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784B1 -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784B1
KR101692784B1 KR1020150060653A KR20150060653A KR101692784B1 KR 101692784 B1 KR101692784 B1 KR 101692784B1 KR 1020150060653 A KR1020150060653 A KR 1020150060653A KR 20150060653 A KR20150060653 A KR 20150060653A KR 101692784 B1 KR101692784 B1 KR 10169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ctive layer
interfacial polymerization
monom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771A (ko
Inventor
이정현
이종석
최완석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784B1/ko
Priority to PCT/KR2016/004134 priority patent/WO2016175499A1/ko
Priority to US15/570,450 priority patent/US10786786B2/en
Publication of KR2016012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01D69/1251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by interfacial 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37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deposition from the gaseous phase, e.g. CVD, PV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5Support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4Chemically bonded layers, e.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8Graft polymeriz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forward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수용액과 유기 용매 간의 계면에서 유기 단량체를 자발적으로 반응시켜 고분자 활성층을 제조하고 이를 지지체와 결합시키는 지지체 특성에서 자유로운 역삼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 없는 계면중합을 통한 활성층을 가지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으로 기존의 폴리술폰 다공성 지지체 이외의 다양한 지지체를 가지는 역삼투막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폴리술폰의 상대적으로 낮은 내화학성 및 수 투과도로 인한 역삼투막의 응용 한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활성층 제조 시 기존 방법보다 보다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나노 입자 도입 등의 성능 개선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Membrane Using Active Layer Prepared by Support-free Interfacial Polymerization in Free Surface}
본 발명은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수용액과 유기 용매 간의 계면에서 유기 단량체를 자발적으로 반응시켜 고분자 활성층을 제조하고 이를 지지체와 결합시키는 지지체 특성에서 자유로운 역삼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역삼투막에 대한 이론적 제안 및 그에 관한 연구는 1950년대에 시작되어 1958년 UCLA의 Loeb과 Sourirajan이 초산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역삼투막을 개발하였다. 이는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지만 내구성이 약하고 각종 오염에 취약한 문제점 또한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adotte이 폴리아미드 기반 역삼투막을 개발하였고 이는 초산셀룰로오스에서 보인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하지만 압력 및 열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복합막의 개발이 진행되어 이후 미국의 DuPont사가 현재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지지체-활성층 복합 역삼투막을 제조 및 시판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나권형 모듈에 사용되는 역삼투막 평막은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기반으로 한 폴리술폰 한외여과막 지지체 위에 방향족 폴리아미드 활성층이 올려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는 기존 막들의 단점을 대부분 개선하고 성능 또한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거두었다(K.P. Lee et al ., Journal of Membrane Science, 370:1-22, 2011).
이러한 현재의 기술에서 폴리아미드 기반 역삼투막은 다공성 지지체에 단량체를 함침시킨 후 이를 다른 용매상의 단량체와 계면 중합 반응을 일으켜 활성층을 제조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제작 방식은 폴리아미드의 두께 및 표면 구조가 지지체의 특성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이 때문에 특정 크기 이하의 공극을 가진 특정한 지지체 이외의 물질에서는 폴리아미드 활성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역삼투막의 성능과 응용 분야가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공법 등을 개선하여 현재 사용되는 지지체와 다른 종류의 지지체에서 계면 중합을 통한 역삼투막 제조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현재 상업화에 다다른 성과는 존재하지 않는다.
계면 중합은 자발적으로 반응하여 중합이 일어나는 두 단량체를 중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용액에 각 단량체를 용해시키고 두 용액을 접촉시켜 용액 간의 계면에서 고분자를 중합하는 방법이다. 폴리아닐린, 나일론 등의 다양한 고분자가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되고 있으며, 분리막 분야에서는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중합 기술이다. 일반적인 상용 분리막은 폴리술폰 등의 지지체와 그 위에서 수용액상의 아민 단량체와 유기 용매상의 아실 클로라이드 단량체를 계면 중합하여 형성되는 선택층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막의 형식을 가진다.
상기 형식으로 제작되는 계면 중합 분리막은 DuPont 사에서 최초로 개발되었고, 그 이전의 막보다 우수한 성능을 통해 상용화 이후 현재까지 막 시장의 다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상용 역삼투막은 표면 요철로 인한 막오염이 심할 뿐 아니라 지지체인 폴리술폰이 화학적 내구성이 우수하지 못해 그 활용 분야가 매우 제한되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지지체인 폴리술폰 한외여과막은 높은 소수성을 띠며 공극 크기가 작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지지체 위에서 일어나는 계면 중합으로 막을 제조할 경우 이러한 지지체의 특성이 유지되지 않으면 활성층의 형성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아 기존의 막을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지체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역삼투막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지지체 위에 부착시킴으로써 지지체 특성에서 자유로운 역삼투막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을 통해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면중합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방법, 