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405B1 -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작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405B1
KR0152405B1 KR1019950012358A KR19950012358A KR0152405B1 KR 0152405 B1 KR0152405 B1 KR 0152405B1 KR 1019950012358 A KR1019950012358 A KR 1019950012358A KR 19950012358 A KR19950012358 A KR 19950012358A KR 0152405 B1 KR0152405 B1 KR 0152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option
valve
main control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566A (ko
Inventor
임헌장
Original Assignee
김정국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국,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정국
Priority to KR101995001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405B1/ko
Publication of KR96004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2Systems using center bypass type changeover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에 작업기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에 기존이 메인컨트롤밸브를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보조컨트롤밸브를 설치하여 옵션작업기를 작용시킬 수 있도록 한 굴삭기의 옵션작업기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옵션작업기 작동장치에서는 메인컨트롤밸브(2) 내에 하나의 옵션스풀(20)만 확보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옵션장치가 필요한 경우 상기 메인컨트롤밸브(2)를 크게 설계변경 하여야 하므로 제작단가가 비싸고 제조설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추가 옵션실린더(23)를 작동하기 위한 보조컨트롤밸브(10)를 별도로 연결하고 스위치(18)에 의해 작동되는 셀렉터밸브(12)(12')에 의해 옵션스풀(20) 또는 보조컨트롤밸브(10)에 선택적으로 압유가 공급되도록 하여, 옵션 작업기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 굴삭기의 옵션작업기 작동장치로서, 기존의 메인컨트롤밸브를 크게 설계 변경할 필요없이 추가 옵션 작업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설치가 간편하게 된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작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능추가 형태로 된 각부 조작장치의 회로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각부 조작장치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펌프 2 : 메인컨트롤밸브
3 : 컨트롤레버 4 : 오일탱크
5 : 붐실린더 6 : 암실린더
7 : 버켓실린더 9 : 주행모터
10 : 보조컨트롤밸브 11, 11' : 옵션실린더
12, 12' : 셀렉터밸브 13 : 셔틀밸브
14 : 셔틀밸브 15 : 주행직진밸브
16 : 오리피스 17 : 압력스위치
18 : 전원스위치 19 : 옵션스풀용밸브
20 : 옵션스풀 21 :센터 바이패스밸브
22 : 관로 23 : 옵션실린더
24 : 조작단
본 발명은 굴삭기에서 작업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에 기존의 메인컨트롤밸브를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보조컨트롤밸브를 설치하여 옵션작업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굴삭기의 옵션작업기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대형 굴삭기에 도저를 추가 설치할 때 기존의 메인컨트롤밸브에서는 주로 브레이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여유스풀이 1개뿐이어서 작업기를 더 추가할 때에는 별도의 컨트롤밸브를 설치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에 대한 시스템 구성은 기존의 기능 및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작업기를 추가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들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컨트롤밸브(2)에서 브레이크 또는 다른 작업장치용으로 기확보되어 있는 옵션스풀(20)을 사용하거나 여유스풀의 수를 증가시키도록 설계 변경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는데, 전자의 경우는 다른 용도로 확보되어 있는 옵션스풀(20)을 이용함으로써 또다른 작업장치의 추가는 곤란한 현상이 발생되고, 후자의 경우와 같이 또다른 옵션스풀을 확보하도록 설계 변경할 경우에는 메인컨트롤밸브를 키우지 않으면 안되고 추가 작업장치가 필요없는 장비에 까지 적용되는 사례가 발생되어 원가 상승의 요인이 발생되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메인컨트롤밸브를 설계변경 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 가능토록 하여 제작단가가 저렴하면서, 별도의 요구에 따른 옵션작업기를 용이하게 설치 사용 가능케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로 셀렉터밸브를 조작함에 따라 펌프로부터 컨트롤 레버를 통해 공급된 압유가 메인컨트롤밸브의 옵션스풀로, 또는 별도로 설치된 옵션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조 컨트롤밸브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제1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펌프(1)로부터 공급된 압유가 컨트롤밸브(3)내로 유입되고 상기 컨트롤레버(3)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레버(3)의 옵션스풀용 밸브(19)의 토출포트(a13, b13)는 메인컨트롤밸브(2)의 옵션스풀(20)의 양조작단(a13', b13')에 파일롯트압 관로가 연결되고 이에 따라 펌프(1)로부터 공급된 압유가 상기 옵션스풀(20)을 통해 옵션(23)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굴삭기의 옵션작업기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레버(3)의 옵션스풀용밸브(19)의 토출포트(a13, b13)는 스위치(18)에 의해 조작되는 셀렉터밸브들(12)(12')의 흡입포트에 각각 연결되는데, 상기 셀렉터밸브(12)(12') 토출포트는 메인컨트롤밸브(2) 옵션스풀(20)의 양 조작단(a13, b13)에 연결되거나, 펌프(1)와 옵션실린더(11)(11') 사이에 상기 옵션실린더(11)(11')를 작동하기 위해 관로(22)로 연결된 보조컨트롤밸브(10)의 양 조작단(a1, b1)에 연결된다.
