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236B1 -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컴퓨터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236B1
KR100614236B1 KR1019980045543A KR19980045543A KR100614236B1 KR 100614236 B1 KR100614236 B1 KR 100614236B1 KR 1019980045543 A KR1019980045543 A KR 1019980045543A KR 19980045543 A KR19980045543 A KR 19980045543A KR 100614236 B1 KR100614236 B1 KR 100614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housing
computer
keyboard assembly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7588A (ko
Inventor
최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5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2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9Arrangements for locking plugged peripheral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는 컴퓨터의 베이스 하우징에/으로부터 키보드를 용이하게 결합/분리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는 판 스프링을 사용하고,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록킹 장치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 록킹 장치의 조립 구조가 단순하므로, 록킹 장치의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고, 그 시간도 매우 적게 소요된다. 컴퓨터는 하우징, 키보드 어셈블리, 마우팅 부재, 홀딩 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포켓이 형성되고, 키보드 어셈블리는 포켓에 분리가능하도록 수용된다. 마운팅 부재는 포켓에서 키보드 어셈블리를 분리가능하도록 고정한다. 마운팅 부재는 시트, 제 1 오프닝, 제 1 록킹 부재를 구비한다. 시트는 키보드 어셈블리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제 1 록킹 부재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켓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 1 오프닝을 통하여 시트에 결합 분리되므로써 키보드 어셈블리를 고정하고 분리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컴퓨터{A COMPUTER WITH A LOCKING APPARATUS FOR A REMOVABLE KEYBOARD}
본 발명은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점 대중화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소형 휴대형 컴퓨터는 베이스 하우징과 리드부를 갖는다. 상기 리드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피벗으로 고정된다. 이 피벗 고정은 상기 리드부가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를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상대적인 피벗 운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 닫힌 위치는 상기 리드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윗면을 덮는다. 상기 열린 위치는 상기 리드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윗면을 덮지 않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윗면에 설치한 키보드를 노출시킨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휴대형 컴퓨터들에 결합된 키보드들은 일반적으로 잇단의 작은 스크류들을 사용하여 그들이 결합된 베이스 하우징에서 오프닝들 안에 고정된다. 이것은 베이스 하우징에 키보드를 고정하기 위한 단순하고 확실한 기술이지만, 몇 가지 문제점들과 한계들, 그리고 단점들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상기 키보드를 장착 그리고 분리하기 위하여 스크류드라이버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컴퓨터를 위한 초기의 제조 시간과 그 후에 서비스를 위하여 그것의 분해를 위한 시간 둘다 증가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 상에 키보드를 장착하기 위한 스크류들 등 몇몇의 추가적인 나누어지는 부분들이 필요하다. 이들 작은 고정 부재들은 상기 컴퓨터의 내부 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실패하기 쉽고, 그들의 위치는 수리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설치된 장착 스크류들은 심미적인 관점에서 상기 컴퓨터의 구매자들 또는 사용자들에 의해서 보이지 않도록 된다. 상기 스크류들의 은폐는 상기 키보드를 분리하려고 할 때 빠른 동작이 불가능한 위치에 상기 스크류들이 위치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상기 키보드 장착 구조는 미적으로는 향상되어 있지만, 상기 키보드 장착 구조는 상기 키보드의 장착 그리고 분리를 방해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컴퓨터의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키보드를 분리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키보드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보드를 베이스 하우징에/로부터 결합/분리할 때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키보드 록킹 장치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는 윗면을 갖고, 상기 윗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바닥면과 둘레의 일부를 이루는 그리고 서로 반대되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에 의해서 형성된 소정 크기의 포켓을 갖으며, 상기 제 1 측면과 바닥면의 내부면을 갖는 하우징과; 작동되는 다수 개의 키 요소들이 윗면에 배치되고, 서로 반대되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갖으며, 상기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에 각각 향함으로써 상기 포켓에 보완되도록 수용될 수 있는 키보드 어셈블리와; 상기 포켓에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를 분리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수단 및; 상기 마운팅 수단은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의 제 1 측면에 형성되는 그리고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의 제 2 측면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 1 측면의 내부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와 정렬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제 1 측면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프닝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위치되는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프닝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에 결합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부터 분리한 삽입 위치 중에서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대적인 운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록킹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록킹 