유용물질 농축방법 및 불순물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극성용매에 제1단량체가 용해되어 있는 극성용액과 비극성용매에 제2단량체가 용해되어 있는 비극성용액을 첨가하여 상기 두 용액 사이에 계면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형성된 계면에서 상기 제1단량체와 제2단량체 간의 중합반응을 유도하여 계면 활성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계면활성층을 지지체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층이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는 계면중합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계면중합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계면중합 분리막을 이용한 유용물질의 농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계면중합 분리막을 이용한 불순물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 없는 계면중합을 통한 활성층을 가지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으로 기존의 폴리술폰 다공성 지지체 이외의 다양한 지지체를 가지는 역삼투막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폴리술폰의 상대적으로 낮은 내화학성 및 수 투과도로 인한 역삼투막의 응용 한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활성층 제조 시 기존 방법보다 보다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나노 입자 도입 등의 성능 개선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 및 이를 이용한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지지체-프리 계면중합과 기존 계면중합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비교한 것이다.
도 3은 지지체-프리 계면중합과 기존 계면중합을 이용한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막 선택층의 표면 요철 및 두께의 특징을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의 방법으로 제조된 선택층(활성층)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복합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체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역삼투막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 및 이를 이용한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액과 유기 용매 간의 계면에서 유기 단량체를 자발적으로 반응시켜 고분자 활성층을 제조하고 이를 지지체와 결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존 계면중합방법에 비해 본 발명의 지지체-프리 계면중합방법은 지지체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지체-프리 계면중합 기반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지지체와 활성층(선택층)간의 계면이 명확하였다. 또한, 복합막 활성층(선택층)의 표면 요철 및 두께의 특징을 비교해보면, 기존 계면중합방법에 비해 지지체-프리 계면중합방법으로 제조된 복합막은 활성층이 더 얇고 요철도 적어 표면 오염과 수 투과 성능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특히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으로 형성된 약 17nm 두께의 활성층을 가지는 계면중합 분리막은 기존 계면중합으로 형성된 약 80∼200nm 두께의 활성층보다 얇아서 정밀한 형태로 복합막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막의 공정 개선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 형성된 활성층을 가지는 계면중합 분리막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다공성 지지체를 틀에 고정하고 용기에 넣은 후 지지체가 완전히 잠길 만큼의 극성 용액을 용기에 넣는다. 그 다음, 극성 용액이 담긴 용기 위에 비극성 용액을 주의 깊게 넣어 두 용액 사이에서 계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두 용액에 각각 녹아 있는 단량체 간의 반응이 계면에서 일어나도록 하여 활성층을 제조한다. 그 다음, 극성 용액의 수위를 조절하여 계면의 높이를 지지체 높이 아래로 조절하고 이를 통해 계면에 존재하는 제조된 활성층이 지지체 표면과 접하도록 한다. 그 다음, 잔여 용액 제거와 세척을 통해 잔류 반응물을 완전히 제거하여 막 제조를 완성한다.
상기 계면중합 분리막 제조방법에 사용된 다공성 지지체는 10∼1000nm 사이의 공극 크기를 가지는 한외여과막으로, PAN(polyacrylonitril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SF(polysulfone), PES(polyethersulfone) 등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지지체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사용한다. 또한, 계면 중합용 용매로는 물 등의 극성 용매와 상기 극성 용매와 섞이지 않는 헥산 등의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량체는 극성 용매에 용해성이 있는 아민 또는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가지는 분자와 비극성 용매에 용해성이 있으며 상기 단량체와 자발적으로 반응하는 아실 클로라이드 등의 말단기를 가지는 분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극성용매에 제1단량체가 용해되어 있는 극성용액과 비극성용매에 제2단량체가 용해되어 있는 비극성용액을 첨가하여 상기 두 용액 사이에 계면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형성된 계면에서 상기 제1단량체와 제2단량체 간의 중합반응을 유도하여 계면 활성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계면활성층을 지지체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약 17nm 두께의 활성층이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는 계면중합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층의 지지체 부착은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다. 예를 들면, (i) 지지체 상면과 계면활성층 하면이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두 표면 간의 반데르발스 인력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ii) 지지체 상면의 카르복실기(-COOH)(또는, 아민기(-NH2))와 계면활성층 하면의 아민기(-NH2)(또는, 카르복실기(-COOH))의 결합으로 부착될 수 있고; (iii) 지지체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친수성을 높임으로써 물리·화학적으로 안정되게 계면활성층이 지지체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으나(예: PAN 지지체를 NaOH 용액으로 표면개질시켜 이온결합 및 수소결합으로 활성층에 부착),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PAN(polyacrylonitril),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셀룰로즈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PP(polypropylene), PVP(polyvinylpyrrolidon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VC(polyvinyl chlorid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SF(poly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지지체는 다공성으로 1nm∼10μm의 공극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제1단량체는 