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626B1 -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626B1
KR100417626B1 KR10-2001-0008471A KR20010008471A KR100417626B1 KR 100417626 B1 KR100417626 B1 KR 100417626B1 KR 20010008471 A KR20010008471 A KR 20010008471A KR 100417626 B1 KR100417626 B1 KR 10041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ing
vehicle
displa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8184A (ko
Inventor
박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월드
Priority to KR10-2001-0008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6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6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부공간 상단에 장착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화상시청을 위한 최적의 회전각으로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이 심한 차량이나 기타 유사한 운행수단내에서도 쉽게 유동되거나 관절이 꺽이지 않아 최초의 설정각을 지속적으로 유지토록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본체의 장착면이 자동차 내부의 천정부에 고정되고 , 액정모니터를 포함한 디스플레이부가 본체 후단에 구비된 힌지부를 통해 본체와 체결되며, 이 본체의 저면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간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절첩 삽입되는 통상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고정축부와 회전축부로 구성되고, 이 고정축부의 전단에는 돌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부와 회전축부의 접면에는 상기 돌출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다수의 정지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정한 회전각에서 순간적인 정지동작을 갖도록 하며, 상기 본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단부에서 액정모니터의 화상표시면과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잠금돌기를 형성한 락킹부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A car displayer for smart angle control}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부공간 상단에 장착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화면을 시청하기 위한 최적각도 조절이 용이토록 하고 유동이 많은 차량내에서도 모니터의 관절이 쉽게 꺽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모니터의 최적의 시청각도를 용이하게 설정하기 위해 힌지부가 일정각을 회전후에 순간적인 정지동작을 갖도록 형성시킨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들이 차량을 이용해 여행을 하거나 차량내에서 잠시간의 휴식을 취할 경우 TV나 영화등을 시청하기 위해 장착된 것으로, 자동차 계기판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인 것이었다.
하지만, 이렇게 자동차 계기판의 일측으로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됨으로써 협소한 자동차내부공간에서 공간용적을 더욱더 좁게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또한 통상적으로 운전자의 시각방향에 맞추기 위해 계기판의 일측부로 설치되기 때문에 조수석이나 뒷자석에 착석한 사람들은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기가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특히 레저용벤(RV차량)의 차체 상단에 장착되어 차량의 상단에서 모니터를 하강시켜 화면을 표시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가 발명되어 사용중에 있다.
이러한 차량 상단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차량의 유동으로 인해 사용자가 모니터를 적절한 시청각으로 회전,설정후에도 쉽게 관절이 꺽이거나 자동차와 함께 유동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차량의 상단에 설치되므로 화상의 시청을 끝낸 후에는 통상적으로 상기 모니터를 장치의 본체부에 고정시키는 락킹(KNOCKING)부를 사용해 차량상단에 절첩,고정시키게 되며, 사용자가 화상의 시청을 위해 상기한 락킹부를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모니터가 차량 상단에서 돌출 하강하여 디스플레이장치 자체의 파손의 위험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칫 상해를 입을 위험이 발생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한 락킹부에 의해 고정되는 모니터의 고정홈부가 통상적으로 화상표시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됨으로써 시각적으로 좋지 않은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힌지부의 회전축부와 고정축부의 접면에 각각 정지돌기와 이에 대응되는 다수의 정지홈부을 형성시키고 모니터의 화상표시면과 타측방인 일측면으로 락킹부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형성시켜 상기한 종래의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화상시청을 위한 최적의 회전각으로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이 심한 차량이나 기타 유사한 운행수단내에서도 쉽게 유동되거나 관절이 꺽이지 않아 최초의 설정각을 지속적으로 유지토록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간부에 삽입,고정된 디스플레이부를 용이하게 하부로 인출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상기한 락킹부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홈부가 모니터의 화상표시면과 동일면에서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화상표시면의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락킹부가 장착된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의 락킹부의 분해 사시도.
도 3b는 락킹부의 개략적 단면도.
