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574B1 - 유압 방향전환 블록 - Google Patents

유압 방향전환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574B1
KR101741574B1 KR1020150066522A KR20150066522A KR101741574B1 KR 101741574 B1 KR101741574 B1 KR 101741574B1 KR 1020150066522 A KR1020150066522 A KR 1020150066522A KR 20150066522 A KR20150066522 A KR 20150066522A KR 101741574 B1 KR101741574 B1 KR 10174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main body
transfer
hydraulic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897A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 덕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덕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덕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6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57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방향전환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로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플레이트 상단에 다양한 밸브들이 적층형태로 결합이 가능한 유압 방향전환 블록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흐르는 관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는 유류저장조에서 유입된 유체가 본체 내부로 흐르는 관로인 유압라인과 본체 내부로 흐르는 유체를 유류저장조로 배출되는 관로인 토출라인과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1이송라인과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에서 본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2이송라인과 본체의 유체가 토출라인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로인 제3이송라인과 본체를 연결하여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연장이송라인과 제2연장이송라인으로 형성되고, 본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라인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유압 방향전환 블록 내부에 형성되는 관로를 통해 유체가 이동이 가능하고 유로 플레이트 상단에 적층되는 밸브를 통하여 유압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고 유체의 이동방향도 조절이 가능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회로 추가 및 변형이 용이하고 또한, 취부 공간을 축소하고 조립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누유, 진동 및 소음 등 배관으로부터 기인하는 트러블이 적게 발생되고 적층형식으로 설치되므로 보수 점검이 간단한 효과를 가지는 유압 방향전환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압 방향전환 블록{Hydraulic directional control block}
본 발명은 유압 방향전환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로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본체 상단에 다양한 밸브들이 적층형태로 결합이 가능한 유압 방향전환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밸브는 유압장치가 요구하는 다양성, 합리성에 부응하는 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밸브를 적층하여 볼트만으로 체결하는 접착식 밸브이고 유압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밸브이다.
상기 밸브 하단에는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플레이트 상단에 밸브를 다수개 적층하여 회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예비취부면이나 필요없는 회로의 폐쇄용으로 사용하는 블로킹 플레이트, 솔레노이드 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한 방향 흐름의 회로에 사용되는 바이패스 플레이트, 각 라인의 압력 검출용으로 사용되는 커넥팅 플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등록특허공보 10-1236468호(압력식 방향전환 밸브)는 압력식 및 모듈식 방향전환 밸브를 제공하는 방향전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압력유체로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관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부; 상기 컨트롤 밸브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압력유체를 제1스위칭 유로 또는 제2스위칭 유로로 배출시키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구비한 스위칭 밸브부; 및 상기 제1스위칭 유로 또는 상기 제2스위칭 유로로 인입된 상기 압력유체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압력유체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력유체를 제1토출구 또는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로 흐르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구비한 메인 밸브부를 포함하며,상기 제1토출구 및 상기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압력유체를 토출시키며, 다른 하나는 압력이 해제된 유체를 방출구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수동식 방향전환 밸브나 솔레노이드 구동식 방향전환 밸브와 달리 사람의 인력이나 전기적 장치 없이 유체 흐름을 자동 전환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고 구조가 단순한 압력식 방향 전환 밸브"를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압 방향전환 블록 내부에 형성되는 관로를 통해 유체가 이동이 가능하고 유로 플레이트 상단에 적층되는 밸브를 통하여 유압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고 유체의 이동방향도 조절이 가능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회로 추가 및 변형이 용이한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취부 공간을 축소하고 조립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누유, 진동 및 소음 등 배관으로부터 기인하는 트러블이 적게 발생되고 적층형식으로 설치되므로 보수 점검이 간단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의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체가 흐르는 관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는 유류저장조에서 유입된 유체가 본체 내부로 흐르는 관로인 유압라인과 본체 내부로 흐르는 유체를 유류저장조로 배출되는 관로인 토출라인과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1이송라인과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에서 본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2이송라인과 본체의 유체가 토출라인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로인 제3이송라인과 본체를 연결하여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연장이송라인과 제2연장이송라인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라인을 더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 일측면에 추가라인 및 제1,2이송라인이 일렬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제1이송라인과 제2이송라인이 일렬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일측에 제1연장이송라인과 제2연장이송라인이 일렬로 형성되고 본체가 연장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되, 본체 타측면에 제3이송라인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본체 측면에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이 수평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의 일측에 제1,2이송라인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에 