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676B1 -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676B1
KR101693676B1 KR1020150006721A KR20150006721A KR101693676B1 KR 101693676 B1 KR101693676 B1 KR 101693676B1 KR 1020150006721 A KR1020150006721 A KR 1020150006721A KR 20150006721 A KR20150006721 A KR 20150006721A KR 101693676 B1 KR101693676 B1 KR 101693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ump
air
fluid
floa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576A (ko
Inventor
조일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6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Abstract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은, 유체펌프의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있는 펌핑 공간에 연결되되 펌핑 공간에 유입되는 유체의 레벨 상승에 의해 스위칭되는 플로트 스위치; 플로트 스위치 상에 연결되며, 플로트 스위치에 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밸브모듈을 구비하는 버퍼탱크; 버퍼탱크와 플로트 스위치를 거쳐 펌핑 공간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도록 버퍼탱크에 연결되는 진공유닛; 및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공기밸브모듈을 작동시키며 유체펌프를 가동시키도록 유체펌프와 공기밸브모듈에 연결되는 펌프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IR DRAIN SYSTEM OF PU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의 펌핑 압력이 형성되도록 펌프 내의 에어를 제거할 수 있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센트럴 프라이밍 시스템(central priming system)은, 센트럴 펌프(centrifugal pump)를 작동하기 전 배관 내에 존재하는 에어를 제거함으로써 펌프의 작동 효율을 높이고 에어로 인한 펌프 임펠러(impeller)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펌프 작동 전 실시하는 작업이다.
기존 밸러스트 펌프(ballast pump)와 빌지 및 스트립핑 펌프(bilge & stripping pump)의 센트럴 펌프 시스템(central priming system)은, 펌프 트립(pump trip)이 자주 발생하였다.
그 원인을 분석해 보니 플로트 스위치 바디(float switch body) 내부에 있는 에어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센트럴 펌프 시스템(central priming system)내부의 압력 조건(-0.67bar)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진공펌프(vacuum pump)가 지속적으로 가동되었다.
즉 펌프에 있는 에어의 배출로 해수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펌프의 상부에 있는 플로트 스위치가 작동되어 펌프의 에어 배출이 정지되는데, 플로트 스위치가 적절한 해수 레벨에서 작동되지 않는 경우, 해수가 플로트 스위치를 통과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었다.
이에 따라 펌프에 진공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 탱크(vacuum tank)로 많은 양의 해수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결국 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트립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11425 호 (2010.02.08)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펌프의 상부에 있는 플로트 스위치의 에어 배출이 원활하며, 플로트 스위치가 적절한 유체 레벨에서 작동되어, 펌프의 트립을 방지할 수 있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펌프의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있는 펌핑 공간에 연결되되, 상기 펌핑 공간에 유입되는 유체의 레벨 상승에 의해 스위칭되는 플로트 스위치; 상기 플로트 스위치 상에 연결되며, 상기 플로트 스위치에 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밸브모듈을 구비하는 버퍼탱크; 상기 버퍼탱크와 상기 플로트 스위치를 거쳐 상기 펌핑 공간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버퍼탱크에 연결되는 진공유닛; 및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작동시키며 상기 유체펌프를 가동시키도록 상기 유체펌프와 상기 공기밸브모듈에 연결되는 펌프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개폐한 후, 상기 유체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1~3초간 개방한 후,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진공유닛은 상기 버퍼탱크에 연결되는 진공탱크; 상기 진공탱크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진공탱크에 연결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 상기 진공탱크, 상기 버퍼탱크, 그리고 상기 플로트 스위치를 연결하는 진공라인; 및 상기 진공탱크와 상기 버퍼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진공라인에 연결되되 상기 진공라인에 대해 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진공밸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밸브모듈은, 상기 진공라인을 개폐하도록 상기 진공라인 상에 배치되며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진공밸브; 및 상기 공압진공밸브에 대한 공압을 단속하도록 