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7013A -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 Google Patents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7013A
KR19980077013A KR1019970013970A KR19970013970A KR19980077013A KR 19980077013 A KR19980077013 A KR 19980077013A KR 1019970013970 A KR1019970013970 A KR 1019970013970A KR 19970013970 A KR19970013970 A KR 19970013970A KR 19980077013 A KR19980077013 A KR 19980077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ydraulic
control valve
magnetic block
hydraul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근혁
Original Assignee
강순보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순보,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순보
Priority to KR101997001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7013A/ko
Publication of KR19980077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013A/ko

Links

Landscapes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블럭 상부에 제1 및 제2블럭을 고정시켜 하나의 유니트화된 마그네틱 블럭을 구비하고, 베이스 블럭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통로를 형성시키며, 제1 및 제2블럭에는 각각의 밸브들에 작동유를 전달시킬 수 있도록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는 수평통로와 다수의 수직통로를 각각 형성시키고, 제1 및 제2블럭에는 수직통로들과 연통저도록 저면에 입, 출력포트가 형성된 각종 유압제어 밸브를 결합시킴으로써, 작동유의 압력, 유량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들에 작동유를 전달시키기 위한 고무호스 또는 관로들의 삭제가 가능함은 물론 입, 출력포트의 이음부에서 발생되는 누설과 온도 차이에 의한 작동유의 점도 변환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유압을 정확하게 제어할 뿐만 아니라, 유압제어 밸브들의 설치공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어 차량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본 발명은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유압제어 밸브들을 하나의 블럭에 결합하여 오일의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밸브들의 설치공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제어 밸브는 기계적으로 운동하는 액추에이터의 소정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작동유의 압력, 유량 및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유압제어 밸브는 릴리프, 감압, 시퀀스, 언로딩 및 카운터 밸런스 밸브 등의 압력제어 밸브와 교축, 유량조정, 디셀러레이션 밸브 등의 유량제어 밸브 및 변환, 체크 셔틀밸브등의 방향제어 밸브로 분류된다.
이와같은 유압제어 밸브들은 자동차, 중장비 및 콘트리트 차량의 적재적소에 일정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오일탱크에 저장된 작동유를 각각의 밸브에 전달할 수 있도록 입, 출력포트(I/O port)에 고무호스 또는 관로를 연결시켜 차량을 작동시킨다.
예를들면,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속도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속을 변속시키거나 중장비의 전, 후방향으로 전, 후진 및 버킷, 부움등의 조작장치를 작동시키고, 콘트리트 차량에서는 교반장치내에 믹싱(mixing)되어 수납된 콘크리트를 지정된 장소로 토출시키는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압제어 밸브들을 차량내에 설치한 후 각각의 밸브들로 작동유를 전달시키기 위해 밸브들의 입, 출력포트에 고무호스 또는 관로를 연결시켰기 때문에 입, 출력포트에 연결된 고무호스 및 관로의 이음부에서 누설이 발생됨은 물론 차량 내부 온도의 상, 하에 따라 고무호스를 따라 토출되는 작동유의 점도가 쉽게 변화되어 작동유의 압력, 유량 및 방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밸브들의 공간이 비교적 넓기 때문에 이에 근접된 타부품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고무호스 또는 관로가 빠지거나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동유의 압력, 유량 및 방향을 제어하는 유압제어 밸브들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그네틱 블럭과, 상기 마그네틱 블럭은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통로가 형성된 베이스 블럭과, 상기 베이스 블럭 상부에 고정보울트로 고정되는 제1 및 제2블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블럭에 작동유를 각각의 밸브로 전달하기 위한 고무호스 또는 관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수평통로와, 상기 제1 및 제2블럭 상면에 유압제어 밸브의 입, 출력포트들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틱 블럭의 제1블럭을 일측으로 오일탱크에 저장된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여 가변형 유압펌프의 토출량을 줄일 수 있도록 유량제어 밸브가 결합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틱 블럭의 제2블럭 일측에는 교반실린더의 샤프트측으로 토출되는 작동유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해 릴리프 밸브가 결합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마그네틱 블럭은 작동유의 압력,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여 작동되는 자동차, 중장비 등의 차량에 적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에 나타낸 마그네틱 블럭의 A-A 단면도,
도3은 도1에 나타낸 마그네틱 블럭의 B-B 단면도,
도 4는 도1에 나타낸 마그네틱 블럭의 C-C 단면도로서, 교축밸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블럭에 유압제어 밸브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블럭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그네틱 블럭20: 베이스 블럭
20a, 20b: 통로22, 32, 42: 제1 및 제2관통홀
30, 40: 제1 및 제2블럭30a, 40a: 수평통로
34, 46: 압력제어 밸브36, 48, 50, 54: 제1, 2, 3 및 제4수직통로
38: 유압통로44, 52: 방향제어 밸브
56: 수나사58: 암나사
60: 몸체60a: 오리피스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블럭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각종 유압제어 밸브들을 하나의 블럭에 결합시켜 유니트(unit)화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 블럭(10)이 구비되고, 마그네틱 블럭(10)은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블럭(20)과 이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된 제1 및 제2블럭(30) (4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블럭(20)에는 2개의 통로(20a) (20b)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베이스 블럭(20)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블럭(30) (40)에는 베이스 블럭(20) 상부에 제1 및 제2블럭(30) (40)을 고정보울트로 조이기 위해 재1관통홀(22)과 연통된 제2관통홀(32) (42)이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블럭(30) (40) 상부에는 유량, 압력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밸브들이 결합되며, 제1블럭(30) 상면에는 밸브들 중에서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압력제어 밸브(34)의 입, 출력포트와 연통되는 제1수직통로(36)가 동일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제1수직통로(36) 양측에는 압력제어 밸브(34)의 스풀(splool)을 이동시키기 위해 통로(20a) (20b)와 연통된 2개의 유압통로(38)가 형성된다.
