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365B1 -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2365B1 KR101692365B1 KR1020160078285A KR20160078285A KR101692365B1 KR 101692365 B1 KR101692365 B1 KR 101692365B1 KR 1020160078285 A KR1020160078285 A KR 1020160078285A KR 20160078285 A KR20160078285 A KR 20160078285A KR 101692365 B1 KR101692365 B1 KR 101692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load
- elastic
- contact
- s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지각프레임과, 지각프레임에 구비되고, 착석 가능한 시트;를 포함하고, 시트는, 착석 가능하게 이루어져 신체 하중을 흡수하는 쿠션부재와, 쿠션부재의 하측에 구비되고,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쿠션부재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쿠션부재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쿠션부재와 탄성스프링에서 흡수하지 못하는 기준치 이상의 신체 하중이 전달될 때 접촉되어 하중 지지력을 조절하는 하중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에 하중조절부를 구비하여 쿠션과 스프링에서 흡수하지 못하는 충격을 지지하고 흡수함으로써, 기준치 이상인 사용자의 체중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신체 지지력을 높이고, 시트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당, 극장, 세미나실. 예식장 등에 설치되는 의자는 좁은 공간에 연속 배열 설치된다. 이때, 시용자는 의자의 시트에 착석하여 공연 및 영화을 관람하거나 강의를 듣거나 개인 업무를 보게 된다. 이러한 의자의 시트는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 시트와, 본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식 시트를 포함한다.
기존의 시트는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쿠션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므로 사용자가 시트에 착석하면, 쿠션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연이어, 스프링으로 전달되어 신체 하중을 지지한다.
그런데, 기존의 시트는 쿠션만을 단독으로 적용하거나, 쿠션과 스프링을 복합 적용하여 커버로 덮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신체가 가벼운 사용자 또는 신체가 무거운 사용자가 동일한 시트를 사용함에 따라 신체가 무거운 사용자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시트의 쿠션 및 스프링에 가해지는 경우, 쿠션과 스프링이 과도하게 변형되므로 시트가 파손되거나 완충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1460호(2009.01.23, 발명의 명칭: 연결식 의자의 시트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시트에 하중조절부를 구비하여 쿠션과 스프링에서 흡수하지 못하는 충격을 지지하고 흡수함으로써, 기준치 이상인 사용자의 체중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신체 지지력을 높이고, 시트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지각프레임; 및 상기 지각프레임에 구비되고, 착석 가능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착석 가능하게 이루어져 신체 하중을 흡수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하측에 구비되고,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탄성스프링에서 흡수하지 못하는 기준치 이상의 신체 하중이 전달될 때 접촉되어 하중 지지력을 조절하는 하중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은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조절부는, 상기 쿠션부재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측부위가 삽입되는 제1수용부를 구비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측부위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를 구비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제2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닥에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의 일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어 기준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때, 접촉 지지되는 접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조절부는 견고하면 탄성력이 풍부한 고무재질 또는 연성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접촉지지부는 금형 가공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지지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접촉부재;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접촉부재; 및 상기 제1접촉부재와 상기 제2접촉부재의 단부 간에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는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중 지지력을 감안하여 성형시 제1,제2접촉부재의 돌출 길이를 결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접촉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격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신체 하중의 기준치를 조절하는 이동간격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간격조절부는, 상기 제1접촉부재 또는 상기 제2접촉부재에 형성되는 설치홀; 상가 설치홀에 삽입 설치되는 설치기둥; 및 상기 설치기둥의 둘레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신체 하중 기준치에 따라 상기 이격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두께가 결정되고, 상기 설치기둥의 단부에 설치되는 간격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각프레임에서 지지부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과 상기 시트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에 대해 상기 시트를 회전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회전탄성부; 및 상기 회전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가압력을 가하는 회전속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탄성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서포트부재; 상기 지지축의 둘레에 고정된 제2서포트부재; 및 상기 제1서포트부재에 일단이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서포트부재에 타단이 연결지지되어 상기 제2서포트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서포트부재를 밀어주므로 상기 시트를 탄성 회전시키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속도조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의 하측부위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의 상측부위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부가 형성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제1,제2안착홈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상기 지지축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부는, 