상기 공압개폐밸브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에어 제거 시스템은 상기 진공라인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버퍼탱크와 상기 진공개방 밸브모듈 사이의 상기 진공라인 상에 배치되는 진공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밸브모듈은, 상기 버퍼탱크 상에 배치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체를 펌핑하는 파이프라인에 배치되는 유체펌프; 상기 유체펌프가 가동되기 전에 상기 유체펌프에 있는 공기를 진공 배기하도록 상기 유체펌프에 연결되는 진공유닛; 상기 진공유닛에 의해 상기 유체펌프 내의 공기가 진공 배기되는 동안, 상기 유체펌프를 거쳐 상기 진공유닛 측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레벨 상승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의 레벨 상승이 감지된 후 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오버플로우 감지유닛; 상기 진공유닛 측으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펌프 측으로 진공 압력의 제공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유체펌프와 상기 진공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차단유닛; 및 상기 유체펌프, 상기 진공유닛,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유닛, 그리고 상기 진공차단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진공유닛을 가동시킨 후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유닛에 의해 상기 유체의 레벨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진공차단유닛에 의해 상기 진공 압력을 차단하며,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유닛 측으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펌핑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유체펌핑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체펌프의 펌핑 공간에 있는 공기를 진공 배기하도록 상기 유체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펌핑 공간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체펌프 상에 배치되는 플로트 스위치에 의해 상기 유체펌프의 펌핑 공간을 거쳐 상승되는 유체의 레벨을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펌프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며, 상기 유체펌프와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진공라인 상에 있는 진공밸브모듈을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에 의해 가동시켜 상기 진공라인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플로트 스우치 상에 배치되는 버퍼탱크로 상기 플로트 스위치를 거친 유체의 레벨이 상승되는 경우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버퍼탱크 상의 공기밸브모듈을 개방하여 상기 버퍼탱크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의 제어방법.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개폐한 후, 상기 유체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1~3초간 개방한 후,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펌프의 상부에 있는 플로트 스위치의 에어 배출이 원활하며, 플로트 스위치가 적절한 유체 레벨에서 작동되어, 펌프의 트립을 방지할 수 있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은, 펌프본체(111)의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있는 펌핑 공간(112)에 플로트 스위치(115)가 연결되며, 플로트 스위치(115)에 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밸브모듈(125)을 구비하는 버퍼탱크(120)가 플로트 스위치(115) 상에 연결되며, 버퍼탱크(120)와 플로트 스위치(115)를 거쳐 펌핑 공간(112)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도록 버퍼탱크(120)에 진공유닛(130)이 연결되며, 플로트 스위치(115)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공기밸브모듈(125)을 작동시키며 유체펌프(110)를 가동시키도록 펌프 컨트롤 유닛(150)이 유체펌프(110)와 공기밸브모듈(125)에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에서 플로트 스위치(115)는 유체펌프(110)의 펌핑 공간(112)에 유입되는 유체의 레벨 상승에 의해 스위칭되어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유체펌프(110)는 진공유닛(130)에 의해 펌핑 공간의 공기가 배기된 후에야 정상적으로 펌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체펌프(110)는 가동되기 전에 진공유닛(130)에 의한 공기 빼기가 진행된다. 유체펌프(110)의 펌핑 공간(112)에서 공기 빼기가 진행되면 펌핑 공간(112)에는 펌핑할 유체가 채워지며, 유체는 플로트 스위치(115)까지 차오르게 되며, 플로트 스위치(115)를 스위칭시킬 수 있다.
플로트 스위치(115)는 유체의 레벨 즉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벨감지센서로서, 일정 레벨 이상의 유체가 유입되면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의 펌프 컨트롤 유닛(150)은 스위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펌프 컨트롤 유닛(150)은 스위칭 신호에 의해 플로트 스위치(115) 측으로 유체가 유동되어 일정 레벨 이상으로 차오른 상태를 감지하게 되며, 버퍼탱크(120)를 거쳐 진공유닛(130) 측으로 유체의 유동이 진행되지 않도록 버퍼탱크(120)에 대한 대기압을 허용한다.
