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756B1 -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756B1
KR101692756B1 KR1020150149728A KR20150149728A KR101692756B1 KR 101692756 B1 KR101692756 B1 KR 101692756B1 KR 1020150149728 A KR1020150149728 A KR 1020150149728A KR 20150149728 A KR20150149728 A KR 20150149728A KR 101692756 B1 KR101692756 B1 KR 10169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utton
plate
slid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성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to KR102015014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Abstract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커버와,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커버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도록 커버에 결합된 버튼과,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면과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를 구비하며 커버에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display of car}
실시예들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증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천장과 같이 차량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내장의 표면과 일치하도록 수납된 위치나 돌출된 위치로 조정될 수 있게 설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를 수납된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무게가 증가하므로,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용 돌기의 개수나 길이가 커져야 한다.
미국 공개특허 제2012-0050626호와 한국 등록특허 제0417626호에는 회전하는 힌지 방식의 메커니즘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기술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힌지 방식의 메커니즘을 채용한 구조에 의하면, 크기가 커진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가 어렵다. 크기가 커지고 무거워진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려면, 힌지의 크기가 커져야 하고 힌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의 강도와 크기도 증가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여 컴팩트한 설계가 어렵다.
한국 등록특허 제0417626호에서는 버튼에 의해 힌지가 회전하면 돌기가 돌출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데,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무게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돌기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단순히 돌기의 크기만을 증가시키는 경우 버튼과 돌기의 작동이 불안정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돌기를 이격된 위치에 배치한다면 각각의 돌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독립된 버튼과 힌지 메커니즘을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진다.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구조체를 모듈화하여 제작한다면, 지지 장치를 하나의 부품과 같이 취급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차량의 필요한 위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힌지 방식의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구조에서는 디스플레이가 수납되는 케이스에 힌지를 설치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모듈화하여 제작하기가 어렵다.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50626호(2012.03.01.) 한국 등록특허 제0417626호(2004.01.26)
실시예들의 목적은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에 편리하게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크기 증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커버와,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커버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도록 커버에 결합된 버튼과,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면과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를 구비하며 커버에 대해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커버는 버튼을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플레이트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버튼은 버튼으로부터 커버를 향해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보스를 구비할 수 있고, 커버는 보스가 통과하는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커버와 버튼의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에 대해 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슬라이더와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에 대해 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가압돌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구비할 수 있고, 버튼이 제1 플레이트를 향해 가압되면 가압돌기가 통로를 통과하여 가압면에 접촉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보스가 관통하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공을 구비할 수 있다.
버튼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날개부와 날개부의 단부에 설치된 후크를 구비할 수 있고, 커버는 날개부가 관통하며 후크를 지지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는 제1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버튼의 커버를 향하는 면에 접촉함으로써 버튼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압면은 제2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가압돌기는 단부에 가압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구성요소들을 조립하면 하나의 부품으로 취급할 수 있는 모듈로 제작되므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고 차량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실행될 수 있으며,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컴팩트한 디자인을 갖도록 설계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가 커지는 경우에는 버튼과 슬라이더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버튼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슬라이더가 디스플레이에 접촉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힌지 방식의 장치에 비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승용차와 같은 차량의 내부의 천장(7)의 디스플레이 수납용 구멍(7a)에 설치된다. 차량의 내부의 천장(7)에는 힌지(5a)에 의해 디스플레이(5)가 차량의 천장(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해 노출되는 버튼(20)을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지지돌기(37)가 디스플레이(5)의 측면 가장자리의 홈(5b)에 결합하므로, 디스플레이(5)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2에서 버튼(20)을 Z축 방향을 따라 가압하면, 디스플레이 수납용 구멍(7a)을 향해 돌출되어 있던 지지돌기(37)가 X축 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5)가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의 천장(7)에 설치되기 전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는 커버(10)와, 버튼(20)과, 슬라이더(3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는 하나의 모듈(module)을 이루도록 모듈화 설계(modular design)된다. 즉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조립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부품으로 취급될 수 있는 모듈을 이룬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는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를 차량 내부에 장착하거나 차량 내부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버튼(20)이 커버(10)에 제1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지지돌기(37)를 구비한 슬라이더(30)가 제2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더(30)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10)의 측면(13)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30)의 지지돌기(37)가 디스플레이에 결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해 노출된 상태에 있는 버튼(20)을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지지돌기(37)가 커버(1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지지돌기(37)가 디스플레이로부터 분리된다.