상기 회전부재 상에 설치되는 연결지지부재;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단부측에 상하측으로 형성되는 나사홀;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머리부가 걸리면서 상기 나사홀에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지지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지지축과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간에 탄성벌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임부 회전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벌려지고, 상기 탄성벌림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 상기 제1함몰홈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저면에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 및 상기 제1,제2함몰홈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벌리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시트에 하중조절부를 구비하여 쿠션과 스프링에서 흡수하지 못하는 충격을 지지하고 흡수함으로써, 기준치 이상인 사용자의 체중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신체 지지력을 높이고, 시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접촉부재에 이동간격조절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므로 신체 하중 기준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의 시트에 회전속도조절부를 구비하여 본체에서 회전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의자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키고, 시트의 급속한 회전으로부터 어린이와 노약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하측으로 관통 형성된 조절구멍을 통하여 회전속도조절부의 지지축에 대한 밀착력을 조절하므로 시트가 등받이 측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간편하게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재를 고정부재에서 벌려줄 때, 고정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 매립 설치된 탄성벌림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벌려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저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시트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시트에서 기준치가 넘지 ?腑킬? 넘는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하중조절부에서 이동간격조절부가 구비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이동간격조절부의 간격결정부재에 의해 이격부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회전탄성부와 회전속도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반대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회전속도조절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회전속도조절부를 상세하게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탄성부에 의해 시트가 회전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저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시트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시트에서 기준치가 넘지 ?腑킬? 넘는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하중조절부에서 이동간격조절부가 구비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이동간격조절부의 간격결정부재에 의해 이격부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회전탄성부와 회전속도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반대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에서 회전속도조절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회전속도조절부를 상세하게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탄성부에 의해 시트가 회전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지각프레임(100), 지지축(200) 및 시트(300)를 포함한다.
지각프레임(100)은 다리부(110)에 의해 지지된다. 지각프레임(100)은 시트(3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다리부(1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지만, 시트(300)의 중심부위 저면에 1개 구비될 수 있다.
지각프레임(100)에는 메모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시트(300)는 지각프레임(100)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300)는, 쿠션부재(310), 지지프레임(320), 하측플레이트(330), 탄성스프링(340) 및 하중조절부(340)를 포함한다.
쿠션부재(310)는 착석 가능하게 이루어져 신체 하중을 흡수하는 구성이다.
쿠션부재(310)는 스폰지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하중을 지지한다. 쿠션부재(310)는 스폰지 뿐만아니라. 다양한 다른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프레임(320)은 쿠션부재(310)의 하측에 구비되고, 형태를 유지하는 구성이다. 지지프레임(320)은 사각형 금속재로 형성되어 형태를 유지하면서 하중을 지지한다.
지지프레임(320)의 하측에는 시트(300)의 하부를 커버하기 위한 하측플레이트(330)가 구비된다. 하측플레이트(330)의 재질은 금속판재 또는 목재판재, 플라스틱판재 등 다양한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스프링(340)은 쿠션부재(310)와 지지프레임(320)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스프링(340)은 쿠션부재(31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2차적으로 흡수하여 완충한다.
탄성스프링(340)은 코일스프링을 적용하도록 한다.
탄성스프링(340)은 쿠션부재(310)와 지지프레임(320) 사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하중조절부(350)는 쿠션부재(310)와 지지프레임(320) 사이에 구비되어 쿠션부재(310)와 탄성스프링(340)에서 흡수하지 못하는 기준치 이상의 신체 하중이 전달될 때 접촉되어 하중 지지력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하중조절부(350)는 하중지지력을 증진시키도록 견고하면 탄성력이 풍부한 고무재 또는 연성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중조절부(350)는 쿠션부재(3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에 설치되고, 탄성스프링(340)의 상측부위가 삽입되는 제1수용부(362)를 구비하는 상부플레이트(360)와, 지지프레임(3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에 설치되고, 탄성스프링(340)의 하측부위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372)를 구비하는 하부플레이트(370)와, 탄성스프링(34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되, 제1,제2수용부(362,3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닥에서 상,하부플레이트(360,370)의 일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어 기준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때, 접촉 지지되는 접촉지지부(380)를 포함한다.
