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345B1 -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축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축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345B1
KR101692345B1 KR1020150100200A KR20150100200A KR101692345B1 KR 101692345 B1 KR101692345 B1 KR 101692345B1 KR 1020150100200 A KR1020150100200 A KR 1020150100200A KR 20150100200 A KR20150100200 A KR 20150100200A KR 101692345 B1 KR101692345 B1 KR 10169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user
axis
pres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Priority to KR102015010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345B1/ko
Priority to JP2016100380A priority patent/JP2017027584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9/444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축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셀들을 포함한다. 해당 셀을 이용해서 사용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축변경 인디케이터를 선택했을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화면을 구성하는 셀들을 재배열하여, (x, y) 셀 좌표가 (y, x) 셀 좌표로 변경되도록 표시하는 것이며, 이로써 스크롤링이나 디바이스 변위변경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셀들을 보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축변경 방법{METHOD OF CHANGING AN AXIS ON USER INTERFACE OF MOBILE DEVICE APPLIC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모바일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은 기업 활동을 위해 쓰이는 기업 내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은 제조업을 포함한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에서 생산, 구매, 재고, 주문, 공급자와의 거래, 고객서비스 제공 등 주요 프로세스 관리를 돕는 여러 모듈로 구성된 통합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은 인적자원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도 포함된다.
기업의 업무를 컴퓨터 시스템 안으로 포섭해서 전산화할 때 여러 모듈로 구성이 된 전사적 자원 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기업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오늘날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은 기업의 전 부문에 걸쳐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각종 관리시스템의 경영자원을 하나의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ion, SI)으로 재구축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하려는 경영혁신기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은 기업에서의 여러 가지 자원의 흐름, 용도를 감시한다. 또한, 경영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경리, 영업, 재고 관리 등의 업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하여, 보다 나은 경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종전의 ERP 시스템은 PC 기반으로 구현되었으나, 오늘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최적화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ERP 시스템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이다. 그런데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화면이 작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ERP 모바일 앱은 제공하는 기능과 보여주는 데이터가 많다. 그러나 작은 화면으로 말미암아 사용자는 정보의 입출력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사용자는 터치제스처를 통해서 화면을 이동시키거나 키우거나 혹은 작게 하면서 현황을 파악하고 입력행위를 하게 되는데, ERP 시스템의 데이터 셀이 매우 많아서 불편할 수밖에 없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로/세로의 비율이 다르다. 가로(width)의 길이보다 세로(height)의 길이가 더 길다. 아이폰 6의 경우 가로 길이가 64mm인 반면 세로 길이는 138mm이다. 갤럭시 S5의 경우 각각 72.5mm, 142mm이다. 다른 브랜드의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이다. 보통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세로 길이를 세워서 모바일 디바이스(65)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가로를 세워서 화면을 보는 것보다 파지하기 쉽기 때문이며 또한 보기 편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사용자는 가로쪽 방향으로는 더 적은 정보를, 세로쪽 방향으로는 더 많은 정보를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자가 가로쪽으로 더 많은 정보를 보려면 어떻게 할까 터치제스처로 화면을 좌우로 스크롤 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맞게 그 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이 통상이다. 그런 경우에는 도 6의 화면으로는 입출력의 최소구역이 작게 보일 것이다. 더 많은 정보를 보려면, 현재로서는 PC 화면으로 변경해서 보는 것이 가장 좋다. 물론 역시 작게 보일 터이다. 종래기술은 도 7과 같이, 디바이스(65)를 90도 회전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디바이스(65)의 물리적 변위를 90도 회전시키면,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횡적 방향으로 넓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일차적으로 텍스트의 크기가 자연스럽게 커져서 보기가 수월해진다. 그런데 이런 방법은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첫째, 사용자가 선호하는 도 6의 파지방법을 변경해야 한다는 불편함이다. 때때로 한 손으로만 디바이스(65)를 잡고 있다가 두 손으로 디바이스(65)를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인체(손)의 구조상 도 6의 파지 방법이 익숙하고 안전함에도, 단지 가로방향으로 데이터를 더 보기 위해서 덜 익숙하고 덜 안전한 방법으로 디바이스를 쥐고 있어야 한다.
