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182B1 -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182B1
KR102193182B1 KR1020190046764A KR20190046764A KR102193182B1 KR 102193182 B1 KR102193182 B1 KR 102193182B1 KR 1020190046764 A KR1020190046764 A KR 1020190046764A KR 20190046764 A KR20190046764 A KR 20190046764A KR 102193182 B1 KR102193182 B1 KR 102193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height adjustment
seat plate
heigh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893A (ko
Inventor
오상효
Original Assignee
(주)광일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일체어 filed Critical (주)광일체어
Priority to KR102019004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18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조절장치의 슬라이딩부싱이 좌판연결몸체의 제1밀착벽과 제2밀착벽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부싱면이 제1밀착벽과 제2밀착벽에 면접촉되어 헤드레스트를 잡고 당겨주거나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높낮이가 조절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헤드레스트 높낮이가 조절된 후 제1밀착벽과 제2밀착벽에 슬라이딩부싱이 면접촉됨에 따라 헤드레스트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높낮이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머리로 눌러줄 때 위치고정기어부와 고정기어편이 치합되기 때문에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머리를 뒤로 젖히더라도 헤드레스트가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의 틸팅동작이 가능하여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를 전후방측으로 움직임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소음방지구조와 위치고정구조 및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headrest for chair}
본 발명은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높이 조절 시에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높이가 조절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앉는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좌판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좌판과 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구와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구비되어 있다.
근자들어서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의자의 등받이를 통풍이 용이하고 쿠션기능을 갖는 메쉬 재질의 시트가 등받이 프레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에 땀이 차거나 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쿠션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의자는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는 앉은 상태의 머리 높이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자신의 머리가 안전하게 받쳐지도록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330119호인 의자의 헤드레스트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등받이의 후측에 형성되어 등받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등받이와 상기 프레임의 상측 사이에 구비되고,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지지부재를 상측 부위에서 상하 관통된 이동공으로 안내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맞추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승강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재의 전면 중심부에는 강도를 보강하도록 보강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설치부재에 전후 측으로 걸림턱을 각각 형성하여 안착부의 전후측에 걸리게 하므로 헤드레스트의 회동각도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헤드레스트를 압착결합부를 이용하여 지지부재에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헤드레스트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높이조절부재의 탄성브라켓에 구비된 탄성돌기가 스프링 작용에 의해 걸림홈부재의 상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복수개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헤드레스트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킬 때 탄성돌기가 복수개 걸림홈을 따라 밀착되면서 승강되거나 하강되기 때문에 '드르륵'거리는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마감캡을 돌려 보강플레이트가 높이조절부재의 걸림홈부재에 밀착되도록 하여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바, 사용 중 탄성돌기를 걸림홈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의 장력이 저하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위치가 변경된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다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받친 상태에서 머리를 움직일 때 헤드레스트가 제1회동부재와 제2회동부재에 의해 회동되는 바 이 때, 사용자가 머리를 헤드레스트에 밀착한 상태에서 머리를 움직일 때 헤드레스트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머리하중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눌러질 때 스프링에 의해 걸림홈에 밀착된 탄성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헤드레스트가 하강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30119호(2013.11.11.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10413호(2018.10.16. 