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370B1 -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370B1
KR101692370B1 KR1020160080340A KR20160080340A KR101692370B1 KR 101692370 B1 KR101692370 B1 KR 101692370B1 KR 1020160080340 A KR1020160080340 A KR 1020160080340A KR 20160080340 A KR20160080340 A KR 20160080340A KR 101692370 B1 KR101692370 B1 KR 10169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rotary
chai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삼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4Upholstered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양측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부와, 팔지지부를 연결 지지하고, 하중을 지탱하는 다리부와, 팔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착석 가능한 시트와, 다리부에 구비되어 지지축을 거쳐 시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승강부와 시트에 연결되어 시트를 회전시키는 회전탄성부와, 팔지지부에서 승강부 측으로 연결되어 승강부의 승강 작동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CHAIR WITH BUTTON TYPE ROTATION SEAT}
본 발명은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의 누름 동작으로 케이블을 당겨 승강탄성부를 작동시키므로 의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회전탄성부의 신장 탄성력으로 의자를 등받이 측으로 회전시키며, 회전속도조절부를 이용하여 회전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당, 극장, 세미나실. 예식장 등에 설치되는 의자는 좁은 공간에 연속 배열 설치된다. 이때, 시용자는 의자의 시트에 착석하여 공연 및 영화을 관람하거나 강의를 듣거나 개인 업무를 보게 된다. 이러한 의자의 시트는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 시트와, 본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식 시트와, 시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식 시트가 있다.
기존이 높이조절식 시트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높이조절식 시트는 의자의 다리부위에 가스스프링이 설치되고, 가스스프링의 댐핑력을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 레버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기존의 회전식 시트는 본체에 연결되는 지지축이 구비되고, 이 지지축에 연결된 시트를 사용자가 착석한 후 일어날 때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젖혀지도록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탄성부재는 스프링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높이조절식 시트는 회전식 시트에 접목시킨 의자가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높이조절식 시트는 일반 사무용 의자에는 적용한 경우가 있지만, 강당, 극장, 세미나실. 예식장 등에 설치되는 관람용 의자에는 적용된 바가 없으며. 기존의 높이조절식 시트는 레버식으로 젖혀서 작동하므로 작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회전식 시트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시트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탄성부재의 자체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회전력이 결정됨으로써, 시트의 회전력을 조절하고자 할 때 탄성부재를 교체하거나 새로 세팅해야 하며, 탄성력이 과도한 경우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시트에서 이탈하는 순간 신체를 세게 밀어 넘어지거나 다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시트에 댐퍼를 추가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댐퍼가 시트에 일단 적용되면, 시트가 부드럽게 회전하지만 시트의 회전속도는 항상 동일하므로 시트 회전속도의 완급을 사용자 임의대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5810호(2000.12.26., 발명의 명칭: 자동 접철식 의자)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버튼의 누름 동작으로 케이블을 당겨 승강탄성부를 작동시키므로 의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회전탄성부의 신장 탄성력으로 의자를 등받이 측으로 회전시키며, 회전속도조절부를 이용하여 회전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양측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부; 상기 팔지지부를 연결 지지하고, 하중을 지탱하는 다리부; 상기 팔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착석 가능한 시트;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어 지지축을 거쳐 상기 시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상기 시트에 연결되어 시트를 회전시키는 회전탄성부; 및 상기 팔지지부에서 상기 승강부 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 작동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 상기 바닥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다리본체; 및 상기 다리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양측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팔지지부의 저면을 고정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는, 하중을 완충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가 덮여지고,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을 차단하는 하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에 몸체부가 설치되고, 작동축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작동축이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비하여 함께 승강하고, 상기 지지축이 구비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탄성부는, 상기 승강블록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서포트부재;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서포트부재; 및 상기 제1서포트부재에 일단이 연결 지지되고, 상기 제2서포트부재에 타단이 연결지지되어 상기 제2서포트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서포트부재를 밀어주므로 상기 시트를 탄성 회전시키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팔지지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작동부재; 상기 회전작동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의 댐핑력을 조절함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외부를 커버하는 외피부재; 및 상기 외피부재를 상기 승강블록의 고정판에 결합지지하여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결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고정판 상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외피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양측으로 