진퇴 동작에 따라 듀얼워엄감속기(10)의 하부를 몰드설비의 하부 드라이빙 부재(4b)에 취부하거나, 또는 하부 드라이빙 부재(4b)로부터 취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실린더(140)의 플런저(142)는 그 선단에 구비되는 결속부재(143)를 매개로 상기 듀얼워엄감속기(10)의 하부 플랜지(12)에 볼트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142)는 상기 하부 플랜지(12)의 도 3에서와 같이, 수직 중심선(HO) 상에 위치한 부위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플런저(142)의 진퇴 동작에 따라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부가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상기 하부 플랜지(12)와 일직선 상으로 위치하는 하부 드라이빙 부재(4b)와 정확하게 취부되거나 또는 취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부 타격부재(15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결합된 채 상기 하부 드라이빙 부재(4b)에 듀얼워엄감속기(10)의 하부를 취부하거나 또는 하부 드라이빙 부재(4b)로부터 듀얼워엄감속기(10)의 하부를 취외할 때 듀얼워엄감속기(10)의 하부, 특히 하부 드라이빙 부재(4b)의 축을 반복적으로 타격함에 따라 취부 및 취외를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 역시, 타격강도는 듀얼워엄감속기(10)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각도로 타격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상,하부 실린더(130,140)에 의해 상기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채 취외 또는 취부할 수 있어서, 워엄감속기(10)의 이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햄머 등으로 듀얼워엄감속기(10)를 타격해 왔던 것을 상,하부 타격부재(140,150)가 소정 압력으로 일정하게 타격해 줌으로써 듀얼워엄감속기(10)의 손상없이 원활한 취외 또는 취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실린더(120) 및 상부 타격부재(130)는 공통의 상부 브라켓(160)을 매개로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130) 및 하부 타격부재(150)는 공통의 하부 브라켓(170)을 매개로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브라켓(160,170)에 실린더 및 타격부재가 한세트씩 결속되어 있으므로 실리더 및 타격부재의 위치이동이 손쉽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체결공(111)을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게 형성할 경우, 상기 상부 브라켓(160)은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11) 중 선택된 체결공에 조립할 수 있고, 하부 브라켓(170)은 하부에 형성된 가수의 체결공(111) 중 선택된 체결공에 조립할 수 있어서 각 브라켓에 조립된 실린더 및 타격부재를 일시에 위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각 브라켓(160,170)에 의해 상,하부 실린더(120,140) 및 상,하부 타격부재(130,150)의 상하 위치를 자유롭게 옮길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하 플랜지(11,12) 위치에 따라 맞춤 조립이 가능하다. 즉, 기종에 따라 듀얼워엄감속기(10)의 상,하 플랜지 위치가 상이할 수 있음을 감안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4a : 상부 드라이빙 부재 4b : 하부 드라이빙 부재
10 : 듀얼워엄감속기 11 : 상부 플랜지
12 : 하부 플랜지 100 :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
110 : 수직프레임 120 : 상부 실린더
130 : 상부 타격부재 140 : 하부 실린더
150 : 하부 타격부재 160 : 상부 브라켓
170 : 하부 브라켓

Claims (5)

  1. 단변몰드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 드라이빙 부재에 상기 드라이빙 부재를 감속하기 위한 듀얼워엄감속기를 취부하거나 또는 상기 상,하 드라이빙 부재로부터 듀얼워엄감속기를 취외하기 위한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로서,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몸체가 결합되며, 플런저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외측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실린더;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상부를 타격하기 위한 상부 타격부재;
    상기 수직프레임에 몸체가 결합되며, 플런저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외측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실린더;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하부를 타격하기 위한 하부 타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실린더 및 상부 타격부재는 상부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 및 하부 타격부재는 하부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 하부 브라켓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부 브라켓의 체결부위에 다수의 체결공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브라켓을 상기 다수의 체결공 중 어느 하나에 선택 결합하는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린더의 플런저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상부 플랜지에 결속되며,
    상기 하부 실린더의 플런저는 상기 듀얼워엄감속기의 하부 플랜지에 결속되는,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90120A 2014-12-26 2014-12-26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 KR101694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120A KR101694116B1 (ko) 2014-12-26 2014-12-26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120A KR101694116B1 (ko) 2014-12-26 2014-12-26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176A KR20160079176A (ko) 2016-07-06
KR101694116B1 true KR101694116B1 (ko) 2017-01-09

Family

ID=5650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120A KR101694116B1 (ko) 2014-12-26 2014-12-26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1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7278B2 (ja) * 1989-12-28 1999-03-08 新東工業株式会社 低圧鋳造装置
KR100583989B1 (ko) 2000-04-08 2006-05-26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몰드의 더블워엄감속기 교환장치
KR20040023911A (ko) 2002-09-12 2004-03-20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 설비의 몰드 클램핑 장치
JP5188862B2 (ja) * 2008-04-04 2013-04-24 株式会社Ihi 鋳片連続鋳造用の連続打撃装置
KR101119007B1 (ko) * 2009-09-28 2012-03-09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기의 롤러 안착장치
KR101344957B1 (ko) * 2011-10-31 2013-12-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중형압연설비용 감속기의 아이들 기어 조립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176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242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US8302662B2 (en) Continuous casting plant particularly for long steel products, and a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KR101694116B1 (ko) 듀얼워엄감속기용 분해조립장치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US8646512B2 (en) Die brac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375723Y1 (ko) 공동구용 덮개 거푸집 구조
CN110978232A (zh) 快拆式混凝土箱梁内模及其拆装方法
KR102158489B1 (ko) 송풍부의 추출 디바이스
KR200479355Y1 (ko) Psc 박스거더의 스트럿 설치구간에 사용되는 거푸집
KR101498989B1 (ko) 중자 보강장치
JP4247761B1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101193886B1 (ko) 금형 고정용 쐐기 해체 방법 및 장치
JP4404759B2 (ja) 連続鋳造用鋳型
JP5926201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CN108655355B (zh) 连铸机用直角倒角两用引锭头
KR101354934B1 (ko) 연주 세그먼트의 해체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체조립방법
JP6881925B2 (ja) 合成PCa版の製造方法、合成PCa版の製造装置および合成PCa版
CN211990828U (zh) 一种便于拆卸的铸件模具结构
CN220451428U (zh) 一种叠合板免损穿梁pvc套管
KR101510277B1 (ko) 슬라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롤러장치
CN219233809U (zh) 一种钢棒墩头组件
EP3715011B1 (en) Die casting machine melt leakage detecting device
CN114232480B (zh) 高架桥高空心墩群翻模快速施工方法
CN111037735B (zh) 一种高品质的预制柱制备工艺
KR20130000629A (ko) 선박용 앵글 진공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