부재를 분리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홀딩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록킹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제 1 측면과 바닥면의 내부면들의 일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바닥면의 내부면에서 상기 홀딩 수단에 상기 제 2 부분이 고정되어 상기 제 1 측면의 내부면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부분이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제 1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 1 오프닝에 정렬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탄성력에 의해서 돌출 위치와 삽입 위치로 동작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홀딩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 1 측면과 근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제 2 부분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프닝과; 상기 플레이트의 제 2 부분 상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프닝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스톱퍼 및; 상기 바닥면의 내부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제 2 부분이 상기 제 1 측면의 방향으로부터/으로 결합/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부재를 포함한다. 또, 상기 마운팅 수단은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의 제 2 측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록킹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록킹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제 2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측면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오프닝을 포함한다. 또, 상기 컴퓨터는 휴대형 컴퓨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컴퓨터에 의하면, 컴퓨터의 베이스 하우징(base housing)에/으로부터 키보드를 용이하게 결합/분리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locking apparatus)는 판 스프링(leaf spring or plate spring)을 사용하므로, 록킹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컴퓨터에서 베이스 하우징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이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안정되게 설치되므로,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록킹 장치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록킹 장치의 조립 구조가 단순하므로, 록킹 장치의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고, 그 시간도 매우 적게 소요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10)는 분리가능한 키보드 어셈블리(90)를 위하여 특별하게 디자인된 록킹 수단(70)을 갖고 있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10)는 휴대형 컴퓨터 중에서 대표적으로 보인 실시예로서 다른 형태의 컴퓨터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10)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은 톱 하우징(22)과 바텀 하우징(24)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10)에서 키보드 어셈블리(90) 및 록킹 수단(70)은 상기 톱 하우징(22)에 설치된다. 그러나, 컴퓨터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베이스 하우징의 형태와 구조도 다양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트북 컴퓨터(10)에서 키보드 어셈블리(90)와 록킹 수단(70)은 베이스 하우징(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은 윗면(26), 저면(28), 전면(30), 후면(32), 좌측면(34), 그리고 우측면(36)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윗면(26)에는 포켓(40)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40)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키보드 어셈블리(90)가 분리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상기 포켓(4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윗면(26)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갖는 포켓 바닥면(50)과 둘레를 이루는 포켓 전면(42), 포켓 후면(44), 포켓 좌측면(46), 그리고 포켓 우측면(48)에 의해서 경계되어 진다. 상기 포켓 전면(42)과 후면(44)은 상기 포켓(40)의 둘레의 일부를 이루고 서로 반대되는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에는 상기 포켓 바닥면(50)과 포켓 전면(42)의 내부면들을 갖는다. 즉,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은 상기 포켓(40)의 하부에 내부 공간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는 연산 회로, 입출력 회로, 저장 회로 등 각종 전자 회로들(도시 않음)이 배치될 것이다. 상기 포켓 후면(44)을 지나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에는 후면(32)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켓 후면 오프닝들(52)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 후면 오프닝들(52)은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개수는 2개 내지 4개가 적당할 것이다. 상기 포켓 전면(42)을 지나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에는 전면(30)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켓 전면 오프닝들(54)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 전면 오프닝들(54)은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개수는 1개 또는 2개가 적당할 것이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10)는 직사각형의 리드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상기 리드 하우징(120)은 정면 또는 내부면(122)을 갖는다. 상기 정면 또는 내부면(122)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이 작동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드 하우징(12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후면(32) 부분에 피벗하게 고정된다. 이 피벗 고정은 상기 리드 하우징(120)이 닫힌 위치(도시 않음)와 열린 위치 사이를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에 상대적인 피벗 운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 닫힌 위치는 상기 리드 하우징(120)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윗면(26)을 덮는다. 