둘째, 디바이스 화면을 보기만 하는 경우라면 도 7의 디바이스 파지 방법도 괜찮을지 모르겠다. 예컨대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시켜 보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적시에 입력을 해야만 하는 경우라면 불편하다. 불안하고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이 이뤄져야 하고, 또한 그런 입력이 잦다면 사용자는 짜증이 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신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출력 기능을 갖는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사용자 화면을 갖는다. 셀들은 열로 배열되며 동시에 행으로도 배열된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원터치에 의해서 셀들의 재배열되도록 하는 것이고, 특히 x축은 y축으로 y축은 x축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보기 좋거나 입력하기 편리한 구조로 셀들을 재배열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효용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a) 입력수단이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셀들의 셀 행렬 집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사용자 화면에서 축변경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셀 행렬 집합의 배열을 x축 방향은 y축 방향으로, y축 방향은 x축 방향으로 재배열하여 (x, y) 셀 좌표가 (y, x) 셀 좌표로 변경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변경 인디케이터는 x축의 컬럼 인덱스 라인과 y축의 로우 인덱스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은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인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의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간단히 축변경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셀 구조의 배열을 수평방향은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수평방향은 수직방향으로 재배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셀의 항목들을 재배열하여 볼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종래의 방식은 터치화면의 스크롤을 통해서 항목들을 보는 것이지만, 화면 자체가 작으면 스크롤할 때마다 이전 항목들이 화면에서 사라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로길이보다 세로길이가 더 길다. 셀은 가로길이보다 세로길이의 배열을 통해서 더 많은 항목을 보여줄 수 있다. 반면 사용자는 세로길이보다 가로길이의 배열을 통해 더 직관적으로 항목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원터치만으로 가로길이배열의 장점과 세로길이 배열의 장점을 적절히 선택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입력 혹은 출력 항목을 재배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효용성이 증가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다수의 셀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변경 방법의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전체 프로세스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세로 방향으로 파지하는 일반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로 방향으로 파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설치되고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요컨대 사용자 화면의 구성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입출력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다수의 셀의 행렬로 구성되는 셀의 행렬집합(예컨대 액셀TM의 시트와 같은 구성을 떠올려 볼 수 있다)을 포함하는 기능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적극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극적으로는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로서 특히 ERP 시스템에 사용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특히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은 관리 서버(5)와 DB(30, 32, 34, 36)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5)는 다수의 하드웨어 장비와 소프트웨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고객 기업의 경영환경에 맞는 솔루션을 선택적으로 구축 가능하거나 확장이 용이한 다수의 모듈들(10, 12, 14, 16, 18, 20, 22, 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은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구조로 설계되어 유연성이 뛰어나고 필요한 화면을 손쉽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및 추가 개발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은 제조업, 시공업, 유통, 물류, 서비스, 교육, 레저, IT, 컨설팅, 에너지, 환경, 공공기관, 연구기관, 협회 등 다양한 산업의 표준 프로세서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버(5)는 운영 모듈(10), 급여 모듈(12), 재무회계 모듈(14), 영업 모듈(16), 생산 모듈(18), 구매 모듈(20), 물류 모듈(22), 및 인사 모듈(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서버(5)는 위에 제시된 모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기업 경영에 필요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들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모듈들에 대해 소상히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혁신성이 간접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예컨대 운영 모듈(10)은 사용자 편의를 생각한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여 자유로운 메뉴등록, 즐겨찾기 기능, 내 마음대로 편집하는 메인 레이아웃 기능 등을 제공하며, 강력한 데이터 보안을 위한 로그인 환경설정, 개인 권한, 부서/그룹별 권한 및 화면 권한 등의 자세한 권한분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급여 모듈(12)은 국내 및 해외 기준의 체제를 수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지급 및 공제 항목별 설정과 계산식을 적용함으로써 복잡해지는 급여처리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재무회계 모듈(14)은 내/외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계정 및 재무제표의 구조적 설정을 제공하고 타업무와의 유기적인 통합으로 의사결정 정보의 적시성과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영업 모듈(16)은 기업별 영업환경에 따른 수주의 다양성을 지원할 수 있으며, DCM(Demand Chain Management)을 통한 기업간 또는 다 기종의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효율적인 영업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생산 모듈(18)은 다양한 수주의 형태를 지원할 수 있는 주문생산(Make to Order, MTO) 및 재고생산(Make to Stock, MTS)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자재소요계획(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MRP) 기능을 통하여 기업 내의 자원을 계획하고 활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매 모듈(20)은 월생산계획을 통한 외주 발주, 주생산계획을 통한 내자 발주를 기초로 하여, 적정량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적시관리(Just in Time, JIT)를 실현한다. 또한 구매 거래처와의 발주 정보 공유를 통해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를 실현할 수 있다.