즉 버퍼탱크(120)에는 공기밸브모듈(125)의 개방으로 공기의 유입이 허용되면서, 버퍼탱크(120)로부터 진공유닛(130) 측으로 유체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진공유닛(130)에는 펌프 컨트롤 유닛(150)에 의해 개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밸브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은, 유체펌프(110)의 상부에 있는 플로트 스위치(115)를 통한 에어 배출이 원활하며, 플로트 스위치(115)가 적절한 유체 레벨에서 작동되어, 펌프의 트립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체펌프(110)는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밸러스트 탱크와 연결되어 밸러스트 탱크로 해수를 유입 또는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밸러스트용 파이프라인(100) 상에 배치되는 해수펌프일 수 있다.
이러한 유체펌프(110)는 각각의 밸러스트 탱크와 연결되는 파이프라인(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체펌프(110)는 가동되기 전에 내부의 공기가 제거된다.
유체펌프(110)와 플로트 스위치(115)를 사이에 두고 유체펌프(110)에 연결되는 버퍼탱크(120)는 플로트 스위치(115)를 넘쳐 진공유닛(130) 측으로 유동되는 유체가 일시적으로 유입 저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버퍼탱크(120)는 실질적으로 플로트 스위치(115)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될 수 있는 진공유닛(130) 측으로 유체의 유동을 지연 혹은 차단할 수 있으며, 공기의 유입 시에 유체펌프(110) 측으로 유체를 다시 유동시킬 수 있다.
버퍼탱크(120)에는 플로트 스위치(115)의 작동 시에 펌프 컨트롤 유닛(150)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밸브모듈(125)이 배치된다. 이러한 공기밸브모듈(125)은 버퍼탱크(120) 상에 배치되는 체크밸브(126)와, 체크밸브(126)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12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버퍼탱크(120)의 상면부에는 공기의 유입을 허용할 수 있는 공기유입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126)와 솔레노이드밸브(127)는 이러한 공기유입라인에 배치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127)가 개방되면 공기유입라인에 의해 버퍼탱크(120) 측으로 공기의 유입이 허용된다. 이때 체크밸브(126)는 버퍼탱크(120)에 유입되는 공기의 역방향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유체펌프(110)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진공유닛(130)은 버퍼탱크(120)에 연결되는 진공탱크(131)와, 진공탱크(131)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도록 진공탱크(131)에 연결되는 진공펌프(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진공펌프(132), 진공탱크(131), 버퍼탱크(120), 그리고 플로트 스위치(115)는 진공라인(133)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진공탱크(131)와 버퍼탱크(120) 사이에는 진공라인(133)에 연결되며 진공라인(133)에 대해 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진공밸브모듈(135)이 배치될 수 있다.
진공탱크(131)는 진공펌프(132)의 진공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진공밸브모듈(135)은 진공라인(133)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진공밸브모듈(135)은, 진공라인(133)을 개폐하도록 진공라인(133) 상에 배치되며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진공밸브(136)과, 공압진공밸브(136)에 대한 공압을 단속하도록 공압개폐밸브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12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진공라인(133)은 공압진공밸브(136)에 의해 기계적으로 차단되며, 솔레노이드밸브(127)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공압진공밸브(136) 측에 대한 공압을 단속할 수 있다. 공압진공밸브(136)는 공압이 차단되어 있을 때 개방된 상태이며, 공압이 제공될 때 차단된 상태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은 진공라인(133)을 차단할 수 있도록 버퍼탱크(120)와 진공개방 밸브모듈 사이의 진공라인(133) 상에 배치되는 진공개폐밸브(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개폐밸브(140)는 진공라인(133) 상에서 상기의 공압진공밸브(136)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동적으로 개폐되어 버퍼탱크(120) 측에 연결되는 진공라인(133)을 완전히 차단 혹은 개방시킬 수 있다.