상부플레이트(360)는 쿠션부재(310)의 제1공간부 높이에 대응되는 설정 두께를 갖는 구성이다.
제1수용부(362)는 탄성스프링(340)의 외경에 비해 약간 더 크게 형성되므로 탄성스프링(340)이 탄성 수축될 때, 탄성스프링(340)의 외측면이 제1수용부(362)의 내측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360)는 상부플레이트(36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부플레이트(360)와 상부플레이트(360)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2수용부(372)는 탄성스프링(340)의 외경에 비해 약간 더 크게 형성되므로 탄성스프링(340)이 탄성 수축될 때, 탄성스프링(340)의 외측면이 제2수용부(372)의 내측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하부플레이트(360,370)와 접촉지지부(380)는 금형 가공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지지부(380)는, 제1수용부(362)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접촉부재(382)와, 제2수용부(372)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접촉부재(384)와, 제1접촉부재(382)와 제2접촉부재(384)의 단부 간에 형성되는 이격부(386)를 포함한다.
이격부(386)는 쿠션부재(310)와 탄성스프링(340)의 하중 지지력을 감안하여 성형할 때 제1,제2접촉부재(382,384)의 돌출 길이를 결정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00)에 기준치 이하의 신체 하중을 갖는 사용자가 앉을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신체 하중이 쿠션부재(310)에서 1차 흡수되고, 쿠션부재(310)에서 미처 흡수하지 못한 신체 하중을 탄성스프링(340)에서 2차 흡수하게 된다.
이때, 하중조절부(350)는 기준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때만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부플레이트(360)가 하부플레이트(370) 측으로 눌려지더라도 제1접촉부재(382)와 제2접촉부재(384) 사이의 이격부(386) 간격(a)이 유지됨에 따라 하중조절부(350)의 접촉지지부(380)에 의한 3차 하중 흡수 및 지지과정은 발생되지 않는다.
도 5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00)에 기준치 이상의 신체 하중을 갖는 사용자가 앉을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신체 하중이 쿠션부재(310)에서 1차 흡수되고, 쿠션부재(310)에서 미처 흡수하지 못한 신체 하중을 탄성스프링(340)에서 2차 흡수하게 된다.
연이어, 하중조절부(350)는 기준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때만 작동하도록 구성되므로 상부플레이트(360)가 하부플레이트(370) 측으로 눌려지면서 제1접촉부재(382)의 단부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2접촉부재(384)의 단부에 접촉되고 하측 이동을 저지하면서 3차적으로 신체 하중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1접촉부재(382)의 단부와 제2접촉부재(384)의 단부 간에 접촉이 이루어지면, 이격부(386)의 간격(a)이 없어지면서 제1,제2접촉부재(382,3384)의 강한 하중지지력에 의해 시트(300)는 하드하게 변하므로 탄성스프링(340)이 과도하게 눌려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제1,제2접촉부재(360,370)는 고무재질이거나 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과도하게 수축되지는 않지만 약간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2접촉부재(360,370)가 접촉되는 순간의 쿠션부재(310)와 탄성스프링(340)의 하중 지지력을 80kg 정도로 세팅하는 경우, 80kg 이하의 신체 하중을 갖는 사용자가 시트(300)에 앉을 경우, 쿠션부재(310)와 탄성스프링(340)에서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어 제1,제2접촉부재(360,370) 사이의 이격부(a)는 상호 접촉되지 않는다. 한편, 80kg 이상의 신체 하중을 갖는 사용자가 시트(300)에 않을 경우, 제1,제2접촉부재(360,370)가 상호 접촉되어 이격부(a)가 없어지므로 쿠션부재(310), 탄성스프링(340) 및 하중조절부(350)에 의해 신체 하중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접촉지지부(380)는 제1접촉부재(382) 또는 제2접촉부재(384)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제1접촉부재(382)만 형성되고, 제2접촉부재(384)가 삭제된 경우, 제1접촉부재(382)가 제2수용부(372)의 바닥에 접촉되므로 기준치 이상의 신체 하중이 시트(300) 상에 가해질 때. 