도 5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는 커버(10)와, 가압돌기(21)를 구비하며 커버(10)의 일면(11a)으로부터 제1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커버(10)에 결합된 버튼(20)과, 커버(10)의 측면(13)으로부터 돌출 가능하도록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인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커버(10)에 배치된 슬라이더(30)를 구비한다. 커버(10)와, 버튼(20)과, 슬라이더(3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상측 면에 가압돌기(21)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면(31)을 구비하며,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37)를 구비한다. 지지돌기(37)는 단부에 만곡면(37a)을 구비한다. 만곡면(37a)은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수납 위치로 회전시킬 때에 디스플레이가 만곡면(37a)에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더(30)가 부드럽게 밀릴 수 있게 보조 한다.
커버(10)는 서로의 사이에 공간(18)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며 대향하여(마주보게) 배치된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를 구비한다.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18)에는 슬라이더(30)가 삽입된다.
버튼(20)은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26)를 구비하고, 버튼(20)으로부터 커버(10)를 향하여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보스(22)를 구비한다. 커버(10)는 보스(22)가 통과하는 통공(14)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스(22)와 통공(14)은 각각 2개씩 설치되었으나, 보스(22)와 통공(1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커버(10)와 버튼(20)의 사이에는 커버(10)에 대하여 버튼(20)을 제1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22c)가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22c)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제1 탄성부(22c)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탄성부(22c)는 금속 재질의 판 스프링으로 구현되거나 고무나 스펀지와 같이 압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탄성부(22c)는 보스(22)의 외측에 삽입되며, 제1 탄성부(22c)의 일단은 보스(22)의 외측에 형성된 지지리브(22a)에 접촉하고 제1 탄성부(22c)의 타단은 제2 플레이트(12)에 의해 접촉할 수 있다. 보스(22)의 외측에 형성된 지지리브(22a)는 제1 플레이트(11)의 통공(14)에 형성된 통과홈(14a)을 통과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버튼(20)의 보스(22) 및 보스(22)의 지지리브(22a)는 통공(14) 및 통과홈(14a)을 통과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탄성부(22c)가 버튼(20)을 커버(1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사용자에 의해 Z축 방향의 힘이 커버(10)에 전달되면 커버(10)가 Z축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버튼(20)이 커버(10)를 향해 가압될 때 보스(22)의 하단부가 제2 플레이트(12)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2)는 보스(22)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단부구멍(15)을 구비한다. 보스(22)의 하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단부구멍(15)을 제2 플레이트(12)에 설치함으로써, 커버(10)에 대한 버튼(20)의 Z축 방향의 이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버튼(20)은 외측 가장자리에서 커버(10)를 향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날개부(27)와 각 날개부(27)의 단부에서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후크(27a)를 구비한다. 또한 커버(10)의 제1 플레이트(11)는 버튼(20)의 날개부(27)가 관통할 수 있는 결합 구멍(17)을 구비한다.
날개부(27)는 버튼(20)에 대해 약간의 탄성을 갖도록 설치된다. 버튼(20)의 날개부(27)의 단부에 설치된 후크(27a)를 커버(10)의 결합 구멍(17)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버튼(20)을 커버(10)를 향하여 가압하면 날개부(27)가 미세하게 변형되면서 후크(27a)가 결합 구멍(17)을 통과한 후 날개부(27)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버튼(20)의 날개부(27)와 후크(27a)가 커버(10)의 결합 구멍(17)에 삽입된 이후에는 후크(27a)가 결합 구멍(17)에 의해 지지되므로, 버튼(20)이 커버(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10)의 결합 구멍(17)은 버튼(20)이 커버(10)를 향하여 가압되는 동안 날개부(27)를 안내하므로, 버튼(20)이 커버(10)에 대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더(30)와 커버(10)의 사이에는 제2 탄성부(33c)가 설치된다. 제2 탄성부(33c)는 슬라이더(30)를 커버(10)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커버(10)의 내부에는 제2 탄성부(33c)의 일측 단부와 접촉하는 돌기(11d)가 설치되고, 슬라이더(30)의 커버(10)를 향하는 후면에는 제2 탄성부(33c)의 타측 단부와 접촉하는 탄성부 수용부(33)가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탄성부(33c)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제2 탄성부(33c)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탄성부(33c)는 금속 재질의 판 스프링으로 구현되거나 고무나 스펀지와 같이 압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커버(1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30)의 탄성부 수용부(33)의 측면에 접하며 슬라이더(30)의 제2 방향에서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9f)가 설치된다. 또한 커버(10)의 제2 플레이트(12)에는 제2 탄성부(33c)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오목홈(13c)이 설치된다.