조여줌에 따라 상기 외피부재를 상기 고정판에 고정하는 한 쌍의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가압 밀착력을 가하는 회전속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속도조절부는,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의 하측부위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의 상측부위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부가 형성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제1,제2안착홈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상기 지지축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상하측으로 연통되는 삽입홀; 상기 회전부재의 상하측으로 형성되는 나사홀; 상기 설치브라켓에서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머리부가 걸리면서 상기 나사홀에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지지축과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간에 탄성벌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임부 회전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벌림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 상기 제1함몰홈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저면에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 및 상기 제1,제2함몰홈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벌리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버튼의 누름 동작으로 케이블을 당겨 승강탄성부를 작동시키므로 의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회전탄성부의 신장 탄성력으로 의자를 등받이 측으로 회전시키며, 회전속도조절부를 이용하여 회전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지지부의 측면에 버튼부에 의해 작동되는 승강조절부를 구비하여 의자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을 보호하는 외피부재를 결함지지부를 이용하여 고정판에 결합하므로 케이블을 승강실린더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후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케이블이 승강실린더에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승강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회전속도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을 반대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회전속도조절부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후측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케이블이 승강실린더에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승강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회전속도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을 반대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회전속도조절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팔지지부(40), 다리부(60), 시트(100), 승강부(200), 회전탄성부(300) 및 승강조절부(400)를 포함한다.
팔지지부(40)는 양측 팔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승강조절부(410)의 버튼 관련 일부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팔지지부(40)는 젖히거나 펼칠 수 있는 메모대를 공간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리부(60)는 팔지지부(40)를 연결 지지하고, 하중을 지탱하는 구성이다.
다리부(60)는 팔지지부(40)의 중간부위에 1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팔지지부(40)의 하측에 각각 모두 2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리부(60)는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62)와, 바닥플레이트(62) 상에 구비되어 승강부(200)의 일부를 수용하는 다리본체(64)와. 다리본체(64)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양측 수평으로 연장되어 팔지지부(40)의 저면을 고정 지지하는 연결프레임(66)을 포함한다.
바닥플레이트(62)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나사를 통해 바닥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다리본체(64)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형 기둥형태로 이루어지고, 시트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66)은 다리본체(64)의 상부 후측면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연결프레임(66)의 상측면에는 팔지지부(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68)는 연결프레임(66)의 양측 가장자리 상에 구비되어 전후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나사 또는 볼트가 삽입되어 팔지지부(40)의 저면에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팔지지부(40)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100)는 팔지지부(40) 사이에 구비되고, 착석 가능한 구성이다.
시트(100)는 하중을 완충하는 쿠션부재(110)와, 쿠션부재(110)가 덮여지고,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20)의 저면을 차단하는 하측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쿠션부재(1100과 지지프레임(120) 사에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은 가로, 세로 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 또는 지지프레임(120)의 전후측으로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S자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하측플레이트(130)의 재질은 금속판재 또는 목재판재, 플라스틱 판재 등 다양한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승강부(200)는 다리부(60)에 구비되어 지지축(250)을 거쳐 시트(100)를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승강부(200)는 바닥플레이트(62) 상에 상하측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재(210)와, 수용부재(210)에 몸체부(222)가 설치되고, 작동축(224)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실린더(220)와, 작동축(224)이 결합되는 고정판(232)을 구비하여 함께 승강하고, 지지축(250)이 구비되는 승강블록(230)과, 지지축(250)에 연결되고, 지지프레임(1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장착브라켓(240)을 포함한다.
수용부재(210)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하단부위가 바닥플레이트(62) 상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수용부재(210)는 승강실린더(220)의 몸체부(222) 하측 일부가 삽입 지지되어 하중을 지탱하면서 작동축(224)을 상하측으로 동작하도록 배치된다.