즉 상기 스위치(18)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컨트롤레버(3)로 부터의 파일롯트압의 공급이 메인컨트롤밸브(2)의 옵션스풀(20)의 양 조작단(a13, b13')에 작용되어 옵션실린더(23)가 작동되도록 연결되거나, 보조 컨트롤밸브(10)의 양 조작단(a1, b1)에 작용되어 옵션실린더(11)(11')가 작동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보조컨트롤밸브(10)의 양 조작단(a1, b1)에는 파일롯트 라인이 각각 분기되어 셔틀밸브(13)의 양단에 연결되며 또다른 셔틀밸브(14)의 일단 포트(b)에 연결되고, 상기 셔틀밸브(14)의 타단 포트(c)는 메인컨트롤밸브(2)의 옵션스풀(20)의 조작단(b13)에 연결되고, 그 토출단(a)은 센터 바이패스밸브(21)의 조작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1)로부터 분기된 관리(22)가 오리피스(16)를 거쳐서 세갈래로 분기되어, 그중 한 관로는 메인컨트롤밸브(2)의 주행직진밸브(15)의 조작단(24)에 파일롯트압 라인이 연결되며, 또 한 관로는 압력스위치(17)에 연결되며, 나머지 한 관로는 상기 보조 콘트롤밸브(10)내로 연결되어 보조콘트롤밸브(10)가 비작동시에는 드레인탱크(4)와 연결되고 작동시에는 그 관로가 폐쇄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위치(18)을 조작하지 않을 때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장치와 같은 기능 및 성능이 나온다. 즉, 컨트롤레버(3)을 조작하게 되면 옵션스풀의 양 조작단(a13', b13')에 압력이 전달되어 옵션스풀(20)을 움직이게 되어 옵션실린더(23)을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때 보조컨트롤밸브의 양 조작단(a1, b1)에는 압력이 전달되지 않아서 보조컨트롤밸브(10)의 스풀이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옵션실린더(11)(11')을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메인컨트롤밸브(2)에는 압력이 전달되어 컨트롤레버(3)을 조작하게 되고 옵션실린더(23)가 작동되게 된다. 펌프(1)로 부터의 압류가 컨트롤레버(3)과 메인컨트롤밸브(2) 및 보조컨트롤밸브(10)에 연결되어 컨트롤레버(3)을 조작하지 않았을 경우, 오토 아이들링이 된다. 즉, 이미 압력스위치(17)에서 설정된 압력이 되면 자동력으로 압력이 체크되어 엔진을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따라서 작업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원스위치(18)을 조작하였을 경우에는 셀렉터밸브(12)(12')가 움직인다. 이때 컨트롤레버(3)을 조작하면, 컨트롤레버(3)의 옵션스풀용밸브 토출포트(a13, b13)의 압력이 셀렉터밸브(12)(12')의 양 조작단(a1, b1)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셔틀밸브(13), (14)로 연결되어 메인컨트롤밸브(2)의 센터 바이패스밸브(21)에 연결되어 펌프(1)로 부터의 압유가 상기 센터 바이패스밸브(21)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압유는 보조컨트롤밸브(10)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컨트롤레버(3)을 조작하게 되면 보조컨트롤밸브(10)의 스풀이 움직여 옵션실린더(11)(11')가 움직인다. 이와 동시에 펌프(1)의 A3에서 토출된 유압은 컨트롤레버(3)와 메인컨트롤밸브(2) 및 보조컨트롤밸브(10)에 연결되어 오토 아이들은 해제된다.
그러나, 보조컨트롤밸브(10)에 공급되는 메인압력을 펌프(1)의 A2에서 분기하였기 때문에 주행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하면서 옵션실린더를 작동하였을 경우에는 제2도의 메인콘트롤밸브(2)의 주행직전밸브(15)가 그림과 같이 되어 주행직진이 이루어지지 않아 장비가 어느 한쪽으로 돌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도와 같이 메인컨트롤밸브(2)에 관로(22)에서 분기된 파이롯트압라인이 조작단(24)에 연결된 주행직진밸브(5)를 메인컨트롤밸브(2)에 설치한다. 따라서 펌프(1)의 A3에서 토출된 유압은 오리피스(16)을 지나 상기 주행직진밸브(15)의 조작단(24)에 작동하게 되어 펌프(1)의 A1에서 토출된 유압과 A2에서 토출된 유압이 연결되어 옵션실린더(11)(11')을 작동하면서 주행을 하더라도 주행직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18)의 조작에 의해 셀렉터밸브(12)(12')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펌프(1)로부터 컨트롤레버(3)를 통해 공급된 압유가 메인컨트롤밸브(2)의 옵션스풀(20), 또는 옵션실린더(11)(11')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조콘트롤밸브(10)를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옵션 작업이 이루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 장치는 스위치(18)로 셀렉터밸브(12)(12')를 조작함으로서, 펌프(1)로부터 컨트롤레버(3)를 통해 공급된 압유가 메인컨트롤밸브(2)의 옵션스풀(2)로, 또는 별도로 설치된 옵션실린더(23)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조컨트롤밸브(10)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서, 옵션실린더의 옵션작업기를 종래와 같이 메인컨트롤밸브(2)의 옵션스풀(2)에 반드시 연결 사용할 필요가 없고, 상기 보조컨트롤밸브(10)에 연결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메인컨트롤밸브(2)가 또 하나의 옵션스풀을 가지도록 크게 설계 변경할 필요없이 별도의 보조컨트롤밸브(10)를 연결하면 되므로 원가상승요인이 배제되고, 설치가 간편하며 조작 장치의 기능을 다변화 할 수 있고, 추가적인 옵션장치가 필요한 장비에만 적용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펌프(1)로부터 공급된 압유가 컨트롤레버(3)내로 유입되고 상기 컨트롤레버(3)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레버(3)의 옵션스풀용 