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53B1 -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 Google Patents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53B1
KR101693453B1 KR1020160097033A KR20160097033A KR101693453B1 KR 101693453 B1 KR101693453 B1 KR 101693453B1 KR 1020160097033 A KR1020160097033 A KR 1020160097033A KR 20160097033 A KR20160097033 A KR 20160097033A KR 101693453 B1 KR101693453 B1 KR 10169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air
pumping
ope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옥
박태환
Original Assignee
신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옥 filed Critical 신현옥
Priority to KR102016009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8Combinations of handles with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Landscapes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은, 하단에 롤러가 장착된 가방본체, 가방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외관, 내관 및 연결관을 포함하는 펌핑부, 펌핑부의 상단에 결합된 손잡이부 및 펌핑부의 외관과 외부를 연통하는 통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방본체의 배면에 결합된 외관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내관으로, 외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외관 내로 유입시킴으로써, 공기를 배기하거나 흡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A BAG CONFIGURED TO A AIR PUMP}
본 발명은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매트, 구명조끼, 수상기구, 자전거 바퀴 등에 공기를 채우거나 압축팩 내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에어펌프가 사용되고, 이와 같은 에어펌프는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휴대용으로도 제작되어 판매된다.
한편, 최근 여가활동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용으로 제작된 에어펌프는 여행지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를 위해 휴대용 에어펌프는 여행용 가방 등에 넣어져 이동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처럼 휴대용 에어펌프를 여행용 가방 등에 넣게 되면, 여행에 있어 하나의 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행용 가방의 공간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고, 여행 준비시에 이의 구비여부를 항상 체크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KR 2010-0017251 A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가방본체의 배면에 결합된 외관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내관으로, 외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외관 내로 유입시킴으로써, 공기를 배기하거나 흡기할 수 있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개방버튼과 개방로드를 통해 내관과 외관을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개방시키고, 그에 따라 외관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외관 내로 유입시킴으로써, 펌핑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바, 일정 단계에 구속됨 없이 자유롭게 손잡이의 길이 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은,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고, 하단에 지면과 접촉되는 롤러가 장착된 가방본체; 상기 가방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개방된 외관, 상기 외관의 개방된 상단에 삽입되어 상기 외관의 상부를 폐쇄시키되 상기 외관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내관 및 상기 외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관과 연통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 내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펌핑부의 연결관이 삽입되어 상기 외관과 연통되는 제1 통로, 상기 제1 통로와 이격되되 외부와 연통된 배출홀과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2 통로,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의 연통을 개폐하는 펌핑 개폐부재, 상기 제2 통로의 배출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홀에 수용된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배출홀의 내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배출홀의 외측을 덮는 배출덮개 및 상기 제2 통로의 유입홀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에 수용된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유입홀의 외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유입홀의 내측을 덮는 유입덮개를 포함하는 통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가방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되, 좌우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펌핑부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통로부의 제1 통로에는 상기 한 쌍의 펌핑부의 연결관이 좌우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에 있어서, 상기 펌핑 개폐부재는,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에 맞닿되, 직경을 따라 제3 통로가 형성된 볼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볼베어링의 회전으로 상기 제3 통로가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에 맞닿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의 연통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의 외측에는 배기호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배출홀의 직경보다 큰 배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의 외측에는 흡기호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유입홀의 직경보다 큰 흡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은, 상기 내관의 하단에 결합되되 상기 내관에서 외관 방향으로 관통된 공기유로가 형성된 패킹부재, 상기 공기유로 내에 수용된 제3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공기유로의 하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외관을 밀폐시키는 밀폐덮개 및 상기 밀폐덮개로부터 상기 내관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밀폐덮개를 하부로 밀음으로써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시키는 개방로드를 포함하는 길이조절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개방로드와 연동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상부로 돌출된 개방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개방버튼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로드는 상기 개방버튼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따라 상기 펌핑부를 연결하는 