승강실린더(220)는 가스방식 높이조절 실린더로서, 평상시에는 높낮이가 고정되어 있다가 후술하는 승강조절부(400)의 조작을 통해 가스를 배출하므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승강실린더(22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승강블록(230)은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에는 승강실린더(220)의 작동축(224)이 삽입되는 사각형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판(232)이 상부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턱에 안착되어 4개의 볼트를 통해 승강블록(230) 상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고정판(232)의 중심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승강실린더(220)의 작동축(224)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고정판(232)과 승강블록(230)은 작동축(230)과 함께 승강함으로써, 시트(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승강블록(230)의 후방 측에는 지지축(250)이 가로 방향으로 축설 되기 위한 지지축설치부(234)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지지축설치부(234)는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지지축설치부(234)의 가로방향에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지지축(250)이 삽입 설치된다.
지지축설치부(234)의 삽입구멍을 통해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축(250)은 지지프레임(120)의 하측에 구비된 장착브라켓(240)에 삽입 설치되므로 다리부(60)와 승강부(200)에 대해 시트(100)가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지지축(250)이 결합되는 장착브라켓(240)의 구멍에는 시트(1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탄성부(300)는 승강부(200)와 시트(100)에 연결되어 시트(10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회전탄성부(300)는 승강블록(23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서포트부재(310)와, 지지프레임(120)에 구비되는 제2서포트부재(320)와, 제1서포트부재(310)에 일단이 연결 지지되고, 제2서포트부재(320)에 타단이 연결지지되어 제2서포트부재(320)에 대하여 제1서포트부재(310)를 밀어주므로 시트(100)를 탄성 회전시키는 가압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
제1서포트부재(310)는 승강블럭(230)의 전측에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고, 그 사이에 가압탄성부재(330)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하여 구성된다.
제2서포트부재(320)는 시트프레임(120) 저면 부위에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여 그 사이에 가압탄성부재(330)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하여 구성된다.
가압탄성부재(330)는 가스스프링을 적용하도록 한다. 물론, 가압탄성부재(330)는 다양한 탄성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압탄성부재(330)는 항상 신장 되려는 힘을 가지므로 몸체부에서 축이 가스에 의해 팽창된다. 이로써, 가압탄성부재(330)는 제1스토퍼부재(310)에 대해 제2스토퍼부재(320)를 밀어줌으로써, 시트(100)를 등받이(20) 측으로 젖혀준다. 이때, 사용자가 시트(100)에 앉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트(1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압탄성부재(330)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착석하면 된다. 사용자가 시트(100)에서 벗어나게 되면 가압탄성부재(330)가 팽창력을 발휘하므로 시트(100)는 등받이(20) 측으로 젖혀지게 된다.
승강조절부(400)는 팔지지부(40)에서 승강부(200) 측으로 연결되어 승강부(200)의 승강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승강조절부(400)는 팔지지부(4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버튼부(410)와, 버튼부(410)의 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작동부재(420)와, 회전작동부재(4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승강실린더(220)에 연결되어 승강실린더(220)의 댐핑력을 조절함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는 케이블(430)과, 케이블(430)의 외부를 커버하는 외피부재(440)와, 외피부재(440)를 승강블록(230)의 고정판(232)에 결합지지하여 케이블(4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결합지지부(450)를 포함한다.
버튼부(410)는 팔지지부(400) 중 사용자 착석시 오른쪽 팔지지부(4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상 필요에 따라 왼쪽 팔지지부(40) 또는 의자의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작동부재(420)는 다수개의 링크로 연결되어 버튼부(410)를 누르면 레버작동으로 외피부재(440) 내에 수용된 케이블(430)를 길이방향으로 당겨주도록 구성된다.
외피부재(440)는 케이블(430)이 구부려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430)이 버튼부(410)의 누름동작과 회전작동부재(420)의 회전 당김동작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합지지부(450)는 케이블(430)이 승강실린더(220)의 가스배출 작동부위에 연결되어 당겨지도록 외피부재(440)를 고정판(232)에 고정지지하는 구성이다.
결합지지부(450)는 고정판(232) 상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452)와, 걸림부재(452)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454)와, 외피부재(440)의 단부에 구비되고, 걸림홈부(454)에 삽입 설치되어 걸림부재(452)의 양측으로 조여줌에 따라 외피부재(440)를 고정판(232)에 고정하는 한 쌍의 볼트부재(456)를 포함한다.
