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897B1 -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및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및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897B1
KR101693897B1 KR1020117001917A KR20117001917A KR101693897B1 KR 101693897 B1 KR101693897 B1 KR 101693897B1 KR 1020117001917 A KR1020117001917 A KR 1020117001917A KR 20117001917 A KR20117001917 A KR 20117001917A KR 101693897 B1 KR101693897 B1 KR 101693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ntainer
container
diameter
metal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480A (ko
Inventor
안토니 제이 페두사
로버트 이 딕
달 지 보이셀
Original Assignee
알코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코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코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6Beverage can, i.e. beer, sod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38Radially expanding part in cavity, aperture, or hollow body
    • Y10T29/4994Radially expanding internal tub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38Radially expanding part in cavity, aperture, or hollow body
    • Y10T29/49941Peripheral edge joining of abutt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이중 벽체형 용기와 이중 벽체형 용기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제 2 용기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제 1 용기가 제 2 용기 내로 삽입된다. 제 1 용기의 일부분이 확장되고, 및/또는, 제 2 용기의 일부분이 좁혀져서, 제 1 및 제 2 용기가 맞물리고 이중 벽체형 용기를 형성한다. 제 1 및/또는 제 2 용기들은 리브를 갖는다. 제 1 용기와 제 2 용기 사이의 에어 갭이 이중 벽체형 용기 내 내용물에 대한 단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및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DOUBLE-WALLE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본 출원은 2008년 6월 26일자 미국특허가출원 제 61/075,977 호[발명의 명칭 : 용기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s)]를 기반으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체는 본 발명에서 참고자료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중 벽체형 용기와 이중 벽체형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 음식, 에어로졸 용기는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구성된다. 금속 용기들은 컵, 캔, 병, 또는 에어로졸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금속 용기들은 드로잉(drawing), 드로 리버스 드로(draw reverse draw), 드로잉 및 아이어닝(drawing and ironing), 드로잉 및 스트레칭(drawing and streching), 딥 드로잉(deep drawing), 3-피스 시밍(3-piece seaming), 및 충격 압출(impact extrusion)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금속 용기들은 컬링(curling), 플랜징(flanging), 스레딩(threading), 시밍(seaming),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 벽체형 용기와 이중 벽체형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중-벽체 용기 제조 방법은 직경(X)을 갖는 제 1 용기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직경(X)보다 큰 직경(Y)을 갖는 제 2 용기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 1 용기를 제 2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제 1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X)을 확장하고 제 2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Y)을 좁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X)이 확장됨에 따라 제 2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Y)이 확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제 1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X)을 확장하고 제 1 용기의 상단 에지를 컬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의 상단 에지가 컬링됨에 따라 제 2 용기의 상단 에지가 컬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제 1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X)을 확장하고 제 1 용기의 상단 에지를 이중-시밍(double-seam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의 상단 에지가 이중-시밍됨에 따라 제 2 용기의 상단 에지가 이중-시밍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제 1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과 제 2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을 좁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의 일부분과 제 2 용기의 일부분 사이에 갭이 놓인다. 몇몇 실시예에서, 폐쇄구를 수용하기 위해 이중 벽체형 용기의 개구부가 좁혀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 중 적어도 하나가 리브(ribs)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 1 금속 용기는 바닥부 측에 제 1 부분 및 개구부 측에 제 2 부분을 가지며, 제 2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 2 금속 용기는 바닥부 측에 제 1 부분 및 개구부 측에 제 2 부분을 가진다.
