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393Y1 -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393Y1
KR200241393Y1 KR2020010012258U KR20010012258U KR200241393Y1 KR 200241393 Y1 KR200241393 Y1 KR 200241393Y1 KR 2020010012258 U KR2020010012258 U KR 2020010012258U KR 20010012258 U KR20010012258 U KR 20010012258U KR 200241393 Y1 KR200241393 Y1 KR 200241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nit
rod
coupled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아정밀
Priority to KR2020010012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393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CD,PDP(plasma display panel) TV나 모니터등의 표시장치를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한 천정고정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표시장치를 연동시키되, 자동과 수동의 조작방법이 모두다 사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 상.하 각도조절부, 좌.우 회전부 및 승.하강부로 구성되어 LCD,PDP(plasma display panel) TV나 모니터등의 표시장치를 천정에 고정하되 자유롭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PDP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천정고정유니트의 경우 각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예측하지 못한 사고에 의해 고가의 표시장치가 떨어질 경우 이를 방지시키기 위한 예방수단이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튼튼한 천정고정체에 LCD 표시장치이나 특히 PDP 표시장치을 결합한 연장봉을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결합시되 모터를 이용 자동과 수동으로 높이 조절을 자유롭게 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표시장치 상.하 각도조절부와 좌.우 회전부 및 승.하강부로 다시 구획되 표시장치의 각도 조절을 자동과 수동으로 자유롭게 조절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유니트는 부피가 큰 PDP 표시장치를 모든 사람의 시각에 가장 잘 보이는 형태인 천정에 설치할 수 있게한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고안의 천정 고정유니트에 설치된 표시장치는 상.하 운동, 그리고상.하.좌.우의 움직임이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제어가능하여, 시청각도를 관람자 위주로 변경가능하다.

Description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Unit to fix PDP moniter}
본 고안은 LCD,PDP(plasma display panel) TV나 모니터등의 표시장치를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한 천정고정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표시장치를 연동시키되, 자동과 수동의 조작방법이 모두다 사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 상.하 각도조절부, 좌.우 회전부 및 승.하강부로 구성되어 LCD,PDP(plasma display panel) TV나 모니터등의 표시장치를 천정에 고정하되 자유롭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PDP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이다.
일반적으로 TV나 모니터등의 표시장치는 현재까지 계속 개발되고 있는데, 크게 일반적인 브라운관 형태와 LCD(liquid crystal digital) 그리고 PDP(plasma display panel)형태로 발전되오고 있다.
이들중 일반적인 브라운관의 형태는 앞으로 그 사용이 현저히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표시장치로 대략 36인치가 가장 큰 형태로 제작 판매되고 있다.
다음은 LCD 모니터형 표시장치는 소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략 29 인치가 가장 큰 형태로 제작 판매되고 있다.
끝으로 PDP(plasma display panel) 모니터형 표시장치는 대형에서 많이 사용될 품목으로 현재 우리에게 광고된 벽걸이용 TV를 위한 표시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 PDP 표시장치는 전기의 방전(妨電)에 의한 발광을 이용하여 글자. 화상을 표시하는 박형(薄型)의 표시장치이다.
따라서 이 표시장치는 대략 40~80인치 정도의 대형인 형태로 생산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각종의 표시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은 많이 있어 왔으나, 가장 많은 사람이 주위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받으며 시청할 수 있는 형태인, 천정위에 설치하는 방법은 개발이 미비했다.
즉, 종래의 표시장치 천정고정 유니트는 대개 일단한번 설치되어 고정되면 표시장치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사용자 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어왔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의 경우 무거운 PDP(plasma display panel) 모니터형 표시장치를 천정에 걸기에는 무리가 많았다.
더불어 PDP(plasma display panel) 표시장치가 만일 떨어지면 인명을 위협하는 대형의 사고를 유발할 소지도 있고, 떨어져 부서진 PDP 표시장치는 고가이기에 경제적으로도 그 손실이 막대하다.
즉, 종래의 고정유니트의 경우 이러한 만일의 사태를 대비한 예방수단이 전혀 없었다.
마지막으로 자동으로 표시장치의 시청각도를 조절해 주는 유니트는 그 개발이 미비했다.