중간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버튼과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중간로드를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개방로드에 결합된 상기 밀폐덮개를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에 있어서, 상기 제4 탄성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치게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방본체의 배면에 결합된 외관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내관으로, 외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외관으로 유입할 수 있는 바, 별도의 장치가 없더라도 수상기구, 자전거 바퀴 등에 공기를 채우거나 압축팩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관과 연통된 제1 통로와 외부와 연통된 제2 통로를 볼베어링의 회전으로 연통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바, 에어펌프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펌핑부를 고정시켜 가방의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홀과 유입홀의 외측에는 각각 배기홈과 흡기홈이 형성되어 배기호스 또는 흡기호스가 연결될 수 있는 바, 수상기구, 자전거 바퀴 등에 공기를 채우는 배기 작용뿐만 아니라, 압축팩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 작용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버튼과 개방로드를 통해 외관과 내관을 연통하는 공기유로가 개방되고, 그에 따라 외관 내 공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되어 펌핑부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바, 손잡이부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과 자세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관 내의 공기 조절에 따라 펌펑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바, 적은 힘으로도 원하는 손잡이부의 높이를 맞출 수 있으며, 펌핑부의 길이 조절에 있어 소음이 발생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흡기 작용이 일어날 때의 펌핑부, 손잡이부 및 통로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배기 작용이 일어날 때의 펌핑부, 손잡이부 및 통로부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통로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통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펌핑부가 고정될 때의 펌핑부, 손잡이부, 통로부 및 개폐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펌핑부의 길이가 조절될 때의 펌핑부, 손잡이부, 통로부 및 개폐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에 사용된 용어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1)'은 간단히 '가방(1)'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1)에 대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흡기 작용이 일어날 때의 펌핑부(20), 손잡이부(30) 및 통로부(40)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배기 작용이 일어날 때의 펌핑부(20), 손잡이부(30) 및 통로부(40)의 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통로부(4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통로부(4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1)은,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고, 하단에 지면과 접촉되는 롤러(11)가 장착된 가방본체(10); 상기 가방본체(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개방된 외관(21), 상기 외관(21)의 개방된 상단에 삽입되어 상기 외관(21)의 상부를 폐쇄시키되 상기 외관(21)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내관(22) 및 상기 외관(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관(21)과 연통된 연결관(23)을 포함하는 펌핑부(20); 상기 펌핑부(20) 내관(22)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 및 상기 펌핑부(20)의 연결관(23)이 삽입되어 상기 외관(21)과 연통되는 제1 통로(41), 상기 제1 통로(41)와 이격되되 외부와 연통된 배출홀(42a)과 유입홀(42b)이 형성되는 제2 통로(42), 상기 제1 통로(41)와 제2 통로(4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로(41)와 제2 통로(42)의 연통을 개폐하는 펌핑 개폐부재(43), 상기 제2 통로(42)의 배출홀(42a)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홀(42a)에 수용된 제1 탄성부재(44a)에 의해 상기 배출홀(42a)의 내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배출홀(42a)의 외측을 덮는 배출덮개(44) 및 상기 제2 통로(42)의 유입홀(42b)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42b)에 수용된 제2 탄성부재(45a)에 의해 상기 유입홀(42b)의 외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유입홀(42b)의 내측을 덮는 유입덮개(45)를 포함하는 통로부(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방본체(10)의 배면에 결합된 외관(2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내관(22)으로, 외관(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외관(21)으로 유입할 수 있는 바, 별도의 장치가 없더라도 수상기구, 자전거 바퀴 등에 공기를 채우거나 압축팩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도 1의 도시처럼, 가방본체(10)는 그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고, 하단에 지면과 접촉되는 롤러(11)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가방본체(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한 소프트 케이스, 하드 케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방본체(10)의 하단에 장착되는 롤러(11)는 사용자가 가방(1)을 쉽게 끌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2개, 4개와 같이 짝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와 같이 4개로 형성된 경우 가방본체(10)(10)의 하단의 각 모서리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방본체(10)에는 그 내부를 쉽게 오픈할 수 있도록 지퍼(12)가 그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펌핑부(20)는 외관(21), 내관(22) 및 연결관(23)으로 구성되며, 외관(21)을 따라 이동되는 내관(22)의 상하 이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외관(21)으로 유입시키거나, 외관(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외관(21)은 도 1의 도시처럼, 가방본체(10)의 배면에 결합된다. 이 때, 결합의 방식은 도시와 같이 별도의 체결구(24)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나, 가방본체(10)의 배면에 견고히 결합된다면 그 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외관(21)의 형상은 그 내부에 공기가 저장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며, 관 형태라면 도시와 같은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고, 사각기둥의 형상일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 형태인 외관(21)의 상단은 도 2와 같이 개방되어 내관(22)이 삽입되고, 외관(21)의 하단은 연결관(23)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통로부(40)와 연통된다. 상단과 연결관(23)으로 연장되는 하단을 제외한 외관(21)의 나머지 부분은 외관(21) 내의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폐쇄된다.
