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276B1 - 오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276B1
KR101692276B1 KR1020160049222A KR20160049222A KR101692276B1 KR 101692276 B1 KR101692276 B1 KR 101692276B1 KR 1020160049222 A KR1020160049222 A KR 1020160049222A KR 20160049222 A KR20160049222 A KR 20160049222A KR 101692276 B1 KR101692276 B1 KR 101692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ir
unit
suction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Original Assignee
정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영 filed Critical 정수영
Priority to KR102016004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등의 캡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묻게 되는 오일을 제거하는 오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비산되는 오일, 이물질 등의 오일 비산물을 흡입하는 흡입유닛과, 이송부재를 통해 이송되는 캡슐에 공기를 분사하여 표면 오일을 제거하는 블로어유닛 및 상기 흡입유닛과 블로어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펌프유닛을 구비하여, 하나의 펌프로 이송부재 주변의 오일 비산물을 흡입하고, 캡슐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여 오일을 제거함으로서 구조를 간단히 하고 오염물질이 캡슐에 묻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이송부재에는 메쉬로 이루어지는 이송벨트가 구비되어 제거되는 오일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일 제거장치{OIL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캡슐을 제조 및 포장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묻게 되는 오일을 제거하는 오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비산되는 오일, 즉 오일 비산물을 흡입하는 흡입유닛과, 이송부재를 통해 이송되는 캡슐에 공기를 분사하여 표면 오일을 제거하는 블로어유닛 및 상기 흡입유닛과 블로어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펌프유닛을 구비하여, 하나의 펌프로 이송부재 주변의 오일 비산물을 흡입하고, 캡슐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여 오일을 제거함으로서 구조를 간단히 하고 오염물질이 캡슐에 묻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이송부재에는 메쉬로 이루어지는 이송벨트가 구비되어 제거되는 오일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슐의 표면에 묻은 오일, 물기, 먼지 등을 제거하거나 건조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캡슐에 직접 분사하는 에어나이프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나이프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756522호 『기판 건조용 에어나이프 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LCD 패널과 같은 기판의 상측에, 그 기판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과 함께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도록 그 제1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블록을 구비하여서, 상기 공기유동통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기판에 분사시켜 기판에 잔류된 세척물질을 제거하는 기판 건조용 에어나이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기판이 상기 제1블록 측으로 이송되어 올 때 상기 제1블록보다 상기 기판으로부터 멀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블록의 하단부보다 상기 기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공기유동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연장부를 타고 상기 기판에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나이프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기판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물기가 사방으로 흩날려 주변에 물기가 다시 묻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완벽하게 물기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830129호 『듀얼 에어 나이프가 설치된 건조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유리 기판의 건조 공정이 수행되는 공정 챔버; 공정 챔버의 일측 벽에 형성되어 유리 기판이 반입되는 입구와 반출되는 출구; 공정 챔버 내부로 반입된 유리 기판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1 구동 샤프트와 제 1 구동 샤프트에 구비된 다수의 구동 롤러; 제 1 구동 샤프트의 회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제 2 구동 샤프트와 모터; 제 1 차 에어 나이프, 제 2 차 에어 나이프, 'ㄱ'형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유리 기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에 대해 대칭되게 설치되는 듀얼 에어 나이프로 구성된 듀얼 에어 나이프가 설치된 건조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기판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공기를 분사하여, 기판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공기 분사로 인해 흩날리는 물기가 비산되어, 다시 기판에 묻어 효율성이 저하되고, 완벽한 건조를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62371호 『글라스 건조용 에어 나이프』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건조부로 이송되는 글라스의 상/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되,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글라스 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중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의 분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분출공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의 양변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홈부와 