걸림부재(452)는 고정판(232)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걸림홈부(454)는 걸림부재(452)의 상측 중심부위에 U자 형태로 함몰 형성된다.
볼트부재(456)는 외피부재(44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걸림부재(452)의 걸림홈부(454)에 삽입된 후 걸림부재(452)의 측면으로 조여주어 밀착됨으로써, 외피부재(440)를 고정판(23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회전탄성부(300)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1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지지축(250)에 가압 밀착력을 가하는 회전속도조절부(500)를 더 포함한다.
회전속도조절부(500)는 시트(100)의 회전속도를 사용자 의지대로 조절하여 아주 빠름, 빠름, 중간, 느림, 아주느림 등과 같이 사용자 임의대로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속도조절부(500)는 지지프레임(120)에 설치되고, 지지축(25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설치브라켓(510)과, 설치브라켓(510)에 고정되고, 지지축(250)의 하측부위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부(522a)가 형성되는 고정부재(520)와, 고정부재(520)에 대해 힌지(536)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지지축(250)의 상측부위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부(532a)가 형성되는 회전부재(530)와, 회전부재(530)를 고정부재(520)에 대해 회전시켜 제1,제2안착홈부(522a, 532a) 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지지축(25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임부(540)를 포함한다.
설치브라켓(510)은 고정부재(520)가 접촉 체결되고, 지지축(250)이 삽입되는 측면브라켓(512)과, 측면브라켓(512)에서 L 자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20)의 상면에 지지되는 바닥브라켓(514)과, 바닥브라켓(514)에 측면으로 2개 이상 연장되어 지지프레임(520)에 체결되는 결합브라켓(516)을 포함한다.
측면브라켓(512)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축(250)의 외주면과 측면브라켓(512) 구멍 사이에는 베어링부재(518)가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부재(518)는 마찰베어링 또는 볼베어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520)는 제1안착홈부(522a)가 형성되는 제1안착부(522)와, 제1안착부(522)에 연결되고, 제1안착부(522)의 두께에 비해 얇으면서 높이는 제1안착부(522)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는 제1회전접촉부(524)를 포함한다.
회전부재(530)는 제1안착부(522) 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제2안착홈부(532a)가 형성되는 제2안착부(532)와, 제2안착부(532)에 연결되고, 제1회전접촉부(524)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제1회전접촉부(524)와 힌지(536)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접촉부(534)를 포함한다.
한편, 제2회전접촉부(534)는 제2안착부(532)의 두께에 비해 얇으면서 제2안착부(532)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된다.
고정부재(520)와 회전부재(530)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제2안착부(522,532)는 상하측으로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1,2회전접촉부(524,534)는 측면으로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520)와 회전부재(530)의 일측에는 베어링부재(518)의 확장부위가 삽입 설치되는 요입홈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요입홈부(560)는 제1,제2안착홈부(522a, 534a)의 주변 각각에 반원홈으로 형성된다.
조임부(540)는 고정부재(520)에 상하측으로 연통되는 삽입홀(542)과, 회전부재(530)의 상하측으로 형성되는 나사홀(544)과, 설치브라켓(510)에서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546)과, 관통홀(546)에 머리부가 걸리면서 나사홀(544)에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530)를 고정부재(520)에 대해 회전시켜 지지축(250)과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조임부재(548)를 포함한다.
조임부재(548)는 나사홀(544)에서 체결됨에 따라 회전부재(530)의 회전을 통해 지지축(250)의 외주면에 강한 가압력을 가하므로 회전탄성부(300)의 탄성 댐핑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관통홀(546)은 설치브라켓(510) 중 바닥브라켓(514)에 형성된다.
조임부재(548)는 길이가 길고 굵은 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조임부재(548)는 관통홀(546)에 대응하도록 하측플레이트(330)에 관통 형성되는 조절구멍(550)을 통해 회전되어 시트(1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시트(100)가 젖혀진 상태에서 하측플레이트(130)의 조절구멍(550)에 공구의 단부를 삽입하여 관통홀(546)에 머리부가 걸린 조임부재(548)를 회전시켜 조임부재(548)의 나사부를 회전부재(530)의 나사홀(544)에서 회전시킨다.
