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38B1 -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38B1
KR101693438B1 KR1020150130554A KR20150130554A KR101693438B1 KR 101693438 B1 KR101693438 B1 KR 101693438B1 KR 1020150130554 A KR1020150130554 A KR 1020150130554A KR 20150130554 A KR20150130554 A KR 20150130554A KR 101693438 B1 KR101693438 B1 KR 10169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inder
ctp
coal tar
nick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채
우정희
윤형선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63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catalytic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8668B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고가의 전도성 고분자 결합제인 나피온(nafion)을 대체할 수 있는 다루기 쉽고, 결합력이 우수한 고효율의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결합제에 관한 것으로서, 생물전기화학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제작용 전극 결합제는 콜 타르 피치(Coal tar pitch) 및 니켈(Ni)을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제조 시 전극재료들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고, 이를 집전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콜 타르 피치(Coal tar pitch)에 니켈(Nickel)을 적용한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고분자 결합제인 나피온과 비교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전극의 효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및 그 제조 방법 {Binder for electrode of the bio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물친화도와 전도성은 높고 촉매활성을 가지는 경제적인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에 관한 것이다.
생물전기화학전지는 하폐수에 함유된 유기오염물질을 원료로 이용함으로써 하폐수를 처리함과 동시에 부산물로 전기에너지 또는 수소, 메탄 등의 부산물을 생산할 수 있어 하폐수처리 분야에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는 녹색기술이다.
유기오염물질을 함유한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은 그동안 활성슬러지공법을 기반으로 한 여러 가지 호기성 생물학적 방법으로 처리하여 왔다.
그러나, 활성슬러지공법에 기반을 둔 생물학적 처리법들은 대부분 생물반응조를 교반하고 호기성미생물이 유기오염물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이용하여 폭기하고 있는데, 생물반응조를 포기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또한, 하폐수를 호기성생물학적 처리법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최종처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슬러지가 다량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포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슬러지 발생량이 작으며, 메탄이나 수소와 같은 물질을 부산물로 생산할 수 있는 혐기성공법에 의한 처리기술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생물전기화학전지는 혐기성 상태에서 유기물질에 함유된 화학에너지를 전기적으로 활성을 가진 미생물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 또는 바이오가스 등으로 직접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생물전기화학전지(Bioelectrochemical cell)의 기본구조는 전기적으로 활성을 가진 미생물이 부착되어 성장하며 혐기성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생산되는 전자를 직접 수용하여 회로를 통하여 환원전극으로 전달시키는 산화전극(anode), 유기물의 분해로부터 생성된 양성자 및 산화전극에서 전달되어온 전자 그리고 산소 또는 다른 형태의 최종전자수용체가 결합하는 환원전극(cathode),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사이의 분리막 및 산화전극으로부터 환원전극으로 전자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을 도선으로 연결한 외부 회로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회로에는 축전지, 전열기 등을 설치하여 전지에서 생산한 전기에너지를 저장, 활용토록하는 경우 미생물연료전지라 한다. 반면, 환원전극에 최종전자수용체의 한가지인 산소 등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 메탄, 수소 등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형태의 생물전기화학전지를 미생물전해전지라 한다. 미생물전해전지의 경우 환원전극의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하여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전지에 인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생물전기화학반응이라 함은 전극 간의 전기에너지와 전기적 활성을 가진 미생물들에 의한 생화학적 반응을 말한다.
최근 생물전기화학적 기술을 혐기성 소화기술에 응용하여 유기물 감량율과 메탄가스생산을 극대화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으로 사용되기 위한 필요조건은 높은 생물친화도 및 전기전도성, 넓은 비표면적과 공극, 내구성과 경제성 등이다. 이러한 조건들이 갖추어졌을 때 전극반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국 전체 반응 효율이 극대화 되어 실용화를 이룰 수 있다.
전극 재료는 다공성유리탄소, 탄소천, 탄소섬유 브러쉬, 흑연 펠트, 흑연섬유 등 탄소계열의 전도성 물질이 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을 이용하여 전극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재료들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고 이를 집전체에 고정할 수 있는 결합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지금까지 생물전기화학전지에서 전극제조에 사용하여 온 결합제로는 나피온(Nafion), 폴리아닐린 등의 전도성 고분자 물질이나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에폭시(Epoxy)등의 고분자물질이 주를 이루었다.
