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146B1 - 3차원 프린터 출력베드 겸 배출 컨베이어 벨트 - Google Patents

3차원 프린터 출력베드 겸 배출 컨베이어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146B1
KR101692146B1 KR1020150060369A KR20150060369A KR101692146B1 KR 101692146 B1 KR101692146 B1 KR 101692146B1 KR 1020150060369 A KR1020150060369 A KR 1020150060369A KR 20150060369 A KR20150060369 A KR 20150060369A KR 101692146 B1 KR101692146 B1 KR 10169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adjusting
roller
tension
bed
output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657A (ko
Inventor
이정애
Original Assignee
이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애 filed Critical 이정애
Priority to KR102015006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14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67/0085
    • B29C67/00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의, 출력베드(2)를 컨베이어벨트로 감싼 벨트출력베드(6)와 제어방법으로,
프레임(3a,3b)에는, 구동롤러(8), 스크랩커터롤러(10), 청소롤러(11), 피구동롤러(9)를 구비하고, 벨트출력베드(6)를 회전시키고 4개의 롤러를 구동시키는 스텝모터(7)를 메인 컨트롤러로 제어한다.
블록적층 방식은, 블록규격에 맞춘 단일규격의 블록벨트출력베드(64), 또는 복합규격의 블록벨트출력베드(64)에, 블록규격에 맞춘 각각의 블록벨트출력베드구획(63)을 2~3개 구비하여, 출력과 분리가 용이한 것과,
용융적층 방식의 벨트출력베드(6) 표면은, 출력물의 재료에 맞게 코팅 가공한 것
과, 하나의 벨트출력베드(6)에 출력물 재료에 맞춘 각각의 벨트출력베드구획(19)을 2~3개 구비하여,
테이핑 작업, 용액을 도포, 등의 수작업을 배제하고, 사용자의 설정으로 메인 컨트롤러가 벨트출력베드구획(19)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출력물을 스크랩커터롤러(10)로 분리하고 청소롤러(11)로 청소하여 품질을 향상하고 인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차원 프린터 출력베드 겸 배출 컨베이어 벨트{3D Printer making and discharge conveyor belt}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의 연속으로 적층 성형하는 출력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력베드를 컨베이어벨트로 감싸고 벨트 표면에 출력물을 적층하는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블록 적층방식은 블록의 크기와 모양에 따른 베드를 교체하는 준비작업을 배제하고, 완성된 출력물을 수작업 없이 분리하고 출력베드 표면을 청소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3차원 프린터이고,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방식은 재료에 특성에 따라 출력을 위한 준비작업을 배제하고, 출력물을 출력베드에 단단히 안착시키며, 완성된 출력물을 수작업 없이 분리하고 출력베드 표면을 청소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3차원 프린터이다.
근래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는 3D 프린터로 시제품을 개발하는데 시간단축은 물론 개발비용까지 절감하고 또 재료까지 절약할 수 있는 등 장점이 너무나 많은 게 사실이다.
그래서 근래 외국에서 3D 프린팅을 제 3차 산업혁명을 가져올 기술이라고 소개되기도 했다.
블록 적층방식의 3차원 프린터는 블록의 크기가 다르고 모양이 다를 때 출력베드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분리할 때 일일이 수작업을 해야 한다.
최근 급격하게 보급되는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방식의 3D 프린터는 합성수지류를 가열 압출하여 출력베드 표면에 성형하는데 고열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노즐을 통하여 압출되어 입체형상을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출력물을 출력베드에 단단히 안착시켜 안정되게 성형하고 또 손상 없이 분리하기 위한 방편으로 출력작업을 하기 전에 마스킹 테이프(Masking Tape), 내열테이프, 스프레이(임시접착제) 분무 혹은 아세톤에 재료(ABS수지)를 녹인 용액을 출력베드에 도포하여 출력하고 있지만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닌 게 현실이다.
또한 출력베드에 테이핑 하거나 임시접착제를 뿌리게 되면 주기적으로 접착제 제거 스프레이를 뿌려서 세척하거나 물로 씻어야 하는 불편도 감수해야 한다.