연이어, 조임부재(548)의 조임작용에 의해 회전부재(530)를 하측으로 당겨주면, 고정부재(530)에 대해 힌지(536)를 기준으로 회전부재(5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안착홈부(532a)가 고정부재(520)의 제1안착홈부(522a) 측으로 이동하여 지지축(250)의 외주면을 가압하므로 회전탄성부(300)의 가압탄성부재(330) 탄성력을 제동시켜 시트(100)의 회전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시트(1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한다면, 상기한 반대방향으로 조임부재(548)를 회전시켜 회전부재(5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한편, 나사홀(544)은 회전부재(530) 상에 결합되는 연결지지부재(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연결지지부재는 회전부재(530)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되고, 단부가 힌지(536) 반대측으로 연장되면서 하단으로 구부려져 지지프레임(320)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회전속도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는, 고정부재(520)와 회전부재(530) 간에 탄성벌림부(600)가 구비되어 조임부(540) 회전시 고정부재(520)에 대하여 회전부재(530)가 벌려지게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벌림부(600)는 고정부재(520)의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610)와, 제1함몰홈부(610)에 대응하도록 회전부재(530)의 저면에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620)와, 제1,제2함몰홈부(610,620)에 양측이 각각 삽입 설치되어 회전부재(530)를 벌리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630)를 포함한다.
제1,제2함몰홈부(610,620)는 스프링부재(630)가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스프링부재(630)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제1함몰홈부(610)는 고정부재(520)에 형성되는 삽입홀(542)의 상측부위에 더 큰 반경을 갖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함몰홈부(620)는 회전부재(530)에 형성되는 나사홀(544)의 하측부위에 더큰 반경을 갖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재(630)의 중심에는 조임부재(548)가 삽입 설치되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1,제2함몰홈부(610,620)와 스프링부재(630)는 고정부재(520)의 삽입홀(542)과 회전부재(530)의 나사홀(544)로 부터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버튼의 누름 동작으로 케이블을 당겨 승강탄성부를 작동시키므로 의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회전탄성부의 신장 탄성력으로 의자를 등받이 측으로 회전시키며, 회전속도조절부를 이용하여 회전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지지부의 측면에 버튼부에 의해 작동되는 승강조절부를 구비하여 의자의 높낮이를 감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을 보호하는 외피부재를 결함지지부를 이용하여 고정판에 결합하므로 케이블을 승강실린더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등받이 40 : 팔지지부
60 : 다리부 62 : 바닥플레이트
64 : 다리본체 66 : 연결프레임
68 : 지지플레이트 100 : 시트
110 : 쿠션부재 120 : 지지프레임
130 : 하측플레이트 200 : 승강부
210 : 수용부재 220 : 승강실린더
222 : 몸체부 224 : 작동축
230 : 승강블록 232 : 고정판
234 : 지지축설치부 240 : 장착브라켓
250 : 지지축 300 : 회전탄성부
310 : 제1서포트부재 320 : 제2서포트부재
330 : 가압탄성부재 400 : 승강조절부
410 : 버튼부 420 : 회전작동부재
430 : 케이블 440 : 외피부재
450 : 결합지지부 452 : 걸림부재
454 : 걸림홈부 456 : 볼트부재
500 : 회전속도조절부 510 : 설치브라켓
512 : 측면브라켓 514 : 바닥브라켓
516 : 결합브라켓 518 : 베어링부재 :
520 : 고정부재 512 : 제1안착부
512a : 제1안착홈부 524 : 재1회전접촉부
530 : 회전부재 532 : 제2안착부
532a : 제2안착홈부 534 : 제2회전접촉부
540 : 조임부 542 : 삽입홀
544 : 나사홀 546 : 관통홀
548 : 조임부재 550 : 조절구멍
600 : 탄성벌림부 610 : 제1함몰홈부
620 : 제2함몰홈부 630 : 스프링부재

Claims (12)

  1. 양측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부;
    상기 팔지지부를 연결 지지하고, 하중을 지탱하는 다리부;
    상기 팔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착석 가능한 시트;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어 지지축을 거쳐 상기 시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상기 시트에 연결되어 시트를 회전시키는 회전탄성부; 및
    상기 팔지지부에서 상기 승강부 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 작동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하중을 완충하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가 덮여지고,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프레임;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에 몸체부가 설치되고, 작동축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작동축이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비하여 함께 승강하고, 상기 지지축이 구비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
    상기 바닥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다리본체; 및
    상기 다리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양측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팔지지부의 저면을 고정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을 차단하는 하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탄성부는,