간격조절홈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각 간격조절홈의 내측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갖으며 연통을 이루는 다수개의 요홈과 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분출공을 통해 분사되는 건조공기의 공기압을 상기 분출공의 각 구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분출공에 인접된 모서리측을 향하고 타측이 상기 각 홈부에서 볼트 체결된 한 쌍의 공기압조절판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고압의 건조공기를 상기 중공부로 유도하기 위해 몸체의 양측에 볼트 체결되며, 내측에 공기유도로가 일체로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글라스 건조용 에어 나이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비산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워 비산물이 낙하여 다시 캡슐에 묻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507567호 『웨트유 제거 에어나이프』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웨트 압연(WET ROLLING)을 실시한 후, 스트립으로부터 웨트유를 제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고압의 에어를 스트립의 상하면으로 분사시키는 상, 하 분출부를 갖추고, 상기 분출부 내에는 고압의 에어를 스트립의 양측으로 경사 분사시키는 방향전환 가이드부재들이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분출부들은 상, 하측이 각각 2개의 분사부재가 1조를 이루고, 상기 분사부재들은 스트립의 진행방향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부재들은 1조를 이루는 분사부재의 스트립 진행방향 중앙선에 대하여 각각 반대방향으로 경사 배치되어 고압의 에어들이 스트립의 양측모서리로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분사되는 한편, 그리고 상기 분사부재들은 스트립에 대하여 10-30mm 까지 상, 하면에 근접되어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나이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또한 에어나이프에 의해 비산되는 웨트유를 제거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종래기술들에 있어서 오일 비산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된 비산물 제거장치를 따로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오일 제거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오일 비산물을 제거하는 흡입유닛,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캡슐 표면의 오일을 제거하는 블로어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흡입유닛과 블로어유닛에 구비되는 하나의 펌프를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여 오일 비산물 및 오일을 제거하고, 상기 캡슐이 이송되는 이송벨트가 메쉬망으로 구비됨에 따라 표면의 오일이 블로어부재를 통해 제거될 때 비산되지 않고 바로 낙하할 수 있는 오일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유닛에 구성되는 흡입관은 상기 본체의 포집부재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형성하되, 상기 관통부에 배출통공을 구비하여 흡입되는 오일 비산물이 자연스럽게 포집부재로 낙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오일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이송부재에는 외벽이 더 구비되어 캡슐 표면의 오일이 비산되어 이송부재의 양측으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일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제거장치는
캡슐이 이송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오일 및 오일 비산물을 수거하는 포집부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 비산물을 제거하는 흡입유닛;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이송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캡슐에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어유닛;
상기 흡입유닛 및 블로어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흡입유닛을 통해 오일 비산물을 흡입하도록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블로어유닛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펌프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부재에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메쉬로 이루어지는 이송벨트가 구비되어, 블로어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캡슐에 분사되어 캡슐 표면의 오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포집부재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제거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흡입유닛을 통하여 주변의 오일 비산물을 흡입할 수 있으며, 블로어유닛을 통해 직접 캡슐에 공기를 분사하여 캡슐 외면의 오일을 제거할 수 있어 오일 비산물이 다시 캡슐에 낙하되는 문제를 해결함에 따라 오일 제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유닛과 블로어유닛은 하나의 펌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캡슐이 이송되는 이송부재에는 메쉬로 이루어진 이송벨트를 구성하여 블로어유닛에 의해 제거되는 오일이 비산되지 않고 바로 이송벨트 아래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여 오일제거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흡입유닛에 구비되어 오일 비산물이 흡입되는 흡입관에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포집부재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형성하되, 상기 관통부에 배출통공을 구비하여 오일 비산물이 펌프에 흡입되지 않고, 배출통공을 통해 낙하함에 따라 이송벨트 아래로 낙하되는 오일과 함께 포집될 수 있어 유지보수 및 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송벨트의 양측에는 외벽을 구비하여, 블로어유닛에 의해 퍼트려지는 오일이 이송벨트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비산되는 오일 없이 전부 이송벨트 하부로 낙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제거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제거장치(A)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흡입유닛(2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블로어유닛(30) 