상기 열린 위치는 상기 리드 하우징(120)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윗면(26)이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10)는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리드 하우징(120)을 해제가능하도록 홀딩하기 위한 적당한 래치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는 상기 포켓(4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는 윗면(92), 저면(94), 전면(96), 후면(98), 좌측면(100), 그리고 우측면(102)을 갖는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 윗면(92)에는 수동으로 누를 수 있는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키 요소들(105)들이 작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윗면(26)에서 상기 포켓(40)에 보완되도록 수용된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는 후면(98)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키보드 어셈블리 탭들(104)을 갖는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 탭들(104)은 상기 포켓 후면 오프닝들(5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포켓 후면 오프닝들(52)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 탭들(104)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개수는 2개 내지 4개로 구성된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포켓(40) 안에 작동하게 배치된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 탭들(104)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포켓 후면(44)에서 상기 포켓 후면 오프닝들(52)에 분리되게 수용된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의 전면(96)에는 시트들(106)이 형성된다. 상기 시트들(106)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포켓 전면 오프닝들(54)에 정렬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시트들(106)은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의 후면(98)을 향하도록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 전면(96)의 내부로 형성된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는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록킹 수단(70)에 의해서 상기 포켓(40)의 내부에 분리되게 고정된다. 상기 시트들(106)은 상기 록킹 수단(70)이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를 록킹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노트북 컴퓨터(10)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에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를 분리되게 고정하기 위한 록킹 수단(7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록킹 수단(7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포켓 바닥면(50)에 형성된 포켓 바닥면 오프닝(56)과 상기 포켓 바닥면의 내부면(51)에 형성된 가이딩 서포트(60a, 60b)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에 결합된다. 상기 포켓 바닥면 오프닝(56)과 상기 가이딩 서포트(60a, 60b)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포켓 전면(42)에 형성된 상기 포켓 전면 오프닝들(54)과 각각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개수는 1개 또는 2개로 형성된다. 상기 록킹 수단(70)은 상기 포켓 전면 오프닝들(54)에 각각 결합되도록 1개 또는 2개로 구성될 것이다. 상기 가이딩 서포트(60a, 60b)는 상기 록킹 수단(70)이 상기 포켓 전면 내부면(43)의 방향으로부터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포켓 바닥면 오프닝(56)은 상기 포켓 전면(42)에 근접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포켓 전면 오프닝(54)에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록킹 수단(70)은 판 스프링(72)과 스프링 탭(84)으로 구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72)은 판 스프링 수평부(74)와 판 스프링 수직부(76)로 구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 수평부(74)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포켓 바닥면 내부면(51)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 수직부(76)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포켓 전면 내부면(43)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판 스프링(72)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갖되, 이 두 부분은 수평부와 수직부를 이루어 그 단면 형상이 " L "을 갖는다. 상기 판 스프링 수평부(74)는 상기 가이딩 서포트(60a, 60b)와 포켓 바닥면 오프닝(56)이 형성된 상기 포켓 바닥면 내부면(51)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 수직부(76)는 상기 포켓 전면 오프닝(54)이 형성된 상기 포켓 전면 내부면(43)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딩 서포트(60a, 60b)는 상기 판 스프링 수평부(74)의 양측면(78, 8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딩 서포트(60a, 60b)는 상기 판 스프링 수평부(74)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 수평부(74)의 윗면(75)에는 스톱퍼(8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82)는 상기 판 스프링 수평부(74)의 윗면(75)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82)는 상기 판 스프링 수평부(74)가 상기 가이딩 서포트(74)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포켓 바닥면 오프닝(56)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톱퍼(82)는 상기 포켓 바닥면 오프닝(56)에 결합되어 상기 판 스프링(70)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판 스프링 수직부(76)의 앞면(77)에는 스프링 탭(84)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탭(84)은 상기 판 스프링(72)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포켓 전면(42)에 형성된 포켓 전면 오프닝(54)을 통하여 상기 포켓(40)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프링 탭(84)은 상기 포켓 전면 오프닝(54)을 통하여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의 시트들(106)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 탭(84)은 상기 판 스프링(72)의 탄성력에 의해서 돌출 위치와 삽입 위치로 동작된다. 상기 돌출 위치는 상기 스프링 탭(84)이 상기 시트들(106)에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삽입 위치는 상기 스프링 탭(84)이 상기 시트들(106)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다.