    상기 승강블록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서포트부재;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서포트부재; 및
    상기 제1서포트부재에 일단이 연결 지지되고, 상기 제2서포트부재에 타단이 연결지지되어 상기 제2서포트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서포트부재를 밀어주므로 상기 시트를 탄성 회전시키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팔지지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작동부재;
    상기 회전작동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의 댐핑력을 조절함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외부를 커버하는 외피부재; 및
    상기 외피부재를 상기 승강블록의 고정판에 결합지지하여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결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고정판 상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외피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양측으로 조여줌에 따라 상기 외피부재를 상기 고정판에 고정하는 한 쌍의 볼트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가압 밀착력을 가하는 회전속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조절부는,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의 하측부위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의 상측부위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부가 형성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제1,제2안착홈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상기 지지축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상하측으로 연통되는 삽입홀;
    상기 회전부재의 상하측으로 형성되는 나사홀;
    상기 설치브라켓에서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머리부가 걸리면서 상기 나사홀에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지지축과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간에 탄성벌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임부 회전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벌림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
    상기 제1함몰홈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저면에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 및
    상기 제1,제2함몰홈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벌리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KR1020160080340A 2016-06-27 2016-06-27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KR10169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40A KR101692370B1 (ko) 2016-06-27 2016-06-27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40A KR101692370B1 (ko) 2016-06-27 2016-06-27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370B1 true KR101692370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340A KR101692370B1 (ko) 2016-06-27 2016-06-27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3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139Y1 (ko) * 2000-11-22 2001-04-16 삼광산업주식회사 의자의 등받이 쿠션장치
KR200443231Y1 (ko) * 2007-07-27 2009-01-28 삼광산업 주식회사 의자의 회전제어장치
KR20140007141A (ko) * 2012-07-09 2014-01-17 서상진 영상체감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139Y1 (ko) * 2000-11-22 2001-04-16 삼광산업주식회사 의자의 등받이 쿠션장치
KR200443231Y1 (ko) * 2007-07-27 2009-01-28 삼광산업 주식회사 의자의 회전제어장치
KR20140007141A (ko) * 2012-07-09 2014-01-17 서상진 영상체감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526B1 (ko) 내진용 조절발
KR101944281B1 (ko) 스툴 장착형 테이블
CA2851990C (en) Door stay
US20110291452A1 (en) Chair adjustment structure
US20060237922A1 (en) Mechanic's creeper
KR101211838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692370B1 (ko)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KR101543553B1 (ko)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038163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692365B1 (ko)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KR101670755B1 (ko) 시트 회전속도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KR200453938Y1 (ko) 높이 및 각도가 가변되는 키보드받침대가 결합 된 의자.
KR102193182B1 (ko)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JPH03991Y2 (ko)
JP3178262U (ja) マッサージチェア
JPH11253264A (ja) 椅子の支持機構
JP2001314257A (ja) 転倒防止機構付ワゴンおよびその付属機器
KR20100018206A (ko) 접이식 의자
KR101889815B1 (ko) 다기능 의자
KR20030001158A (ko) 컴퓨터용 테이블의 보조 기기 설치용 받침판 체결장치
JP4106973B2 (ja) テーブル部材の支持構造
KR101721810B1 (ko) 수평조절장치
KR101637657B1 (ko) 컴퓨터 본체 받침대
KR102294099B1 (ko) 회전식 틸팅모듈을 갖는 의자
JPS632891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