본체가 연장 결합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홈이 복수개 형성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1,2이송라인은 본체 상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1이송로와 제2이송로를 형성하고, 제1,2이송로는 제1,2이송라인이 본체 양측에 형성되는 만큼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본체에 형성되는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은 본체 상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유압로와 토출로를 형성하며 유압로와 토출로는 제1,2이송로가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만큼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본체에 형성되는 제1,2연장이송라인은 본체 상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1연장이송로와 제2연장이송로를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3이송라인(130,140,150),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 및 추가라인(180)의 관로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유량 차이에 따라 사용자가 판단하여 관을 배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3이송라인(130,140,150),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 및 추가라인(180)의 관로 크기에 따라 본체(100)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111), 토출로(121), 제1,2이송로(131,141) 및 제1,2연장이송로(161,171)의 관로 크기도 비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이송라인(130,140)과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의 상하 방향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 토출로 및 제1,2이송로 또는 제1,2연장이송로가 각각 한 구획이 되어 상기 유압라인, 토출라인 및 제1,2이송라인 또는 제1,2연장이송라인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유압로, 토출로 및 제1,2이송로 또는 제1,2연장이송로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본체 상단에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유량밸브와 유체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와 유체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밸브를 적층 결합하여 하나의 관로처럼 연결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유량밸브, 감압밸브, 방향밸브는 유압라인, 토출라인 및 제1,2이송라인또는 제1,2연장이송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구획마다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 상단에는 유량밸브, 감압밸브, 방향밸브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유압라인, 토출라인, 제1,2,3이송라인, 제1,2연장이송라인 및 추가라인 미사용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는 커버부가 더 형성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는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이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측면에 본체를 복수개 연결이 가능하고, 상기 제1,2이송라인은 본체 양측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유압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압 방향전환 블록에 형성되는 관로를 통해 유체가 이동이 가능하고 유로 플레이트 상단에 적층되는 밸브를 통하여 유압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고 유체의 이동방향도 조절이 가능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회로 추가 및 변형이 용이한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취부 공간을 축소하고 조립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누유, 진동 및 소음 등 배관으로부터 기인하는 트러블이 적게 발생되고 적층형식으로 설치되므로 보수 점검이 간단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방향전환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방향전환 블록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방향전환 블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방향전환 블록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방향전환 블록와 유류저장조 및 압축장치의 연결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방향전환 블록에 밸브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체(100),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이송라인(130), 제2이송라인(140), 제3이송라인(150), 제1연장이송라인(160) 및 제2연장이송라인(170)을 포함하여 구성된 유압 방향전환 블록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관로를 내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유류저장조(300)에서 유입된 유체가 본체(100) 내부로 흐르는 관로인 유압라인(110)과 본체(100)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가 유류저장조(300)로 배출되는 관로인 토출라인(120)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유체가 유압장치(4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1이송라인(130)과 유압장치(400)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본체(1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2이송라인(1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이송라인(130)과 제2이송라인(140)은 본체(100) 및 유압장치(400)로 유체가 양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 토출라인(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로인 제3이송라인(150)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를 연결하여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연장이송라인(160)과 제2연장이송라인(171)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이송라인(130)과 제2이송라인(140)은 유입라인(110)과 토출라인(12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이송라인(130)과 제2이송라인(140)은 양측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제1이송라인(130)과 제2이송라인(140)은 상하로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2이송라인(130,140)은 본체(100) 상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1이송로(131)와 제2이송로(141)를 형성하고 상기 제1,2이송로(131,141)는 제1,2이송라인(130,140)이 본체(100) 양측에 형성되는 만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유압라인(110)과 토출라인(120)은 본체(100) 상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유압로(111)와 토출로(121)를 형성하고 상기 유압로(111)와 토출로(121)는 제1,2이송로(131,141)가 본체(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만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은 본체(100) 상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1연장이송로(161)와 제2연장이송로(171)를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111),토출로(121), 제1이송로(131) 및 제2이송로(141)가 한 구획이 되어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및 제1,2이송라인(130,140)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압로(111), 토출로(121), 제1연장이송로(161) 및 제2연장이송로(171)가 또다른 