이중 벽체형 용기는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를 포함하고,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는 서로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용기의 상단부의 직경이 좁혀졌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부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이 좁혀졌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부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이 확장되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이 확장되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리브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의 일부분과 제 2 용기의 일부분 사이에 갭이 놓인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의 상단 에지가 컬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폐쇄구를 수용하도록 제 1 용기의 상단 에지가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처리 단계들에서 처리 단계 진행 후 일련의 용기들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처리 단계들에서 처리 단계 진행 후 일련의 용기들의 도면,
도 6a는 제 2 용기 내부에서의 제 1 용기의 부분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부분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부분 단면도,
도 7a는 도 4의 B의 이중 벽체형 용기 제조에 사용되는 확장 다이의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확장 다이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a는 도 4의 A의 이중 벽체형 용기 제조에 사용되는 확장 다이의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확장 다이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이중 벽체형 용기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c는 도 9a의 이중 벽체형 용기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측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이중 벽체형 용기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c는 도 10a의 이중 벽체형 용기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10d는 도 10a의 이중 벽체형 용기의 부분 측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측면도,
도 11b는 도 11a의 이중 벽체형 용기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c는 도 11a의 이중 벽체형 용기의 부분 측면도,
도 11d는 도 11a의 이중 벽체형 용기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도면,
도 12b는 도 12a의 이중 벽체형 용기의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부분 단면도,
도 14는 이중 벽체형 용기들 각각의 외부 벽체가 리빙(ribbing)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두가지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이중 벽체형 용기들 각각의 내부 벽체가 리빙(ribbing)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벽체형 용기의 두 가지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17은 이중 벽체형 용기의 측벽과 단일 벽체형 용기의 측벽의 가열률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8은 이중 벽체형 용기 내의 물과 단일 벽체형 용기 내의 물의 가열률을 나타내는 그래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해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도 사용될 수 있고 구조적인 변경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직경(X)을 갖는 제 1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직경(X)보다 큰 직경(Y)을 갖는 제 2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 1 용기를 제 2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게 하여 제 1 용기와 제 2 용기가 단일의 이중 벽체형 용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린다는 것은, 제 2 용기에 대해 제 1 용기의 축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제 2 용기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 1 용기를 고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기들이 맞물리게 되면, 용기들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의 예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용기가 제 2 용기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필요는 없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제 1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X)을 확장하고 제 1 용기의 확장된 부분과 함께 제 2 용기의 일부분을 좁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좁아진 제 2 및/또는 제 1 용기의 부분이 확장된 부분에 비해 더 작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제 1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X)을 확장하고, 두 용기, 또는, 제 1 용기의 상단 에지를 컬링, 또는, 시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에지들을 마감하거나, 이중 벽체형 용기의 개구부를 성형하여 폐쇄구를 수용함에 있어, 그외 다른 적절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제 2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Y)을 좁히고 두 용기, 또는 제 1 용기의 상단 에지를 컬링 또는 시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상기 제 2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Y)을 좁히고 제 1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X)을 좁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되는 이중 벽체형 용기들의 세가지 예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이중 벽체형 용기(10, 20, 30)를 도시하며, 제 1 용기(11, 21, 31)와 제 2 용기(12, 22, 32)의 상부(13, 23, 33)가 각각 확장되어 있다. 용기(11, 12, 21, 22, 31, 32)의 상부 에지들은 컬링된다. 제 1 용기(11)는 제 2 용기(12)와 맞물린다. 제 1 용기(21)는 제 2 용기(22)와 맞물린다. 그리고, 제 1 용기(31)는 제 2 용기(32)와 맞물린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소정의 제조 단계들 이후의 용기들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A의 제 1 용기(40)는 53㎜ 직경으로 시작된다. 단계 B에서, 제 1 용기(40)의 상부(41)는 57.4㎜ 직경으로 확장되어 있다. 확장은 도 7에 도시된 확장 다이를 이용함으로써 실현되었다. 단계 C에서, 59㎜ 직경을 갖는 제 2 용기(42)가 제공되었다. 