그리고 아세톤은 냄새도 많이 나지만 ABS수지를 넣는 비율도 중요하고 도포할 때 온도가 너무 높으면 기포가 발생하여 출력물에 지장을 주며 용액이 너무 연하면 막이 얇아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출력물이 완성되어 출력베드에서 분리할 때 역시 베드에 단단하게 안착한 출력물의 분리는 쉽지 않고 손상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9617호 (2014.02.2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3281호 (2012.08.2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141406호 (2014.12.10)
네이버 블로그 APK ROOM에서, 로복스(Robox) 3D프린터 PEI 베드 리뷰 포스팅 소개를 보면 많은 3D프린터업체에서는 다양한 재질의 베드를 사용하여 이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개발하거나 사용 재료를 PLA로만 제한 한다고 했다. 로복스(Robox) 3D프린터는 PEI 재질의 타공을 한 베드를 사용하는데, 해외 블로거의 평가한 내용을 보면 PEI(합성수지) 베드가 꽤 비싼 재료이나 거의 모든 열가소성 재료(ABS, PLA, 나일론 등 필라멘트)에서 좋은 기능을 발휘한다고 평했다. 그는 엔지니어이며 제품 디자이너이다. [출처] Robox (로복스) 3D프린터 PEI 베드 리뷰 포스팅 소개|작성자 cremons 2015.02.16 블로그 APK ROOM 네이버 블로그 슈퍼쓰리디엠에서, 3D프린터 베드 연구 (SUPER3DM)의 내용을 보면 3D프린터를 사용하면서 출력물 퀄리티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연구를 하고 있는데, 베드 연구 연구에 대한 내용을 보면, ABS의 수축 잡기, 바닥면 깨끗하게 출력하기, 레프트를 깔끔하게 떼어내기, 출력베드 수평 잡기 등 좋은 출력물을 위해서는 필요한 부분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스테인레스 베드, ABS 레프트 출력베드, Garolite 나일론 프린트 보드, 3M접착테이프, 캡톤테이프, 테프론테이프, 유리판, 스프레이 등의 재료로 연구한 내용을 소개 했다. 보편적인 방법인 유리판 + 캡톤테이프 + 아세톤죽 (아세톤+abs)은 결과가 만족되지 않았다. 타공판이나 덕성테이프를 보면 타공판은 ABS출력물의 수축을 무난히 견디는데, 덕성테이프는 박리현상이 일어났다. Garolite 나일론 프린트 보드에는 재질이 다른 필라멘트는 접착이 불가했다. [출처] 3D프린터 베드 연구 [SUPER3DM]|작성자 슈퍼쓰리디엠 2014.02.07 이상과 같이 컨베이어(1) 벨트출력베드(6)와 비교했을 때 컨베이어(1) 구조는 없으나, 벨트출력베드(6)의 오목홈(50)과 비슷한 기능의 타공을 구비한 베드를 사용한 결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냈다. 사용자의 대부분이 좋은 출력물을 위하여 재료에 알맞은 출력베드가 꼭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확인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프린터의 출력물을 적층성형할 때 블록의 크기나 모양이 달라 베드를 교체하거나, 재료의 특성에 따라 테이핑 또는 용액 도포 등의 준비작업 없이 즉시 출력이 가능하고, 출력물을 출력베드에 단단하게 안착시키고, 출력물이 완성되면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용이한 분리와 깨끗한 출력베드 유지를 위한 컨베이어(1)의 벨트출력베드(6)로 이루어진 3D 프린터 장치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다.
