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696B1 -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 Google Patents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696B1
KR101692696B1 KR1020150066538A KR20150066538A KR101692696B1 KR 101692696 B1 KR101692696 B1 KR 101692696B1 KR 1020150066538 A KR1020150066538 A KR 1020150066538A KR 20150066538 A KR20150066538 A KR 20150066538A KR 101692696 B1 KR101692696 B1 KR 101692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ne
hydraulic
discharg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900A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 덕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덕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덕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6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69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 작동기에 사용되며 본체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로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느며 플레이트 상단에 다양한 밸브들이 적층형태로 결합이 가능한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관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는 유류저장조에서 유입된 유체가 본체 내부로 흐르는 관리인 유압라인과, 상기 본체 내부로 흐르는 유체를 유류저장조로 배출되는 관로인 토출라인과, 상기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1이송라인과, 상기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에서 본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2이송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유량을 조절하며 작동자의 작동의도에 따라 본체의 작동속도를 제어하는 로직밸브라인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 일측면에 제1,2이송라인이 일렬로 형성되고 본체가 연장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되, 상기 본체 측면에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이 수평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의 일측에 제1,2이송라인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에 본체가 연장 결합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홈이 복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압라인은 본체의 내부에서 ┓자형태로 형성되며, 본체의 일측면으로 보조유압라인이 형성되며 추가적인 유압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라인은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유압라인과 대칭되며 ┣자형태로 형성되며, 본체의 배면 및 타측면에 보조토출라인이 형성되어 추가적인 토출라인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이송라인(130,140)의 관로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유량 차이에 따라 사용자가 판단하여 관을 배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이송라인(130,140)의 관로 크기에 따라 본체(100)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111), 토출로(121), 제1,2이송로(131,141)의 관로 크기도 비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 토출로 및 제1,2이송로가 각각 한 구획이 되어 상기 유압라인, 토출라인 및 제1,2이송라인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유압로, 토출로 및 제1,2이송로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본체 상단에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유량밸브와 유체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와 유체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밸브를 적층 결합하여 하나의 관로처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Hydraulic directional control block of oil presser}
본 발명은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 작동기에 사용되며 본체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로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플레이트 상단에 다양한 밸브들이 적층형태로 결합이 가능한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발전소의 터빈출력제어는 터빈에 유입되는 증기량을 터빈증기 밸브가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상기 터빈 밸브의 조정은 유압엑츄에이터가 담당하게 된다. 한편, 유압엑츄에이터의 작동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이 유압엑츄에이터의 실린더 하부에 작용을 하여 이루어지는데, 유압엑츄에이터의 위치조정은 유압엑츄에이터의 로어앤드캡에 장착되는 서보밸브가 입력신호에 비례하는 유량을 유압엑츄에이터의 실린더 내에 공급시켜 줌으로써 이루어지고, 유압엑츄에이터의 에프에이솔레노이드밸브는 차단밸브를 동작시키는 파이롯유량과 디스크 덤프밸브에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서보밸브로의 유압공급을 차단하거나, 반대로 차단밸브를 동작시키는 파이롯유량과 디스크덤프밸브에 공급되는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서보밸브로의 유압을 공급하게 하는 밸브이다. 도 1에서 FAS(Fluid Actuator Supply)는 엑츄에이터로 공급되는 유량으로서 실제 피스톤하부에 작용하여 피스톤의 팽창력을 가감하는 요소이고, ETS(Fluid Emergency Trip Supply)는 디스크덤프밸브(Disk DumpValve) 하부로 공급되는 유량으로서 터빈제어의 이상신호 발생시 상기 ETS 배관을 차단하고 내부유량을 배유하여 엑츄에이터로 들어가는 ETS 유량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유압 엑츄에이터 내부의 유량을 배유부(FCD)로 배유시키는 요소이다.
도 2는 발전소 터빈밸브 유압엑츄에이터의 로어앤드캡 포트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발전소 터빈 밸브 유압엑츄에이터의 로어앤드캡 일부분에 구비된 에프에이솔레노이드밸브가 장착되는 포트는, 펌프로부터 유압이 유입되는 압력포트(Pressure Port)(P), 상기 압력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유압을 에프에이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하여 실린더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포트(Port 1)(A), 유압유를 배유부(FCD)로 드레인(배유)시키기 위한 리던포트(Return Port)(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로어앤드캡에 장착되는 에프에이솔레노이드밸브의 포트는 상기 유압엑츄에이터의 로어앤드캡의 포트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유압엑츄에이터 로어 앤드캡의 상기 포트의 주변에는 차단밸브가 장착되기 위한 4개의 장착홈(h)이 구비되어 있다.