물류 모듈(22)은 업무 프로세스와 실물 재고의 이동에 대한 불일치를 제거하기 위한 관리 및 기능창고를 분리하고 위탁 및 수탁 거래, 재고의 상태 변화 등에 대처할 수 잇는 다양한 물류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인사 모듈(24)은 기업의 기초가 되는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인사등록부터 발령, 순환 등의 인적자원의 전략적인 운영과 인사권리의 핵심인 인사평가 및 목표관리(Management By Objective, MBO)를 통하여 전사적인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들(10, 12, 14, 16, 18, 20, 22, 24)에 이용되는 데이터는 DB(30, 32, 34, 36)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50, 52)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60, 62)로 인터넷(40)을 통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에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컴퓨터 단말기(50, 52)는 PC, 노트북, 키오스크, ATM 장치, POS 단말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디바이스(60, 62)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인터넷(40)을 통하여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60, 62)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 전화기, 태블릿 컴퓨터, PDA 등을 포함한다.
그러면 이제 도 2를 참조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ERP 시스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은 도 2의 예를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60)에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에 접속하기 위한 ERP 애플리케이션(78)이 설치되어 있다. ERP 애플리케이션(78)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60)에 외부 플랫폼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ERP 애플리케이션(78)은 모바일 디바이스(60)의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와 연동하여 디폴트로 모바일 디바이스(6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60)는 프로세서(70), 내부 메모리(76), 입력수단(72) 및 출력수단(74)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60)의 입력수단(72)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입력기를 포함하고, 출력수단(74)은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의 UI/UX, 응용 소프트웨어의 UI/UX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출력하는 수단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입력수단을 기능을 함께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60)의 내부 메모리(76)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60)의 내부 메모리(76)에는 ERP 애플리케이션(78) 및 이의 구동/관리에 필요한 리소스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입출력 시스템, 운영 체제, 다양한 프로그램들,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들, 프로세서 기능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용 펌웨어(firmware)가 저장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60)의 프로세서(70)는 운영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프로세서(70)는 일련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6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0)는 모바일 디바이스(60)에 설치된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와 각종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들(ERP 애플리케이션을 포함)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역할을 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ERP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었다. 특히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60)의 사용자 화면에 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만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60)의 전원부, 통신모뎀, GPS, I/O 디바이스, 카메라 모듈과 같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모듈 등의 부가적 혹은 관용적 구성요소는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60)에는 장치의 기능에 기여하는 다양한 내부 및 외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60)는 하드웨어 요소들(회로 포함), 소프트웨어 요소들(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코드 포함) 또는 이 두 요소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출력수단인 동시에 입력수단인 디스플레이의 일부로서, 메인 영역(110)과 메뉴 영역(12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60)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파지하고 보기에도 편하도록 가로 방향으로는 짧고 세로 방향으로는 길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는 짧고 세로방향으로는 길게 형성되어 있다.
메인 영역(110)은 전체적으로 매트릭스 형태의 셀들이 셀 행렬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116)과, 데이터 영역(116)의 각 행의 내용 또는 순위를 정의하는 로우(row) 정의영역(114)과, 데이터 영역(116)의 각 열의 내용 또는 순위를 정의하는 컬럼(column) 정의영역(11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로우 정의영역(114)에는 그리스 숫자가 각 셀에 순차적으로 정의되어 각 행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컬럼 정의영역(112)에는 하나의 행을 구성하는 셀들의 데이터를 정의하는 콘텐츠들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영역(116) 중 하나의 행은 하나의 동일한 이벤트를 의미하고 상기 행을 구성하는 각 셀의 콘텐츠는 이에 대응하는 컬럼 정의영역(112)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럼 정의영역(112)을 구성하는 각 셀(이를 컬럼인덱스(column index)라 한다)는 "사업부", "수주번호", "수주일", "부서", "담당자", "거래처", "품명", "판매단위", "판매단가", "수량", "판매금액", "납기일"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영역(116) 내의 하나의 행은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사업부", "수주번호", "수주일", "부서", "담당자", "거래처", "품명", "판매단위", "판매단가", "수량", "판매금액", "납기일" 등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데이터 영역(116)을 구성하는 각 셀(이를 로우 인덱스(row index)라 한다)에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의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역으로 컬럼 정의영역(112)과 로우 정의영역(114)이 서로 그 역할을 바꾸어, 데이터 영역(116) 중 하나의 열이 하나의 동일한 이벤트를 의미하고 상기 열을 구성하는 각 셀의 콘텐츠는 이에 대응하는 로우 정의영역(114)에 의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로우 정의영역(1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의 세로 방향의 일렬로 연결된 다수의 로우 인덱스들(- Ⅷ, ...)