하중을 3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접촉부재(384)만 형성되고, 제1접촉부재(382)가 삭제된 경우, 제2접촉부재(384)가 제1수용부(362)의 바닥에 접촉되므로 기준치 이상의 신체 하중이 시트(300) 상에 가해질 때. 하중을 3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제2접촉부재(360,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이격부(386)의 간격(a)을 조절하므로 신체 하중의 기준치를 조절하는 이동간격조절부(3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간격조절부(390)는, 제1접촉부재(360) 또는 제2접촉부재(370)에 형성되는 설치홀(392)과, 설치홀(392)에 삽입 설치되는 설치기둥(394)과, 설치기둥(394)의 둘레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신체 하중 기준치에 따라 이격부(386)의 간격(a)을 조절하도록 두께가 결정되고, 설치기둥(394)의 단부에 설치되는 간격결정부재(396)를 포함한다.
간격결정부재(396)의 두께가 얇은 경우, 이격부(386)의 간격(a)이 커지므로 하중 기준치가 커진다.
간격결정부재(396)의 두께가 큰 경우, 이격부(386)의 간격(a)이 작아지므로 하중 기준치가 작아진다.
이와 같이, 이동간격조절부(390)를 이용하면, 제1접촉부재(382)와 제2접촉부재(384)의 돌출 길이가 이미 결정되어 있더라도 신체 하중의 기준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두께가 다른 간격결정부재(396)를 미리 다양하게 제작하여 신체 하중 기준치에 따라 선택하여 제1접촉부재(382) 또는 제2접촉부재(384)의 설치홀(392)에 설치기둥(394)을 삽입하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지각프레임(100)에서 지지부에 의해 설치되어 시트(300)를 지지하는 지지축(200)과, 지지축(200)과 시트(300)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축(200)에 대해 시트(300)를 회전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회전탄성부(400)와, 회전탄성부(400)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지지축(200)에 가압력을 가하는 회전속도조절부(500)를 더 포함한다.
지지축(200)은 지각프레임(100)에 지지부(210)에 의해 설치되어 시트(2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축(200)은 시트(3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지각프레임(100)에서 시트(30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지지축(2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측지지부(230)와, 하측지지부(230)에 안착된 지지축(200)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해 하측지지부(230)에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되는 상측지지부(240)를 포함한다.
시트(300)는 지지축(200)에 결합되고, 등받이(20) 측으로 회전한다. 시트(300)는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구비되고, 쿠션 및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시트(300)는 지지축(200)을 통해 지각프레임(100)에 회전방지되도록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300)는 고정타입 또는 회전타입에 모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부(210)를 커버하기 위한 덮개부재(332)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탄성부(400)는 지지축(200)과 시트(30)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축(200)에 대해 시트(300)를 회전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회전탄성부(400)는 지지프레임(320)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서포트부재(410)와, 지지축(200)의 둘레에 고정된 제2서포트부재(420)와, 제1서포트부재(410)에 일단이 연결지지되고, 제2서포트부재(420)에 타단이 연결지지되어 제2서포트부재(420)에 대하여 제1서포트부재(410)를 밀어주므로 시트(300)를 등받이(20) 측으로 탄성 회전시키는 가압탄성부재(430)를 포함한다.
제1서포트부재(410)는 지지프레임(320) 상에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고, 그 사이에 가압탄성부재(430)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회전 가능하게 축연결하여 구성된다.