등록)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사용자의 머리하중이 전달될 경우 헤드레스트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헤드레스트의 승하강시에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누구나 쉽게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높낮이가 조절된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리와 상기 다리의 상단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앉는 좌판과 상기 좌판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의 등받이 상단에 좌판연결체에 의해 위치되는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헤드레스트의 높낮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판연결체는, 상기 좌판 후면에 볼트고정되는 고정부가 하단에 구비되는 좌판연결몸체와; 상기 좌판연결몸체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좌판연결몸체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는 위치고정기어부로 구비되고, 상기 높낮이조절장치는, 전면 하단에 힌지돌부가 구비되며 상단 중앙에 기어관통구멍을 갖는 높낮이조절판과; 상기 높낮이조절판의 하단에 구비된 힌지돌부가 탄성에 의해 힌지연결되는 탄성힌지걸이와 상기 높낮이조절판의 기어관통구멍에 관통되어 상기 위치고정기어부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고정기어편이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 상단에 연결돌부를 갖는 힌지연결구로 구비되며, 상기 헤드레스트 후면에는, 상기 힌지연결구의 연결돌부와 힌지연결되는 헤드레스트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좌판연결몸체의 후면을 덮어 고정하는 덮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높낮이조절장치의 슬라이딩부싱이 좌판연결몸체의 제1밀착벽과 제2밀착벽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부싱면이 제1밀착벽과 제2밀착벽에 면접촉되어 헤드레스트를 잡고 당겨주거나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높낮이가 조절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헤드레스트 높낮이가 조절된 후 제1밀착벽과 제2밀착벽에 슬라이딩부싱이 면접촉됨에 따라 헤드레스트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높낮이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머리로 눌러줄 때 위치고정기어부와 고정기어편이 치합되기 때문에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머리를 뒤로 젖히더라도 헤드레스트가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헤드레스트의 높낮이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로부터 떨어지더라도 스토퍼걸림부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의자의 전방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간섭되어 헤드레스트가 심하게 젖혀지는 것이 방지되고 헤드레스트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장착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후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높낮이조절판과 힌지연결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슬라이딩부싱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위치고정기어부에 고정기어편이 치합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젖혀짐이 방지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리(1)와 상기 다리(1)의 상단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앉는 좌판(2)과 상기 좌판(2)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등받이(3)가 구비되는 의자의 등받이 상단에 좌판연결체(100)에 의해 위치되는 헤드레스트(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헤드레스트의 높낮이조절장치(2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높낮이조절장치(200)는, 헤드레스트(4)를 등받이(3)이 상단에 연결하고 헤드레스트(4)의 높낮이를 조절함은 물론 헤드레스트(4)가 등받이(3) 전방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간섭하며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 때 좌판연결체(100)는 등받이(3)와 피스결합이나 볼트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좌판연결체(100)는, 상기 좌판(2) 후면에 볼트고정되는 고정부(111)가 하단에 구비되는 좌판연결몸체(110)와,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는 위치고정기어부(12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높낮이조절장치(200)는, 전면 하단에 힌지돌부(211)가 구비되며 상단 중앙에 기어관통구멍(212)을 갖는 높낮이조절판(210)과,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의 하단에 구비된 힌지돌부(211)가 탄성에 의해 힌지연결되는 탄성힌지걸이(221)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의 기어관통구멍(212)에 관통되어 상기 위치고정기어부(120)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고정기어편(222)이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 상단에 연결돌부(223)를 갖는 힌지연결구(22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4) 후면에는, 상기 힌지연결구(220)의 연결돌부(223)와 힌지연결되는 헤드레스트연결부(300)가 구비되며,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후면(110a)을 덮어 고정하는 덮개(40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이 상기 힌지연결구(220)와 연결되는 바, 이 때 힌지연결구(220)의 탄성힌지걸이(221)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의 힌지돌부(211)에 탄성 끼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힌지연결구(220)가 상기 힌지돌부(211)를 축으로 상단이 힌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힌지연결구(220)와 연결되는 상기 헤드레스트(4)가 역시 상기 힌지돌부(211)를 축으로 하여 의자 등받이(3) 전방측으로 기울거나 또는 의자 등받이(3) 후방측으로 젖혀진다.
이와 같이 높낮이조절판(210)과 힌지연결구(220)를 연결한 후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을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에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힌지연결구(220)의 후면에 구비된 고정기어편(222)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의 기어관통구멍(212)을 관통하여 높낮이조절판(210)의 후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내측 중앙에 구비된 위치고정기어부(120)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레스트(4)에 머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머리를 후방측으로 젖혀주면 상기 헤드레스트(4)가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측으로 밀착되는 바, 이 때 상기 위치고정기어부(120)와 대응되게 위치된 상기 고정기어편(222)이 상기 위치고정기어부(120)측으로 밀착되면서 위치고정기어부(120)에 상기 고정기어편(222)이 치합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기어편(222)과 상기 위치고정기어부(120)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헤드레스트(4)가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눌러지는 힘에 의한 하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서 일어서는 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4)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위치고정기어부(120)에 치합된 상기 고정기어편(222)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기어부(120)로부터 이탈되어 서로에 대한 치합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4)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의자로부터 일어선 상태에서 헤드레스트(4)를 파지하고 파지한 헤드레스트(4)를 상기 좌판연결체(100)의 상부측으로 당겨 헤드레스트(4)를 승강시키거나 좌판연결체(100)의 하부측으로 눌러주어 헤드레스트(4)를 하강시키는 동작에 의해 헤드레스트(4)의 높낮이를 조절하면 된다.