아민 또는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가지는 분자, 디에틸렌 트리아민(diethylene triamine: DETA), 트리에틸렌 테트라민(triethylene tetramine: TETA), 디에틸아미노 프로필 아민(diethyl propyl amine: DEPA), 메탄 디아민(methane diamine: MDA), N-아미노에틸 피퍼라진(N-aminoethyl piperazine: N-AEP), M-자일렌 디아민(M-xylene diamine: MXDA), 이소포론디아민(isophoroediamine: IPDA), m-페닐렌 이아민(m-phenylene diamine: MPD),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4,4’-diaminodiphenyl methane: DDM),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4,4’-diaminodiphenyl sulphone: DDS) 및 하이드록시알킬아민(hydroxyakylamin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용매는 헥산, 펜탄, 사이클로헥산, 헵탄, 옥탄, 사염화탄소, 벤젠 및 톨루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제2단량체는 아실 클로라이드 말단기를 가지는 분자,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Trimesoyl chloride: TMC),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erephthaloyl chloride), 시클로헥산-1,3,5-트리카보닐 클로라이드(Cyclohexane-1,3,5-Tricarbonyl chloride), 1-이소시아네이토-3,5-벤젠디카보닐 클로라이드(1-isocyanato-3,5-Benzenedicarbonyl chloride) 및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Isophthaloyl chlor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존 계면중합 또는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을 이용한 제조방법에 따라서 분리막의 성능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기존 계면중합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은 지지체 상에서 염류 제거율이 약 96.7%인 반면,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은 약 98.0%이어서 염류 제거의 성능이 우수하였다. 또한, 투과 유량은 기존 계면중합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은 약 8.7Lm-2h-1인데 반해,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은 약 13.1Lm-2h-1이어서 성능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동일한 활성층(선택층) 형성조건과 지지체를 사용하였음에도 염류 제거율 및 유량 모두에서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지지체-프리 계면중합방법은 다양한 분야의 역삼투막 제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도 4).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은 멸균/무균 시스템, 식수(배수)의 정화 시스템, 해수의 탈염 시스템, 식품의 유효 성분 농축 시스템 등에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계면중합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방법, 유용물질 농축방법 및 불순물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 형성된 활성층을 가지는 계면중합 분리막 제조
1) 재료:
1. 다공성 지지체: 약 20nm 공극 크기를 가지는 PAN(polyacrylonitrile) 지지체를 NaOH 수용액 상에서 가수 분해하여 표면을 개질시켰다.
2. 계면중합 단량체 및 용매: 친수성 용매인 물에 포함된 단량체는 MPD(m-phenylenediamine)를 사용하였고, 유기 용매인 n-헥산(n-hexane)에 포함된 단량체는 TMC(trimesoyl chloride)를 사용하였다.
3) 제조방법:
1. 선정한 다공성 지지체를 용기에 고정하였다.
2. 용기에 고정된 다공성 지지체 위에 아민 수용액을 부어 지지체가 완전히 잠기게 하였다.
3. 아민 수용액 위에 수용액과 섞이지 않는 용매로 제조된 아실 클로라이드 단량체 용액을 부어 계면을 형성하고 단량체 간 중합을 유도하였다.
4. 계면을 손상시키지 않게 유지하며 잔여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여 중합된 활성층이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도록 수위를 조절하였다.
5. 활성층 부착을 확인한 후 잔여 단량체를 동일 용매를 이용한 세척으로 제거하여 중합을 완료하였다.
6. 가열 또는 건조를 통하여 지지체에 부착된 활성층의 안정화 및 용매 제거를 수행, 복합막 제조를 완성하였다.
복합막 활성층( 선택층 )의 표면 요철 및 두께의 특징 관찰
상기 제조된 분리막의 활성층(선택층)의 형태는 S-4800 전계 방출 주사형 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M(Hitachi High-technologies CO., Japan))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 계면중합방법에 비해 본 발명의 지지체-프리 계면중합방법은 지지체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지체-프리 계면중합 기반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지지체와 활성층(선택층)간의 계면이 명확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막 활성층(선택층)의 표면 요철 및 두께의 특징을 비교해보면, 기존 계면중합방법에 비해 지지체-프리 계면중합방법으로 제조된 복합막은 활성층이 더 얇고 요철도 적어 표면 오염과 수 투과 성능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특히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으로 형성된 약 17nm 두께의 활성층을 가지는 계면중합 분리막은 기존 계면중합으로 형성된 약 80∼200nm 두께의 활성층보다 얇아서 정밀한 형태로 복합막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막의 공정 개선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제조된 계면중합 분리막의 성능 검증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계면중합 분리막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NaCl 2000ppm 수용액을 고압(15.5 bar) 조건에서 하기 (1) 또는 (2)의 분리막에 투과시켜 시간당 유량 및 염류 제거율로 분리막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1) 기존 계면중합 기반 분리막(미국특허 제4,277,344호; 미국특허 제5,614,099호에 게시된 방법으로 제조됨)
(2) 지지체-프리 계면중합 기반 분리막(본 발명의 지지체-프리 계면중합방법으로 제조됨)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2가지 제조방법에 따라서 분리막의 성능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기존 계면중합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은 지지체 상에서 염류 제거율이 약 96.7%인 반면,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은 약 98.0%이어서 염류 제거의 성능이 우수하였다. 또한, 투과 유량은 기존 계면중합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은 약 8.7Lm-2h-1인데 반해,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은 약 13.1Lm-2h-1이어서 성능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동일한 활성층(선택층) 형성조건과 지지체를 사용하였음에도 염류 제거율 및 유량 모두에서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은 기존 계면중합 기반 분리막과 지지체-프리 계면중합 기반 분리막의 수 투과 및 염류 제거율 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기존 계면중합 기반 분리막