결합제로서 전도성 고분자 물질인 나피온(Nafion), 폴리아닐린 등은 높은 전극효율을 나타내지만, 고가의 물질이며, 결합제로서의 부착력이 약하여 제작된 전극의 내구성이 매우 낮은 것이 결정적 단점이다.
또한, PTFE는 가격이 저렴한 반면 전도성이 없는 소수성 물질이기 때문에 제작된 전극의 생물친화도가 매우 낮고, 부착력이 약하며, 높은 온도에서는 가공이 필요하고 가공 후 유연성이 없어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에폭시(Epoxy)는 물리적 부착력은 높지만 전도성이 없고, 생물친화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물친화도가 높고, 전도성이 있으며, 촉매활성을 가지는 경제적인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의 결합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977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고가의 전도성고분자 결합제인 나피온(nafion)을 대체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다루기 쉽고, 전극재료들을 강력하게 결합시키는 고효율의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물전기화학전지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전극제작용 결합제에서는 콜 타르 피치(Coal tar pitch, CTP) 및 니켈(Ni)을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제조 시 전극재료들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고, 이를 집전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전극 결합제는 니켈을 함유한 콜 타르 피치 전극결합제로서 이를 만드는데 니켈 농도가 150ppm~6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 결합제는 톨루엔(Toluene) 용액에 콜 타르 피치를 주입하여 용해시키고, 에탄올(Ethyl alcohol) 용액에 6수화 염화니켈(NiCl2·6H2O)을 용해시킨 후에, 상기 콜 타르 피치를 주입한 톨루엔 용액과 상기 6수화 염화니켈을 용해한 에탄올 용액을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니켈을 함유한 콜 타르 피치(Coal tar pitch) 결합제를 이용하여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을 제작함으로서, 기존의 고분자 결합제인 나피온과 비교하여 전기에너지 등의 생산 성능이 더 우수하고, 전극의 경제성과 효율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결합제를 사용한 미생물 연료전지의 실험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전극 결합제로 사용된 다양한 CTP 결합제 및 Ni을 함유한 CTP 결합제를 이용하여 제작한 산화전극을 설치한 미생물 연료전지들의 관측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전극 결합제로 사용된 다양한 CTP 결합제 및 Ni을 함유한 CTP 결합제를 이용하여 제작한 산화전극을 설치한 미생물 연료전지들에 대하여, 산화전극의 분극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분극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전극 결합제로 사용된 다양한 CTP 결합제 및 Ni을 함유한 CTP 결합제를 이용하여 제작한 산화전극을 설치한 미생물 연료전지들에 대하여, 개 회로 전압과 전력 밀도를 기재한 도표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CTP 결합제와 Ni을 함유한 CTP 결합제의 표면형상과 미생물친화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산화전극 시편을 SEM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전극 결합제로 사용된 다양한 CTP 결합제와 Ni을 함유한 CTP 결합제을 설치한 미생물 연료전지들에 대하여, 최대 전력 밀도에서의 내부 저항 분포를 나타낸 도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산화전극(Anode), 환원전극(Cathode), 분리막 및 상기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을 연결하는 외부회로를 포함하는 생물전기화학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결합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극 결합제는 콜 타르 피치(Coal tar pitch) 및 니켈을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제조 시 전극재료들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고, 이를 집전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전극 결합제는 니켈이 함유된 콜 타르 피치 전극결합제를 만드는데 니켈이 150ppm~600ppm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극 결합제는 톨루엔(Toluene) 용액에 콜 타르 피치를 주입하고, 에탄올(Ethyl alcohol) 용액에 6수화 염화니켈(NiCl2·6H2O)을 용해시킨 후에, 상기 콜 타르 피치를 주입한 톨루엔 용액과 상기 6수화 염화니켈을 용해시킨 에탄올 용액을 섞은 후에, 초음파 처리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콜 타르 피치와 니켈이 혼합된 전극 결합제를 포함하는 생물전기화학전지를 실험하는 과정과 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콜 타르 피치(Coal tar pitch, CTP) 결합제는 미생물연료전지의 산화전극제조에 활용하였으며, 전극 제조를 위한 다중벽탄소나노튜브(MWCNT, Multi Wall Carbon Nano Tube)는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질산에 24시간 침지시킨 후,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세척한 뒤 105 ℃의 건조 후 사용하였다.