및 상기 흡입유닛(20)과 블로어유닛(30)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 및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캡슐이 이송되는 이송부재(11)와, 상기 블로어유닛(30) 및 흡입유닛(20)에 의해 제거되는 오일 또는 오일 비산물 또는 이들 모두를 수거하기 위한 포집부재(13)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포집부재(13)는 내부에 포집부(131)가 형성된 박스형의 모양으로, 상기 포집부(131)에는 오일이나 오일 비산물 등의 이물질이 수거될 수 있도록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재(13)의 하부에는 포집부(131)에 이물질이 가득 찰 경우, 이를 수거하기 위한 배출밸브(1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포집부재(13)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포집부(131)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35)가 구비되어 배출밸브(133)로 액체를 수거하고, 상기 개폐도어(135)를 개방하여 고형화 된 이물질을 수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포집부재(13)에는 제1 및 제2 관통공(137)(1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 및 제2 관통공(137)(138)을 후술하는 흡입관(23)이 관통하여 펌프유닛(4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하기에 흡입관(23)을 설명함에 있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본체(10)에는 이송부재(11)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이송부재(11)는 캡슐이 이송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집부재(13)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이송부재(11)를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캡슐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을 일측이라 하고,(도 3을 기준으로 우측방향) 이송이 끝나는 부분을 타측이라고 정한다.(도 3을 기준으로 좌측방향)
상기 이송부재(11)는 캡슐이 이송되기 위한 이송벨트(111)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이송벨트(111)를 구동하기 위한 톱니,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캡슐은 상기 이송벨트(111)의 움직임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게 되며, 상기 이송부재(11)의 일측에는 흡입유닛(20)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이송부재(11)의 타측에는 블로어유닛(30)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의 이송벨트(111)는 상기 블로어유닛(30)에 의해 제거되는 캡슐 표면에 묻어있던 오일이 낙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출공(111A)이 형성된 메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제거장치(A)에는 비산되는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흡입유닛(2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입유닛(20)은 상기 이송부재(11) 일측에 위치하는 흡입부재(21)와, 상기 펌프유닛(40)과 흡입부재(21)를 연결하는 흡입관(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흡입유닛(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흡입유닛(20)은 상기 이송부재(11)의 일측, 즉 캡슐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비산되는 오일, 즉 오일 비산물을 흡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오일 비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부재(21)의 단부에는 수거부(211)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거부(211)는 상부가 하부보다 더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송부재(11) 주변의 오일 비산물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흡입부재(21)는 상기 이송부재(11)의 주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이송부재(11) 하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렇게 상기 흡입부재(21)에 의해 흡입된 오일 비산물은 흡입관(23)을 통하여 이송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흡입관(23)은 상기 본체(10)의 제1 및 제2 관통공(137)(138)을 관통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본체(10)의 포집부재(13) 내부에 위치하는 관통부(233)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23)의 관통부(233)에는 복수개의 배출통공(231)이 구비되어 있어, 흡입관(23)을 통하여 흡입되는 오일 비산물은 상기 배출통공(231)을 통하여 낙하되어 상기 포집부(131)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배출통공(231)을 통하여 관통부(233) 상부에서 낙하되는 오일 또한 관통부(233) 아래로 낙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흡입관(23)은 본체(10)를 관통하여 펌프유닛(40)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펌프유닛(40)의 작동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오일 비산물이 흡입되게 된다.
주변의 오일 비산물이 제거된 캡슐은 이송부재(11)의 이송벨트(111)를 따라 타측으로 이송되게 되고, 상기 이송부재(11)의 타측에는 블로어유닛(30)이 구비되어 상기 캡슐의 외면에 묻어있는 오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블로어유닛(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블로어유닛(30)은 상기 펌프유닛(40)과 연결되는 공급관(33)과 상기 공급관(33)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재(11)의 타측 상부에 이격 위치되는 블로어부재(31) 및 상기 블로어부재(31)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펌프유닛(4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고압으로 캡슐 표면에 분사하는 에어나이프(35)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공급관(33)을 통하여 블로어부재(31)로 공급되고,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에어나이프(35)를 통해 고압으로 이송벨트(111)의 타측 상부면, 즉 이송부재(11)에 놓여 있는 캡슐을 향해 분사된다.