(1) 출력베드(2) 양측에 컨베이어(1)를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3a,3b)을 볼트(4)로 고정하고, 프레임에는 벨트출력베드(6)와 스텝모터(7), 구동롤러(8), 피구동롤러(9), 스크랩커터롤러(10), 청소롤러(11)로 구성되며, 스텝모터(7)의 동력으로 웜(12)과 웜기어(13,14)를 회전시키고, 벨트출력베드 및 4개의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벨트출력베드의 장력을 조절하는 볼트(15a,15b)와 스프링(16a,16b) 그리고 너트(17a,17b)로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 벨트출력베드 표면에 성형한 출력물(18)을 분리하는 스크랩커터롤러(10)와 청소롤러(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2) 블록 적층방식의 출력물이 층층이 쌓이는 표면에는, 블록 적층방식에 적합하고 블록의 크기와 모양을 맞춘 요철 (凹凸)홈과 특성에 적합한 재료로 코팅 가공한 벨트출력베드를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3) 블록 적층방식의 출력물이 층층이 쌓이는 하나의 벨트출력베드에, 블록 적층방식에 적합하고 블록의 크기와 모양을 맞춘 요철 (凹凸)홈과 특성에 적합한 재료로 코팅 가공한 각각의 블록 적층구획을 2~3개 구비하여, 메인 컨트롤러가 블록의 크기와 모양, 재료에 따라 최적화된 적층구획을 선택하여, 블록을 적층하고 완성된 출력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4)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의 출력물이 층층이 쌓이는 표면에는, 출력물의 재료 특성에 맞게 설계된 특정한 모양 또는 사각형의 홈과 그 깊이를 특성에 맞춘 재료로 코팅 가공한 벨트출력베드(6), 또는 벨트 심체의 직조가 드러나게 코팅 가공한 벨트출력베드를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5) 하나의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 벨트출력베드(6)에 출력물 재료의 특성에 맞추고, 직조가 드러나게 코팅 가공한 각각의 출력물 성형구획을 2~3개 구비하여, 메인 컨트롤러가 재료에 따라 최적화된 성형구획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완성되면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출력베드(2)를 컨베이어벨트로 감싸고, 프레임(3a,3b)에 스텝모터(7), 스크랩커터롤러(10), 청소롤러(11), 피구동롤러(9)를 구비하고, 메인 컨트롤러로 제어함으로써, 여러 가지 재료의 출력물을 빠르게 대응하여 즉시 출력할 수 있고 출력물의 분리를 스크랩커터롤러가 하고 청소롤러가 출력베드까지 깨끗이 청소하여 품질향상은 물론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블록적층 방식은, 블록규격에 맞춘 단일규격의 블록벨트출력베드(64)가 있고, 또는 복합규격의 블록을 출력할 수 있는 블록벨트출력베드(64)에, 블록규격에 맞춘 각각의 블록벨트출력베드구획(63)을 2~3개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정한 블록에 맞춰서 메인컨트롤러가 블록벨트출력베드구획(63)을 선택하여 즉시 출력하고, 출력이 끝나면 스크랩커터롤러가 분리하여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도 연속하여 출력물을 성형할 수 있다.
FFF 방식의 벨트출력베드(6) 표면은, 출력물의 재료에 맞게 코팅 가공한 벨트출력베드(6)가 있고, 또는 하나의 벨트출력베드(6)에 출력물 재료에 맞춘 각각의 벨트출력베드구획(19)을 2~3개 구비한 것으로,
테이핑 작업, 용액을 도포, 등의 수작업을 배제하고, 사용자의 설정으로 메인 컨트롤러가 벨트출력베드구획(19)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출력물을 스크랩커터롤러(10)로 분리하고 청소롤러(11)로 청소하여 품질향상은 물론 비용과 인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의 컨베이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의 컨베이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의 좌측 사시도.
도 4(A)는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의 좌측 프레임 바깥부분 사시도.
도 4(B)는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의 좌측 프레임 안쪽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과 컨베이어 부분의 가로 단면도.
도 5(A)는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의 좌측 프레임의 측면도.
도 5(B)는 출력베드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ㄷ' 모양의 홈 부분 가로 단면도.
도 5(C)는 웜에서 구동롤러의 웜기어를, 구동롤러의 내기어에서 청소롤러의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 부분의 가로 단면도.
도 5(D)는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축 부분의 가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벨트출력베드 표면 확대, 단면, 출력물 분리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벨트출력베드 표면의 일부와 출력물이 분리되는 평면도.
도 6(B)는 도6(A)의 벨트출력베드 표면의 확대도.
도 6(C)는 도6(A)의 벨트출력베드 표면의 세로 단면도.
도 6(D)는 도6(A)의 벨트출력베드 표면의 가로 단면도.
도 6(E)는 도6(A)의 벨트출력베드 상부의 레프트와 출력물이 분리되는 확대 단면도.
도 6(F)는 도6(A)의 벨트출력베드 분리된 레프트 하부의 돌기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출력물 분리와 이송방향, 롤러의 회전방향을 표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장력조절판 사시도, 회전각도에 따라 밀리는 거리 도형.
도 8(A)는 장력조절판 사시도,
도 8(B)는 장력조절판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일정하게 밀리는 거리를 나타낸 도형.
도 9는 본 발명의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의 좌측부분 평면도.
도 9(A)는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의 좌측부분 평면도.
도 9(B)는 도9(A)의 장력조절연동손잡이를 삽입하지 않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의 좌측부분 평면도.
도 10(A)는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의 좌측부분 평면도.
도 10(B)는 도10(A)의 장력조절볼트를 피구동롤러축에 삽입하고 스냅링을 장착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의 좌측부분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장력을 조절하는 볼트 사시도.