팽창흑연은 산처리 된 입상흑연을 극초단파기에 10초간 팽창시켜,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흐르는 수돗물에 세척하여 건조시켰으며, 표면을 환원시키기 위해 증류수와 hydrazine(80%)을 1000:1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주입한 뒤, 초음파로 20분간 처리하여 건조하였다.
니켈(Nickel, Ni)를 함유하지 않은 CTP 결합제는, 톨루엔(Toluene) 용액 50mL에 CTP 2.8g(CTP70), CTP 8g(CTP200)을 각각 주입하여 30분간 초음파처리를 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니켈을 함유한 CTP-Ni2.9 결합제와 CTP-Ni5.9 결합제는 톨루엔 용액 50mL에 CTP 4g을 주입하고, 에탄올(Ethyl alcohol) 용액 100 mL에 6수화 염화니켈(NiCl2·6H2O) 0.1g 및 0.2g을 각각 용해시킨 뒤 이를 혼합하고 30분간 초음파처리하여 완성하였다. 또한, 나피온 용액을 대조구 결합제로 준비하였다.
완성된 각각의 결합제를 산화전극제조에 이용하였으며, 결합제 성능을 검토하기 위한 산화전극은 팽창흑연과 다중벽탄소나노튜브에 결합제를 1:2:1의 중량비율로 주입하여 스테인리스 망에 스크린 프린팅한 후 열압착하여 제작하였다.
환원전극(Air Cathode)은 상기의 산화전극 제작 방법에 결합제로서 PTFE 용액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결합제를 사용한 미생물 연료전지의 실험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배지(20)가 담긴 용기(30)에 산화전극(Anode)(110)을 수평으로 설치하고, 산화전극(110) 상부에 분리막(120)으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겹친 후, 부직포와 수직으로 환원전극(Cathode)(130)을 설치한다. 이 때 환원전극(130)의 하부 1/3은 배지(20)에 잠기도록 하고, 2/3는 대기중에 노출시켜 산화전극(110)에서 생성된 양성자와 대기중의 산소의 공급이 원할하도록 한다. 산화전극(110)과 환원전극(120)은 도선으로 연결하여 외부회로를 구성하였으며, 회로에는 30 Ω의 외부저항을 설치하고, 미생물연료전지(Microbial Fuel Cells, MFC)가 설치된 반응조는 35 ℃ 항온조에 설치하였으며, 운전하는 동안 반응조 내용물은 교반하였다. 초기운전시 산화전극에 미생물을 식종하기 위하여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채취한 활성슬러지를 주입하였으며, 배지는 아세트산나트륨 1g/L, 염화암모늄 0.31 g/L, 염화칼륨 0.13 g/L, 제2인산염나트륨 6.93 g/L, 제1인산염나트륨 5.62 g/L, 미네랄 0.25mL/L, 비타민 0.5ml/L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미생물연료전지는 디지털 멀티미터(10)를 이용하여 30분 간격으로 발생전압을 관측하였으며,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때 분극실험을 통하여 결합제의 성능을 비교평가하였다. 결합제 성능에 따른 미생물연료전지의 내부저항(Rin)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전류-전압 실험결과를 아래 수학식 1에 비선형회귀분석법으로 해석하였다.
Figure 112015089774117-pat00001
여기서, V는 전압(V)이고, VOC는 개회로전압(V)이고, a와 b는 활성손실상수이며, I는 전류(mA)이고, Rohmic은 오옴저항(Ω)이고, c는 분극손실상수이고, IL은 한계전류(mA)이다. 또한, 활성화저항(Ract)은 (a+b×lnI)/I로부터 구하며, 분극저항(Rconc)은 (c×ln I_L/(I_L-I))/I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결합제 종류에 따른 산화전극 표면에 부착성장한 미생물 형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 SEM)을 이용하였다.