커버(10)의 가장자리에는 커버(10)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브라켓(16a, 16b, 16c)이 설치된다. 브라켓(16a, 16b, 16c)은 차량의 내부에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를 장착할 때 사용되는 부분이다. 브라켓(16a, 16b, 16c)은 장착용 구멍(16d)을 구비하므로, 볼트를 장착용 구멍(16d)을 통과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를 차량의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는 가압돌기(21)가 통과하는 통로(19)를 구비한다. 버튼(20)의 가압돌기(21)는 제1 플레이트(11)의 통로(19)를 통과하여 슬라이더(30)의 가압면(31)을 가압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2)는 슬라이더(30)의 가압면(31)의 저부(31d)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플레이트(11)의 통로(19)에 대응하는 저부 통로(19b)를 구비한다.
슬라이더(30)는 버튼(20)의 보스(22)가 관통하는 장공(34)을 구비한다. 장공(34)은 슬라이더(30)가 이동하는 방향, 즉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00)가 조립되면 슬라이더(30)가 커버(10)의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버튼(20)의 보스(22)는 제1 플레이트(11)의 통공(14)과, 슬라이더(30)의 장공(34)을 차례로 통과한다.
슬라이더(30)의 장공(34)은 버튼(20)의 보스(22)를 제1 방향으로 통과시켜 버튼(20)과 보스(22)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더(30)의 장공(34)은 슬라이더(30)가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30)와 보스(22)의 사이에 기계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더(30)가 제2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게 공간을 제공한다.
커버(10)는 제1 플레이트(11)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버튼(20)의 커버(10)를 향하는 면(저면)에 접촉함으로써 버튼(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1b)을 구비한다. 도 5에서 걸림턱(11b)은 대략 한글의 기역자(ㄱ) 형상을 갖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걸림턱(11b)의 세부 형상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턱(11b)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커버(10)는 제1 플레이트(11)에서 슬라이더(30)가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단부측에 보조 걸림턱(11c)을 구비한다. 보조 걸림턱(11c)도 버튼(20)의 저면에 접촉함으로써 버튼(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라이더(30)의 가압면(31)은 제2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가압면(31)은 제1 플레이트(11)에서 제2 플레이트(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슬라이더(30)가 커버(1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룬다. 버튼(20)의 가압돌기(21)의 단부에는 경사를 이루는 가압면(31)에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21b)이 형성된다.
도 8은 도 3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에는 슬라이더(30)가 제2 탄성부(33c)의 힘에 의해 오른쪽으로 가압되어 슬라이더(3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10)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슬라이더(30)가 커버(10)에서 돌출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30)가 차량의 디스플레이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를 수납 위치에 지지하는 상태에 해당한다.