지지체-프리 계면중합 기반 분리막

유량(Lm-2h-1)

8.7±1.0

13.1±1.4

제거율(%)

96.7±1.4

98.0±1.6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
    (a) 지지체를 용기에 고정한 다음, 지지체 위에 극성용매에 제1단량체가 용해되어 있는 극성용액을 부어 지지체가 완전히 잠기게 하는 단계;
    (b) 상기 극성용액 위에, 비극성용매에 제2단량체가 용해되어 있는 비극성용액을 첨가하여 상기 두 용액 사이에 계면을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형성된 계면에서 상기 제1단량체와 제2단량체 간의 중합반응을 유도하여 계면 활성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극성용액의 수위를 조절하여 계면의 높이를 지지체 높이 아래로 조절하고 계면활성층이 지지체 표면에 접하도록 하여 상기 계면활성층을 지지체에 부착시켜 활성층이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는 계면중합 분리막을 수득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PAN(polyacrylonitril),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셀룰로즈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PP(polypropylene), PVP(polyvinylpyrrolidon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VC(polyvinyl chlorid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SF(poly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다공성으로 1nm∼10μm의 공극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량체는 아민 또는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가지는 분자, 디에틸렌 트리아민(diethylene triamine: DETA), 트리에틸렌 테트라민(triethylene tetramine: TETA), 디에틸아미노 프로필 아민(diethyl propyl amine: DEPA), 메탄 디아민(methane diamine: MDA), N-아미노에틸 피퍼라진(N-aminoethyl piperazine: N-AEP), M-자일렌 디아민(M-xylene diamine: MXDA), 이소포론디아민(isophoroediamine: IPDA), m-페닐렌 디아민(m-phenylene diamine: MPD),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4,4’-diaminodiphenyl methane: DDM),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4,4’-diaminodiphenyl sulphone: DDS) 및 하이드록시알킬아민(hydroxyakylamin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용매는 헥산, 펜탄, 사이클로헥산, 헵탄, 옥탄, 사염화탄소, 벤젠 및 톨루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량체는 아실 클로라이드 말단기를 가지는 분자,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Trimesoyl chloride: TMC),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erephthaloyl chloride), 시클로헥산-1,3,5-트리카보닐 클로라이드(Cyclohexane-1,3,5-Tricarbonyl chloride), 1-이소시아네이토-3,5-벤젠디카보닐 클로라이드(1-isocyanato-3,5-Benzenedicarbonyl chloride) 및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Isophthaloyl chlor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중합 분리막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60653A 2015-04-29 2015-04-29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169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53A KR101692784B1 (ko) 2015-04-29 2015-04-29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PCT/KR2016/004134 WO2016175499A1 (ko) 2015-04-29 2016-04-21 지지체-프리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선택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US15/570,450 US10786786B2 (en) 2015-04-29 2016-04-21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rane using selective layer prepared through support-free interfacial polymeriz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53A KR101692784B1 (ko) 2015-04-29 2015-04-29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771A KR20160128771A (ko) 2016-11-08
KR101692784B1 true KR101692784B1 (ko) 2017-01-17