제2블럭(40) 상면에는 방향제어 밸브(44) 및 이에 근접되게 결합된 압력제어 밸브(46)의 입, 출력포트들과 연통되는 제2 및 제3수직통로(48) (50)각 각각 형성되고, 제3수직통로(50) 일측에는 또 다른 방향제어 밸브(52)의 포트들과 연통된 제4수직통로(54)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블럭(30) (40)에는 오일탱크에 저장된 작동유를 각각의 밸브로 전달시키기 위한 고무호스 또는 관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 교차되는 수평통로(30a) (40a)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2블럭(40)의 수평통로(40a) 일부분에는 수나사(56)가 성형되고, 이 수나사(56)에는 외주연으로 암나사(58)가 성형된 몸체(60)가 조여지며, 몸체(60)에는 방향제어 밸브(52)의 입, 출구포트에서 압력차에 의해 변동되는 유량을 항상 일정하기 유지시키기 위한 교축밸브(throttle valve)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4에서와 같이 오리피스관(6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블럭의 작용을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마그네틱 블럭을 본 출원인 기 출원(출원번호 제97-5327호)한 바 있는 콘크리트 토출압 제어용 유압장치를 하나의 실시예로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 블럭(20) 상부에 제1 및 제2블럭(30) (40)을 위치시킨 다음 베이스 블럭(20)의 제1관통홀(22)들과 제1 및 제2블럭(30) (40)에 각각 형성된 제2관통홀(32) (42)들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 고정보올트로 조여 하나의 유니트화된 마그네틱 블럭(10)을 제작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블럭(30) (40) 상면에는 제1, 2, 3 및 제4수직통로(36) (48) (50) (54)와 연통 가능한 유압제어 밸브들 즉, 입, 출력포트(A, B, P, T)가 저면에 형성된 누름버튼 방식으로 스풀이 이동되는 2개의 방향제어 밸브(44) (52)와, 누름버튼 및 유압에 의해 동작되는 2개의 압력제어 밸브(34) (46)들을 각각 결합시킨다.
이때, 제1 및 제2블럭(30) (40)에 형성된 제 1, 2, 3 및 제4수직통로(36) (48) (50) (54)와 방향제어 밸브(44) (52) 및 압력제어 밸브(34) (46) 들의 입, 출력포트를 일치시킴과 동시에 제1 및 제2블럭(30) (40)과 밸브들 사이에는 작동유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스킷(gasket)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의 마그네틱 블럭(10)를 콘크리트 차량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 차량의 호퍼에 수용된 대용량의 믹싱된 콘크리트를 토출시키기 위해 가변형 유압펌프를 작동시키면, 오일탱크에 저장된 작동유가 관로를 따라 토출되면서 제1 및 제2유압실린더내에 내설된 피스톤을 선택적으로 펌핑(pumping)시켜 콘크리트를 지정된 장소로 토출시킨다.