본 고안은 튼튼한 천정고정체에 LCD 표시장치이나 특히 PDP 표시장치을 결합한 연장봉을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결합시되 모터를 이용 자동과 수동으로 높이 조절을 자유롭게 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표시장치 상.하 각도조절부와 좌.우 회전부 및 승.하강부로 다시 구획되 표시장치의 각도 조절을 자동과 수동으로 자유롭게 조절하고자 한다.
더불어 천정 고정체의 고정관과 연장봉에는 낙하방지를 위한 제어수단을 구성시켜 만일 발생될 수 있는 표시장치의 낙하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니트를 도시한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승하강부의 모습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좌.우 회전부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하 각도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본 고안은 LCD,PDP 표시장치를 천정에 설치시키기 위한 고정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다.
체결수단(12)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는 체결판(11)과, 양측면에 각각 장형의 가이드공(14)이 형성되어 체결판(11)의 정중앙에 일체된 고정관(13)으로 구성된 천정 고정체(10)와;
이 고정관(13)에 봉의 형태로 끼워지되 그 봉의 최 상단에 돌출가이드구(21)를 대응되게 2개 형성시키고, 그 일측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며 렉기어(22)를 형성시키어 타측선단부는 회전봉(42)과 볼트 결합된 연장봉(20)과;
상기의 고정관(13)의 외주면 적당부위에 결합된 승하강부(30)와;
이들을 승하강부의 피니언기어(33)와 연장봉(20)의 레크기어(22)간을 장형의 가이드공(14)을 통해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연장봉(20)의 일측 선단에 고정볼트(45)로 결합되고, 표시장치의 회전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봉(42)과;
상기의 연장봉(20)과 회전봉(42) 사이에 결합된 좌.우 회전부(40)와;
회전봉(42)의 끝단에 구성되어 표시장치(1)와의 연결을 도모하는 상.하 각도조절부(50)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표시장치(40)를 승.하강 및 상.하.좌.우. 연동운동 가능하게 천정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승하강부(30)는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 진다.
고정관(13)의 일측에는 수동동작 핸들(31')과 그 축에 클러치(32)가 결합된 자동, 수동 겸용의 승하강모터(31)와;
클러치축에 구성된 피니언기어(33)와;
연장봉(20)의 일측에 구성된 렉크기어(22)가;
고정관(13)의 장형의 가이드공(14)을 통해 피니언기어(33)와 렉크기어(22)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승하강 작동을 하고;
연장봉(20)의 상단의 양측면에 돌출된 돌출가이드구(21)와;
고정관(13)에 형성된 양측면의 가이드공(14)은;
서로 대응되어 돌출가이드구(21)가 가이드공(14) 끝단에서 정지되어 낙하방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좌.우 회전부(40)는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 진다.
연장봉(20)과 회전봉(42)과의 결합을 위해 연장봉(20)의 내측에 끼워져 회전봉(42)의 볼트구멍(46)에 결합되는 고정볼트(45)와;
회전봉(42)의 볼트구멍(46)이 형성된 상단에 돌출 성형된 각을 가지고, 제 2기어(43')가 끼워지는 기어 삽입구(43)와;
연장봉(20)과 회전봉(42)의 부드러운 결합을 위해 형성된 연결관(44)과;
연장봉(20)의 일측에는 수동동작 핸들(41')과 그 축에 제 1기어(43)가 결합된 자동, 수동 겸용의 좌.우 회전모터(41)와;
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이 회전봉(42)의 회전으로 결과 되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의 상.하 각도조절부(50)는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 진다.
회전봉(42)의 끝단에 구성하되, 수동동작 핸들(51')과 그 축에 볼트 구성이 된 자동, 수동 겸용의 상.하 각도조절을 위한 연동모터(51)와;
표시장치가(1) 체결될 표시장치 체결판(57)과;
이상의 회전봉(42)과 체결판(57) 과는 연결구(58)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키되, 회전축(59) 결합하여 체결판(57)이 상.하 연동가능 하게 하고;
체결판(57)의 중심부에 일체된 관의 형태의 가이드구(56)와;
가이드구(56)의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끼워진 슬라이딩구(55)와;
상기의 상.하 연동모터(51)의 축에 형성된 볼트부(52)에 끼워진 너트구(53)가;
서로 너트구(53)와 슬라이딩구(55)를 회동힌지(54)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모터의 축회전이 너트구(53)를 승.하강시키고 슬라이딩구(55)를 연동시켜, 결과적으로 표시장치의 체결판(57)이 회전축(59)을 중심으로 상.하 연동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고, 하기에는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시된 도 1에서 보이듯, LCD(liquid crystal digital) 표시장치나 특히 PDP(plasma display panel) 표시장치를 천정에 메달아 시청자들에게 보다 높은 관람의 효과를 주기위한 고정유니트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시된 도 1에서 처럼 천정에 체결수단(12)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천정고정체(10)와 여기에 끼워 결합된 연장봉(20) 그리고 승하강부(30), 좌.우 회전부(40) 및 상.하 각도조절부(50)등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특색이 있는 부분은 혹시 발생될 수 있는 표시장치(1)의 낙하에 대비하고, 승하강을 유도하는 승.하강부(30)와, 표시장치(1)의 좌.우 회전을 위한 좌.우 회전부(40), 상.하 연동을 위한 표시장치 상.하 각도조절부(50)로 구성된다(도 1에 얇은 일점쇄선으로 블럭된).