더불어 일반적으로 모듈러 밸브는 유압장치가 요구하는 다양성, 합리성에 부용하는 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밸브를 적층하여 볼트만으로 체결하는 접착식 밸브이고 유압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밸브이다.
상기 밸브 하단에는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플레이트 상단에 밸브를 다수개 적층하여 회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예비취부면이나 필요없는 회로의 폐쇄용으로 사용하는 블로킹 플레이트, 솔레노이드 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한 방향 흐름의 회로에 사용되는 바이패스 플레이트, 각 라인의 압력 검출용으로 사용되는 커넥팅 플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등록특허공보 10-1236468호(압력식 방향전환 밸브)는 압력식 및 모듈식 방향전환 밸브를 제공하는 방향전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압력유체로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관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부; 상기 컨트롤 밸브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압력유체를 제1스위칭 유로 또는 제2스위칭 유로로 배출시키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구비한 스위칭 밸브부; 및 상기 제1스위칭 유로 또는 상기 제2스위칭 유로로 인입된 상기 압력유체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압력유체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력유체를 제1토출구 또는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로 흐르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구비한 메인 밸브부를 포함하며,상기 제1토출구 및 상기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압력유체를 토출시키며, 다른 하나는 압력이 해제된 유체를 방출구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수동식 방향전환 밸브나 솔레노이드 구동식 방향전환 밸브와 달리 사람의 인력이나 전기적 장치 없이 유체 흐름을 자동 전환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고 구조가 단순한 압력식 방향 전환 밸브"를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의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압 방향전환 블록 내부에 형성되는 관로를 통해 유체가 이동이 가능하고 유로 플레이트 상단에 적층되는 밸브를 통하여 유압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고 유체의 이동방향도 조절이 가능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회로 추가 및 변형이 용이한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취부 공간을 축소하고 조립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누유, 진동 및 소음 등 배관으로부터 기인하는 트러블이 적게 발생되고 적층형식으로 설치되므로 보수 점검이 간단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관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는 유류저장조에서 유입된 유체가 본체 내부로 흐르는 관리인 유압라인과, 상기 본체 내부로 흐르는 유체를 유류저장조로 배출되는 관로인 토출라인과, 상기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1이송라인과, 상기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에서 본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2이송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유량을 조절하며 작동자의 작동의도에 따라 본체의 작동속도를 제어하는 로직밸브라인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 일측면에 제1,2이송라인이 일렬로 형성되고 본체가 연장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되, 상기 본체 측면에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이 수평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의 일측에 제1,2이송라인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에 본체가 연장 결합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홈이 복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압라인은 본체의 내부에서 ┓자형태로 형성되며, 본체의 일측면으로 보조유압라인이 형성되며 추가적인 유압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라인은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유압라인과 대칭되며 ┣자형태로 형성되며, 본체의 배면 및 타측면에 보조토출라인이 형성되어 추가적인 토출라인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이송라인(130,140)의 관로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유량 차이에 따라 사용자가 판단하여 관을 배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이송라인(130,140)의 관로 크기에 따라 본체(100)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111), 토출로(121), 제1,2이송로(131,141)의 관로 크기도 비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 토출로 및 제1,2이송로가 각각 한 구획이 되어 상기 유압라인, 토출라인 및 제1,2이송라인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유압로, 토출로 및 제1,2이송로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본체 상단에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유량밸브와 유체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와 유체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밸브를 적층 결합하여 하나의 관로처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유압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프레싱블록을 이용하면, 상기 블록에 형성되는 관로를 통해 유체가 이동이 가능하고 유로 플레이트 상단에 적층되는 밸브를 통하여 유압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고 유체의 이동방향도 조절이 가능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회로 추가 및 변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취부 공간을 축소하고 조립 작업을 쉽고 신속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유, 진동 및 소음 등 배관으로부터 기인하는 트러블이 적게 발생되고 적층형석으로 설치되므로 보수 점검시 작업공정을 간단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전소 터빈밸브 유압엑츄에이터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2는 발전소 터빈밸브 유압엑츄에이터의 로어앤드캡 포트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좌측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우측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등각투상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류저장조 및 압축장치와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압작동기의 유압방향전환 프레싱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좌측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우측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등각투상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류저장조 및 압축장치와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본체(100),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유체라인(130), 제2유체라인(140), 로직밸브(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유압 방향 전환 프레싱블록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체(100)은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관로를 내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유류저장조(300)에서 유입된 유체가 본체(100)내부로 흐르는 관리인 유압라인(110)과 본체(100)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가 유류저장조(300)로 배출되는 관로인 토출라인이 형성된다.