내관(22)은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외관(21)의 개방된 상단에 삽입된다. 이 때, 삽입된 내관(22)의 외주면과 외관(21)의 내주면 사이는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지 않도록 패킹된다. 내관(22)의 형상은 외관(21)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외관(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관(21)의 상부를 폐쇄시키도록 내관(22)의 하단은 막혀있는 폐쇄된 형상을 취한다. 이와 같이, 폐쇄된 내관(22)의 하단에 의해 내관(22)이 상하 로 펌핑될 시 외관(21)의 공기는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후술할 통로부(40)를 거쳐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관(23)은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외관(21)과 후술할 통로부(40)를 연통하는 구성으로, 외관(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외관(21)과 연통된다. 이와 같은 연결관(23)은 외관(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외관(21)의 하단에 압입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는 경우 외관(21)과 연결관(23) 사이는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지 않도록 패킹되어야 한다. 연결관(23)은 외관(21)과 동일축 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와 같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외관(21)과 연결관(23)의 각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변형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외관(21), 내관(22) 및 연결관(23)을 포함하는 펌핑부(20)는 가방본체(10) 배면의 중심에 결합되는 단일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가방본체(10)의 배면에 결합되되, 좌우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펌핑부(20)가 한 쌍으로 형성된 경우, 그 상단에 결합되는 후술할 손잡이부(30)는 펌핑부(20)가 단일로 형성되었을 때에 비해, 모멘트를 덜 받는 등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23)이 외관(21)과 수직을 이루어 후술할 통로부(40)에 삽입된 경우, 손잡이부(30)와 펌핑부(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이루어 좌우로 좌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펌핑부(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손잡이부(30)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펌핑부(20)의 상단, 더 자세히는 내관(22)의 상단에 결합된다. 손잡이부(3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펌핑부(20)에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와 같이 펌핑부(20)가 한 쌍으로 형성된 경우 한 쌍의 펌핑부(20)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손잡이부(30)를 잡아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손잡이부(30)가 결합된 내관(22)은 외관(2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고, 그 결과 외관(21)의 공기는 팽창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통로부(40)는 상하 이동되는 내관(22)에 의해, 팽창되거나 압축된 외관(21)의 공기를 외부로부터 유입시키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제1 통로(41), 제2 통로(42), 펌핑 개폐부재(43), 배출덮개(44) 및 유입덮개(45)를 포함한다. 통로부(40)는 도 2 및 도 3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도 2 및 도 3에 기재되지 않은 참조부호는 도 4b를 참조한다.
제1 통로(41)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펌핑부(20)의 연결관(23)이 삽입되어 연결관(23)을 통해 외관(21)과 연통된다. 제1 통로(41)와 외관(21)이 연통됨에 따라, 제1 통로(41) 내의 공기는 외관(21) 내의 공기가 팽창되거나 압축되면 그와 함께 팽창되거나 압축되어, 후술할 펌핑 개폐부재(43)를 통해 팽창력 또는 압축력을 제2 통로(42)에 전달한다. 한편, 제1 통로(41)에 연결관(23)의 삽입은 외부로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패킹되어야 하며, 도시처럼 연결관(23)이 좌우로 분할된 경우 연결관(23)은 제1 통로(41)의 양단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통로(42)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1 통로(41)와 일정 거리 이격되되 외부와 연통된 배출홀(42a)과 유입홀(42b)이 형성되어, 외부에 공기를 배기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기한다. 배출홀(42a)과 유입홀(42b)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일단은 제2 통로(42)와 연통하고, 그 타단은 외부와 연통한다. 배출홀(42a)은 후술할 배출덮개(44)에 의해, 제2 통로(42)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만 있고, 그 역으로는 공기가 흐르지 않는다. 유입홀(42b)은 후술할 유입덮개(45)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제2 통로(42)로 흡기할 수만 있고, 그 역으로는 공기가 흐르지 않는다.