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우 정의영역(1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로우 정의영역(114)은 8개의 로우 인덱스들(- Ⅷ)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인 영역(110)을 상하로 터치 스크롤을 하면 더 많은 로우 인덱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에 대한 터치 감지 메커니즘은 압력에 인식하는 감압 방식 또는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광학식 메커니즘이나 초음파 방식의 메커니즘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감지를 위한 입력기로는 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컬럼 정의영역(11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의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연결된 다수의 컬럼인덱스들(A - D, ...)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컬럼 정의영역(11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컬럼 정의영역(112)은 4개의 컬럼인덱스들(A - D)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인 영역(110)을 좌우로 터치 스크롤을 하면 더 많은 컬럼인덱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영역(1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 내에서 데이터 영역(116)에 인접하여 위치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영역(116)의 하단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ERP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구동 옵션들을 실행할 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메뉴 영역(120)은 하나 이상의 실행 버튼(122, 124, 126, 128)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영역(120)은 컬럼인덱스 버튼(122), 컬럼세트 버튼(124), 설정 버튼(126) 및 화면 최대화 버튼(12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 사용자 화면 중 애플리케이션 메인 화면(110)의 제1화면의 구성 예를 나타내며, 도 4(b)는 도 4(a)의 제1화면이 축변경이 된 제2화면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인 화면(110)의 좌측 상단의 모서리에는 축변경 인디케이터(115)가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것처럼, 이 메인 화면(110)의 각 셀들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요컨대 각 셀들은 (x, y) 셀 좌표를 갖는다. 사용자의 입력수단(130)이 축변경 인디케이터(115)를 선택하는 경우, 즉 입력수단(130)이 축변경 인디케이터(115) 영역에 터치이벤트를 형성하는 경우, 메인 화면(110)은 도 4(b)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축변경 이벤트에 따라서 도 4(a)와 같은 사용자 화면은 도 4(b)와 같은 사용자 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이다. 이때 유의할 점은 디바이스의 물리적 변위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서 필수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즉, 디바이스는 도 6에서 도 7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의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머물러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셀의 좌표 (x, y)가 (y, x)로 변경된다.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화면을 구성하는 셀 행렬 집합의 배열을 x축 방향은 y축 방향으로, y축 방향은 x축 방향으로 재배열되기 때문에, (x, y) 셀 좌표가 (y, x) 셀 좌표로 변경되도록 표시되는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도 4(a)의 로우 인덱스 라인(114)은 도 4(b)의 컬럼 인덱스 라인(114x)으로 변경되며, 도 4(a)의 컬럼 인덱스 라인(112)는 도 4(b)의 로우 인덱스 라인(112y)로 변경된다.
결과적으로 도 4(a)에서 (A, Ⅲ) 좌표를 갖는 셀(116a)은 도 4(b)에서 (Ⅲ, A) 좌표를 갖는 셀로 위치를 변경한다. 위치만 변경될 뿐 그 셀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변경된다거나, 그 셀을 통해 입력되는 값에 대한 데이터 처리가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a)에서는 화면에서 표시되지 못했던 영역이 도 4(b)에서는 표시될 수 있다. 도 4(b)의 1160 셀 영역이 그러하다.
도 4(b)에서 다시 축변경 인디케이터(115)를 선택하면 도 4(a)로 되돌아감은 물론이다. 이처럼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축변경 이벤트를 통해서 사용자 화면의 셀 좌표값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해줌으로써, 복잡하고 많은 셀로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적인 인식과 작업환경에 대한 편의성을 증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스크롤링하지 않더라도 한번의 터치로 1160 셀 영역을 사용자 화면으로 시각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의 개념을 우리가 이해했다면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더욱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성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S100).
그러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으로 표시하게 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셀들의 셀 행렬 집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화면을 표시한다(S110).