단계 D에서, 제 2 용기(42) 내부에 제 1 용기(40)가 배치되었다. 두 용기 사이의 작은 틈새로 인해 공기가 갇히거나 압축되지 않게 된다. 그후, 부분적으로 확장된 제 1 용기 내에 도 8에 도시된 더 큰 직경의 확장 다이를 삽입함으로써, 두 용기가 함께 확장되었다. 도 8에 도시된 확장 다이는 부분적으로 확장된 캔의 상부를 60.4㎜의 직경에 이르도록 측부 당 0.059"(1.5㎜)만큼 확장시켰다. 다이 길이는 소정 길이의 확장 표면을 생성하도록 조정되었다. 단계 E에서, 두 용기의 상단부(44)가 녹아웃(knockout) 없는 다이 네킹(die necking)에 의해 59㎜의 직경으로 좁혀졌다. 단계 F에서, 두 용기들의 또 다른 상부가 확장되었다. 단계 G에서, 두 용기의 상단 에지들이 이중 시밍(double seaming)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A에서, 53㎜의 직경을 갖는 제 1 용기(50)가 제공되었다. 단계 B에서, 제 1 컨테이너(50)의 상부(52)가 확장되었다. 단계 C에서, 59㎜의 직경을 갖는 제 2 용기(51)가 제공되었다. 단계 D에서, 제 2 용기(51) 내부에 제 1 용기(50)가 배치되었고, 제 1 용기(50)와 제 2 용기(51)의 상부들이 함께 확장되었다. 단계 E에서, 제 1 용기(50)와 제 2 용기(51)의 상부들이 녹아웃 없는 다이 네킹을 통해 59㎜의 직경에 이르도록 좁아졌다. 단계 F에서, 두 용기(50, 51)의 상부 에지들이 바깥쪽으로 컬링되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및/또는 제 2 용기들의 하부나 중간부가 확장되거나 및/또는 좁아질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중 벽체형 용기 제조 방법은 직경(X)을 갖는 제 1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직경(X) 보다 큰 직경(Y)을 갖는 제 2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 1 용기를 제 2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제 2 용기의 상단부를 좁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용기가 좁혀지는 몇몇 실시예에서, 좁히는 프로세스에 녹아웃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2 용기가 녹아웃을 이용하여 네킹되어, 제 1 용기보다 약간만 큰 직경에 이르게 되며, 그후, 제 1 용기 내에 녹아웃이 배치되어 제 1, 2 용기가 함께 네킹된다. 도 16은 제 1 용기(165)와 제 2 용기(166)를 좁힘으로써 제 1 용기(165)와 제 2 용기(166)가 맞물리게 된 이중 벽체형 컨테이너(164)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물림 프로세스의 단계들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6a는 제 2 용기(64) 내에 자리잡은 제 1 용기(63)를 도시한다. 제 1 용기(63)의 제 1 부분(65)이 확장되어, 제 1 용기(63)와 제 2 용기(64) 사이에 작은 틈새가 존재하게 되었다. 도 6b에서, 제 1 용기(63)의 제 2 부분(66)이 제 2 용기(64)의 제 1 부분(67)과 함께 확장되었다. 도 6c에서, 제 2 용기(64)의 제 2 부분(69)이 제 1 용기(63)의 제 3 부분(68)을 따라 좁혀졌다. 확장 프로세스 및 좁히는 프로세스를 통해, 제 1 용기(63)가 제 2 용기(64)와 맞물린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2 용기는 동일 직경을 갖는 상태에서 시작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직경(Y)을 갖는 제 2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는, 직경(Z)을 갖는 제 2 용기를 제공하고 제 2 용기를 직경(Y)으로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직경(Z)은 직경(X)과 동일한 값일 수도 있고, 직경(X)과 다른 값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직경(X)을 갖는 제 1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는, 직경(W)을 갖는 제 1 용기를 제공하고 제 1 용기를 직경(X)으로 좁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직경(W)은 직경(Y)과 동일한 값일 수도 있고, 직경(Y)과 다른 값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2 용기의 측벽들은 직선형으로서, 즉 도 4의 A, C와 도 5의 A,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시작 시점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 1, 2 용기의 측벽들이 곡면형이거나 가늘어진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이중 벽체형 용기는 곡면형 측벽을 갖는 제 1, 2 용기들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11)의 돔(14)이 제 2 용기(12)의 돔(15)의 크기 및/또는 형태와 실질적으로 유사하지 않아서, 제 1 용기의 돔이 제 2 용기의 돔 내에 자리잡지 못하게 된다. 이는 이중 벽체형 용기(10)의 단열 특성을 개선시킨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이러한 비-은신 돔 구조(non-nesting dome configuration)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용기의 일부와 제 2 용기의 일부 사이에 갭(16)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갭(16)의 폭은 일부 영역에서 약 0.080"(2.032㎜) 내지 약 0.085"(2.159㎜)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갭(16)의 폭은 일부 영역에서 약 0.020"(0.508㎜) 내지 약 0.040"(1.016㎜)이거나, 일부 영역에서 약 0.060"(1.524㎜) 내지 약 0.080"(2.032㎜)이거나, 또는 일부 영역에서 약 0.020"(0.508㎜) 내지 약 0.125"(3.175㎜)이다. 갭의 폭이 0.08"(2.032㎜)인 경우, 제 1 (내부) 용기의 직경과 제 2 (외부) 용기의 직경 사이에는 약 0.160"(4.064㎜)의 차이가 있다. 도면으로부터 관찰되는 바와 같이, 갭의 폭은 일부 실시예에서 균일하지 않다. 몇몇 실시예에서, 갭(16)은 공기 또는 다른 절연 재료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충전될 수도 있다. 임의의 적절한 충전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X)을 확장하는 단계는 확장 다이를,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예에서, 제 1 용기의 적어도 일부분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확장 다이가 제 1 용기 내로 삽입될 때, 제 2 용기의 일부분의 직경(Y)이 또한 확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확장 다이가 제 1 용기의 열린 단부 내로 삽입되어 이중 벽체형 용기의 직경을 확장시킨다. 다른 확장 다이는 용기의 상기 열린 단부 내로 삽입되어 용기의 직경을 추가적으로 확장시킨다. 이 프로세스는 소정 형태의 이중 벽체형 용기를 얻을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이중 벽체형 용기의 확장에 가능한 단계들의 예를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용기에 큰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소정 직경에 이르도록 이중 벽체형 용기를 확장하는 데 사용되는 확장 다이들의 개수는 소망하는 확장 정도와, 용기의 재료와, 용기 재료의 경도와, 용기의 측벽 두께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어, 소망하는 확장 정도가 클수록, 확장 다이들의 개수가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금속을 함유한 용기의 경도가 높을 경우, 경도가 낮은 금속을 함유한 용기를 동일 수준으로 확장하는 것에 비해 더 많은 개수의 확장 다이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측벽이 얇을수록, 요구되는 확장 다이의 개수가 커질 것이다. 더욱이, 코팅된 용기를 확장할 때, 점진적 확장을 통해 코팅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서, 용기가 코팅 이전에 확장될 수 있다.