상기 록킹 수단(70)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록킹 수단(72)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72)과 스프링 탭(84)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72)과 스프링 탭(84)은 별개로 구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판 스프링(72)은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탭(84)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판 스프링(72)의 판 스프링 수직부(76)에는 홀들(112)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탭(84)에는 상기 홀들(112)에 결합되는 폴(pole)(110)을 형성한다. 상기 홀들(112)에 상기 폴(110)을 결합시킨 뒤 열융착 등을 사용하여 상기 폴(110)을 상기 판 스프링 수직부(76)의 뒷면에서 압착시키면, 상기 스프링 탭(84)은 상기 판 스프링(72)에 고정된다.
도 5는 베이스 하우징에서 키보드가 록킹 장치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를 보인 노트북 컴퓨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노트북 컴퓨터(10)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에 형성된 상기 포켓(40)에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를 분리가능하도록 수용한다.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는 마운팅 수단에 의해서 상기 포켓(40)에 분리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상기 마운팅 수단은 포켓 후면 오프닝(52), 키보드 어셈블리 탭(104), 록킹 수단(70), 포켓 전면 오프닝(54) 그리고 시트(106)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수단(70)은 홀딩 수단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홀딩 수단은 포켓 바닥면 오프닝(56), 가이딩 서포트(60a, 60b) 그리고 스톱퍼(8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록킹 수단(7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내부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으므로 제품 외관상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록킹 수단(7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는 펜 등의 끝이 뾰족한 물건 또는 공구 등을 상기 포켓 바닥면 오프닝(56)을 통하여 상기 스톱퍼(82)를 밀면서 상기 판 스프링(72)을 상기 가이드 서포트(60a, 60b)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6은 도 5에서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키보드를 분리하기 위하여 록킹 장치를 해제하는 방법을 보인 노트북 컴퓨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는 펜 등의 끝이 뾰족한 물건 또는 공구(130) 등을 사용하여 상기 포켓(4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공구(130)로 상기 록킹 수단(70)의 스프링 탭(84)을 누르면, 상기 판 스프링(72)은 탄성에 의해서 판 스프링 수직부(76)가 뒤로 밀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 탭(84)은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의 시트(106)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포켓 전면 오프닝(54)을 통하여 상기 포켓(40)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하우징(20)의 내부로 밀려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를 상기 포켓(40)으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90)를 상기 포켓(40)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포켓 바닥면(50) 상에 별도의 판 스프링(도시 않음)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컴퓨터의 베이스 하우징에/으로부터 키보드를 용이하게 결합/분리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는 판 스프링을 사용하므로, 록킹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컴퓨터에서 베이스 하우징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이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안정되게 설치되므로,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록킹 장치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록킹 장치의 조립 구조가 단순하므로, 록킹 장치의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고, 그 시간도 매우 적게 소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록킹 장치를 사용하여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베이스 하우징에 결합시킨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노트북 컴퓨터의 부분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능한 키보드의 록킹 장치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록킹 장치에서 판 스프링과 탭을 구성하는 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록킹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라인 4-4를 절취하여 베이스 하우징에서 키보드가 록킹 장치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를 보인 노트북 컴퓨터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키보드를 분리하기 위하여 록킹 장치를 해제하는 방법을 보인 노트북 컴퓨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트북 컴퓨터 20 : 베이스 하우징
22 : 톱 하우징 24 : 바텀 하우징
26 : 톱 하우징 윗면 40 : 포켓
42 : 포켓 전면 43 : 포켓 전면의 내부면
44 : 포켓 후면 50 : 포켓 바닥면
51 : 포켓 바닥면의 내부면 52 : 포켓 후면 오프닝
54 : 포켓 전면 오프닝 56 : 포켓 바닥면 오프닝
60a, 60b : 가이딩 서포트 70 : 록킹 수단
72 : 판 스프링 74 : 판 스프링 수평부
76 : 판 스프링 수직부 82 : 스톱퍼
84 : 스프링 탭 90 : 키보드 어셈블리
92 : 키보드 어셈블리 윗면 94 : 키보드 어셈블리 바닥면
96 : 키보드 어셈블리 전면 98 : 키보드 어셈블리 후면
104 : 키보드 어셈블리 탭 106 : 시트

Claims (5)

  1. 컴퓨터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포켓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포켓에 수용될 수 있는 키보드 어셈블리와;
    상기 포켓에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를 분리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수단은,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와 정렬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프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록킹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록킹 부재를 분리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딩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록킹 부재 각각은,