이 때, 상기 헤드레스트(4)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켜 헤드레스트(4)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기어편(222)과 상기 위치고정기어부(120)가 서로에 대해 치합되지 않기 때문에 헤드레스트(4)의 높낮이 조절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좌판연결몸체(110)에는, 상기 위치고정기어부(120)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가이드구멍(130) 및 제2가이드구멍(140)과, 상기 좌판연결체(110)의 후면(110a)에 구비되되 상기 제1가이드구멍(130) 및 제2가이드구멍(140)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밀착벽(150) 및 제2밀착벽(1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에는, 상기 제1가이드구멍(130) 및 제2가이드구멍(140)에 각각 끼워져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후면(110a)에 위치되는 복수개 부싱끼움돌기(21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구멍(130) 및 제2가이드구멍(140)에 각각 끼워진 상기 복수개 부싱끼움돌기(213)에 끼워져 상기 제1밀착벽(150)과 제2밀착벽(160)에 각각 밀착되는 복수개 슬라이딩부싱(230)과, 상기 복수개 슬라이딩부싱(230)과 대응되는 체결구멍(241)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 체결구멍(241)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볼트(242)에 의해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의 부싱끼움돌기(213)와 연결 고정되는 고정판(2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부싱(230)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진 후 헤드레스트(4)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후면(110a)에 구비된 제1밀착벽(150)과 제2밀착벽(160)에 복수개 슬라이딩부싱(230)이 면접촉되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상기 복수개 슬라이딩부싱(230)은, 상기 제1밀착벽(150)과 제2밀착벽(160)에 각각 끼워져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후면(110a)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복수개 부싱끼움돌기(213)에 각각 끼워진 후 상기 체결볼트(242)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싱(230)이 상기 부싱끼움돌기(213)에 끼워질 때 제1밀착벽(150)과 제2밀착벽(160)에 슬라이딩부싱(230)의 외면이 가압된 상태로 면접촉되어 끼워지면서 상기 제1밀착벽(150)과 제2밀착벽(160) 내측에 각각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 슬라이딩부싱(230)의 각각 상기 제1밀착벽(150)과 제2밀착벽(160)에 면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밀착벽(150)과 제2밀착벽(160) 및 이들 제1밀착벽(150)과 제2밀착벽(160)에 면접촉된 슬라이딩부싱(230)과의 마찰저항력이 커짐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4)의 높낮이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4)를 잡은 상태에서 인위적인 힘을 가해 상부측으로 당기거나 하부측으로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헤드레스트(4)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진 헤드레스트(4)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덮개(170)는, 상기 좌판연결체(100)의 좌판연결몸체(11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덮개(170)에 의해 좌판연결몸체(110)의 후면이 덮어지면 상기 덮개(170)에 의해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후면(110a)에 위치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싱(230)과 고정판(24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헤드레스트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싱(230)이 닳게 될 경우 상기 덮개(170)를 좌판연결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슬라이딩부싱(230)을 교체하면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에는 스토퍼걸림부(214)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연결구(220)에는 상기 스토퍼걸림부(214)와 대응되는 스토퍼체결부(224)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걸림부(214)와 상기 스토퍼체결부(224)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힌지연결구(220)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을 연결하고, 상기 힌지연결구(220)의 탄성힌지걸이(221)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의 힌지돌부(211)에 대해 힌지회전되어 상기 힌지연결구(220)가 높낮이조절판(210)에 대해 젖혀질 때 상기 힌지연결구(220)의 젖혀짐을 간섭하는 기울임방지스토퍼(2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울임방지스토퍼(250)는, 상기 스토퍼걸림부(214)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체결부(224)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높낮이조절판(210)과 상기 힌지연결구(220)를 연결하는 나사연결부(251)와, 상기 나사연결부(25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걸림부(214)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힌지연결구(220)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에 