도 7의 확장 다이(60)와 도 8의 확장 다이(70)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는 다이(60, 70)는 A2 툴 강(tool steel), 58-60 Rc 하든(harden), 32 피니시(finish)로 구성되지만, 임의의 적절한 다이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의 작업 표면(62, 72)의 초기부(61, 71)들은 용기 측벽의 직경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외형을 갖는다. 다이(60, 70)의 작업 표면(62, 72)들은, 용기의 열린 단부 내로 삽입될 때, 용기가 작업 표면을 따라 진행함에 따라 용기의 직경을 반경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도록 용기의 측벽을 가공하는 크기와 외형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확장 다이는 점진-확장부, 랜드부(land portion), 그리고 언더컷부로 변화하는 경사부를 갖는 작업 표면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랜드부는 확장 다이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용기의 최종 직경을 설정하기 위한 크기 및 외형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경사부는 랜드부로부터 언더컷부로 변화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언더컷부의 직경은 랜드부의 직경보다 작다. 몇몇 실시예에서, 언더컷부는 적어도, 확장되고 있는 용기 부분의 길이에서, 랜드부와 다이의 초기 부분의 길이를 뺀 길이만큼 연장된다. 언더컷부는 스프링백을 허용하고 캔과 다이 사이의 총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서 총 성형 부하를 최소화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용기의 작은 상부만이 확장되고 있을 때, 랜드부나 언더컷부를 구비하지 않은 확장 다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형태를 갖는 용기가 랜드부나 언더컷부없는 다이를 이용하여 확장되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의 상단 에지가 컬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의 적어도 일부분 내로 확장 다이를 먼저 삽입하고, 제 1 용기의 상단부를 확장하고, 가능하다면, 제 2 용기의 상단부 역시 확장한 후, 컬링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2 용기의 상단부 역시 컬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링이 이중 벽체형 용기의 내부를 향할 때, 제 2 용기의 상단부는 제 1 용기의 상단부 위에서, 또는, 제 1 용기의 상단부와 함께 컬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링이 이중 벽체형 용기의 외부를 향할 때, 제 1 용기의 상단부는 제 2 용기의 상단 에지 위에서 컬링되거나 제 2 용기의 상단 에지와 함께 컬링된다. 이중 벽체형 용기에 대한 컬링의 예를 도 9a 내지 도 9c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9c에서, 제 1 용기(81)와 제 2 용기(82)의 상부(91, 92)들이 바깥쪽으로 컬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의 상단 에지들이 폐쇄구(closure)와 함께 플랜징되고 시밍되거나, 또는, 제 1 용기의 상단부만이 폐쇄구와 함께 플랜징되고 컬링된다. 임의의 적절한 플랜징 및 컬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플랜징 및 시밍된 상부 에지(101) 및 폐쇄구(102)를 갖는 이중 벽체형 용기(100)의 일례를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 및/또는 제 2 용기의 일부분이 좁아질 때, 이러한 좁히는 프로세스는 다이 네킹(die necking), 스핀 네킹(spin necking), 또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이중 벽체형 용기의 좁아진 부분의 직경은 직경(X)보다 작을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클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좁혀진 상태에서 이중 벽체형 용기의 상단 에지로부터의 거리는 확장된 상태에서 용기의 상단 에지로부터의 거리보다 작다. 몇몇 실시예에서, 여러 가지 네킹 다이들을 이용하여 여러 단계에서 이중 벽체형 용기가 네킹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중 벽체형 컨테이너는 단 하나의 네킹 다이만으로 네킹된다. 당 업계에 잘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다이가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병이나 음료 캔의 형태를 취하도록 이중 벽체형 용기가 네킹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중 벽체형 용기가 좁혀진 후에, 소정 형태를 얻을 때까지 용기의 일부가 확장된다. 소정 형태를 얻을 때까지 이중 벽체형 용기가 반복적으로 네킹되고 확장될 수 있다. 제 1, 2 용기의 상단부들을 좁힘으로써 제 1, 2 용기의 상단부들이 맞물리게 된 이중 벽체형 용기가 도 11에 도시된다. 도 11의 이중 벽체형 용기(130)는 네킹 다이를 이용하여 좁아졌다. 이중 벽체형 용기(130)는 네킹된 내부(133)에 의해 분리되는 두개의 확장부(131, 132)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 1 용기는 제 2 용기와는 다른 높이를 갖는다. 도 11에서는 제 1 용기(134)의 높이가 제 2 용기(135)의 높이보다 높다.