도 3c는 힌지부의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본체
11 : 동작버튼 12 : 장착홈
13a: 제1고정홈 13b: 제2고정홈
14a: 제1고정편 14b: 제2고정편
15 : 삽입공간부
2 : 디스플레이부
21 : 액정모니터 22 : 고정홈
3 : 힌지부
31 : 고정축부 31a : 돌출돌기32 : 회전축부 32a : 정지홈부
33 : 고정너트
4 : 락킹부
41 : 가압부 411: 고정돌기
412: 고정봉 413: 가압턱
414: 스프링
42 : 고정부 421: 고정돌기
422: 지지턱 423: 잠금돌기
A : 저면부 B : 장착면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구성부를 도시한 상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도시된 장착면(B)이 차량의 상단에 접하도록 부착 또는장착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도 1에서는 그 구성부의 설명을 위해 상기 장착면(B)이 하부에 위치하고 저면부(A)가 상부에 위치토록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장착면(B)이 자동차의 내측공간부 상단에 고정되고, 저면부(A)의 내측으로는 삽입공간부(15)가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삽입공간부(15)로 절첩, 삽입되는 디스플레이부(2)와; 이 디스플레이부(2)를 삽입공간부(15)로 절첩시키기 위한 힌지부(3)와; 상기 삽입공간부(15)로 절첩된 디스플레이부(2)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재차 하강,회전함을 방지키 위한 락킹부(4)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의 저면부(A) 전단에는 다수의 동작버튼(11)과 상기 락킹부(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부(15)에는 장착면(B)으로 관통 형성된 다수의 장착홈(12)이 형성되어 통상의 볼트 및 나사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해 차량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는 본체(1)의 저면부(A) 후단에 형성된 회전홈부에 고정된 힌지부(3)와 그 일측면이 고정되며, 상기 본체(1)와의 접면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통상의 액정모니터(21)가 장착되며, 상기 화상표시면과 타측면을 형성한 디스플레이부(2)의 전단면에는 화상표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락킹부(4)가 동작되기위한 고정홈(22)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락킹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이하 락킹부의 구성을 설명토록 하겠다.
상기 도 2는 도 1에서 미 도시된 본 발명의 장착면(B)을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락킹부는 본체(1)의 전단에 형성된 제2고정홈(13b)에 장착되는 고정부(42)와; 본체(1)의 전단에 형성된 제1고정홈(13a)에 장착되는 가압부(41)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42)의 하단에는 본체(1)의 삽입공간부(15)로 돌출된 잠금돌기(423)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고정홈(22)에 대응되고, 상기 잠금돌기(423)에 대향되는 상단부에는 장착면(B)에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422)이 형성되며, 이 지지턱(422)의 양측방으로는 상기 본체의 장착면(B) 상단에 형성된 제2고정편(14b)과 힌지결합하는 고정돌기(421)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41)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42)의 지지턱(422)에 수직방향으로 접하는 가압턱(413)이 형성되고, 가압부(41)의 전단면에는 상기 고정부(42)의 후단면을 가압하는 스프링(414)이 끼워지는 고정봉(412)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고정돌기(411)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의 장착면(B) 하단에 형성된 제1고정편(14a)과의 힌지결합을 통해 상기 고정부(42)를 가압하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락킹부의 락킹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락킹부의 해제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최초 디스플레이부(2)의 고정홈(22)과 락킹부(4)의 잠금돌기(423)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는 삽입공간부(15)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락킹부(4)를 해제하여 디스플레이부(2)를 하측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과정을 이하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41)의 후단에 형성된 돌출부에 힘(P)을 가하게 되면 전단 상측에 형성된 가압턱(413)이 상기 고정부(42)의 지지턱(422)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부(42)는 제2고정편(13b)과의 힌지결합을 통해 잠금돌기(423)가 회전하여 후단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 잠금돌기(423)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고정홈(22)에서 인출됨과 동시에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는 중력에 의해 본체(1)의 삽입공간부(15)를 벗어나게 된다.
상기 스프링(414)은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41)를 누름과 동시에 상기 잠금돌기(423)가 후퇴한 길이만큼 신장이 축소되어 반발력(R)으로 상기 고정부(42)의 후단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가 락킹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고정부(42)은 상기 스프링(414)에 의해 그 위치가 원상회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가 본체(1)의 삽입공간부(15)로 재차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락킹의 해제과정과 동일한 과정이 행해진다.