    상기 홀딩 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는 일체적으로'L'자형을 이루며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제 1 오프닝에 정렬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시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프링 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딩 수단 각각은,
    상기 제 1 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오프닝과;
    상기 제 1 부분 상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프닝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톱퍼와;
    상기 제 1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서포트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수단은,
    상기 키보드 어셈블리의 측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록킹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록킹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오프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휴대형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KR1019980045543A 1998-10-28 1998-10-28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컴퓨터 KR100614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543A KR100614236B1 (ko) 1998-10-28 1998-10-28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543A KR100614236B1 (ko) 1998-10-28 1998-10-28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588A KR20000027588A (ko) 2000-05-15
KR100614236B1 true KR100614236B1 (ko) 2006-12-04

Family

ID=1955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543A KR100614236B1 (ko) 1998-10-28 1998-10-28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683B1 (ko) 2005-08-26 2012-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착탈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753B1 (ko) * 2004-01-14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광디스크 재생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670A (ja) * 1993-08-31 199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
JPH0883140A (ja) * 1994-09-13 1996-03-26 Sanyo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装置
JPH08147081A (ja) * 1994-11-24 1996-06-07 Sanyo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装置
KR19980019443U (ko) * 1996-10-02 1998-07-15 김광호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장착장치
KR19980027496A (ko) * 1996-10-16 1998-07-15 김광호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670A (ja) * 1993-08-31 199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
JPH0883140A (ja) * 1994-09-13 1996-03-26 Sanyo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装置
JPH08147081A (ja) * 1994-11-24 1996-06-07 Sanyo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装置
KR19980019443U (ko) * 1996-10-02 1998-07-15 김광호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장착장치
KR19980027496A (ko) * 1996-10-16 1998-07-15 김광호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683B1 (ko) 2005-08-26 2012-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착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588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6284A (en) Keyboard mounting apparatus for a portable computer
KR100281539B1 (ko) 첨필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
US6266239B1 (en) Computer access panel having a biased cover latching mechanism and method
US7639506B2 (en) Mounting apparatus for power supply
US6744622B2 (en) Slidable cover mechanism for main unit
US6296334B1 (en) Latch mechanism for a housing
US20070205010A1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20070210684A1 (en) Computer enclosure
US6859355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replaceable touch control module
US7176393B1 (en) Mounting apparatus for keyboard of portable computer
KR20000060316A (ko) 잠금장치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
US6172869B1 (en) Portable computer with bezel snap screw cover and molded spring latch
US6788531B2 (en) Panel mounting apparatus
KR100614236B1 (ko)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컴퓨터
US7974092B2 (en) Computer enclosure with cover mounting apparatus
US6483696B1 (en) Mount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WO2013061798A1 (ja) 内蔵デバイスの着脱作業性に優れたpos端末装置
JP4309732B2 (ja) 情報機器
KR20020020493A (ko) 컴퓨터 본체용 케이싱
KR19980027496A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장착구조
JPH08120806A (ja) 情報入力装置付きパーティション
US5242061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interface cards in a computer housing
KR20080011953A (ko) 걸기후크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KR20000011650U (ko) 컴퓨터 시스템의 메인 보드 장착구조
KR100256444B1 (ko) 스피커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