제2서포트부재(420)는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축(200)이 삽입되어 용접을 통해 지지축(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지지축(200)은 지지부(21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음에 따라 제2서포트부재(420) 역시 회전하지 않는다.
가압탄성부재(430)는 가스스프링을 적용하도록 한다. 물론, 가압탄성부재(430)는 다양한 탄성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서포트부재(420)와 탄성가압부(430)의 타단은 연결축(440)에 의해 연결된다.
연걸축(44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서포트부재(420)에서 제1서포트부재(410) 측으로 지지축(200)에 대해 편심지게 배치되므로 탄성가압부(430)가 신장에 의해 시트(300)를 등받이(20) 측으로 탄성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연결축(440)과 제1서포트부재(410)의 연결부위 사이의 거리가 회동 전 거리에 비해 회동 후 거리가 더 커지므로 사용자가 착석을 위해 시트(300)를 수평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가압탄성부재(430)는 탄성수축력을 받게 된다,
그 이후, 사용자가 시트(300)에서 벗어나면, 수축되었던 탄성가압부재(430)가 팽창되면서 시트(30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등받이(20) 측으로 수직으로 젖혀준다. 이로써, 평상시에는 시트(300)가 젖혀지므로 의자의 청소 및 수리시 시트(300)의 하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회전속도조절부(500)는 회전탄성부(400)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지지축(200)에 가압력을 가하는 구성이다.
회전속도조절부(500)는 시트(300)의 회전속도를 사용자 의지대로 조절하여 아주 빠름, 빠름, 중간, 느림, 아주느림 등과 같이 사용자 임의대로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속도조절부(500)는 지지프레임(320)에 설치되고, 지지축(20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설치브라켓(510)과, 설치브라켓(510)에 고정되고, 지지축(200)의 하측부위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부(522a)가 형성되는 고정부재(520)와, 고정부재(520)에 대해 힌지(536)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지지축(200)의 상측부위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부(532a)가 형성되는 회전부재(530)와, 회전부재(530)를 고정부재(520)에 대해 회전시켜 제1,제2안착홈부(522a, 532a) 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지지축(2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임부(540)를 포함한다.
설치브라켓(510)은 고정부재(520)가 접촉 체결되고, 지지축(200)이 삽입되는 측면브라켓(512)과, 측면브라켓(512)에서 L 자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지지프레임(320)의 상면에 지지되는 바닥브라켓(514)과, 바닥브라켓(514)에 측면으로 2개 이상 연장되어 지지프레임(320)에 체결되는 결합브라켓(516)을 포함한다.
측면브라켓(512)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축(200)의 외주면과 측면브라켓(512) 구멍 사이에는 베어링부재(518)가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부재(518)는 마찰베어링 또는 볼베어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520)는 제1안착홈부(522a)가 형성되는 제1안착부(522)와, 제1안착부(522)에 연결되고, 제1안착부(522)의 두께에 비해 얇으면서 높이는 제1안착부(522)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는 제1회전접촉부(524)를 포함한다.
회전부재(530)는 제1안착부(522) 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제2안착홈부(532a)가 형성되는 제2안착부(532)와, 제2안착부(532)에 연결되고, 제1회전접촉부(524)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제1회전접촉부(524)와 힌지(536)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접촉부(534)를 포함한다.
한편, 제2회전접촉부(534)는 제2안착부(532)의 두께에 비해 얇으면서 제2안착부(532)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된다.
고정부재(520)와 회전부재(530)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제2안착부(522,532)는 상하측으로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1,2회전접촉부(524,534)는 측면으로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520)와 회전부재(530)의 일측에는 베어링부재(518)의 확장부위가 삽입 설치되는 요입홈부(미기재)가 형성된다. 요입홈부는 제1,제2안착홈부(522a, 534a)의 주변 각각에 반원홈으로 형성된다.