도 3c는 본 발명의 힌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힌지부(3)는 상기 본체(1)에 고정되는 고정축부(3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에 고정되는 회전축부(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부(31)의 단부에는 돌출돌기(31a)가 형성되고, 회전축부(32)의 접면에는 상기 돌출돌기(31a)와 대응되는 정지홈부(32a)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부(2)의 각도를 조절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측에 고정되는 회전축부(32)가 고정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돌출돌기(31a)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정지홈부(32a)에 순차적으로 고정 및 분리됨으로써 일정한 각도에서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상기와 같이 돌기와 홈을 이용한 회전제어방식은 산업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공지기술이며, 돌출돌기의 결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돌출돌기와 정지홈부의 접촉면을 만곡되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고정축부(31)의 끝단에는 고정너트(33)가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부(32)를 회전시키기 위한 최소힘을 조절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저면부(A)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홈(12)을 통해 저면부(A)는 자동차의 상단 천정부에 볼트 또는 나사등의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가 최초 락킹부(4)를 해제하면 디스플레이부(2)가 자유낙하하여 제1설정각에서 최초의 순간적인 정지동작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락킹부(4)를 가압하여 락킹을 해제하면 디스플레이부(2)는 중력에 의해 힌지부(3)의 고정축(A: 도 3c 참조)을 중심으로 화살표방향(L)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3)에서 돌출돌기가 정지홈부에 고정되는 순간 상기 디스플레이부(2)는 최초 제1설정각(45도 내외)에서 정지된다.또한, 사용자가 정지된 디스플레이부(2)를 손으로 잡아당겨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돌출돌기가 또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정지홈부에 고정되어 제2설정각(135도 내외)에서 정지되는데, 이러한 제2설정각(135도 내외)은 사용자가 표시되는 화상을 최적의 상태로 감상할 수 있는 일반적인 각도로 설정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설정각 이상으로 디스플레이부(2)가 회전했을 경우에는 돌출돌기가 제2설정각에 해당하는 정지홈부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부(2)의 자중 또는 차량의 유동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화살표방향(N)으로 하강하여 제2설정각으로 자동고정된다.
또한, 상기 설정각은 정지홈부의 갯수와 형성간격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그 간격을 조밀하게 형성할수록 설정각이 증가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회전각도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동이 심한 차량내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쉽게 흔들리거나 설정각이 변동되지 않으므로, 차량뿐만 아니라 기타 운행수단내에서도 본 발명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구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회전각을 매번 조절할 필요가 없이 최초 설정된 최적의 회전각으로 상기 모니터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
유동이 심한 차량내에서도 디스플레이부의 유동과 최초 설정각의 변동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락킹부의 해제 후 디스플레이부의 최초 회전시 발생하는 급격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고장 및 인체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락킹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고정홈부가 화상표시면의 타측면인 디스플레이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볼 수 없으므로 시각적인 효과를 가지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본체(1)의 장착면(B)이 자동차 내부의 천정부에 고정되고 , 액정모니터(21)를 포함한 디스플레이부(2)가 본체(1) 후단에 구비된 힌지부(3)를 통해 본체(1)와 체결되며, 이 본체(1)의 저면부(A)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간부(15)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가 절첩 삽입되는 통상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3)는 고정축부(31)와 회전축부(32)로 구성되고, 이 고정축부(31)의 전단에는 돌출돌기(31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부(31)와 회전축부(32)의 접면에는 상기 돌출돌기(31a)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다수의 정지홈부(32a)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가 일정한 회전각에서 순간적인 정지동작을 갖도록 하며,