따라서 이 수순으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나열한다.
- 승.하강부(30; 도 1,2에 도시) -
본 고안의 승하강부(30;도 1, 2에 얇은 일점쇄선으로 블럭된)는 천정고정체(10)의 고정관(13)의 비교적 하부에 수동조작 핸들(31')이 구성된 승하강모터(31)에 의해 작동된다.
모터의 축에는 클러치(32)가 구성되어 모터의 회전을 적당하게 변속하고, 방향을 전환시킨다.
이 클러치축에는 도 1, 2에 도시된 형상의 피니언 기어(33)가 구성된다.
이 피니언기어(33)는 고정관(13)의 양측면에 구성된 가이드공(14)중 연장봉(20)의 렉크기어(22)가 들여다 보이는 가이드공(14)에 끼워져 렉크기어(22)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모터(31)의 회전을 연장봉(20)의 승.하강운동이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연장봉(2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가이드구(21)는 고정관(13)에 형성된 쌍의 가이드공(14)에 하나씩 끼워져 연장봉(20)의 연직운동을 안내하는 제 1작용을 하고, 불의의 사고시 돌출가이드구(21)가 가이드공(14)의 끝단에 걸려 더 이상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제어수단이 된다.
또한 도 1, 2에 도시된 듯이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모터들에는 모두 수동 동작핸들(31')이 형성되어 있기에 리모컨에 의한 자동조절 뿐만아니라, 핸들을 돌리는 수동조작도 가능하게한 고안이다.
- 표시장치의 좌.우 회전부(40; 도 1,3에 도시) -
도 1, 3에 도시된 좌.우 회전부(40)는 연장봉(20)과 회전봉(42) 사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되, 회전봉(42)을 적절히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듯이, 연장봉(20)의 내측에는 끼워진 고정볼트(45)는 회전봉(42)에 구성된 볼트구멍(46)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봉(42)의 상단 즉, 볼트구멍(46)이 뚫린 부분에는 제2기어 삽입구(47)가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도 3의 일점쇄선으로 블럭처리된 부분에 도시된 제2기어 삽입구(47)는 평면이 4각형인 돌출구이다.
따라서 이 4각의 돌출구에 4각의 끼움공이 구성된 제 2기어(43')가 끼워져 기어의 회전이 회전봉(42)의 회전이 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도시된 4각의 돌출구는 본 고안에 있어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기에, 이 삽입구(47)는 6각, 8각등 각진 형상이면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겠다.
각설하고 제 2기어(43')에 맞물린 제 1기어(43)는 그 축이 수동 작동핸들(41')이 구성된 좌.우 회전모터(41)가 결합되어 있기에 모터(41)의 회전이 표시장치의 좌.우 회전으로 결과 되어진다.
물론 전술된 승.하강부(30)와 동일하게 좌.우회전모터(41)의 경우도 리모컨에 의한 자동제어 뿐만아니라, 수동으로 동작가능하다.
- 표시장치의 상.하 각도조절부(50; 도 1,4에 도시) -
상.하 각도조절부(50)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표시장치(1)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하 연동시키기위한 구성이다.
도시된 도 4(a)에서 보이듯 표시장치가 부착될 체결판(57)에는 연결구(58)와 가이드구(59)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구(58)는 회전축(59)을 이용 회전봉(42)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구(56)에는 상.하연동모터(51)와 유기적인 연결을 가져올 슬라이딩구(55)가 끼워져 있다.