한 구획이 되어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및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추가라인(18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추가라인(180)은 제1,2이송라인로(131,141)과 연결되어 제1,2이송라인(130,140)에 흐르는 유량을 조절 및 타 관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되는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3이송라인(130,140,150),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 및 추가라인(180)의 구성을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본체 일측면에 추가라인(180), 제1이송라인(130) 및 제2이송라인(140)이 일렬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일측에 제1이송라인(130)과 제2이송라인(140)이 일렬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측에 제1연장이송라인(160)과 제2연장이송라인(170)이 일렬로 형성되고 본체가 연장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체결홈(190)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3b는 본체 타측면에 제3이송라인(150)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c는 본체 측면에 유압라인(110)과 토출라인(120)이 수평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압라인(110)과 토출라인(120)의 일측에 제1,2이송라인(130,14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압라인(110)과 토출라인(120)에 본체(100)가 연장 결합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홈(190)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도 3에 형성되는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3이송라인(130,140,1
50),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 및 추가라인(180)의 관로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유량 차이에 따라 사용자가 판단하여 관을 배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3이송라인(130,140,150),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 및 추가라인(180)의 관로 크기에 따라 본체(100)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111), 토출로(121), 제1,2이송로(131,141) 및 제1,2연장이송로(161,171)의 관로 크기도 비례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2이송라인(130,140)과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의 상하 방향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111), 토출로(121) 및 제1,2이송로(131,141) 또는 제1,2연장이송로(161,171)로 이루어지는 구획 상단에 유량밸브(200), 감압밸브(210), 방향밸브(220)를 적층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량밸브(200)는 관로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감압밸브(210)는 관로로 이동하는 유체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방향밸브(220)는 유압라인(110)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압로(111)를 통해 제1이송로(131) 또는 제2이송로(141)로 이동하고 제1이송로(131)로 이동하는 유체는 제1이송라인(130)으로 이송하거나 제2이송로(141)로 이동하는 유체는 제2이송라인(140)으로 이송하도록 형성하며 제1,2이송로(131,141)로 배출되어지는 유체는 토출로(121)로 이동하여 토출라인(120)으로 배출되도록 유량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유체의 흐름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량밸브(200), 감압밸브(210) 및 방향밸브(220)는 상기 유압로(111), 토출로(121), 제1,2이송로(131,141) 및 제1,2연장이송로(161,171)로 이루어지는 구획마다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홈(19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홈(190)은 본체(100) 하단에도 형성되어 적층하여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유압로(111)와 토출로(121), 제1이송로(131) 및 제2이송로(141)는 본체(100) 내부에서 관로가 연결되는 것이 아닌 상단에 형성되는 유량밸브(200), 감압밸브(210) 및 방향밸브(220)를 통해 하나의 관로처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로(111)와 토출로(121), 제1연장이송로(161) 및 제2연장이송로(171)은 본체(100) 내부에서 관로가 연결되는 것이 아닌 상단에 형성되는 유량밸브(200), 감압밸브(210) 및 방향밸브(220)를 통해 하나의 관로처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3이송라인(130,140,150),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 및 추가라인(180)은 미사용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는 탈부착형식으로 관로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0)와 유류저장조(300) 및 압축장치(400)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유압라인(110)에는 유압관(310)을 연결하고 토출라인(120)에는 토출관(320)이 연결되며 유압관(310)과 토출관(320)은 유류저장조(3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유압관(310)에는 유류저장조(300)에서 본체(100)로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펌프부(33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유류저장조(300)에 유체를 펌프부(330)로 끌어와 유압관(310)을 통해 본체(100)의 유압라인(110)으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본체(100)의 토출라인(120)으로 배출되는 유체는 토출관(320)을 통해 유류저장조(300)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제1이송라인(130)에는 제1이송관(410)을 연결하고 제2이송라인(140)에는 제2이송관(420)이 연결되며 제1이송관(410)은 압축장치(400)의 상부유체구(411)에 연결되고 제2이송관(420)은 압축장치(400)의 하부유체구(421)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제1,2이송관(410,420)은 상,하부유체구(411,421)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체(100)를 통하여 유류저장조(300)에 유체를 압축장치(400)로 이송시키거나 압축장치(400)에 유체를 유류저장조(30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양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압로(111), 토출로(121), 제1이송로(131) 및 제2이송로(141)로 이루지는 구획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 유무에 따라 유량밸브(200), 감압밸브(210), 방향밸브(220)를 각각 적층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 구획 별로 압축장치(400) 외에 유체로 작동시키는 장치들을 제1,2이송라인(130,140)에 복수개 연결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유압회로를 구성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단에 형성되는 밸브 또한 다양하게 적층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유압라인(110)과 토출라인(120)이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측면에 본체(100)를 복수개 연결하여 복수개의 유압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에도 본체(100)를 복수개 연결하여 복수개의 유압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복수개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홈(19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 방향전환 블록 내부에 형성되는 관로를 통해 유체가 이동이 가능하고 유로 플레이트 상단에 적층되는 밸브를 통하여 유압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고 유체의 이동방향도 조절이 가능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회로 추가 및 변형이 용이하고 또한, 취부 공간을 축소하고 조립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누유, 진동 및 소음 등 배관으로부터 기인하는 트러블이 적게 발생되고 적층형식으로 설치되므로 보수 점검이 간단한 효과를 가지는 유압 방향전환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100 : 본체 110 : 유압라인