이 때 상기 에어나이프(35)는 상기 캡슐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반복적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캡슐 표면의 오일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캡슐 표면의 오일이 강력한 공기의 분사로 인하여 캡슐로부터 떨어져 나가면, 앞서 설명했던 이송벨트(111)의 배출공(111A)을 통하여 낙하되고, 낙하된 오일은 본체(10)의 포집부재(13)에 구비되는 포집부(131)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집부(131)에는 블로어유닛(30)에 의한 오일 및 흡입유닛(20)에 의한 오일 비산물이 모두 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로어유닛(30)의 에어나이프(35)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고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캡슐 표면의 오일이 이송벨트(111) 하부방향 뿐만 아니라 주변으로 튀어 비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제거장치(A)에서는 상기 이송벨트(111)의 이송방향을 따라 외벽부(113)가 더 구비되게 된다. 즉, 상기 외벽부(113)에 의해 오일은 이송벨트(111) 주위로 분사되지 않게 되고, 자연스럽게 상기 이송벨트(111)의 배출공(111A)을 통하여 포집부(131)로 낙하하여 캡슐에 다시 오일이 묻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제거장치(A)는 블로어유닛(30) 및 흡입유닛(20)에 의하여 오일 및 오일 비산물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 때 이를 구동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일측에 펌프유닛(40)이 구비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단일의 펌프유닛(40)을 통하여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모두 동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펌프유닛(40)에는 상기 흡입관(23)과 연결되는 흡입부(41)와, 상기 공급관(33)과 연결되는 공급부(4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유닛(40)은 흡입부(4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부(43)를 통해 배출하여 블로어유닛(30)을 통해 분사함에 따라, 하나의 펌프유닛(40)을 통하여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설치의 편의성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펌프를 이용하는 것보다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오일 제거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오일 제거장치 10 : 본체
11 : 이송부재 111 : 이송벨트
111A : 배출공 113 : 외벽부
13 : 포집부재 131 : 포집부
133 : 배출밸브 135 : 개폐도어
137 : 제1 관통공 138 : 제2 관통공
20 : 흡입유닛 21 : 흡입부재
211 : 수거부 23 : 흡입관
231 : 배출통공 233 : 관통부
30 : 블로어유닛 31 : 블로어부재
33 : 공급관 35 : 에어나이프
40 : 펌프유닛 41 : 흡입부
43 : 공급부

Claims (4)

  1. 캡슐이 이송되는 이송부재(11)와, 상기 이송부재(11) 하부에 구비되어 오일 및 오일 비산물을 수거하는 포집부재(13)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 비산물을 제거하는 흡입유닛(2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이송부재(11)를 따라 이송되는 캡슐에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어유닛(30);
    상기 흡입유닛(20) 및 블로어유닛(3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흡입유닛(20)을 통해 오일 비산물을 흡입하도록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블로어유닛(30)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펌프유닛(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부재(11)에는
    복수개의 배출공(111A)이 형성되는 메쉬로 이루어지는 이송벨트(111)가 구비되어, 블로어유닛(3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캡슐에 분사되어 캡슐 표면의 오일이 상기 배출공(111A)을 통해 포집부재(13)로 떨어지고,
    상기 흡입유닛(20)은
    상기 이송부재(11)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부재(21)와, 상기 흡입부재(21)와 상기 펌프유닛(40)을 연결하는 흡입관(2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관(23)은
    상기 본체(10)의 포집부재(13)를 관통되는 관통부(233)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33)에는 흡입관(23)을 통해 흡입되는 오일 비산물이 상기 포집부재(13)로 낙하되도록 복수개의 배출통공(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재(13)의 하부에는 배출밸브(133)가 구비되고, 상기 포집부재(13)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포집부재(13)에 구비되는 포집부(131)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3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이송부재(11)에는
    상기 이송부재(11)에 캡슐 표면의 오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벽부(11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제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유닛(30)은
    상기 펌프유닛(40)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급관(33)과, 상기 공급관(33)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11) 상부에 이격 위치하는 블로어부재(31) 및 상기 블로어부재(31)에 구비되어 공급된 공기를 캡슐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나이프(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제거장치.