펌프 컨트롤 유닛(150)은 유체펌프(110)와 진공펌프(132)를 가동시킬 수 있으며, 플로트 스위치(115)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의 진공밸브모듈(135)과 공기밸브모듈(125)의 솔레노이드밸브(127)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펌프 컨트롤 유닛(150)은 플로트 스위치(115)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공기밸브모듈(125)을 개폐한 후, 유체펌프(11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즉 플로트 스위치(115)의 스위칭 신호가 발생되면, 공기밸브모듈(125)의 솔레노이드밸브(127)가 작동 개방되어 버퍼탱크(120)로 공기의 유입이 허용되며, 이후에 유체펌프(110)가 가동될 수 있다.
유체펌프(110)의 가동 전에 진공밸브모듈(135)의 솔레노이드밸브(127)가 작동되어 공압진공밸브(136)에 의해 진공라인(133)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이때에 펌프 컨트롤 유닛(150)은 공기밸브모듈(125)을 1~3초간 개방한 후, 공기밸브모듈(125)을 폐쇄할 수 있다.
펌프 컨트롤 유닛(150)에는 공기밸브모듈(125)의 개폐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기밸브모듈(125)의 솔레노이드밸브(127)는 버퍼탱크(120)에 대한 진공 압력이 해소될 수 시점까지 개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127)는 적절하게는 2초간 개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을 사용하는 유체펌핑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펌핑 시스템은, 유체를 펌핑하는 파이프라인(100)에 배치되는 유체펌프(110)와, 유체펌프(110)가 가동되기 전에 유체펌프(110)에 있는 공기를 진공 배기하도록 유체펌프(110)에 연결되는 진공유닛(130)과, 진공유닛(130)에 의해 유체펌프(110) 내의 공기가 진공 배기되는 동안 유체펌프(110)를 거쳐 진공유닛(130) 측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레벨 상승을 감지할 수 있으며 유체의 레벨 상승이 감지된 후 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오버플로우 감지유닛(160)과, 진공유닛(130) 측으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유체펌프(110) 측으로 진공 압력의 제공을 차단할 수 있도록 유체펌프(110)와 진공유닛(130)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차단유닛(170)과, 유체펌프(110), 진공유닛(130), 오버플로우 감지유닛(160), 그리고 진공차단유닛(170)에 연결되되, 진공유닛(130)을 가동시킨 후 오버플로우 감지유닛(160)에 의해 유체의 레벨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 진공차단유닛(170)에 의해 진공 압력을 차단하며, 오버플로우 감지유닛(160) 측으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펌핑 컨트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펌프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 예에 달리 유체펌프(110)에 연결되는 플로트 스위치(115)와 버퍼탱크(120)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유체펌프 시스템에서는 플로트 스위치(115)가 유체의 저장을 위한 일정 공간을 제공하는 버퍼탱크(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오버플로우 감지유닛(1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버플로우 감지유닛(160)은 유체탱크 측으로 진공 압력 제공 시에 유체펌프(110)의 상부로 오버플로우되는 유체가 유입될 수 있으며, 플로트 스위치(115)에 해당되는 내부에 배치되는 레벨감지센서에 의해 유체의 유입에 따른 유체펌프(110)의 공기 제거 완료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펌프 컨트롤 유닛(150)은 오버플로우 감지유닛(160)에 의한 유체 레벨의 감지신호에 의해 진공차단유닛(170)을 작동시켜 진공유닛(130)의 진공라인(133)을 차단하며, 오버플로우 감지유닛(160) 측으로 공기의 유입을 일정 시간 허용할 수 있다.