제1 통로(41)와 제2 통로(42)는, 그 사이에 형성된 펌핑 개폐부재(43)에 의해, 연통 여부가 개폐된다. 펌핑 개폐부재(43)에 의해 제1 통로(41)와 제2 통로(42)의 연통이 개방되면, 제1 통로(41)와 연통되는 외관(21) 내의 공기는 제2 통로(42)와 연통되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유입될 수 있어, 내관(22)의 상하 이동으로 배기 작용 또는 흡기 작용을 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펌핑 개폐부재(43)에 의해 제1 통로(41)와 제2 통로(42)의 연통이 폐쇄되면, 제1 통로(41)와 연통되는 외관(21) 내의 공기는 제2 통로(42)와 연통되는 외부와 단절되어 외관(21) 내에 밀폐되는 바, 내관(22)은 상하 이동을 할 수 없고, 내관(22)에 결합된 손잡이부(30)는 고정된다. 펌핑 개폐부재(43)는 제1 통로(41)와 제2 통로(42)에 맞닿되, 직경을 따라 제3 통로(43a)가 형성된 볼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볼 베어링의 회전으로 제3 통로(43a)가 제1 통로(41)와 제2 통로(42)에 맞닿는지 여부에 따라 제1 통로(41)와 제2 통로(42)의 연통이 개폐되게 된다. 볼 베어링의 회전은 도 4a의 도시와 같이 볼 베어링의 배면에 결합된 레버(43b)의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통로(42)에 형성된 배출홀(42a)의 외측, 즉 외부와 맞닿는 부분에는, 배출홀(42a)에 수용된 제1 탄성부재(44a)에 의해 배출홀(42a)의 내측으로 탄성지지되어 배출홀(42a)의 외측을 덮는 배출덮개(4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내관(22)이 외관(2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흡기 작용시 배출덮개(44)는 배출홀(42a)을 덮어 배출홀(42a)을 폐쇄시킨다. 이와 반대로, 도 3과 같이 내관(22)이 외관(2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 작용시, 외관(21) 내의 공기의 압축으로 제2 통로(42)까지 그 압축력이 전해져 제1 탄성부재(44a)가 배출홀(42a)의 외측으로 늘어남으로써 배출덮개(44)는 배출홀(42a)을 개방시킨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배출홀(42a)은 제2 통로(42)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만 있고, 그 역으로는 공기가 흐르지 않는 바, 배출홀(42a)의 외측에 배기호스(h)를 연결하여 수상기구, 자전거 바퀴 등 공기를 채울 수 있다. 배기호스(h)의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배출홀(42a)의 외측에는 배출홀(42a)의 직경보다 큰 배기홈(42c)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출덮개(44)의 형상은 도시와 같이 상단이 절단된 원뿔형일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배출홀(42a)의 직경보다 그 직경이 커서 배출홀(42a)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면 원통형, 원뿔형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탄성부재(44a)는 배출덮개(44)를 배출홀(42a)의 내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스프링, 고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탄성부재(44a)의 기준점을 형성하기 위해 배출홀(42a)의 내측에는 배출홀(42a) 직경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통로(42)에 형성된 유입홀(42b)의 내측, 즉 제2 통로(42)와 맞닿는 부분에는, 유입홀(42b)에 수용된 제2 탄성부재(45a)에 의해 유입홀(42b)의 외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유입홀(42b)의 내측을 덮는 유입덮개(4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내관(22)이 외관(2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흡기 작용시, 외관(21) 내의 공기의 팽창으로 제2 통로(42)까지 그 팽창력이 전해져 제2 탄성부재(45a)가 유입홀(42b)의 내측으로 늘어남으로써 유입덮개(45)는 유입홀(42b)을 개방시킨다. 이와 반대로, 도 3과 같이 내관(22)이 외관(2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배기 작용시, 유입덮개(45)는 유입홀(42b)을 덮어 유입홀(42b)을 폐쇄시킨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유입홀(42b)은 외부의 공기를 제2 통로(42)로 흡기할 수만 있고, 그 역으로는 공기가 흐르지 않는 바, 유입홀(42b)의 외측에 흡기호스(h)를 연결하여 압축팩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기호스(h)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유입홀(42b)의 외측에는 유입홀(42b)의 직경보다 큰 흡기홈(42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흡기호스(h)는 배기호스(h)와 별도의 부재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결합되는 위치만 차이있는 동일의 부재일 수 있다. 한편, 유입덮개(45)의 형상은 도시와 같이 상단이 절단된 원뿔형일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유입홀(42b)의 직경보다 그 직경이 커서 유입홀(42b)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면 원통형, 원뿔형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부재(45a)는 유입덮개(45)를 유입홀(42b)의 외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스프링, 고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탄성부재(45a)의 기준점을 형성하기 위해 유입홀(42b)의 외측에는 유입홀(42b) 직경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1)은, 가방본체(10)의 배면에 결합된 외관(2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내관(22)으로, 외관(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외관(21)으로 유입할 수 있는 바, 별도의 장치가 없더라도 수상기구, 자전거 바퀴 등에 공기를 채우거나 압축팩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펌핑부(20)의 길이 조절을 위해 개폐부(50)를 더 