밸브(19)의 토출포트는 메인컨트롤밸브(2)의 옵션스풀(20)의 양 조작단에 파일롯트압 관로가 연결되고 이에 따라 펌프(1)로부터 공급된 압유가 상기 옵션스풀(20)를 통해 옵션(23)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굴삭기의 옵션작업기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레버(3)의 옵션스풀용밸브(19)의 토출포트(a13, b13)는 스위치(18)에 의해 조작되는 셀렉터밸브들(12)(12')의 흡입포트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셀렉터밸브들(12)(12') 토출포트는 메인컨트롤밸브(2), 옵션스풀(20)의 양 조작단(a13', b13')에 연결되거나, 펌프(1)와 옵션실린더(11)(11') 사이에서 상기 옵션실린더(11)(11')를 작동하기 위해 관로(22)로 연결된 보조컨트롤밸브(10)의 양 조작단(a1, b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옵션작업기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컨트롤밸브(10)의 양 조작단(a1, b1)에는 파일롯트 라인이 각각 분기되어 셔틀밸브(13)의 양단에 연결되며 또다른 셔틀밸브(14)의 일단포트(b)에 연결되고, 상기 셔틀밸브(14)의 타단포트(c)는 메인컨트롤밸브(2)의 옵션스풀(20)의 조작단(b13')에 연결되며, 그 토출단(a)은 센터 바이패스밸브(21)의 조작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작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1)로부터 분기된 관로(22)가 오리피스(16)를 거쳐서 세갈래로 분기되어, 그중 한 관로는 메인컨트롤밸브(2)의 주행직진밸브(15)의 조작단(24)에 파일롯트압 라인이 연결되며, 또 한 관로는 압력스위치(17)에 연결되며, 나머지 한 관로는 상기 보조컨트롤밸브(10)내로 연결되어 보조컨트롤밸브(10)가 비작동시에는 드레인탱크(4)와 연결되고 작동시에는 그 관로가 폐쇄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옵션작업기 작동장치.
KR1019950012358A 1995-05-18 1995-05-18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작동장치 KR015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358A KR0152405B1 (ko) 1995-05-18 1995-05-18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358A KR0152405B1 (ko) 1995-05-18 1995-05-18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566A KR960041566A (ko) 1996-12-19
KR0152405B1 true KR0152405B1 (ko) 1998-10-15

Family

ID=1941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358A KR0152405B1 (ko) 1995-05-18 1995-05-18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18B1 (ko) * 2004-12-31 2012-06-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옵션작업장치의 제어장치
KR101438229B1 (ko) * 2007-12-27 2014-09-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유압 공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770B1 (ko) * 2003-02-12 2005-10-05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18B1 (ko) * 2004-12-31 2012-06-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옵션작업장치의 제어장치
KR101438229B1 (ko) * 2007-12-27 2014-09-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유압 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566A (ko)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753B1 (ko) 굴삭기용 유압구동 시스템
JP5669448B2 (ja) 掘削機用油圧駆動システム
KR100324108B1 (ko) 건설 기계의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
KR100886476B1 (ko)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JPS6225882B2 (ko)
KR100200028B1 (ko) 중장비의 직진주행장치
KR100518770B1 (ko)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시스템
KR0152405B1 (ko)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작동장치
JP3441995B2 (ja) 建設機械のバルブ配置構造
JP3961123B2 (ja) 油圧作業機械の油圧回路
KR100188885B1 (ko) 중장비의 직진주행장치
JPH0637091Y2 (ja) 土木・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100283220B1 (ko) 압력손실 저감기능을 갖는 중장비용 메인콘트롤밸브
JP3016004B2 (ja) 作業機の干渉防止制御回路装置
KR100221588B1 (ko) 별도의 가변재생 유닛트를 이용한 가변재생 유압회로
JPH0211491Y2 (ko)
KR100298635B1 (ko) 주행우선장치_
KR950006737Y1 (ko) 불도저의 유압식 작업기 작동조작장치
JP2583832B2 (ja) 油圧アクチユエ−タの自動速度制御回路
KR870003751Y1 (ko) 굴삭기에 있어서의 병압형 바께쓰
JP2871886B2 (ja) 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KR950005291Y1 (ko) 바퀴형 굴삭기의 유압구동 시스템
JP2575017Y2 (ja) 油圧機器の駆動方向切換え操作装置
KR200356079Y1 (ko) 건설장비의 유압 컨트롤 장치
KR20040087180A (ko) 주행중 붐 상승방지용 유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