    상기 본체(1)의 전단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전단부에서 액정모니터(21)의 화상표시면과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홈(2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잠금돌기(423)를 형성한 락킹부(4)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4)는 하단으로 본체(1)의 제2고정홈(13b)을 통해 삽입공간부(15)로 돌출된 잠금돌기(423)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턱(422)이 형성되며, 이 지지턱(422)의 양측으로는 고정돌기(421)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의 장착면(B) 상단에 형성된 제2고정편(14b)과의 힌지결합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를 삽입공간부(15)에 고정,해제시키는 고정부(42)와; 본체(1)의 전단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13a)에 삽입되고,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42)의 지지턱(422)에 수직방향으로 접하는 가압턱(413)이 형성되며, 전단면에 형성된 고정봉(412)에는 상기 고정부(42)의 전단부를 가압하는 스프링(414)이 고정되며, 양측으로는 고정돌기(411)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의 장착면(B) 하단에 형성된 제1고정편(14a)과의 힌지결합을 통해 상기 고정부(42)를 가압하는 가압부(4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1-0008471A 2001-02-20 2001-02-20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1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471A KR100417626B1 (ko) 2001-02-20 2001-02-20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471A KR100417626B1 (ko) 2001-02-20 2001-02-20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347U Division KR200232164Y1 (ko) 2001-02-20 2001-02-20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184A KR20020068184A (ko) 2002-08-27
KR100417626B1 true KR100417626B1 (ko) 2004-02-11

Family

ID=2769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471A KR100417626B1 (ko) 2001-02-20 2001-02-20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03Y1 (ko) * 2009-12-07 2011-10-07 (주)정인일렉텍 숨김기능이 구비된 부착식 안내판
KR101692756B1 (ko) 2015-10-27 2017-01-04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567B1 (ko) * 2004-12-22 2006-07-31 이화트론 주식회사 차량 천정 매설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6999B1 (ko) * 2005-01-27 2007-10-15 동양전자(주)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047245A1 (en) * 2013-09-25 2015-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ing bar for a comput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7048U (ko) * 1985-02-16 1986-08-26
KR19980056666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텔레비젼 고정장치
KR20000002803U (ko) * 1998-07-10 2000-02-07 김영환 차량용 tv 모니터의 개/폐장치
JP2000221901A (ja) * 1999-01-29 2000-08-11 Sony Corp 自己収納機能付きの表示装置
KR200220918Y1 (ko) * 2000-11-06 2001-04-16 동양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텔레비젼의 고정브라켓
JP2001223962A (ja) * 2000-02-09 2001-08-17 Alpine Electronics Inc 回動式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7048U (ko) * 1985-02-16 1986-08-26
KR19980056666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텔레비젼 고정장치
KR20000002803U (ko) * 1998-07-10 2000-02-07 김영환 차량용 tv 모니터의 개/폐장치
JP2000221901A (ja) * 1999-01-29 2000-08-11 Sony Corp 自己収納機能付きの表示装置
JP2001223962A (ja) * 2000-02-09 2001-08-17 Alpine Electronics Inc 回動式電子機器
KR200220918Y1 (ko) * 2000-11-06 2001-04-16 동양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텔레비젼의 고정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03Y1 (ko) * 2009-12-07 2011-10-07 (주)정인일렉텍 숨김기능이 구비된 부착식 안내판
KR101692756B1 (ko) 2015-10-27 2017-01-04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184A (ko) 200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866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42840B1 (ko)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00607505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CN1728285B (zh) 用来调节显示装置角度的装置及其连接支架
TWI357473B (en) Display device
EP2302280B1 (en)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US7502219B2 (en) Thin display device
KR100417626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371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07683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20030025988A (ko) 텔레비젼용 벽걸이 장치
KR200232164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JPH027082A (ja) 液晶表示装置及び乗用車
JPH10333596A (ja) 自動車用lcd装着構造
CN213035723U (zh) 显示装置及具有其的影音娱乐系统和车辆
CN207319595U (zh) 一种可曲面变形的显示器装置
JPH02303945A (ja) 画像表示装置
KR200294961Y1 (ko) 차량용 모니터 장치
KR200241393Y1 (ko)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KR100366410B1 (ko)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CN110566781B (zh) 一种显示器底座和显示器
JP2003073057A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画像表示器
CN213276756U (zh) 一种具有监护功能的行车记录仪
JPH08307977A (ja) 表示器付マイクロホン
KR100607207B1 (ko) 벽걸이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