포함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1)에 대해 설명하며,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펌핑부(20)의 길이 조절은, 통로부(40)의 펌핑 개폐부재(43)가 제1 통로(41)와 제2 통로(42)의 연통을 폐쇄하여, 통로부(40)를 통해서는 외관(21) 내의 공기가 배출되거나 유입되지 않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펌핑부(20)가 고정될 때의 펌핑부(20), 손잡이부(30), 통로부(40) 및 개폐부(5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 펌핑부(20)의 길이가 조절될 때의 펌핑부(20), 손잡이부(30), 통로부(40) 및 개폐부(5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1)은, 상기 내관(22)의 하단에 결합되되 상기 내관(22)에서 외관(21) 방향으로 관통된 공기유로(51a)가 형성된 패킹부재(51), 상기 공기유로(51a) 내에 수용된 제3 탄성부재(52a)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공기유로(51a)의 하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외관(21)을 밀폐시키는 밀폐덮개(52) 및 상기 밀폐덮개(52)로부터 상기 내관(22)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밀폐덮개(52)를 하부로 밀음으로써 상기 공기유로(51a)를 개방시키는 개방로드(53)를 포함하는 길이조절 개폐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30)에는 상기 개방로드(53)와 연동되어 상기 공기유로(51a)를 개폐시키도록 상부로 돌출된 개방버튼(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버튼(31)과 개방로드(53)를 통한 공기유로(51a)의 개방으로 외관(21) 내의 공기가 내관(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내관(22)을 통하여 외관(21)으로 유입될 수 있어, 일정 단계에 구속됨 없이 펌핑부(2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외관(21) 내의 공기 조절에 따라 펌핑부(2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바, 적은 힘으로도 펌핑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길이조절에 있어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개폐부(50)는 외관(21)과 내관(22)의 공기유로(51a)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펌핑부(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 패킹부재(51), 밀폐덮개(52) 및 개방로드(53)를 포함한다.
패킹부재(51)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내관(22)의 하단에 결합되되, 내관(22)에서 외관(21) 방향으로 관통된 공기유로(5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패킹부재(51)는 내관(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처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경우 밀폐덮개(52)와 효율적으로 패킹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부재(51)의 공기유로(51a)는 내관(22)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음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내관(22) 내주면의 직경에 대응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임이 자명하다.
밀폐덮개(52)는 도 5와 같이, 공기유로(51a) 내에 수용된 제3 탄성부재(52a)에 의해 상부 방향, 즉 공기유로(51a) 방향으로 지지되어 공기유로(51a)의 하부를 덮는다. 이와 같이, 밀폐덮개(52)가 공기유로(51a)의 하부를 덮음으로써 외관(21) 내의 공기는 내관(22)으로 배출되거나 유입되지 않아 밀폐되는 바, 외관(21)의 상단에 삽입된 내관(22)은 외관(21) 내의 밀폐 공기의 저항으로 외관(2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없고, 그에 따라 펌핑부(20)의 길이가 고정된다. 한편, 밀폐덮개(52)의 형상은 도시와 같이 상단이 절단된 원뿔형일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공기유로(51a)의 직경보다 그 직경이 커서 공기유로(51a)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면 원통형, 원뿔형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탄성부재(52a)는 밀폐덮개(52)를 상부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스프링, 고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공기유로(51a)의 상단에는 제3 탄성부재(52a)의 기준점을 형성하기 위해 공기유로(51a) 직경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로드(53)는 도 6과 같이, 밀폐덮개(52)를 하부로 밀어 공기유로(51a)를 개방시키는 구성으로, 밀폐덮개(52)로부터 내관(22)의 상단까지 연장된다. 이 경우, 손잡이부(30)에는 개방로드(53)와 연동되어 공기유로(51a)를 개폐시키도록 상부로 돌출된 개방버튼(31)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개방버튼(31)은 손잡이부(30)의 상부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30)의 개방버튼(31)을 하부로 누르면, 개방로드(53)가 연동되어 하부로 이동하여 개방로드(53)의 하단에 결합된 밀폐덮개(52)가 하부로 밀림으로써 패킹부재(51)의 공기유로(51a)가 개방된다. 