이후에 펌프 컨트롤 유닛(150)은 유체펌프(110)를 가동시키며, 오버플로우 감지유닛(160)의 유체는 유체펌프(110) 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일정하게 펌핑 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유체펌프(110)는 가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의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유체펌프(110)의 펌핑 공간(112)에 있는 공기를 진공 배기하도록 유체펌프(110)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펌프(132)에 의해 펌핑 공간(112)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는 단계가 진행되며, 유체펌프(110) 상에 배치되는 플로트 스위치(115)에 의해 유체펌프(110)의 펌핑 공간(112)을 거쳐 상승되는 유체의 레벨을 플로트 스위치(115)의 스위칭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가 진행되며, 플로트 스위치(115)의 스위칭 신호를 펌프 컨트롤 유닛(150)에 전달하며 유체펌프(110)와 진공펌프(132)를 연결하는 진공라인(133) 상에 있는 진공밸브모듈(135)을 펌프 컨트롤 유닛(150)에 의해 가동시켜 진공라인(133)을 차단하는 단계가 진행되며, 플로트 스우치 상에 배치되는 버퍼탱크(120)로 플로트 스위치(115)를 거친 유체의 레벨이 상승되는 경우 펌프 컨트롤 유닛(150)에 의해 버퍼탱크(120) 상의 공기밸브모듈(125)을 개방하여 버퍼탱크(120)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에 펌프 컨트롤 유닛(150)은 플로트 스위치(115)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공기밸브모듈(125)을 개폐한 후, 유체펌프(11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 컨트롤 유닛(150)은 공기밸브모듈(125)을 1~3초간 개방한 후, 공기밸브모듈(125)을 폐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유체펌프(110)의 상부에 있는 플로트 스위치(115)를 통한 에어 배출이 원활하며, 플로트 스위치(115)가 적절한 유체 레벨에서 작동되며, 펌프 컨트롤 유닛(150)에 의해 버퍼탱크(120) 상의 공기밸브모듈(125)을 개방하여 버퍼탱크(120)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므로 진공펌프(132) 측으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며, 펌프의 트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파이프라인 110: 유체펌프
111: 펌프본체 112: 펌핑 공간
115: 플로트 스위치 120: 버퍼탱크
125: 공기밸브모듈 126: 체크밸브
127: 솔레노이드밸브 130: 진공유닛
131: 진공탱크 132: 진공펌프
133: 진공라인 135: 진공밸브모듈
136: 공압진공밸브 140: 진공개폐밸브
150: 펌프 컨트롤 유닛 160: 오버플로우 감지유닛
170: 진공차단유닛

Claims (11)

  1. 유체펌프의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있는 펌핑 공간에 연결되되, 상기 펌핑 공간에 유입되는 유체의 레벨 상승에 의해 스위칭되는 플로트 스위치;
    상기 플로트 스위치 상에 연결되며, 상기 플로트 스위치에 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밸브모듈을 구비하는 버퍼탱크;
    상기 버퍼탱크와 상기 플로트 스위치를 거쳐 상기 펌핑 공간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버퍼탱크에 연결되는 진공유닛; 및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작동시키며 상기 유체펌프를 가동시키도록 상기 유체펌프와 상기 공기밸브모듈에 연결되는 펌프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유닛은,
    상기 버퍼탱크에 연결되는 진공탱크;
    상기 진공탱크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진공탱크에 연결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 상기 진공탱크, 상기 버퍼탱크, 그리고 상기 플로트 스위치를 연결하는 진공라인; 및
    상기 진공탱크와 상기 버퍼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진공라인에 연결되되 상기 진공라인에 대해 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진공밸브모듈을 포함하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개폐한 후, 상기 유체펌프를 가동시키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1~3초간 개방한 후,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폐쇄하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모듈은,
    상기 진공라인을 개폐하도록 상기 진공라인 상에 배치되며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진공밸브; 및
    상기 공압진공밸브에 대한 공압을 단속하도록 상기 공압진공밸브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라인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버퍼탱크와 상기 진공밸브모듈 사이의 상기 진공라인 상에 배치되는 진공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밸브모듈은,
    상기 버퍼탱크 상에 배치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8. 유체를 펌핑하는 파이프라인에 배치되는 유체펌프;
    상기 유체펌프가 가동되기 전에 상기 유체펌프에 있는 공기를 진공 배기하도록 상기 유체펌프에 연결되는 진공유닛;
    상기 진공유닛에 의해 상기 유체펌프 내의 공기가 진공 배기되는 동안, 상기 유체펌프를 거쳐 상기 진공유닛 측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레벨 상승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의 레벨 상승이 감지된 후 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오버플로우 감지유닛;
    상기 진공유닛 측으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펌프 측으로 진공 압력의 제공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유체펌프와 상기 진공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차단유닛; 및
    상기 유체펌프, 상기 진공유닛,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유닛, 그리고 상기 진공차단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진공유닛을 가동시킨 후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유닛에 의해 상기 유체의 레벨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진공차단유닛에 의해 상기 진공 압력을 차단하며,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유닛 측으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펌핑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유체펌핑 시스템.