도 9에는 버튼(20)이 제1 방향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버튼(20)의 가압돌기(21)의 경사면(21b)이 슬라이더(30)의 가압면(31)을 가압하는 작동 상태가 도시된다. 슬라이더(30)의 가압면(31)이 가압돌기(21)에 의해 가압되면, 슬라이더(30)가 제2 탄성부(33c)의 가압력을 이기고 커버(10)에 대하여 제2 방향을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더(30)가 커버(10)의 내측으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30)가 디스플레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의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가 커지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디스플레이가 커짐에 따라 복수 개의 힌지를 복수 개의 위치에 독립적으로 설치해야 했으나, 상술한 실시예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서는 버튼과 슬라이더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크기가 커지고 무게가 증가한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구성요소들을 조립하면 하나의 부품으로 취급할 수 있는 모듈로 설계되므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고 차량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디스플레이 19f: 가이드부
5b: 홈 19: 통로
5a: 힌지 20: 버튼
7a: 디스플레이 수납용 구멍 21: 가압돌기
7: 천장 21b: 경사면
10: 커버 22: 보스
11b: 걸림턱 22c: 제1 탄성부
11c: 보조 걸림턱 22a: 지지리브
11a: 일면 26: 가압부
11d: 돌기 27: 날개부
11: 제1 플레이트 27a: 후크
12: 제2 플레이트 30: 슬라이더
13: 측면 31: 가압면
13c: 오목홈 31d: 저부
14: 통공 33c: 제2 탄성부
14a: 통과홈 33: 탄성부 수용부
15: 단부구멍 34: 장공
16d: 장착용 구멍 37a: 만곡면
17: 결합 구멍 37: 지지돌기
18: 공간 16a, 16b, 16c: 브라켓
19b: 저부 통로 100: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Claims (10)

  1. 커버;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커버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된 버튼;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면과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
    상기 커버와 상기 버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버튼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가압돌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향해 가압되면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가압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가압면의 저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통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저부 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가압면의 저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버튼은 상기 버튼으로부터 상기 커버를 향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보스가 통과하는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보스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스의 상기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단부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보스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공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의 내부에 상기 제2 탄성부의 일측 단부와 접촉하는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커버를 향하는 후면에는 상기 제2 탄성부의 타측 단부를 수용하는 탄성부 수용부가 설치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 설치된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날개부가 관통하며 상기 후크를 지지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상기 버튼의 상기 커버를 향하는 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버튼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은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단부에 상기 가압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KR1020150149728A 2015-10-27 2015-10-27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KR10169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728A KR101692756B1 (ko) 2015-10-27 2015-10-27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728A KR101692756B1 (ko) 2015-10-27 2015-10-27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756B1 true KR101692756B1 (ko) 2017-01-04

Family

ID=5783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728A KR101692756B1 (ko) 2015-10-27 2015-10-27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7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296A (ja) * 1995-09-22 1997-03-31 Nissan Motor Co Ltd 車室内における収納装置
KR19990035957U (ko) * 1998-02-11 1999-09-15 구자홍 공기조화기용 흡입구 그릴 고정구조
KR100417626B1 (ko) 2001-02-20 2004-02-11 주식회사 디지털월드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N2685159Y (zh) * 2004-01-06 2005-03-16 江苏新科电子集团有限公司 吸顶式车载视频播放和显示装置
US20120050626A1 (en) 2009-08-07 2012-03-01 Kazuhiro Tsuzuki On-vehicl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296A (ja) * 1995-09-22 1997-03-31 Nissan Motor Co Ltd 車室内における収納装置
KR19990035957U (ko) * 1998-02-11 1999-09-15 구자홍 공기조화기용 흡입구 그릴 고정구조
KR100417626B1 (ko) 2001-02-20 2004-02-11 주식회사 디지털월드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N2685159Y (zh) * 2004-01-06 2005-03-16 江苏新科电子集团有限公司 吸顶式车载视频播放和显示装置
US20120050626A1 (en) 2009-08-07 2012-03-01 Kazuhiro Tsuzuki On-vehicle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0530C (zh) 用于便携式计算机的锁闩装置
EP2259277B1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CN110709955A (zh) 控制设备
JP7019381B2 (ja) 携帯端末保持具
US9027960B1 (en) Front airbag device
US8139352B2 (en) Medium drive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692756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CN114542583A (zh) 锁止结构和折叠式电子设备
EP3647119B1 (en) Stabilizer bar
US20130099647A1 (en) Sliding switch and folding device
CN113260203B (zh) 防水结构及其相关的电子装置
JP2014091496A (ja) 支持装置
CN112540692B (zh) 触控操作装置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CN108572692B (zh) 光碟机及锁固模块
US20130250496A1 (en) Display apparatus
JP7143230B2 (ja) 車両用内装装置
CN213241270U (zh) 门禁开关和门禁系统
EP3468324B1 (en) Electronic device
JP2007131167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6747251B2 (ja) センタコンソールフロントボックス構造
KR100614236B1 (ko)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컴퓨터
CN115190716A (zh) 一种电子装置
JP2020022047A (ja) アンテナブラケット
JP5722738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