Family

ID=5719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653A KR101692784B1 (ko) 2015-04-29 2015-04-29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86786B2 (ko)
KR (1) KR101692784B1 (ko)
WO (1) WO2016175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204B1 (ko) 2018-05-14 2019-12-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공성 지지체 위에 형성된 무결점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소 에너지 추출 소자
WO2021126085A1 (en) * 2019-12-17 2021-06-24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 smooth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CN111888943B (zh) * 2020-07-13 2022-03-11 湖南工业大学 一种含缓冲层自由界面聚合的反渗透膜的制备方法
CN111921387B (zh) * 2020-07-16 2022-03-29 浙江工业大学 聚多巴胺修饰咪唑基纳米粒子复合纳滤膜的制备方法
CN112316738A (zh) * 2020-09-27 2021-02-05 重庆大学 一种后处理制备抗污染正渗透聚酰胺复合膜的方法
CN113070022B (zh) * 2021-03-22 2023-02-17 齐齐哈尔大学 一种可批量循环式超薄膜展开制备装置
CN114452835B (zh) * 2021-12-30 2024-01-09 南京工业大学 一种电中性纳滤膜、制备方法及其在小分子染料废水脱盐中的用途
CN115025632B (zh) * 2022-06-21 2023-05-23 浙江美易膜科技有限公司 耐碱复合纳滤膜、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5090124B (zh) * 2022-07-01 2023-09-05 浙江理工大学 一种界面聚合反应生成双电荷层复合膜的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7344A (en) 1979-02-22 1981-07-07 Filmtec Corporation Interfacially synthesized reverse osmosis membrane
US5614099A (en) 1994-12-22 1997-03-25 Nitto Denko Corporation Highly permeable composite reverse osmosis membran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211338B1 (ko) * 1997-02-17 1999-08-02 한형수 가교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1103384B1 (ko) * 2009-11-23 2012-01-06 한국화학연구원 친수성 및 내염소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69050A1 (en) * 2009-12-03 2011-06-09 Yale University High flux thin-film composite forward osmosis and pressure-retarded osmosis membranes
KR101417988B1 (ko) * 2012-02-27 2014-08-07 한국전기연구원 금속 메시와 양극산화 나노다공질 금속산화물 분리막으로 구성된 복합 분리막
KR101511374B1 (ko) * 2013-03-18 2015-04-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acro한 공극을 갖는 지지층이 있는 분리막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2013)
한국막학회 학술발표자료 (1997.1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771A (ko) 2016-11-08
WO2016175499A1 (ko) 2016-11-03
US10786786B2 (en) 2020-09-29
US20180141831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784B1 (ko) 지지체 없는 자유계면에서의 계면중합으로 제조된 활성층을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JP3006976B2 (ja) 高透過性複合逆浸透膜の製造方法
JP3860510B2 (ja) 耐汚染性に優れた選択的分離膜製造方法
KR20160027196A (ko) 다채널막
WO2013085657A1 (en) Membran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making
US20180333684A1 (en) The one-step preparation process for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using a dual (double layer)-slot coating technique
CN109789378B (zh) 复合半透膜、及螺旋型分离膜元件
CN107922610B (zh) 用于聚酰胺界面聚合的组合物和使用其制造反渗透膜的方法
AU2020283173A1 (en) Forward osmosis membrane, forward osmosis membran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14668B1 (ko)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
US20130292325A1 (en) Method for preparing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prepared thereby
KR102384030B1 (ko) 이황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유기용매 나노여과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317643B1 (ko) 폴리아미드 나노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JPWO2020059769A1 (ja) 正浸透膜及びそれを含む膜モジュール
JP4563093B2 (ja) 高塩阻止率複合逆浸透膜の製造方法
KR102169137B1 (ko) 염 제거율 및 보론 제거율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복합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1061B1 (ko) 역삼투막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역삼투막 제조방법, 역삼투막 및 수처리 모듈
KR20170047114A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및 수처리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
WO2021244117A1 (en) Solution blow spinning method to fabricate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KR20220083902A (ko) 중간층 구조를 포함하는 박막 복합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응용
KR20180036295A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및 수처리 분리막 제조용 조성물
KR102157932B1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및 수처리 분리막 제조용 조성물
KR20170064425A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및 수처리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
KR102067861B1 (ko) 역삼투막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역삼투막 제조방법, 역삼투막 및 수처리 모듈
JP2002095940A (ja) 複合逆浸透膜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