조임부(540)는 회전부재(530) 상에 설치되는 연결지지부재(542)와, 연결지지부재(532)의 단부측에 상하측으로 관통형성되는 나사홀(544)과, 지지프레임(320)에서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546)과, 관통홀(546)에 머리부가 걸려 나사홀(544)에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연결지지부재(542)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회전부재(530)를 고정부재(520)에 대해 힌지(536) 기준으로 회전시켜 지지축(200)과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조임부재(548)를 포함한다.
연결지지부재(542)는 회전부재(530)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되고, 단부가 힌지(536)_ 반대측으로 연장되면서 하단으로 구부려져 지지프레임(320)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연결지지부재(542)는 체결부재(549)에 의해 회전부재(530)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연결지지부재(542)의 너비는 회전부재(530)의 너비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지지된다, 체결부재(549)는 2개 구비되되, 연결지지부재(542)의 길이방향으로 설정간격을 갖도록 체결된다. 물론, 1개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연결지지부재(542)는 회전부재(530)의 측면에서 일부 구간이 접촉되도록 절곡 형성되므로 회전부재(530)에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재(542)는 회전부재(530)의 상면에서 측면으로 접촉되도록 1차 절곡 형성되고, 회전부재(530)의 하측부위까지 연장되다가 다시 수평으로 2차 절곡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연결지지부재(542)의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홀(544)과 지지축(200) 간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나사홀(544)에 체결되는 조임부재(548)는 회전부재(530)의 회전을 통해 지지축(200)의 외주면에 강한 가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회전탄성부(400)의 탄성 댐핑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조임부재(548)는 길이가 길고 굵은 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조임부재(548)는 관통홀(546)에 대응하도록 하측플레이트(330)에 관통 형성되는 조절구멍(550)을 통해 회전되어 시트(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시트(300)가 젖혀진 상태에서 하측플레이트(330)의 조절구멍(550)에 공구의 단부를 삽입하여 관통홀(546)에 머리부가 걸린 조임부재(548)를 회전시켜 조임부재(548)의 나사부를 연결지지부재(542)의 나사홀(544)에서 회전시킨다.
연이어, 조임부재(548)의 조임작용에 의해 연결지지부재(542)를 하측으로 당겨주면, 고정부재(520)에 대해 힌지(536)를 기준으로 회전부재(5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안착홈부(532a)가 고정부재(520)의 제1안착홈부(522a) 측으로 이동하여 지지축(200)의 외주면을 가압하므로 회전탄성부(400)의 탄성력을 제동시켜 시트(300)의 회전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시트(3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한다면, 상기한 반대방향으로 조임부재(548)를 회전시켜 연결지지부재(5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회전속도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는, 고정부재(520)와 회전부재(530) 간에 탄성벌림부(600)가 구비되어 조임부(540) 회전시 고정부재(520)에 대하여 회전부재(530)가 벌려지게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벌림부(600)는 고정부재(520)의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610)와, 제1함몰홈부(610)에 대응하도록 회전부재(530)의 저면에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620)와, 제1,제2함몰홈부(610,620)에 양측이 각각 삽입 설치되어 회전부재(530)를 벌리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630)를 포함한다.