도 12(A)는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의 장력조절볼트 사시도.
도 12(B)는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의 장력조절볼트 사시도.
도 12(C)는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의 장력조절볼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블록 적층방식의 벨트출력베드 표면의 부분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메인 컨트롤러가 제어하는 것은, 첨부한 도 14와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온도센서, 벨트출력베드위치센서, 출력물감지센서, 스텝모터와 연동하여 제어하고, 메인 컨트롤러가 출력베드(2)의 자동수평기능을 제어함에 있어서 벨트출력베드(6)가 작업대기하고 정위치에 정지했을 때 제어하는 게 바른 작동방법으로,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우선하여 제어되는 게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물을 이송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컨베이어벨트출력베드(이하 벨트출력베드로 표기함) 프린터는 도 2 및 도 4(A), 도 4(B), 도 5(B)를 참조하여, 벨트출력베드(6)로 출력베드(2)를 감싸고, 출력베드(2) 양측에 컨베이어(1)를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3a,3b)을 홈(59)에 맞추고, 볼트(4)로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3a,3b)에는 스텝모터(7), 구동롤러(8), 피구동롤러(9), 스크랩커터롤러(10), 청소롤러(11), 벨트출력베드(6)의 장력조절장치로 구성되며,
메인 컨트롤러(도시되지 아니함)가 스텝모터(7)를 제어하여 컨베이어(1)를 구동시키고 메인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설정을 바탕으로 다수의 온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벨트출력베드위치센서(20), 출력물감지센서(21)의 신호를 받아 비교분석하고 제어하고 타이머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그대로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프레임(3)의 재료는, 가볍고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티타늄, 마그네슘, 또는 합금, 또는 비교적 가공하기가 용이하고 녹이 슬지 않으며 대량생산에 적합한 철, 또는 스테인리스스틸을 가공한 것, 중에서 선택하고, 챔버(도시되지 아니함)의 특성 또는 3차원 프린터의 방식에 따라 금, 니켈, 크롬의 안정된 금속군에서 선택하여 이온코팅, 또는 도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1)의 구조는, 도 5 및 도 4를 참조하여, 프레임(3)에 원, 직사각, 타원형의 홀이 구비되어 있고, 출력베드(2)를 벨트출력베드(6)로 감싸듯이 끼워 넣고, 프레임(3a,3b)의 직사각형의 홀(22a,22b)의 옆과 아래 부분을 잘라 내측 상부로 접어 올려서 만든 'ㄷ' 모양의 홈(59)에 출력베드(2)를 끼우고 구동롤러(8)와 피구동롤러(9)는 벨트출력베드(6)안에 넣고, 각각의 축을 프레임(3a,3b)의 홀 중에서 정위치에 삽입하여 스냅링(23)으로 고정하고, 스크랩커터롤러(10)와 청소롤러(11)는 벨트출력베드(6) 바깥에서 각각의 축을 프레임(3a,3b)의 홀 중에서 정위치에 삽입하여 스냅링(23)으로 고정하고, 긴 볼트(4)로 프레임(3a,3b)을 단단하게 고정한 구조로 되어 있다.
컨베이어(1) 구동장치는 도 2 와 같이, 스텝모터(7)의 동력으로 웜(12)과 웜기어(13,14)를 회전시키고, 구동롤러(8)가 벨트출력베드(6)와 피구동롤러(9)를 구동시키고, 구동롤러(8) 내기어(24)는 청소롤러(11) 기어(25)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3a,3b) 바깥으로 나온 4개의 롤러 축 각각에 스냅링(23)을 끼워 프레임(3a,3b)에 롤러를 고정하고, 구동롤러(8)와 스크랩커터롤러(10)의 한쪽에는 웜기어(13,14)를 장착하고, 프레임(13a) 외 측에 스텝모터(7)를 볼트로 고정시키고, 스텝모터(7)에는 피치가 길고 짧은 2개의 웜(12)을 장착하고, 벨트출력베드(6)의 두께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굵은 구동롤러(8)에는 피치가 짧은 구동롤러의 웜기어(13)를 장착하고, 도 7을 참조하여, 스크랩커터롤러(10)에는 피치가 긴 스크랩커터롤러의 웜기어(14)를 장착하여 벨트출력베드(6)의 표면속도와 스크랩커터롤러(10)의 속도가 같고, 구동롤러(8)와 회전방향을 같게 하고, 출력물(18)이 이송될 때는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안전하게 분리한다.