도 12a와 도 12b는 제 1 용기(121)의 높이가 제 2 용기(122)의 높이보다 높은 이중 벽체형 용기(12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제 1 용기(121)가 제 2 용기(122)의 내부에 배치된 후, 제 1 용기와 제 2 용기 모두 확장되고, 그후 좁아져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게 한다. 제 2 용기(122)의 상부 에지(123)는 용기들의 좁혀진 부분 위에 놓인다. 도 12의 이중 벽체형 용기(120)는 그후 폐쇄구를 수용하도록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제 1 용기의 상단 에지가 컬링될 수 있다.
도 13은 제 1 용기(137)의 높이가 제 2 용기(138)의 높이보다 높은 이중 벽체형 용기(136)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제 1 용기(137)가 제 2 용기(138) 내부에 배치된 후, 제 1 용기와 제 2 용기 모두 확장되고, 그후 좁아져서, 제 1 용기와 제 2 용기를 맞물리게 한다. 제 2 용기의 상단부(139)를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의 이중 벽체형 용기(136)는 폐쇄구를 수용하도록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제 1 용기의 상단부가 컬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확장된 이중 벽체형 용기를 제 1 용기의 원래의 직경(X)에 이르도록 네킹하는 것은, 제 1 용기의 측벽이 확장에 이어 인장 상태에 있기 때문에, 녹아웃 이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녹아웃은 용기를 네킹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최종 확장 또는 네킹 단계 이후에, 이중 벽체형 용기의 열린 단부가 폐쇄구를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폐쇄구를 수용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성형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플랜지(flange), 컬(curl), 스레드(thread), 러그(lug), 아웃서트(outsert) 부착, 헴(hem) 성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스레딩(threading) 또는 러그 형성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임의의 적절한 폐쇄구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준 이중-시밍 단부(standard double-seamed end), 풀-패널 이지-오픈 풋 단부(full-panel easy-open food end), 왕관형 폐쇄구(crown closure), 플라스틱 나사 폐쇄구(plastic threaded closure), 롤-온 필퍼 프루프 폐쇄구(roll-on pilfer proof closure), 러그 캡(lug cap), 에어로졸 밸브(aerosol valve), 또는 크림프 폐쇄구(crimp closure)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용기 또는 제 2 용기, 또는 두 용기 모두가 리빙(ribbing)된다. 도 14는 제 2 (외부) 용기가 리브(ribs)(153)를 포함하는 이중 벽체형 용기(150, 152)의 두 가지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내부 용기가 리브(163)를 포함하는 이중 벽체형 용기(160, 162)의 두 가지 예를 도시한다. 용기들은 강성 및/또는 열 전도를 위해 제 1 용기와 제 2 용기 사이에 접촉점(154)들을 구축하도록 리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 내에 얇고 경도가 높은 금속, 예를 들어 H19 또는 H39 템퍼(temper)와, 약 0.0038"(0.0965㎜) 내지 0.015"(0.381㎜)의 측벽 금속 두께를 이용할 때, 내부 용기 상의 리브들이 내부 용기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17은 166℉의 초기 온도를 갖는 유체를 포함하는 단일 벽체형 용기와 이중 벽체형 용기의 상온에서 시작되는 용기 외측벽의 가열률(heat-up rate)을 각각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용기(F)가 열/단열 특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 이중 벽체형 용기였다.