제1,제2함몰홈부(610,620)는 스프링부재(630)가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스프링부재(630)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는, 시트에 하중조절부를 구비하여 쿠션과 스프링에서 흡수하지 못하는 충격을 지지하고 흡수함으로써, 기준치 이상인 사용자의 체중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신체 지지력을 높이고, 시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접촉부재에 이동간격조절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므로 신체 하중 기준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의 시트에 회전속도조절부를 구비하여 본체에서 회전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는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의자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키고, 시트의 급속한 회전으로부터 어린이와 노약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하측으로 관통 형성된 조절구멍을 통하여 회전속도조절부의 지지축에 대한 밀착력을 조절하므로 시트가 등받이 측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간편하게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재를 고정부재에서 벌려줄 때, 고정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 매립 설치된 탄성벌림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등받이 100 : 지각프레임
110 : 다리부 200 : 지지축
300 : 쿠션부재 320 : 지지프레임
330 : 하측플레이트 340 : 탄성스프링 :
350 : 하중조절부 360 : 상부플레이트
362 : 제1수용부 370 : 하부플레이트
380 : 접촉지지부 382 : 제1접촉부재
384 : 제2접촉부재 386 : 이격부
390 : 이동간격조절부 392 : 설치홀
394 : 설치부재 396 : 간격결정부재
400 : 회전탄성부 410 : 제1서포트부재
420 ; 제2서포트부재 430 : 가압탄성부재
500 : 회전속도조절부 510 : 설치브라켓
512 : 측면브라켓 514 : 바닥브라켓
516 : 결합브라켓 518 : 베어링부재 :
520 : 고정부재 512 : 제1안착부
512a : 제1안착홈부 524 : 재1회전접촉부
530 : 회전부재 532 : 제2안착부
532a : 제2안착홈부 534 : 제2회전접촉부
540 : 조임부 542 : 연결지지부재
544 : 나사홀 546 : 관통홀
548 : 조임부재 550 : 조절구멍
600 : 탄성벌림부 610 : 제1함몰홈부
620 : 제2함몰홈부 630 : 스프링부재
110 : 다리부 200 : 지지축
300 : 쿠션부재 320 : 지지프레임
330 : 하측플레이트 340 : 탄성스프링 :
350 : 하중조절부 360 : 상부플레이트
362 : 제1수용부 370 : 하부플레이트
380 : 접촉지지부 382 : 제1접촉부재
384 : 제2접촉부재 386 : 이격부
390 : 이동간격조절부 392 : 설치홀
394 : 설치부재 396 : 간격결정부재
400 : 회전탄성부 410 : 제1서포트부재
420 ; 제2서포트부재 430 : 가압탄성부재
500 : 회전속도조절부 510 : 설치브라켓
512 : 측면브라켓 514 : 바닥브라켓
516 : 결합브라켓 518 : 베어링부재 :
520 : 고정부재 512 : 제1안착부
512a : 제1안착홈부 524 : 재1회전접촉부
530 : 회전부재 532 : 제2안착부
532a : 제2안착홈부 534 : 제2회전접촉부
540 : 조임부 542 : 연결지지부재
544 : 나사홀 546 : 관통홀
548 : 조임부재 550 : 조절구멍
600 : 탄성벌림부 610 : 제1함몰홈부
620 : 제2함몰홈부 630 : 스프링부재
Claims (13)
- 지각프레임; 및
상기 지각프레임에 구비되고, 착석 가능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착석 가능하게 이루어져 신체 하중을 흡수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하측에 구비되고,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탄성스프링에서 흡수하지 못하는 기준치 이상의 신체 하중이 전달될 때 접촉되어 하중 지지력을 조절하는 하중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조절부는, 상기 쿠션부재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측부위가 삽입되는 제1수용부를 구비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측부위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를 구비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제2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닥에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의 일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어 기준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때, 접촉 지지되는 접촉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지지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접촉부재;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접촉부재; 및
상기 제1,제2접촉부재의 단부 간에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2접촉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격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신체 하중의 기준치를 조절하는 이동간격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조절부는 견고하면 탄성력이 풍부한 고무재질 또는 연성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접촉지지부는 금형 가공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중 지지력을 감안하여 성형시 제1,제2접촉부재의 돌출 길이를 결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간격조절부는,
상기 제1접촉부재 또는 상기 제2접촉부재에 형성되는 설치홀;
상가 설치홀에 삽입 설치되는 설치기둥; 및
상기 설치기둥의 둘레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신체 하중 기준치에 따라 상기 이격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두께가 결정되고, 상기 설치기둥의 단부에 설치되는 간격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제 1항, 제 2항, 제 4항, 제 6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각프레임에서 지지부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과 상기 시트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에 대해 상기 시트를 회전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회전탄성부; 및