  9. 유체펌프의 펌핑 공간에 있는 공기를 진공 배기하도록 상기 유체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펌핑 공간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체펌프 상에 배치되는 플로트 스위치에 의해 상기 유체펌프의 펌핑 공간을 거쳐 상승되는 유체의 레벨을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펌프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며, 상기 유체펌프와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진공라인 상에 있는 진공밸브모듈을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에 의해 가동시켜 상기 진공라인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플로트 스위치 상에 배치되는 버퍼탱크로 상기 플로트 스위치를 거친 유체의 레벨이 상승되는 경우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에 의해 상기 버퍼탱크 상의 공기밸브모듈을 개방하여 상기 버퍼탱크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개폐한 후, 상기 유체펌프를 가동시키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1~3초간 개방한 후, 상기 공기밸브모듈을 폐쇄하는,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50006721A 2015-01-14 2015-01-14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93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21A KR101693676B1 (ko) 2015-01-14 2015-01-14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21A KR101693676B1 (ko) 2015-01-14 2015-01-14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576A KR20160087576A (ko) 2016-07-22
KR101693676B1 true KR101693676B1 (ko) 2017-01-17

Family

ID=5668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721A KR101693676B1 (ko) 2015-01-14 2015-01-14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2897A (zh) * 2018-01-29 2018-07-06 山东临沂新华印刷物流集团有限责任公司 水循环真空吸泵装置及系统
KR20210121850A (ko) * 2020-03-31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984A (ja) * 2001-12-26 2003-07-09 Kawamoto Pump Mfg Co Ltd 給水装置用排気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用いられるエアトラ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425A (ko) 2008-07-25 2010-02-03 대우디스플레이주식회사 텔레비전의 채널 복원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984A (ja) * 2001-12-26 2003-07-09 Kawamoto Pump Mfg Co Ltd 給水装置用排気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用いられるエアトラ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576A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576B2 (en) Pumping system for pumping liquid from a lower level to an operatively higher level
KR101693676B1 (ko) 펌프 에어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18843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TW201603874A (zh) 蒸氣回收裝置
EP0265145A2 (en) Hydro-pneumatic pumpsets
KR200456211Y1 (ko) 동력 절감형 수충격 방지 시스템
JP6375415B2 (ja) 高圧洗浄装置及び高圧洗浄車
JP6625843B2 (ja) サイホン式取水システム
JP4369938B2 (ja) 脱気水製造装置及び脱気水製造方法
JP3713621B2 (ja) 横軸ポンプ
JP7001435B2 (ja) 負圧湿式予作動スプリンクラー設備
EP21312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ump control
KR101466545B1 (ko) 소방 방수장치용 공기빼기밸브장치
JP4406388B2 (ja) 温泉湯揚上システム
JP4284270B2 (ja) 消防用ポンプ
JP5962251B2 (ja) ドレン回収システム
JP2013000460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759953B2 (ja) 冷却水供給システム
JP5828365B1 (ja) 雨傘の水滴除去装置
JP5306247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6157871B2 (ja) 高圧洗浄装置及び高圧洗浄車
KR102579653B1 (ko) 빌지 웰 내 잔여유체 제거 시스템
JP6542495B1 (ja) 圧送装置の異常判定システム及び異常判定方法
JP7025893B2 (ja) ドレン回収システム及びドレン回収方法
JP541930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