그리고, 개방된 공기유로(51a)를 통해 외관(21) 내의 공기가 내관(22) 및 손잡이부(30)로 배출되거나 그로부터 유입되어, 외관(21) 내의 공기가 밀폐되지 않는 바, 내관(22)은 외관(2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 펌핑부(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내관(22) 내의 공기가 외부와 연통할 수 있도록, 내관(22)과 손잡이부(30)의 결합은 패킹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내관(22)과 손잡이부(30)의 결합이 패킹된 경우, 손잡이부(30)는 내관(22) 내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내관(22)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미도시)를 가질 수 있고, 이는 개방버튼(31) 주위에 형성된 갭(Gap)이 그 역할을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관(22) 내 공기의 배출 및 유입을 위해, 내관(22)의 측부에는 관통홀(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방버튼(31)과 개방로드(53)의 연동은 직접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중간로드(32)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개방버튼(31)이 손잡이부(30)의 상부 중심에 형성된 경우, 개방버튼(31)의 하부에는 손잡이부(30) 내부에 형성되고 손잡이부(30)의 길이를 따라 펌핑부(20) 상단까지 연장된 중간로드(32)가 결합되고, 중간로드(32)의 끝단에 개방로드(53)가 결합되어, 개방버튼(31)과 개방로드(53)의 연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중간로드(32)는 펌핑부(20)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우 손잡이부(30)를 따라 한 쌍의 펌핑부(20)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방버튼(31)과 개방로드(53)의 연동이 중간로드(32)를 통해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손잡이부(30)는 중간로드(32)를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여 개방로드(53)에 결합된 밀폐덮개(52)를 상부방향으로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개방버튼(31)을 누르지 않는 한 밀폐덮개(52)는, 중간로드(32)나 개방로드(53)의 중량에도 불구하고 공기유로(51a)의 하부에 밀착될 수 있어, 내관(22)과 외관(21) 사이의 공기 유출입이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제4 탄성부재(33)는 손잡이부(30)의 길이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어, 중간로드(32)의 중량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10: 가방본체 11: 롤러
12: 지퍼
20: 펌핑부 21: 외관
22: 내관 23: 연결관
24: 체결구
30: 손잡이부 31: 개방버튼
32: 중간로드 33: 제4 탄성부재
40: 통로부 41: 제1 통로
42: 제2 통로 42a: 배출홀
42b: 유입홀 42c: 배기홈
42d: 흡기홈 43: 펌핑 개폐부재
43a: 제3 통로 43b: 레버
44: 배출덮개 44a: 제1 탄성부재
45: 유입덮개 45a: 제2 탄성부재
50: 개폐부 51: 패킹부재
51a: 공기유로 52: 밀폐덮개
52a: 제3 탄성부재 53: 개방로드
h: 호스

Claims (8)

  1.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고, 하단에 지면과 접촉되는 롤러가 장착된 가방본체;
    상기 가방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개방된 외관, 상기 외관의 개방된 상단에 삽입되어 상기 외관의 상부를 폐쇄시키되 상기 외관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내관 및 상기 외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관과 연통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 내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펌핑부의 연결관이 삽입되어 상기 외관과 연통되는 제1 통로, 상기 제1 통로와 이격되되 외부와 연통된 배출홀과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2 통로,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의 연통을 개폐하는 펌핑 개폐부재, 상기 제2 통로의 배출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홀에 수용된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배출홀의 내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배출홀의 외측을 덮는 배출덮개 및 상기 제2 통로의 유입홀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에 수용된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유입홀의 외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유입홀의 내측을 덮는 유입덮개를 포함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가방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되, 좌우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펌핑부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통로부의 제1 통로에는 상기 한 쌍의 펌핑부의 연결관이 좌우측으로 삽입되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핑 개폐부재는,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에 맞닿되, 직경을 따라 제3 통로가 형성된 볼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볼베어링의 회전으로 상기 제3 통로가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에 맞닿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의 연통이 개폐되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의 외측에는 배기호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배출홀의 직경보다 큰 배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의 외측에는 흡기호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유입홀의 직경보다 큰 흡기홈이 형성되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은, 상기 내관의 하단에 결합되되 상기 내관에서 외관 방향으로 관통된 공기유로가 형성된 패킹부재, 상기 공기유로 내에 수용된 제3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공기유로의 하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외관을 밀폐시키는 밀폐덮개 및 상기 밀폐덮개로부터 상기 내관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밀폐덮개를 하부로 밀음으로써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시키는 