즉, 가변형 유압펌프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제어 밸브(도시되지않음)에서 토출된 작동유가 마그네틱 블럭(10) 상부에 결합된 제2블럭(40)의 수평통로(C2) (40)를 따라 제2수직통로(P) (48)로 통과하면서 누름버튼 방식으로 스풀을 이동시키는 방향제어 밸브(44)의 포트(P')로 입력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작동유는 포트(P')와 연통된 베이스 블럭(10)의 통로(20a)를 따라 유압통로(X) (38)로 토출되면서 제1블럭(30)상에 결합된 압력제어 밸브(34)의 스풀을 이동시키므로 오일탱크에 저장된 작동유가 제1수직통로(T) (36)와 연통된 압력제어 밸브(34)의 포트(T')측으로 출력됨에 따라 제1교반실린더의 샤프트를 이동시켜 제1콘크리트 실린더내에 콘크리트를 수용시킨다.
또한, 제2콘크리트 실린더에 수용된 콘크리트는 피스톤의 전진이동에 따라 트랜스퍼 튜브를 통해 지정된 장소로 토출되고, 제2교반실린더에 공급된 작동유는 샤프트의 후진에 의해 방향제어 밸브(34)의 포트(B')와 이에 연통된 제1블럭(30)의 제1수직통로(B) (36)를 따라 토출되면서 오일탱크내에 저장된다.
한편, 제2유압실린더에 내설된 피스톤을 후진시켜 제2콘크리트 실린더 내부에 믹싱된 콘크리트를 수용시키기 위해 제2교반실린더 측으로 작동유를 토출시킬 경우에는, 제2블럭(40)상에 결합된 방향제어 밸브(44)의 누름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압력제어 밸브(46)에서 공급된 작동유가 수평통로(C1)를 따라 제2수직통로(T) (48)를 토출되고, 이의 상부에 연통되게 결합된 방향제어 밸브(44)의 포트(T')를 통과하면서 이와 연통된 통로(20b)를 따라 유압통로(Y) (38)로 토출되어 오일탱크의 작동유를 제1수직통로(A) (36)와 연통된 압력제어 밸브(34)의 포트(A')로 출력되므로 제2교반실린더에 작동을 공급하는 것이며, 제1교반실린더에 공급된 작동유는 샤프트의 후진에 따라 방향제어 밸브(52)의 포트(P')와 이에 연통된 제4수직통로(P) (54)를 통과하면서 오일탱크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실린더에 입도가 큰 자갈이나 또는 이물질이 걸려 제1 및 제2유압실린더에 과부하가 발생될때에는, 오일탱크에 저장된 작동유가 제2블럭(40)의 방향제어 밸브(52)의 포트(B')로 입력됨과 동시에 제4수직통로(B) (54)를 따라 토출되므로 압력제어 밸브의 스풀을 이동시켜 가변형 유압펌프의 토출량을 줄일 수 있어 피스톤의 펌밍작용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방향제어 밸브(52)에서 토출된 작동유의 압력이 설정값 보다 높으면 도4에서와 같이 제2블럭(40)의 제4수평통로(54)에 조여져 있는 몸체(60)에 형성된 오리피스관(60a)으로 토출되어 방향제어 밸브(52)의 포트(T')와 이에 연통된 제4수직통로(T) (54)를 따라 유량제어 밸브(도시되지않음)를 거쳐 오일탱크로 복귀된다.
비록, 본 발명의 마그네틱 블럭을 콘크리트 차량의 유압회로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 사용하였지만, 마그네틱 블럭을 자동변속기에서 차속을 변속시키기 위한 자동차, 중장비 및 작동유의 압력과 방향, 유량을 제어하여 작동되는 모든 유압회로에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변형 유압펌프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오일탱크에 저장된 작동유를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 밸브를 본 발명의 마그네틱 블럭의 제2블럭 일측으로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1블럭 일측으로 교반실린더의 샤프트측으로 토출되는 작동유의 유압을 제어하는 릴리프 밸브 및 밸브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에 의하면, 베이스 블럭 상부에 제1 및 제2블럭을 고정시켜 하나의 유니트화된 마그네틱 블럭이 구비되고, 베이스 블럭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통로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블럭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는 수평통로와 다수의 수직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블럭에는 수직통로들과 연통되도록 저면에 입, 출력포트가 형성된 각종 압력제어 밸브가 결합되어 작동유의 압력, 유량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들에 작동유를 전달시키기 위한 고무호스 또는 관로들의 삭제가 가능함은 물론 입, 출력포트의 이음부에서 발생되는 누설과 온도 차이에 의한 작동유의 점도 변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유압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특히 유압제어 밸브들의 설치공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어 차량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동유의 압력, 유량 및 방향을 제어하는 유압제어 밸브들이 결합된 제1 및 제2블럭과 이를 고정시키는 베이스 블럭으로 구성된 마그네틱 블럭을 구비하고, 베이스 블럭 및 제1 및 제2블럭에 통로들을 형성시켜 각종 밸브들에 작동유를 전달시키기 위한 종래의 고무호스 또는 관로들의 삭제가 가능함은 물론 입, 출력포트의 이음부에서 발생되는 누설과 온도 차이에 의한 작동유의 점도 변환이 미연에 방지되어 유압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작동유의 압력, 유량 및 방향을 제어하는 유압제어 밸브들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그네틱 블럭과;
    상기 마그네틱 블럭은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통로가 형성된 베이스 블럭과 상기 베이스 블럭 상부에 고정보울트로 고정되는 제1 및 제2블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블럭에 작동유를 각각의 밸브로 전달하기 위한 고무호스 또는 관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수평통로와;