상기 유압라인은 본체의 내부에서 ┓자형태로 형성되며, 본체의 일측면으로 보조유압라인이 형성되며 추가적인 유압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라인은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유압라인과 대칭되며 ┣자형태로 형성되며, 본체의 배면 및 타측면에 보조토출라인이 형성되어 추가적인 토출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유체가 유압장치(4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1이송라인(130)과 유압장치(400)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본체(1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2이송라인(1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이송라인(130)과 제2이송라인(140)은 본체(100) 및 유압장치(400)로 유체가 양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유압라인(110)과 토출라인(120)은 본체(100) 상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유압로(111)와 토출로(121)를 형성하고 상기 유압로(111)와 토출로(121)는 제1,2이송로(131,141)가 본체(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만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111),토출로(121), 제1이송로(131) 및 제2이송로(141)가 한 구획이 되어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및 제1,2이송라인(130,140)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압로(111), 토출로(121)가 또다른 한 구획이 되어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 및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111), 토출로(121) 및 제1,2이송로(131,141)로 이루어지는 구획 상단에 유량밸브(200), 감압밸브(210), 방향밸브(220)를 적층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량밸브(200)는 관로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감압밸브(210)는 관로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방향밸브(220)는 유압라인(110)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압로(111)를 통해 제1이송로(131) 또는 제2이송로(141)로 이동하고 제1이송로(131)로 이동하는 유체는 제1이송라인(130)으로 이송하거나 제2이송로(141)로 이동하는 유체는 제2이송라인(140)으로 이송하도록 형성하며 제1,2이송로(131,141)로 배출되어지는 유체는 토출로(121)로 이동하여 토출라인(120)으로 배출되도록 유량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유체의 흐름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량밸브(200), 감압밸브(210) 및 방향밸브(220)는 상기 유압로(111), 토출로(121), 제1,2이송로(131,141)로 이루어지는 구획마다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홈(16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홈(160)은 본체(100) 하단에도 형성되어 적층하여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유압로(111)와 토출로(121), 제1이송로(131) 및 제2이송로(141)는 본체(100) 내부에서 관로가 연결되는 것이 아닌 상단에 형성되는 유량밸브(200), 감압밸브(210) 및 방향밸브(220)를 통해 하나의 관로처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로(111)와 토출로(121)은 본체(100) 내부에서 관로가 연결되는 것이 아닌 상단에 형성되는 유량밸브(200), 감압밸브(210) 및 방향밸브(220)를 통해 하나의 관로처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본체(100)와 유류저장조(300) 및 압축장치(400)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유압라인(110)에는 유압관(310)을 연결하고 토출라인(120)에는 토출관(320)이 연결되며 유압관(310)과 토출관(320)은 유류저장조(3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유압관(310)에는 유류저장조(300)에서 본체(100)로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펌프부(33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유류저장조(300)에 유체를 펌프부(330)로 끌어와 유압관(310)을 통해 본체(100)의 유압라인(110)으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본체(100)의 토출라인(120)으로 배출되는 유체는 토출관(320)을 통해 유류저장조(300)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제1이송라인(130)에는 제1이송관(410)을 연결하고 제2이송라인(140)에는 제2이송관(420)이 연결되며 제1이송관(410)은 압축장치(400)의 상부유체구(411)에 연결되고 제2이송관(420)은 압축장치(400)의 하부유체구(421)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제1,2이송관(410,420)은 상,하부유체구(411,421)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체(100)를 통하여 유류저장조(300)에 유체를 압축장치(400)로 이송시키거나 압축장치(400)에 유체를 유류저장조(30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압로(111), 토출로(121), 제1이송로(131) 및 제2이송로(141)로 이루지는 구획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 유무에 따라 유량밸브(200), 감압밸브(210), 방향밸브(220)를 각각 적층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유압라인(110)과 토출라인(120)이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측면에 본체(100)를 복수개 연결하여 복수개의 유압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압 방향전환 블록 내부에 형성되는 관로를 통해 유체가 이동이 가능하고 유로 플레이트 상단에 적층되는 밸브를 통하여 유압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고 유체의 이동방향도 조절이 가능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회로 추가 및 변형이 용이하고 또한, 취부 공간을 축소하고 조립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누유, 진동 및 소음 등 배관으로부터 기인하는 트러블이 적게 발생되고 적층형식으로 설치되므로 보수 점검이 간단한 효과를 가지는 유압 방향전환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유압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이 완성되는 것이다.