도 18은 상온에서의 단일 벽체형 용기와 이중 벽체형 용기 내부의 39℉의 초기 온도를 갖는 유체의 가열률을 각각 도시한다. 45분 후, 단일 벽체형 용기 내부의 유체는 55℉까지 온도가 상승하였다. 이중 벽체형 용기 내부의 유체는 55℉까지 온도 상승하는데 90분이 소요되었다. 도 4에 도시된 용기(F)가 열/단열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 이중 벽체형 용기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음료, 에어로졸, 그리고 음식 용기들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확장될 수 있는 및/또는 좁혀질 수 있는 임의의 용기와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공되는 제 1, 2 용기들은 드로잉(drawing), 드로 리버스 드로(draw reverse draw), 드로잉 및 아이어닝(drawing and ironing), 드로잉 및 스트레칭(drawing and streching), 딥 드로잉(deep drawing), 3-피스 시밍 및 충격 압출(3-piece seamed and impact extrusion)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용기는 알루미늄이나 강으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알루미늄은 Aluminium Association 3104, 3004, 5042, 1060, 1070과 같은 합금을 포함하며, 철 합금도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합금이 H19 또는 H39와 같은, 경도가 높은 템퍼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경도가 낮은 템퍼 금속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되는 이중 벽체형 용기는 필젠 글라스(pilsner)나 그외 다른 잔, 음료 캔, 또는 병과 같은,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소정의 버전들을 참고하여 상당히 세부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다른 버전들도 가능하다. 도면을 포함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특징들과, 개시된 임의의 방법이나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들이 임의의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 및/또는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배타적인 조합의 경우는 예외로 한다. 청구범위, 요약서, 도면을 포함한 명세서에 개시되는 각각의 특징은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는 이상, 동일한, 대등한, 또는 유사한 용도로 기능하는 대안의 특징들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명확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개시되는 각각의 특징은 대등한, 또는 유사한 특징들의 포괄적 부류에 대한 한가지 예에 불과하다.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나,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를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는 청구항 내 임의의 요소는 미국 특허법 35 U.S.C.§112에 기재된 "means or step for" 조항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Claims (23)

  1.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직경(X)을 갖는 제 1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직경(X)보다 큰 직경(Y)을 갖는 제 2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를 상기 제 2 금속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X)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열린 단부 내로 확장 다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가 맞물리게 되도록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Y)을 좁히는 단계와,
    폐쇄구(closure)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의 개구부를 좁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용기 및 상기 제 2 금속 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리브(ribs)를 구비하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다이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Y)을 좁히는 단계보다 앞서 이루어지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5.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직경(X)을 갖는 제 1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직경(X)보다 큰 직경(Y)을 갖는 제 2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를 상기 제 2 금속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가 맞물리게 되도록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Y)을 좁히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X)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열린 단부 내로 확장 다이를 삽입하는 단계와,
    폐쇄구(closure)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의 개구부를 좁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Y)을 좁히는 단계는 상기 확장 다이를 삽입하는 단계보다 앞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6.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직경(X) 및 높이(H)를 갖는 제 1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직경(X)보다 큰 직경(Y) 및 상기 높이(H)보다 큰 높이(J)를 갖는 제 2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를 상기 제 2 금속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상부 및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상부를 좁히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상부 및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상부를 좁히는 단계에 앞서,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X) 및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Y)를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용기 및 상기 제 2 금속 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리브를 구비하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8.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직경(X)을 갖는 제 1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직경(X)보다 큰 직경(Y)을 갖는 제 2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를 상기 제 2 금속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X)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열린 단부 내로 확장 다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가 맞물리게 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상단 에지를 마감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상단 에지를 마감 가공하는 단계는 시밍(seaming)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상단 에지가 이중-시밍(double-seaming)됨에 따라,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상단 에지가 이중-시밍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용기 및 상기 제 2 금속 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리브를 구비하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11.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직경(X)을 갖는 제 1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직경(X)보다 큰 직경(Y)을 갖는 제 2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를 상기 제 2 금속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X)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열린 단부 내로 확장 다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가 맞물리게 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상단 에지를 마감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상단 에지를 마감 가공하는 단계는 컬링(curling)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상단 에지가 컬링됨에 따라,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상단 에지가 컬링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용기 및 상기 제 2 금속 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리브를 구비하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14.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직경(X)을 갖는 제 1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직경(X)보다 큰 직경(Y)을 갖는 제 2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를 상기 제 2 금속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X)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열린 단부 내로 확장 다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가 맞물리게 되도록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Y)을 좁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다이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를 상기 제 2 금속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 후, 그리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Y)을 좁히는 단계에 앞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15.