다음으로 사용자의 입력수단이 상기 사용자 화면에서 축변경 인디케이터를 선택함으로써 터치이벤트를 행한다(S120). 바람직하게는 축변경 인디케이터는 x축의 컬럼 인덱스 라인과 y축의 로우 인덱스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터치이벤트가 발생하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터치이벤트에 반응하는 출력을 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셀 행렬 집합의 배열을 x축 방향은 y축 방향으로, y축 방향은 x축 방향으로 재배열하여 (x, y) 셀 좌표가 (y, x) 셀 좌표로 변경되도록 표시한다(S130). 단지 셀의 위치만 바꿔버리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대로 기능할 수 없기 때문에, 칼럼 인덱스 라인과 로우 인덱스 라인이 동시에 변경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실행하고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이 좋다. 그런 디바이스로 대표적으로는 스마트폰이 있다. 그밖에 태블릿 PC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여도 좋을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4)

  1. 가로보다 세로가 더 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a) 입력수단이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셀들(여기서, 각 셀(cell)은 화소 단위인 픽셀(pixel)이 아니라 문자 또는 숫자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다수의 픽셀들로 이루어진 영역을 말한다)의 셀 행렬 집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변위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사용자 화면에서 축변경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셀 행렬 집합의 배열을 x축 방향은 y축 방향으로, y축 방향은 x축 방향으로 재배열하여 (x, y) 셀 좌표가 (y, x) 셀 좌표로 변경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변위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셀 좌표의 변경에 의하여, (x, y) 셀 좌표에 표시된 문자 또는 숫자의 데이터가 (y, x) 셀 좌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변경 인디케이터는 x축의 컬럼 인덱스 라인과 y축의 로우 인덱스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은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인,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인,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50100200A 2015-07-15 2015-07-15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축변경 방법 KR10169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00A KR101692345B1 (ko) 2015-07-15 2015-07-15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축변경 방법
JP2016100380A JP2017027584A (ja) 2015-07-15 2016-05-19 モバイルデバイスアプリケーション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における軸変更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00A KR101692345B1 (ko) 2015-07-15 2015-07-15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축변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345B1 true KR101692345B1 (ko) 2017-01-03

Family

ID=5779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200A KR101692345B1 (ko) 2015-07-15 2015-07-15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축변경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7027584A (ko)
KR (1) KR1016923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588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알파텔레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좌표변환을 통한 화면 표시 방법
JP2008533630A (ja) * 2005-03-21 2008-08-21 デクステ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バイルデータシステムのためのデータ管理
KR20100010047A (ko) * 2010-01-07 201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5167A (ja) * 1997-05-27 1999-02-16 Sharp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748389B1 (en) * 1999-09-21 2004-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inverting columns in a database table
JP2011053725A (ja) * 2007-11-26 2011-03-17 Nec Corp 表の表示装置、表の表示方法および表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3077231A (ja) * 2011-09-30 2013-04-25 Hitachi Solutions Ltd 文書データの表示方法、携帯端末の表示装置
JP2014021694A (ja) * 2012-07-18 2014-02-03 Morisawa:Kk 携帯情報端末、携帯情報端末の表組表示方法、及び携帯情報端末の表組表示プログラム
JP2014071538A (ja) * 2012-09-27 2014-04-21 Sharp Corp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588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알파텔레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좌표변환을 통한 화면 표시 방법
JP2008533630A (ja) * 2005-03-21 2008-08-21 デクステ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バイルデータシステムのためのデータ管理
KR20100010047A (ko) * 2010-01-07 201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27584A (ja)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7721B2 (en)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application of sub-board templates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US11481092B2 (en) Intelligent workspace
US9274686B2 (en) Navigation framework for visual analytic displays
JP6088520B2 (ja) 狭小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のためのロール・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10175855B2 (en) Interaction in orbit visualization
US20140059496A1 (en) Unified mobile approvals application including card display
US8271906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dynamic cursor area to facilitate user interaction
US9383913B2 (en) Touch screen device data filtering
JP2015500532A5 (ko)
CN103713841B (zh) 帐票输入输出装置和帐票输入输出方法
US20130328913A1 (en) Methods for viewing and navigating between perspectives of a data set
JP2008276776A (ja) タッチ式タグ・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関連装置
CA2878883A1 (e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pen and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the same
CN103106027A (zh) 便携式设备中的触摸输入方法和装置
JP6178421B2 (ja) コンテンツ選択および拡張コンテンツ選択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6354715B2 (ja) 作業支援システム、作業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81677B1 (ko) 모바일용 erp 애플리케이션의 작동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CN110471609B (zh) 文本信息编辑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735530B1 (ko)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사용자 화면에서의 계층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20110242108A1 (en) Visualization of complexly related data
KR101692345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축변경 방법
CN108780443A (zh) 对数字笔划群组的直观选择
US20170098206A1 (en) Transactional user interface
US20190265846A1 (en) Date entry user interface
KR101352321B1 (ko) 복수의 입력 방법 간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