도 2는 다양한 CTP 결합제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산화전극을 갖는 미생물 연료전지의 관측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초기운전 이후 관측전압은 약 1일간의 초기 지체기를 보였으나, 지체기 이후 산화전극의 종류에 무관하게 최대값까지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미생물 연료전지의 최대전압은 CTP-Ni5.9가 약 0.148 V로 가장 높았고, CTP-Ni2.9는 약 0.133 V, CTP70은 약 0.131 V, 그리고 CTP200은 약 0.127 V이었다. 대조구인 나피온(Nafion)을 산화전극의 결합제로 사용한 미생물 연료전지의 경우 관측 최대전압은 약 0.087 V로 가장 낮았다.
도 3과 도 4는 다양한 CTP 결합제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산화전극을 갖는 미생물 연료전지에 대하여, 분극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와 개회로 전압과 전력 밀도를 기재한 도표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분극곡선에서, CTP결합제에 따른 미생물연료전지의 최대전력밀도는 CTP-Ni5.9가 738.1±10 mW/m2로서 가장 높았으며, CTP-Ni2.9와 CTP70은 약 640±10 mW/m2으로서 비슷하였다. 대조구인 나피온(Nafion) 결합제를 사용한 경우 최대 전력밀도는 596.7±10 mW/m2로 가장 낮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CTP 결합제와 Ni을 함유한 CTP 결합제를 이용하여 제작한 산화전극의 미생물 친화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산화전극 시편을 SEM 촬영한 사진이다.
도 5에서 (a)는 나피온(Nafion), (b)는 CTP70, (c)는 CTP200, (d)는 CTP-Ni2.9, (e)는 CTP-Ni5.9인 경우의 촬영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든 산화전극 표면에는 부착성장된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산화전극 표면의 미생물 부착성장 정도는 CTP-Ni5.9 > CTP-Ni2.9 > CTP70 ≥ CTP200 > Nafion 순서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CTP 결합제는 생물친화도가 높으며, 니켈이 함유된 CTP 결합제는 Ni의 전자전달 촉매작용으로 전기화학적 활성이 높아 미생물 친화도가 더욱 향상됨을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CTP 결합제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산화전극을 갖는 미생물 연료전지들에 대하여, 최대 전력 밀도에서의 내부 저항 분포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최대전력밀도에서 산화전극제작에 사용된 CTP 결합제 및 니켈을 함유한 CTP 결합제에 따른 활성화저항은 CTP200(167.81 Ω) > Nafion(164.19 Ω) > CTP-Ni2.9(142.13 Ω) > CTP-Ni5.9(133.72 Ω) > CTP70 (126.49 Ω) 순으로, CTP의 함량이 낮을수록, 니켈(Nickel) 함량이 높을수록 활성화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옴 저항은 나피온이 53.23 Ω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CTP-Ni5.9가 12.47 Ω으로 가장 낮았다. 분극저항은 CTP 결합제에 따라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활성화저항과 오옴저항에 비하여 분극저항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전체 내부저항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즉, 전이금속인 니켈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내부저항이 감소하여 미생물연료전지의 최대전력밀도가 증가하였다.
본 발명에서 CTP-Ni5.9 결합제는 경제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뛰어난 새로운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0 산화전극 120 분리막
130 환원전극

Claims (4)

  1. 산화전극(Anode), 환원전극(Cathode), 분리막 및 상기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을 연결하는 외부회로를 포함하는 생물전기화학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제작용 결합제에서,
    콜 타르 피치(Coal tar pitch); 및
    니켈(Ni)을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제조 시 전극재료들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고, 이를 집전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결합제는 콜 타르 피치 전극결합제를 만드는데 니켈이 150ppm~600ppm 농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결합제는 톨루엔(Toluene) 용액에 콜 타르 피치를 주입하고, 에탄올(Ethyl alcohol) 용액에 6수화 염화니켈(NiCl2·6H2O)을 용해시킨 후에, 상기 콜 타르 피치를 주입한 톨루엔 용액과 상기 6수화 염화니켈을 용해시킨 에탄올 용액을 섞은 후에, 초음파 처리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4. 산화전극(Anode), 환원전극(Cathode), 분리막 및 상기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을 연결하는 외부회로를 포함하는 생물전기화학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제작용 결합제의 제조 방법에서,
    톨루엔(Toluene) 용액에 콜 타르 피치를 주입하는 단계;
    에탄올(Ethyl alcohol) 용액에 6수화 염화니켈(NiCl2·6H2O)을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콜 타르 피치를 주입한 톨루엔 용액과 상기 6수화 염화니켈을 용해시킨 에탄올 용액을 섞는 단계; 및
    섞은 용액에 대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의 제조 방법.