111 : 유압로 120 : 토출라인
121 : 토출로 130 : 제1이송라인
131 : 제1유체로 140 : 제2이송라인
141 : 제2유체로 150 : 제3이송라인
160 : 제1연장이송라인 161 : 제1연장이송로
170 : 제2연장이송라인 171 : 제2연장이송로
180 : 추가라인 190 : 체결홈
200 : 유량밸브 210 : 감압밸브
220 : 방향밸브 300 : 유류저장조
400 : 압축장치

Claims (4)

  1. 유체가 흐르는 관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는 유류저장조에서 유입된 유체가 본체 내부로 흐르는 관로인 유압라인과;
    상기 본체 내부로 흐르는 유체를 유류저장조로 배출되는 관로인 토출라인과;
    상기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1이송라인과;
    상기 본체의 유체가 유압장치에서 본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관로인 제2이송라인과;
    상기 본체의 토출라인에 형성되는 관로인 제3이송라인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여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연장이송라인과 제2연장이송라인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라인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1,2이송라인은 본체 상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1이송로와 제2이송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2이송로는 제1,2이송라인이 본체 양측에 형성되는 개수만큼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은 본체 상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유압로와 토출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압로와 토출로는 제1,2이송로가 본체에 형성되는 개수만큼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1,2연장이송라인은 본체 상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1연장이송로와 제2연장이송로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압로, 토출로, 제1이송로 및 제2이송로로 이루지는 유압회로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유량밸브, 감압밸브, 방향밸브가 적층하여 복수개로 본체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방향전환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일측면에 추가라인 및 제1,2이송라인이 일렬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제1이송라인과 제2이송라인이 일렬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일측에 제1연장이송라인과 제2연장이송라인이 일렬로 형성되고 본체가 연장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되,
    상기 본체 타측면에 제3이송라인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 측면에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이 수평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의 일측에 제1,2이송라인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압라인과 토출라인에 본체가 연장 결합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방향전환 블록.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3이송라인(130,140,150),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 및 추가라인(180)의 관로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유량 차이에 따라 사용자가 판단하여 관을 배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유압라인(110), 토출라인(120), 제1,2,3이송라인(130,140,150),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 및 추가라인(180)의 관로 크기에 따라 본체(100) 상단에 형성되는 유압로(111), 토출로(121), 제1,2이송로(131,141) 및 제1,2연장이송로(161,171)의 관로 크기도 비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이송라인(130,140)과 제1,2연장이송라인(160,170)의 상하 방향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방향전환 블록.

KR1020150066522A 2015-05-13 2015-05-13 유압 방향전환 블록 KR10174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22A KR101741574B1 (ko) 2015-05-13 2015-05-13 유압 방향전환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22A KR101741574B1 (ko) 2015-05-13 2015-05-13 유압 방향전환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897A KR20160134897A (ko) 2016-11-24
KR101741574B1 true KR101741574B1 (ko) 2017-06-16

Family

ID=5770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522A KR101741574B1 (ko) 2015-05-13 2015-05-13 유압 방향전환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3091A (zh) * 2019-10-30 2020-04-21 润琛液压机械南通有限公司 一种割草机控制阀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525Y1 (ko) * 2000-11-21 2001-04-16 정달도 릴리프 밸브
KR100345533B1 (ko) * 1994-04-20 2002-11-21 페스토 카게 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533B1 (ko) * 1994-04-20 2002-11-21 페스토 카게 밸브장치
KR200220525Y1 (ko) * 2000-11-21 2001-04-16 정달도 릴리프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897A (ko)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008115A5 (ko)
DK2558754T3 (en) stackable shuttle valve
TWI564502B (zh) Integrated gas supply device
HRP20161257T1 (hr) Sklop hidrauličkog upravljačkog ventila i nadzorni sustav za vodoopskrbne mreže
TWI610039B (zh) 沖洗線路變更用塊接頭及流體控制裝置
KR102066826B1 (ko) 통합 오일 시스템 매니폴드
JP6147113B2 (ja) 流体制御装置用継手および流体制御装置
CN105465090A (zh) 模块化阀系统
KR101741574B1 (ko) 유압 방향전환 블록
KR101692696B1 (ko)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US20200224946A1 (en) Venturi vacuum drawback assemblies and dual orifice venturi valve assemblies
US8365768B2 (en) Fluidic device unit structure
KR101786973B1 (ko) 유압 방향전환 블록
TWM564107U (zh) 多流道閥塊
US7788914B2 (en) Apparatus operating hydraulic actuator for valve
EP2700826A1 (en) Hydraulic circuit for ram cylinder
JP6486035B2 (ja) マニホールドバルブおよび流体制御装置
JP6518501B2 (ja) 流体制御装置用継手、流体制御装置用開閉弁および流体制御装置
US11180906B2 (en) Supply assembly for use with multiple lines of a hydrant
US8091857B2 (en) Valve
TWI650500B (zh) 多流道閥塊
US20120073686A1 (en) Control valve assembly for faucet and faucet using the same
US10100849B2 (en) Oil exchange in hydraulically operated and electro-hydraulically operated hydraulic valves
US11103903B2 (en) Ball circulation pump skid and related method
KR20160000409U (ko) 앵글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