또한 스크랩커터롤러(10)의 둘레를 다수 개수로 등분하여 각각 가로로 길게 절삭하여 다수의 날(53)을 새긴 것으로서 벨트출력베드(6)가 구동롤러(8)를 감아 돌아 아래로 내려가면서 날(53)과 표면이 교차하게 되어 표면에 남아있는 찌꺼기를 제거한다.
또한, 구동롤러(8)의 다른 편에 장착한 내기어(24)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청소롤러(11)의 기어(25)와 맞물려서 동력을 전달하고, 도 5(C)를 참조하여, 두 기어의 특성상 치차비율이 커 청소롤러(11)가 빠르게 회전하고 벨트출력베드(6) 표면에 남아있는 먼지를 깨끗이 청소하고 다음 작업에 대비한다.
롤러와 벨트출력베드(6)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상기에서는 스텝모터이며 도시되지 아니함)를 롤러 내부에 모터를 내장하여 구동하는 것으로, 롤러내장모터는 스텝모터(7)에 비해 토크가 약하므로 4개의 롤러에 모터를 내장시켜, 전구동롤러(상기에서는 구동롤러), 후구동롤러(상기에서는 피구동롤러), 스크랩커터롤러, 청소롤러, 모두 모터처럼 구동하며, 전구동롤러와 후구동롤러의 규격을 같게 한 롤러의 반경에 벨트출력베드(6)의 두께를 포함한 반경과 스크랩커터롤러의 반경을 같게 하여 벨트출력베드(6) 표면에 성형한 출력물이 이송되는 속도와 스크랩커터롤러 날(53)의 속도를 같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하나의 스텝모터(7)를 장착하는데 비해서 출력베드(2)에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어 출력물을 성형하는 데 있어 매우 안정적이고,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피구동롤러(9)를 당기는 방법으로,
도 2 및 도 4 도 12(C)를 참조하여, 장력조절볼트(15a,15b) 2개를 프레임(3a,3b)의 바깥으로 돌출한 피구동롤러(9) 축에 장력조절볼트홀(26a,26b) 부분을 각각 삽입하고 장력조절볼트(15a,15b)가 이탈하지 않게 스냅링(23)을 삽입한 후, 프레임(3a,3b) 끝단에 있는 스프링고정턱(27a,27b)의 홀 밖으로 장력조절볼트(15a,15b)를 이끌어내어 장력조절스프링(16a,16b)을 삽입하고 장력조절너트(17a,17b)를 돌려서 벨트출력베드(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며,
장력조절장치의 작동은, 피구동롤러(9)를 삽입한 장력조절프레임홀(28a,28b)이 긴 타원형으로 되어 있어 피구동롤러(9)가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고, 구동롤러(8)가 프레임(3a,3b)에 고정되어 있고, 벨트출력베드(6)가 두 롤러(8,9)를 감싸고 있으므로 피구동롤러(9)는 장력조절프레임홀(28a,28b)의 한도 내에서 벨트출력베드(6)를 당기거나 늦출 수 있고,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볼트(15a,15b)가 스프링고정턱(27a,27b)의 홀을 통과하고 장력조절볼트(15a,15b)에 끼워 넣은 장력조절스프링(16a,16b)을 장력조절너트(17a,17b)로 조이면 장력조절스프링(16a,16b)에 걸리는 탄성과 동일한 힘이 벨트출력베드(6)를 당기게 되고, 피구동롤러(9)를 당기는 힘을 양쪽 장력조절너트(17a,17b)로 세밀하게 조절하여 벨트출력베드(6)를 출력베드(2)에 밀착시키고 벨트출력베드(6)의 회전도 안정되게 한다.