개방로드를 포함하는 길이조절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개방로드와 연동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상부로 돌출된 개방버튼이 형성되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방버튼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로드는 상기 개방버튼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따라 상기 펌핑부를 연결하는 중간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버튼과 연동되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중간로드를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개방로드에 결합된 상기 밀폐덮개를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4 탄성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는,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KR1020160097033A 2016-07-29 2016-07-29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KR10169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033A KR101693453B1 (ko) 2016-07-29 2016-07-29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033A KR101693453B1 (ko) 2016-07-29 2016-07-29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53B1 true KR101693453B1 (ko) 2017-01-05

Family

ID=5783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033A KR101693453B1 (ko) 2016-07-29 2016-07-29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4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372B1 (ko) 2017-08-14 2018-10-31 김동우 여행용 가방
KR20190068346A (ko) 2017-12-08 2019-06-18 김철민 무게 분산용 가변 에어백이 내장된 백팩
KR102040875B1 (ko) * 2019-05-20 2019-11-06 신현옥 에어펌프를 구비한 캐리어
KR20210116017A (ko) 2020-03-17 2021-09-2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에어펌프가 구비된 가방
KR20220003366A (ko) 2020-07-01 2022-01-10 김상기 무게 분산용 가변 에어백이 내장된 백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387B1 (ko) * 2006-03-24 2007-08-22 이민선 가방
KR20100017251A (ko) 2007-04-23 2010-02-16 잉체 후앙 휴대용 공기 펌프
KR101028988B1 (ko) * 2009-03-31 2011-04-12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20120108423A (ko) * 2011-03-24 2012-10-05 이윤경 수동식 압축기가 구비된 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387B1 (ko) * 2006-03-24 2007-08-22 이민선 가방
KR20100017251A (ko) 2007-04-23 2010-02-16 잉체 후앙 휴대용 공기 펌프
KR101028988B1 (ko) * 2009-03-31 2011-04-12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20120108423A (ko) * 2011-03-24 2012-10-05 이윤경 수동식 압축기가 구비된 가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372B1 (ko) 2017-08-14 2018-10-31 김동우 여행용 가방
KR20190068346A (ko) 2017-12-08 2019-06-18 김철민 무게 분산용 가변 에어백이 내장된 백팩
KR102040875B1 (ko) * 2019-05-20 2019-11-06 신현옥 에어펌프를 구비한 캐리어
KR20210116017A (ko) 2020-03-17 2021-09-2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에어펌프가 구비된 가방
KR20220003366A (ko) 2020-07-01 2022-01-10 김상기 무게 분산용 가변 에어백이 내장된 백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453B1 (ko) 에어펌프를 구비한 가방
USD846040S1 (en) Toy duck
US20100200349A1 (en) Trunk able to fix articles in position
US9155636B1 (en) Prosthetic socket liner
US9145242B2 (en) Airtight storage container
JP5860541B2 (ja) 着脱可能な袋用空気弁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60262523A1 (en) Cream-type cosmetic container
US20070014492A1 (en) Moisture-proof sealing bag
JP7165432B2 (ja) スプレー缶
TWM353909U (en) Ventilation device of sealing jar
JP5803046B2 (ja) 薬剤ディスペンサ
US20190127098A1 (en) Portable air extracting device
US20150176715A1 (en) One-way valve assembly
US10829290B2 (en) Vacuum sealable container with internal pump mechanism
GB2598067A (en) Vacuum cleaner
KR20100063596A (ko) 튜브형 썰매
TW201300292A (zh) 可拆裝的袋體氣閥及其使用方法
CN2913771Y (zh) 全方位防溢呼吸阀
CN214930952U (zh) 纹路和平面密封袋皆可真空的真空包装装置结构
CN109578254A (zh)
US20210361054A1 (en) Inflation system and device
RU2008132771A (ru) Контейне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тейнера
KR101308615B1 (ko)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KR102040875B1 (ko) 에어펌프를 구비한 캐리어
AU2018266554B2 (en) Liquid-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