상기 회전탄성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시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가압력을 가하는 회전속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탄성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서포트부재;
상기 지지축의 둘레에 고정된 제2서포트부재; 및
상기 제1서포트부재에 일단이 연결지지되고, 상기 제2서포트부재에 타단이 연결지지되어 상기 제2서포트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서포트부재를 밀어주므로 상기 시트를 탄성 회전시키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조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의 하측부위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의 상측부위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부가 형성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제1,제2안착홈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상기 지지축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회전부재 상에 설치되는 연결지지부재;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단부측에 상하측으로 형성되는 나사홀;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머리부가 걸리면서 상기 나사홀에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지지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지지축과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간에 탄성벌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임부 회전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벌려지고,
상기 탄성벌림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
상기 제1함몰홈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저면에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 및
상기 제1,제2함몰홈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벌리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8285A KR101692365B1 (ko) | 2016-06-22 | 2016-06-22 |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8285A KR101692365B1 (ko) | 2016-06-22 | 2016-06-22 |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2365B1 true KR101692365B1 (ko) | 2017-01-05 |
Family
ID=5783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8285A KR101692365B1 (ko) | 2016-06-22 | 2016-06-22 |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236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2226B1 (ko) * | 2020-01-13 | 2020-02-27 | 강미화 | 낚시의자용 쿠션방석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3231Y1 (ko) * | 2007-07-27 | 2009-01-28 | 삼광산업 주식회사 | 의자의 회전제어장치 |
KR101197585B1 (ko) * | 2012-03-02 | 2012-11-06 | 삼광산업 주식회사 | 절첩식 관람의자 |
KR20130040514A (ko) * | 2011-10-14 | 2013-04-24 | 김경임 | 쿠션조립체 |
-
2016
- 2016-06-22 KR KR1020160078285A patent/KR1016923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3231Y1 (ko) * | 2007-07-27 | 2009-01-28 | 삼광산업 주식회사 | 의자의 회전제어장치 |
KR20130040514A (ko) * | 2011-10-14 | 2013-04-24 | 김경임 | 쿠션조립체 |
KR101197585B1 (ko) * | 2012-03-02 | 2012-11-06 | 삼광산업 주식회사 | 절첩식 관람의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2226B1 (ko) * | 2020-01-13 | 2020-02-27 | 강미화 | 낚시의자용 쿠션방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4526B1 (ko) | 내진용 조절발 | |
WO2008117669A1 (ja) | 防振装置 | |
US20080106132A1 (en) | Chair or stool comprising mobile, elastic legs, permitting a dynamic sitting position | |
US10561248B2 (en) | Adjustable back support assembly for the back of a chair | |
US7207629B2 (en) | Tilt chair | |
US10099511B2 (en) | Pressured braking wheel | |
CA2851990C (en) | Door stay | |
KR101692365B1 (ko) | 보강형 완충 시트를 구비한 의자 | |
US8851573B2 (en) | Neck rest | |
KR102088302B1 (ko) | 통로 확보가 용이한 연결식 의자 | |
KR101670755B1 (ko) | 시트 회전속도 조절장치를 구비한 의자 | |
KR101543553B1 (ko) |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 |
JP2003079472A (ja) | ロッキング椅子及びそのベース | |
KR101422684B1 (ko) | 스툴의자 | |
KR101692370B1 (ko) | 버튼식 회전 시트를 구비한 의자 | |
KR101560750B1 (ko) |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 |
KR101589156B1 (ko) |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 |
CN210761084U (zh) | 一种多功能儿童座椅 | |
JP3214772U (ja) | キャスター | |
KR102087341B1 (ko) | 이동 및 복원이 가능한 의자 시스템 | |
KR101552791B1 (ko) | 자전거 운동이 가능한 의자 | |
CN110664156A (zh) | 搁脚凳 | |
KR20170061933A (ko) |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 |
JP7382187B2 (ja) | 椅子 | |
KR101944046B1 (ko) | 절첩식 의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