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직경(X)을 갖는 제 1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직경(X)보다 큰 직경(Y)을 갖는 제 2 금속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를 상기 제 2 금속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를 맞물리는 단계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X)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열린 단부 내로 확장 다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 용기와 제 2 금속 용기가 맞물리게 되도록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Y)을 좁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의 직경(Y)을 좁히는 단계는 상기 제1 금속 용기를 상기 제 2 금속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 후, 그리고 상기 확장 다이를 삽입하는 단계에 앞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는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1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바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는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바닥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1 부분, 그리고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개구부 측에 상기 제 2 금속 용기의 제 2 부분을 가지는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17001917A 2008-06-26 2009-06-26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및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KR101693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97708P 2008-06-26 2008-06-26
US61/075,977 2008-06-26
PCT/US2009/048941 WO2009158666A1 (en) 2008-06-26 2009-06-26 Double-walle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480A KR20110031480A (ko) 2011-03-28
KR101693897B1 true KR101693897B1 (ko) 2017-01-06

Family

ID=4122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917A KR101693897B1 (ko) 2008-06-26 2009-06-26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및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132687B2 (ko)
EP (1) EP2323924B1 (ko)
JP (1) JP5296203B2 (ko)
KR (1) KR101693897B1 (ko)
CN (1) CN102076575B (ko)
AU (1) AU2009261974B2 (ko)
BR (1) BRPI0914592A2 (ko)
CA (2) CA2933974A1 (ko)
DK (1) DK2323924T3 (ko)
ES (1) ES2566345T3 (ko)
MX (1) MX2010013556A (ko)
PL (1) PL2323924T3 (ko)
RU (1) RU2509701C2 (ko)
WO (1) WO2009158666A1 (ko)
ZA (1) ZA2011005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227042E (pt) 2001-01-30 2004-08-31 Seda Spa Recipiente de cartao para bebidas e processo para o mesmo
BRPI0601188B1 (pt) 2005-04-15 2018-06-26 Seda S.P.A. Recipiente isolado; método de fabricar o mesmo e aparelho para a fabricação
DE202005014177U1 (de) 2005-09-08 2005-11-17 Seda S.P.A., Arzano Doppelwandiger Becher
DE202005014738U1 (de) 2005-09-19 2007-02-08 Seda S.P.A., Arzano Behälter und Zuschnitt
DK1785370T3 (da) 2005-11-11 2008-07-07 Seda Spa Isoleret bæger
EP1785265A1 (en) 2005-11-14 2007-05-16 SEDA S.p.A. Device for producing a stacking projection on a container wall and container with same
DE202006018406U1 (de) 2006-12-05 2008-04-10 Seda S.P.A. Verpackung
US8448810B2 (en) * 2007-01-12 2013-05-28 Millercoors, Llc Double walled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464891B2 (en) 2009-04-30 2013-06-18 Merissa Beth Pico Hot/cold container and lid
CA2807696C (en) * 2010-08-20 2019-01-08 Alcoa Inc. Shaped metal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757404B1 (en) * 2011-01-14 2014-06-24 William Fleckenstein Combination beverage container and golf ball warmer
BR112014006382B1 (pt) 2011-09-16 2020-01-07 Ball Corporation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 recipiente moldado adaptado para receber um fechamento de extremidade a partir de uma pastilha em um processo de fabricação de extrusão por impacto usando material de sucata de alumínio reciclado
HUE059164T2 (hu) 2013-04-09 2022-10-28 Ball Corp Ütvesajtolt alumínium palack menetes nyakkal, amely visszajáratott alumíniumból és ötvözeteibõl van kialakítva, és eljárás annak elõállítására
US9290312B2 (en) 2013-08-14 2016-03-22 Dart Container Corporation Double-walled container
JP6177752B2 (ja) * 2014-11-14 2017-08-09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飲料容器
US10695897B2 (en) 2015-12-18 2020-06-30 Dyln Inc. Fluid container diffuser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use
US20180044155A1 (en) 2016-08-12 2018-02-15 Bal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Capping Metallic Bottles
WO2018078502A1 (en) * 2016-10-25 2018-05-03 Alan Mark Crawley Improvements in double-walled containers
RU2736632C1 (ru) 2016-12-30 2020-11-19 Болл Корпорейшн Алюминиевый сплав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получаемых ударным выдавливанием,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EP3583043A4 (en) 2017-02-16 2021-04-14 Bal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ND APPLYING ROLL-UP ANTI-THEFT LATCHES ON THE THREADED NECK OF METAL CONTAINERS
USD817000S1 (en) 2017-03-08 2018-05-08 Filip Sedic Toothbrush
DE102017120822B4 (de) * 2017-09-08 2023-03-16 Jochen Schomber Getränkebecher mit Isolierbehälter
AU2018334223B2 (en) 2017-09-15 2021-11-11 Bal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 metallic closure for a threaded container
KR101828944B1 (ko) * 2017-10-23 2018-03-29 주식회사 한일케미텍 화학약품용 저장탱크
KR102025629B1 (ko) 2017-12-20 2019-09-26 주식회사 포스코 시료의 불소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US20200107667A1 (en) * 2018-10-09 2020-04-09 Dyln Lifestyle, LLC Contoured double walled fluid container with internal compartment
USD891184S1 (en) 2018-10-09 2020-07-28 Dyln Inc. Water bottle
DE102019108838B4 (de) * 2019-04-04 2021-01-28 MATO Interpraesent GmbH Isolierbecher
US11779156B2 (en) * 2021-02-12 2023-10-10 Sprogo Llc Reusabl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WO2022217216A1 (en) * 2021-04-08 2022-10-13 Novelis, Inc. Primary beverage container with temperature control
USD1025715S1 (en) 2022-02-02 2024-05-07 Dyln Inc. Water bott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6860A (en) * 1968-01-09 1969-07-22 Illinois Tool Works Double wall cup
JP2004276921A (ja) * 2003-03-12 2004-10-07 Guritto:Kk 蓋付き保温カップ
JP2007181862A (ja) * 2006-01-06 2007-07-19 Toyo Seikan Kaisha Ltd 二重構造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6338A (en) * 1936-11-04 1940-01-09 Clark Mfg Co J L Metallic container
US2863585A (en) * 1956-02-06 1958-12-09 Meshberg Philip Insulated tumbler
US3065875A (en) * 1960-02-19 1962-11-27 Continental Can Co Plastic snap-on reclosure cover
US4333581A (en) * 1980-08-19 1982-06-08 Henry H. Howard Multi-compartment container with pop-top and communicating door
US5497900A (en) * 1982-12-27 1996-03-12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Necked container body
US4548348A (en) * 1984-02-27 1985-10-22 Solo Cup Company Disposable cup assembly
DE3587397T2 (de) 1984-10-03 1994-05-05 American National Can Co Behälter.