KR1020150130554A 2015-09-15 2015-09-15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693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554A KR101693438B1 (ko) 2015-09-15 2015-09-15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554A KR101693438B1 (ko) 2015-09-15 2015-09-15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38B1 true KR101693438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554A KR101693438B1 (ko) 2015-09-15 2015-09-15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4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7512A (ja) * 1999-06-14 2000-12-26 Hitachi Chem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黒鉛質粒子、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2327355A (ja) * 2001-02-28 2002-11-15 Mitsubishi Chemicals Corp 導電性炭素質繊維シート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US20030127357A1 (en) * 2001-11-26 2003-07-10 Maik Beutler Electrode binder
KR20120110151A (ko) * 2009-12-31 2012-10-09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층상 복합 재료
KR101359777B1 (ko) 2011-04-19 2014-02-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단 개방형 수직전극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생물전기화학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7512A (ja) * 1999-06-14 2000-12-26 Hitachi Chem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黒鉛質粒子、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2327355A (ja) * 2001-02-28 2002-11-15 Mitsubishi Chemicals Corp 導電性炭素質繊維シート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US20030127357A1 (en) * 2001-11-26 2003-07-10 Maik Beutler Electrode binder
KR20120110151A (ko) * 2009-12-31 2012-10-09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층상 복합 재료
KR101359777B1 (ko) 2011-04-19 2014-02-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단 개방형 수직전극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생물전기화학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era et al. A review on carbon and non-precious metal based cathode catalysts in microbial fuel cells
Ghasemi et al. Nano-structured carbon as electrode material in microbial fuel cells: A comprehensive review
Rahimnejad et al. Microbial fuel cell as new technology for bioelectricity generation: A review
Fadzli et al. Microbial fuel cell: recent developments in organic substrate use and bacterial electrode interaction
Sarathi et al. Recent advances and challenges in the anode architecture and their modifications for the applications of microbial fuel cells
Li et al. Performance of carbon fiber cathode membrane with C–Mn–Fe–O catalyst in MBR–MFC for wastewater treatment
Singh et al. Enhanced power generation using a novel polymer-coated nanoparticles dispersed-carbon micro-nanofibers-based air-cathode in a membrane-less single chamber microbial fuel cell
Song et al. Effect of surface modification of anode with surfactant on the performance of microbial fuel cell
CN101656314B (zh) 碳化钼在制备微生物燃料电池阳极中的应用
Savla et al. Utilization of nanomaterials as anode modifiers for improving microbial fuel cells performance
CN106915829B (zh) 碳纤维电极及其制备方法、双极室生物电化学设备
EP3107141A1 (en) Microbial fuel cell, microbial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icrobial fuel cell
Zhu et al. Recent advance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in microbial fuel cells: from fundamentals to challenges and outlooks
Luo et al. Electrochemical surface modification of carbon mesh anod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ir-cathode microbial fuel cells
Mohamed et al. Electricity generation from real industrial wastewater using a single-chamber air cathode microbial fuel cell with an activated carbon anode
Xu et al. Improving electron transport efficiency and power density by continuous carbon fibers as anode in the microbial fuel cell
US20200317543A1 (en) Purification unit and purification device
KR101673811B1 (ko) 생물전기화학 혐기성소화시스템의 산화전극 및 그 제조방법
EP3466896A1 (en) Purification unit and purification device
Mishra et al. A review on electrical behavior of different substrates, electrodes and membranes in microbial fuel cell
KR101693438B1 (ko) 생물전기화학전지용 전극 결합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4859B1 (ko) 생물전기화학전지의 산화전극
Shahane et al. Exoelectrogenic bacteria: a candidate for sustainable bio-electricity generation in microbial fuel cells
EP3522278A1 (en) Microbial fuel cell and waste liquid treatment system
Li et al. Electricity from microbial fuel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