대해 젖혀짐을 간섭하는 걸림부(252)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서 일어서거나 또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구부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헤드레스트(4)에 사용자의 머리가 닿지 않게 되어 상기 헤드레스트(4)가 자체 하중에 의해 등받이(3) 전방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기울임방지스토퍼(250)의 걸림부(252)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에 구비된 스토퍼걸림부(214)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헤드레스트(4)가 등받이(3) 전방측으로 완전히 기울어지게 되어 헤드레스트(4)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4)에 머리를 밀착시키거나 또는 머리를 헤드레스트(4)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뒤로 젖히는 동작에 의해 상기 헤드레스트(4)가 상기 힌지돌부(211)를 축으로 힌지 회전되어 뒤로 젖혀질 경우에는 상기 기울임방지스토퍼(250)의 걸림부(252)가 자연스럽게 상기 스토퍼걸림부(214)로부터 이탈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기울임방지스토퍼(250)의 나사연결부(251)가 나사체결된 상기 스토퍼체결부(224)가 상기 헤드레스트(4)가 뒤로 젖혀질 때 상기 스토퍼걸림부(214)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스트퍼걸림부(214)의 내경을 상기 스토퍼체결부(224)의 외경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좌판연결체 110 : 좌판연결몸체
111 : 고정부 120 : 위치고정기어부
130 : 제1가이드구멍 140 : 제2가이드구멍
150 : 제1밀착벽 160 : 제2밀착벽
200 : 높낮이조절장치 210 : 높낮이조절판
211 : 힌지돌부 212 : 기어관통구멍
213 : 부싱끼움돌기 214 : 스토퍼걸림부
220 : 힌지연결구 221 : 탄성힌지돌기
222 : 고정기어편 223 : 연결돌부
224 : 스토퍼체결부 230 : 슬라이딩부싱
240 : 고정판 241 : 체결구멍
242 : 체결볼트 250 : 기울임방지스토퍼
251 : 나사연결부 252 : 걸림부
300 : 헤드레스트연결부 400 : 덮개

Claims (3)

  1. 다리(1)와 상기 다리(1)의 상단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앉는 좌판(2)과 상기 좌판(2)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등받이(3)가 구비되는 의자의 등받이 상단에 좌판연결체(100)에 의해 위치되는 헤드레스트(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헤드레스트의 높낮이조절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좌판연결체(100)는,
    상기 등받이(3) 상단에 볼트고정되는 고정부(111)가 하단에 구비되는 좌판연결몸체(110)와;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는 위치고정기어부(120)로 구비되고,
    상기 높낮이조절장치(200)는,
    전면 하단에 힌지돌부(211)가 구비되며 상단 중앙에 기어관통구멍(212)을 갖는 높낮이조절판(210)과;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의 하단에 구비된 힌지돌부(211)가 탄성에 의해 힌지연결되는 탄성힌지걸이(221)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의 기어관통구멍(212)에 관통되어 상기 위치고정기어부(120)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고정기어편(222)이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 상단에 연결돌부(223)를 갖는 힌지연결구(220)로 구비되며,
    상기 헤드레스트(4) 후면에는, 상기 힌지연결구(220)의 연결돌부(223)와 힌지연결되는 헤드레스트연결부(300)가 구비되며,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후면(110a)을 덮어 고정하는 덮개(40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에는,
    상기 위치고정기어부(120)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가이드구멍(130) 및 제2가이드구멍(140)과;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후면(110a)에 구비되되 상기 제1가이드구멍(130) 및 제2가이드구멍(140)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밀착벽(150) 및 제2밀착벽(160)이 구비되고,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에는,
    상기 제1가이드구멍(130) 및 제2가이드구멍(140)에 각각 끼워져 상기 좌판연결몸체(110)의 후면(110a)에 위치되는 복수개 부싱끼움돌기(213)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구멍(130) 및 제2가이드구멍(140)에 각각 끼워진 상기 복수개 부싱끼움돌기(213)에 끼워져 상기 제1밀착벽(150)과 제2밀착벽(160)에 각각 밀착되는 복수개 슬라이딩부싱(230)과;
    상기 복수개 슬라이딩부싱(230)과 대응되는 체결구멍(241)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 체결구멍(241)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볼트(242)에 의해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의 부싱끼움돌기(213)와 연결 고정되는 고정판(2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에는 스토퍼걸림부(214)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연결구(220)에는 상기 스토퍼걸림부(214)와 대응되는 스토퍼체결부(224)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걸림부(214)와 상기 스토퍼체결부(224)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힌지연결구(220)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을 연결하고, 상기 힌지연결구(220)의 탄성힌지걸이(221)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의 힌지돌부(211)에 대해 힌지회전되어 상기 힌지연결구(220)가 높낮이조절판(210)에 대해 젖혀질 때 상기 힌지연결구(220)의 젖혀짐을 간섭하는 기울임방지스토퍼(250)가 구비되며,