JPH03254322A (ja) * 1990-03-02 1991-11-13 Furukawa Alum Co Ltd 多重飲食缶の製造方法
US5335813A (en) 1992-12-02 1994-08-09 Hao Qi Double-vessel can
JP2832702B2 (ja) * 1996-08-08 1998-12-09 株式会社三五 二重管の製造方法
JP3441317B2 (ja) * 1996-10-21 2003-09-02 大和製罐株式会社 胴部に凹凸模様をもつ変形金属缶の製造方法
JP3049220B2 (ja) * 1997-05-07 2000-06-05 日本酸素株式会社 合成樹脂製二重壁構造断熱器物の製造方法
NL1008077C2 (nl) * 1998-01-21 1999-07-22 Hoogovens Staal Bv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van een metalen bus met inzetstuk voor verpakking van bijvoorbeeld een levensmiddel en een dergelijke bus.
JP2001025441A (ja) * 1999-07-13 2001-01-30 Tiger Vacuum Bottle Co Ltd 金属製真空二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23431A (ja) 1999-10-29 2001-05-08 Shinichiro Hayashi 溢水防止機能を具えた水路
NL1019586C2 (nl) 2001-12-17 2003-06-18 Rpc Packaging Holdings B V Dubbelwandige beker en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daarvan.
JP2005096794A (ja) 2003-09-24 2005-04-14 Hosokawa Yoko Co Ltd 液体用容器及び二重缶
US20080314909A1 (en) * 2004-02-10 2008-12-25 Fiji Seal International, Inc Heat Insulating Container
JP2007181863A (ja) * 2006-01-06 2007-07-19 Toyo Seikan Kaisha Ltd 二重構造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二重構造成形体
US7934410B2 (en) * 2006-06-26 2011-05-03 Alcoa Inc. Expanding die and method of shaping contain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6860A (en) * 1968-01-09 1969-07-22 Illinois Tool Works Double wall cup
JP2004276921A (ja) * 2003-03-12 2004-10-07 Guritto:Kk 蓋付き保温カップ
JP2007181862A (ja) * 2006-01-06 2007-07-19 Toyo Seikan Kaisha Ltd 二重構造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61974A1 (en) 2009-12-30
JP5296203B2 (ja) 2013-09-25
CN102076575B (zh) 2014-07-30
AU2009261974A2 (en) 2011-01-20
RU2011102771A (ru) 2012-08-10
WO2009158666A1 (en) 2009-12-30
EP2323924A1 (en) 2011-05-25
KR20110031480A (ko) 2011-03-28
EP2323924B1 (en) 2016-01-13
ZA201100555B (en) 2014-04-30
CA2933974A1 (en) 2009-12-30
MX2010013556A (es) 2011-02-15
US20090321440A1 (en) 2009-12-31
CN102076575A (zh) 2011-05-25
DK2323924T3 (en) 2016-04-18
ES2566345T3 (es) 2016-04-12
CA2728678C (en) 2016-10-11
RU2509701C2 (ru) 2014-03-20
AU2009261974B2 (en) 2015-09-24
JP2011526232A (ja) 2011-10-06
CA2728678A1 (en) 2009-12-30
BRPI0914592A2 (pt) 2015-12-22
PL2323924T3 (pl) 2016-08-31
US8132687B2 (en)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897B1 (ko)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및 이중 벽체형 금속 용기 제조 방법
US20210114077A1 (en) Shaped metal container, microstructure, a method for making a shaped metal container
US20220289431A1 (en) Tapered metal cup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95435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s
EP2421419B1 (en) Double walle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40105828A (ko) 금속 용기의 직경을 확장하는 방법
AU2019396327B2 (en) Tapered metal cup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