100 : 본체 110 : 유압라인
111 : 유압로 120 : 토출라인
121 : 토출로 130 : 제1이송라인
131 : 제1유체로 140 : 제2이송라인
141 : 제2유체로 150 : 로직밸브라인
151 : 로직밸브보조라인 160 : 체결홈
200 : 유량밸브 210 : 감압밸브
220 : 방향밸브 300 : 유류저장소
400 : 압축장치

Claims (4)

  1. 삭제
  2. 유체가 흐르는 관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는 유류저장조에서 유입된 유체가 본체 내부로 흐르는 관로인 유압라인과;
    상기 본체 내부로 흐르는 유체를 유류저장조로 배출되는 관로인 토출라인과;
    상기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1이송라인과;
    상기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에서 본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2이송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로직밸브라인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기 본체 일측면에 제1이송라인과 제2이송라인이 일렬로 형성되고 본체가 서로 적층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되,
    상기 본체 측면에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이 수평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의 일측에 제1이송라인과 제2이송라인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에 본체가 서로 적층 결합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압라인은 본체의 내부에서 ┓자형태로 형성되며, 본체의 일측면으로 보조유압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라인은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유압라인과 대칭되며 ┣자형태로 형성되며, 본체의 배면 및 타측면에 보조토출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유류저장조(300) 및 유압장치(400)가 연결되되,
    본체(100)의 유압라인(110)에는 유압관(310)을 연결하고 토출라인(120)에는 토출관(320)이 연결되며 유압관(310)과 토출관(320)은 유류저장조(3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압관(310)에는 유류저장조(300)에서 본체(100)로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펌프부(33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KR1020150066538A 2015-05-13 2015-05-13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KR10169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38A KR101692696B1 (ko) 2015-05-13 2015-05-13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38A KR101692696B1 (ko) 2015-05-13 2015-05-13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00A KR20160134900A (ko) 2016-11-24
KR101692696B1 true KR101692696B1 (ko) 2017-01-05

Family

ID=5770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538A KR101692696B1 (ko) 2015-05-13 2015-05-13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387B1 (ko) * 2017-02-23 2018-08-2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터빈밸브 유압 구동기 및 이를 구비한 터빈 발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470B1 (ko) * 2020-12-10 2023-01-13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소용 유압 액추에이터의 플러싱 장치
KR102526201B1 (ko) * 2022-12-21 2023-05-08 (주)유원엠텍 퀵릴리즈밸브가 구비된 유압윈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904Y1 (ko) * 2000-02-10 2000-07-15 김병상 솔레노이드밸브 유니트
KR200220525Y1 (ko) * 2000-11-21 2001-04-16 정달도 릴리프 밸브
US20040159356A1 (en) 2003-02-19 2004-08-19 Peter Vari Hydraulic isolation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013A (ko) * 1997-04-16 1998-11-16 강순보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904Y1 (ko) * 2000-02-10 2000-07-15 김병상 솔레노이드밸브 유니트
KR200220525Y1 (ko) * 2000-11-21 2001-04-16 정달도 릴리프 밸브
US20040159356A1 (en) 2003-02-19 2004-08-19 Peter Vari Hydraulic isolation val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387B1 (ko) * 2017-02-23 2018-08-2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터빈밸브 유압 구동기 및 이를 구비한 터빈 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00A (ko)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9431C (zh) 液压阀装置
US9328842B2 (en) Hydraulic actuating assembly
KR101692696B1 (ko)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CN102124258A (zh) 双作用定向流体流动阀
CN112997030B (zh) 方法和包括冲洗特征件的阀
JP5959252B2 (ja) 液圧式の制御弁装置
JPH0814215A (ja) メータアウト再生弁装置
KR20150036001A (ko) 건설기계용 유량 컨트롤밸브
KR102066826B1 (ko) 통합 오일 시스템 매니폴드
WO1993021446A1 (en) Pressure oil supplying device
CN103343759A (zh) 两用多路液压比例阀
US3766943A (en) Integrated multiple valve unit
JPH04210101A (ja) 油圧回路
US10502240B2 (en) Open center control valve
CN108547817B (zh) 双路快速切断阀
KR20170129849A (ko) 유체압 제어 장치
CN202301252U (zh) 液压集成块
KR101786973B1 (ko) 유압 방향전환 블록
US11067101B2 (en) Hydraulic control valve configured to use a pilot signal as a substitute load-sense signal
CN100445619C (zh) 提升式流动控制阀
KR101741574B1 (ko) 유압 방향전환 블록
US20090107568A1 (en) Apparatus Operating Hydraulic Actuator for Valve
US11802628B2 (en) Actuato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for valve systems
JPH06117414A (ja) 弁装置
KR100912597B1 (ko) 유체제어밸브의 병렬식 복합제어 밸브바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