    상기 기울임방지스토퍼(250)는,
    상기 스토퍼걸림부(214)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체결부(224)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높낮이조절판(210)과 상기 힌지연결구(220)를 연결하는 나사연결부(251)와;
    상기 나사연결부(25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걸림부(214)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힌지연결구(220)가 상기 높낮이조절판(210)에 대해 젖혀짐을 간섭하는 걸림부(25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190046764A 2019-04-22 2019-04-22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193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64A KR102193182B1 (ko) 2019-04-22 2019-04-22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64A KR102193182B1 (ko) 2019-04-22 2019-04-22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893A KR20200123893A (ko) 2020-11-02
KR102193182B1 true KR102193182B1 (ko) 2020-12-21

Family

ID=7339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764A KR102193182B1 (ko) 2019-04-22 2019-04-22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3673A1 (en) 2021-05-05 2024-03-13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5846A (ja) 2005-11-17 2007-06-07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616507B1 (ko) 2015-12-22 2016-04-2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KR101635485B1 (ko) 2015-12-22 2016-07-0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높이 및 각도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915A (ko)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닥터스생활과학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와 헤드 각도설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머리받침대 및 의자
KR101330119B1 (ko) 2011-06-01 2013-11-15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의 헤드레스트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
KR101910413B1 (ko) 2017-04-27 2018-10-22 김효수 틸팅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5846A (ja) 2005-11-17 2007-06-07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616507B1 (ko) 2015-12-22 2016-04-2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KR101635485B1 (ko) 2015-12-22 2016-07-0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높이 및 각도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893A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3769B2 (en) Item of seating furniture
US7992937B2 (en) Body support structure
US5472261A (en) Arrangement in a recline chair
US9375089B2 (en) Zero-wall clearance linkage mechanism for providing additional layout
US20110074197A1 (en) Chair
KR102002053B1 (ko) 소음방지구조와 위치고정구조 및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US20040075321A1 (en) 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NL8703027A (nl) Kantelregelinrichting voor een bureaustoel.
JPS63240806A (ja) 特にひざ型傾動椅子のための傾動機構
KR102193182B1 (ko)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JP3359862B2 (ja) ロッキング装置
KR200453938Y1 (ko) 높이 및 각도가 가변되는 키보드받침대가 결합 된 의자.
CN108248461B (zh) 一种座椅调节装置及一种座椅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JP5438045B2 (ja) 座の前後位置調整装置
CN113331622B (zh) 一种椅背可自适应后仰翻转的办公椅
KR102521635B1 (ko) 각도와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1446462B1 (ko) 의자의 제어장치
JP2001128789A (ja) 椅 子
JP4318191B2 (ja) 多目的チェアのフレーム
CN108514259B (zh) 一种坐具
JP5491603B2 (ja) 椅子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CN219920648U (zh) 一种可在平面和斜面之间切换的座椅椅座
CN219594129U (zh) 一种应用于办公椅上的椅背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