KR1020160049222A 2016-04-22 2016-04-22 오일 제거장치 KR101692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222A KR101692276B1 (ko) 2016-04-22 2016-04-22 오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222A KR101692276B1 (ko) 2016-04-22 2016-04-22 오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276B1 true KR101692276B1 (ko) 2017-01-03

Family

ID=5779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222A KR101692276B1 (ko) 2016-04-22 2016-04-22 오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2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6552A (ja) * 1989-11-27 1991-07-18 Mita Ind Co Ltd トナー組成物
KR920007103Y1 (ko) * 1990-05-11 1992-10-02 김덕홍 연질캡슐 세척기
JP3166552B2 (ja) * 1995-04-28 2001-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Cpu監視方法及びcpu監視装置
US20020184730A1 (en) * 2001-05-03 2002-12-12 Allen Donavan J. Air recirculating surface cleaning device
JP2013049004A (ja) * 2011-08-30 2013-03-14 Yabuuchi Industry Co Ltd 塵埃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6552A (ja) * 1989-11-27 1991-07-18 Mita Ind Co Ltd トナー組成物
KR920007103Y1 (ko) * 1990-05-11 1992-10-02 김덕홍 연질캡슐 세척기
JP3166552B2 (ja) * 1995-04-28 2001-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Cpu監視方法及びcpu監視装置
US20020184730A1 (en) * 2001-05-03 2002-12-12 Allen Donavan J. Air recirculating surface cleaning device
JP2013049004A (ja) * 2011-08-30 2013-03-14 Yabuuchi Industry Co Ltd 塵埃除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515206C2 (sv) Sätt vid behandling av gipsskivor eller -plattor
KR100925947B1 (ko) 엔진 실린더 블록용 칩 제거장치
KR20140063420A (ko) 제진 장치
JP2015192141A (ja) 基板乾燥装置及び基板乾燥方法
TW200407201A (en)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and substrate washing method
KR101580396B1 (ko) Pcb기판 제조공정 중 세척 후 건조공정에서의 이물질 제거방법 및 그 장치
JP5965304B2 (ja) 塗布装置
EP2595178B1 (en) Air knife chamber including blocking member
KR20150088495A (ko) 파티클의 비산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공기 분사식 세정기
KR101692276B1 (ko) 오일 제거장치
KR101162267B1 (ko) 컨베이어벨트 세척장치
KR101000297B1 (ko) 기체 분사 유닛 및 이를 갖는 기판 처리 장치
KR100764683B1 (ko) 기판처리장치
KR101147653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187882B1 (ko) 기판의 건조장치
KR101634186B1 (ko) 판 형상의 소재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JP2003282525A (ja) 基板処理装置
CN103028582A (zh) 薄膜状工件的除水系统
KR101741016B1 (ko) 자동차용 강판 가공 습식 및 건식 진공롤러 시스템
JP5641989B2 (ja) フィルタ洗浄装置
JP7355999B2 (ja) ベルトクリーナ及び搬送設備
CN113412535B (zh) 悬浮输送装置
KR102313175B1 (ko) 건식 세정 장치
JP2011129758A (ja) 基板処理装置
KR102170541B1 (ko) 롤러를 구비하는 건식 세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