즉, 회전봉(42)의 선단에 결합된 수동 동작핸들(51')이 형성된 상.하연동모터(51)의 회전축에는 볼트부(52)가 구성되어 있고, 이 볼트부(52)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듯이 너트구(53)가 끼워진다.
또한 이 너트구(53)와 전술된 슬라이딩구(55)는 회동힌지(5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도 4(a)에 위치한 표시장치를 상.하 연동시키기 위해 모터의 회전을 가하면 너트구(53)는 하강하고, 슬라이딩구(55)는 회동하며 적절한 자기의 위치를 찾아 가이드구(56)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 힘이 표시장치를 회전축(59)을 중심으로 연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4(b)에 도시된 것이 이처럼 연동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본 고안의 다른 구성과 마찬가지로 상.하 각도조절부(50)는 자동과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다.
부피가 큰 PDP 표시장치를 모든 사람의 시각에 가장 잘 보이는 형태인 천정에 설치할 수 있게한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고안의 천정 고정유니트에 설치된 표시장치는 상.하 운동, 그리고 상.하.좌.우의 움직임이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제어가능하여, 시청각도를 관람자 위주로 변경가능하다.
더불어 본 고안에 설치된 표시장치는 관람자에게 좋은 시청효과를 주며, 낙하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 시킨 훌륭한 고안이다.

Claims (4)

  1. LCD,PDP 표시장치를 천정에 설치시키기 위한 고정유니트에 있어서,
    체결수단(12)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는 체결판(11)과, 양측면에 각각 장형의 가이드공(14)이 형성되어 체결판(11)의 정중앙에 일체된 고정관(13)으로 구성된 천정 고정체(10)와;
    이 고정관(13)에 봉의 형태로 끼워지되 그 봉의 최 상단에 돌출가이드구(21)를 대응되게 2개 형성시키고, 그 일측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며 렉기어(22)를 형성시키어 타측선단부는 회전봉(42)과 볼트 결합된 연장봉(20)과;
    상기의 고정관(13)의 외주면 적당부위에 결합된 승하강부(30)와;
    이들을 승하강부의 피니언기어(33)와 연장봉(20)의 레크기어(22)간을 장형의 가이드공(14)을 통해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연장봉(20)의 일측 선단에 고정볼트(45)로 결합되고, 표시장치의 회전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봉(42)과;
    상기의 연장봉(20)과 회전봉(42) 사이에 결합된 좌.우 회전부(40)와;
    회전봉(42)의 끝단에 구성되어 표시장치(1)와의 연결을 도모하는 상.하 각도조절부(50)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표시장치(40)를 승.하강 및 상.하.좌.우. 연동운동 가능하게 천정에 고정함에 특징이 있는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승하강부(30)는,
    고정관(13)의 일측에는 수동동작 핸들(31')과 그 축에 클러치(32)가 결합된 자동, 수동 겸용의 승하강모터(31)와;
    클러치축에 구성된 피니언기어(33)와;
    연장봉(20)의 일측에 구성된 렉크기어(22)가;
    고정관(13)의 장형의 가이드공(14)을 통해 피니언기어(33)와 렉크기어(22)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승하강 작동을 하고;
    연장봉(20)의 상단의 양측면에 돌출된 돌출가이드구(21)와;
    고정관(13)에 형성된 양측면의 가이드공(14)은;
    서로 대응되어 돌출가이드구(21)가 가이드공(14) 끝단에서 정지되어 낙하방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좌.우 회전부(40)는,
    연장봉(20)과 회전봉(42)과의 결합을 위해 연장봉(20)의 내측에 끼워져 회전봉(42)의 볼트구멍(46)에 결합되는 고정볼트(45)와;
    회전봉(42)의 볼트구멍(46)이 형성된 상단에 돌출 성형된 각을 가지고, 제 2기어(43')가 끼워지는 기어 삽입구(43)와;
    연장봉(20)과 회전봉(42)의 부드러운 결합을 위해 형성된 연결관(44)과;
    연장봉(20)의 일측에는 수동동작 핸들(41')과 그 축에 제 1기어(43)가 결합된 자동, 수동 겸용의 좌.우 회전모터(41)와;
    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이 회전봉(42)의 회전으로 결과 되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하 각도조절부(50)는,
    회전봉(42)의 끝단에 구성하되, 수동동작 핸들(51')과 그 축에 볼트 구성이 된 자동, 수동 겸용의 상.하 연동모터(51)와;
    표시장치가(1) 체결될 표시장치 체결판(57)과;
    이상의 회전봉(42)과 체결판(57) 과는 연결구(58)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키되, 회전축(59) 결합하여 체결판(57)이 상.하 연동가능 하게 하고;
    체결판(57)의 중심부에 일체된 관의 형태의 가이드구(56)와;
    가이드구(56)의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끼우진 슬라이딩구(55)와;
    상기의 상.하 연동모터(51)의 축에 형성된 볼트부(52)에 끼워진 너트구(53)가;
    서로 너트구(53)와 슬라이딩구(55)를 회동힌지(54)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모터의 축회전이 너트구(53)를 승.하강시키고 슬라이딩구(55)를 연동시켜, 결과적으로 표시장치의 체결판(57)이 회전축(59)을 중심으로 상.하 연동 할 수 있도록 된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KR2020010012258U 2001-04-27 2001-04-27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KR200241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58U KR200241393Y1 (ko) 2001-04-27 2001-04-27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58U KR200241393Y1 (ko) 2001-04-27 2001-04-27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393Y1 true KR200241393Y1 (ko) 2001-10-12