    상기 제1 및 제2블럭 상면에 유압제어 밸브의 입, 출력포트들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 상면에 제1수직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통로 양측에는 베이스 블럭의 통로와 연통되는 2개의 유압통로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럭에 상면에 제2, 3 및 제4수직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블럭 상부에는 제2,3 및 제4수직통로와 연통되도록 저면에 입, 출력포트가 형성된 압력제어 밸브 및 2개의 방향제어 밸브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럭의 수평통로 일부분에는 수나사가 성형되고, 상기 수나사에는 외주연으로 암나사가 성형된 몸체가 조여지며, 상기 몸체에는 제4수직통로에 연통된 방향제어 밸브의 입, 출력포트에 변동되는 유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오리피스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블럭의 제1블럭 일측으로 오일탱크에 저장된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여 가변형 유압펌프의 토출량을 줄일 수 있도록 유량제어 밸브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블럭의 제2블럭 일측에는 교반실린더의 샤프트측으로 토출되는 작동유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해 릴리프 밸브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7.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블럭은 작동유의 압력, 방향, 유량을 제어하여 작동되는 자동차, 중장비등의 차량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 상부에는 제1수직통로와 연통되도록 저면에 입, 출력포트들이 형성된 방향제어 밸브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KR1019970013970A 1997-04-16 1997-04-16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KR19980077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970A KR19980077013A (ko) 1997-04-16 1997-04-16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970A KR19980077013A (ko) 1997-04-16 1997-04-16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013A true KR19980077013A (ko) 1998-11-16

Family

ID=6595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970A KR19980077013A (ko) 1997-04-16 1997-04-16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70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900A (ko) * 2015-05-13 2016-11-24 (주) 덕인엔지니어링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KR20160147421A (ko) * 2015-06-15 2016-12-23 (주)씨엔에스 모사 이동층 공정시스템에 설치되는 큐브형 밸브 블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900A (ko) * 2015-05-13 2016-11-24 (주) 덕인엔지니어링 유압 작동기의 유압 방향전환 블록
KR20160147421A (ko) * 2015-06-15 2016-12-23 (주)씨엔에스 모사 이동층 공정시스템에 설치되는 큐브형 밸브 블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6998B2 (en) Hydraulic valve
EP0747601B1 (en) Pressure oil supply system having a pressure compensating valve
US5622206A (en) Multiple valve unit for pressurized fluid supply system
KR960023846A (ko) 유압 제어 시스템
US5673557A (en) Displacement control system for variable displacement type hydraulic pump
CN107532619B (zh) 流体压控制装置
KR100200028B1 (ko) 중장비의 직진주행장치
KR19980077013A (ko) 유압제어 밸브 결합용 마그네틱 블럭
GB2143304A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unit
KR20040072378A (ko)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시스템
GB2049814A (en) Pumps for Hydraulic Systems
EP0913586A1 (en) Hydraulic oil supply apparatus
US6325104B1 (en) Hydraulic circuit, precedence valve block and operation valve block assembly
US4308787A (en) Priority flow divider
RU2060386C1 (ru) Гидросистема горной машины
JP3502164B2 (ja) 多連方向切換弁装置
US4557291A (en) Multiple control valve system
KR100281175B1 (ko) 콘트롤밸브의내부합류장치
EP0943813A2 (en) Shuttle valve manifold
KR910000574B1 (ko) 가압공기식 액체혼합 압송장치
KR0152405B1 (ko)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작동장치
KR20190115050A (ko) 방향 전환 밸브
KR100208398B1 (ko) 콘크리트 토출압 제어용 유압장치
CN212985645U (zh) 一种用于液压动力站的液压供油系统及液压动力站
KR100242962B1 (ko) 콘크리트 펌프트럭용 코어펌프의 가동방식 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