Family

ID=7310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258U KR200241393Y1 (ko) 2001-04-27 2001-04-27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3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717A1 (ko) * 2017-01-24 2018-08-02 주식회사 탑시스템 기어 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링크
WO2018139716A1 (ko) * 2017-01-24 2018-08-02 주식회사 탑시스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8139718A1 (ko) * 2017-01-24 2018-08-02 주식회사 탑시스템 링크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717A1 (ko) * 2017-01-24 2018-08-02 주식회사 탑시스템 기어 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링크
WO2018139716A1 (ko) * 2017-01-24 2018-08-02 주식회사 탑시스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8139718A1 (ko) * 2017-01-24 2018-08-02 주식회사 탑시스템 링크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CN110199515A (zh) * 2017-01-24 2019-09-03 Top系统株式会社 采用连杆结构的吊顶型显示器位置调整装置
CN110199516A (zh) * 2017-01-24 2019-09-03 Top系统株式会社 吊顶型显示器位置调整装置
US10927997B2 (en) 2017-01-24 2021-02-23 Top System Co., Ltd Ceiling-type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link employing gear structure
US11089257B2 (en) 2017-01-24 2021-08-10 Tae Wook Kang Ceiling-type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US11156323B2 (en) 2017-01-24 2021-10-26 Top System Co., Ltd. Ceiling-type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employing link structure
CN110199515B (zh) * 2017-01-24 2021-10-26 Top系统株式会社 采用连杆结构的吊顶型显示器位置调整装置
CN110199516B (zh) * 2017-01-24 2021-11-05 Top系统株式会社 吊顶型显示器位置调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444B1 (ko)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
US7490804B2 (en) Mount system for a monitor having a motorized tilt
JP4547425B2 (ja) 壁掛式表示装置の角度調節装置
KR100801251B1 (ko)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
KR100836966B1 (ko)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조절장치
US20070235609A1 (en) Automatic wall mounting system for wall-mounted TV
KR101725118B1 (ko) 기어 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링크
US20110248128A1 (en) Low Profile Motorize Tilt Mount
US20090050757A1 (en) Mount System Adapted to Rotate and Extend a Monitor
US6918562B2 (en) Device for combin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displaying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US20090290077A1 (en) Display and Television Set
AU2003261591A1 (en) Thin display device
JP2007259452A (ja) 壁掛け型テレビの画面位置調節装置
KR100383888B1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KR200441352Y1 (ko) 벽걸이 티브이의 자동 시청각 조절장치
KR200241393Y1 (ko)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KR20210016239A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의 틸팅장치
US8941978B2 (en) Flat panel display remote-controlled viewing angle adjustment system
KR200241394Y1 (ko)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KR20030020642A (ko) 디스플레이 제품의 기둥형 고정장치
US7857265B1 (en) Swinging mount for flat panel TV
KR100838592B1 (ko) 디스플레이 틸팅장치 및 디스플레이 회동장치
KR200241392Y1 (ko)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KR200248227Y1 (ko) 표시장치의 벽면 고정유니트
KR100679991B1 (ko)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