상기 장력연동조절장치는, 피구동롤러(9)를 당기는 방법에서,
도 8 및 도 9(A)와 9(B)를 참조하여, 장력조절판(29)은, 장력조절판(29)의 홀이 내치톱니 형으로 되어있고 장력조절판(29)이 장치되는 장력연동조절축(30)의 부분이 꼭 맞는 톱니 형으로 되어있어 장력조절판(29)을 장력연동조절축(30)에 삽입할 수 있으나 회전하는 방향으로는 고정되어, 장력조절연동손잡이(40)를 돌려 장력연동조절축(30)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4장의 장력조절판(29)이 일정한 비율로 스프링밀기와셔(31)를 밀거나 늦추는 구조이고,
장력조절볼트(32a,32b) 2개를 프레임(3a,3b) 바깥으로 돌출한 피구동롤러(9)의 축에 장력조절볼트홀(33a,33b)에 맞춰서 각각 삽입하고 장력조절볼트(32a,32b)가 이탈하지 않게 스냅링(23)을 삽입한 후, 장력조절판(29),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34a), 장력조절판(29) 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35a), 역회전방지스프링(36), 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35b),장력조절판(29),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34b), 장력조절판(29)의 순서로 장력연동조절축(30)을 삽입하는데 4장의 장력조절판(29)의 각도가 같게 하여 삽입하고, 각각의 장력조절볼트(32) 곁에 밀착 고정시키는 스냅링(23)을 끼우고, 장력조절볼트(32) 각각에 스프링밀기와셔(31)와 장력조절스프링(38a,38b)을 삽입하고, 장력조절너트(39a,39b)를 조이고 장력연동조절축(30)의 일측 끝에 장력조절연동손잡이(40)를 장착한 구조이고,
피구동롤러(9)를 당기는 방법의 장력연동조절장치 작동은, 장력연동조절손잡이(40)를 돌려 프레임(3a,3b)에 고정된 장력연동조절축(30)을 회전시키면 축에 고정된 장력조절판(29)도 함께 회전하여 스프링밀기와셔(31)를 밀고 이어서 장력조절스프링(38a,38b)이 밀리게 되며, 장력조절너트(39a,39b)에 막힌 장력조절스프링(38a,38b)은 장력조절볼트(32a,32b)를 미는데 긴 타원형의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34a,34b) 내에 장력연동조절축(30)이 고정되어 있어 장력조절볼트(32a,32b)는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34a,34b) 내에서 전후진하며, 벨트출력베드(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피구동롤러(9)를 당기는 힘을 양쪽 장력조절너트(39a,39b)로 세밀하게 조정해 놓고, 작업을 할 때는 장력연동조절손잡이(40)를 돌려 출력베드(2)에 벨트출력베드(6)를 밀착시키고 회전도 안정되게 한다.
또한 장력조절스프링(38a,38b)이 장력조절판(29)을 강하게 밀었을 때 장력조절판(29)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스프링(49)이 있어 출력물을 안전하게 성형할 수 있다.
장력을 연동하여 조절하게 되면, 작업이 없을 때 벨트출력베드(6)가 늘어나지 않도록 쉴 수 있게 장력연동조절손잡이(40)를 0 또는 숫자가 낮은 방향으로 돌려서 벨트출력베드를 느슨하게 하고, 작업을 시작하게 되면, 장력조절연동손잡이(40)를 돌리 간단한 조작으로 벨트출력베드(6) 양쪽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하여 출력베드(2)에 알맞게 밀착시킬 수 있고, 또 작업 중에도 벨트출력베드(6)가 늘어짐이 발생했을 때 장력연동조절손잡이(40)를 돌리는 간단한 조작으로 출력베드(2)에 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장력연동조절장치는, 피구동롤러(9)를 밀어내는 방법으로,
도 8 및 도 9(A)와 9(B)를 참조하여, 장력조절판(29)은, 장력조절판(29)의 홀이 내치톱니 형으로 되어있고 장력조절판(29)이 장치되는 장력연동조절축(30)의 부분이 꼭 맞는 톱니 형으로 되어있어 장력조절판(29)을 장력연동조절축(30)에 삽입할 수 있으나 회전하는 방향으로는 고정되어, 장력조절연동손잡이(40)를 돌려 장력연동조절축(30)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4장의 장력조절판(29)이 일정한 비율로 스프링밀기와셔(31)를 밀거나 늦추는 구조이고,
도 3 및 도 10(A)와 도 10(B), 도 11을 참조하여, 장력조절볼트(42a,42b) 2개를 프레임(3a,3b)의 바깥으로 돌출한 피구동롤러(9)의 축에 장력조절볼트홀(43) 부분을 각각 삽입하고 장력조절볼트(42a,42b)가 이탈하지 않게 축에 스냅링(23)을 삽입한 후, 장력조절너트(44a,44b)를 돌려서 끝까지 넣고 장력조절스프링(45a,45b), 스프링밀기와셔(31)를 차례로 삽입한 다음, 장력조절판(29),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47a), 장력조절판(29), 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48a), 역회전방지스프링(49), 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48b), 장력조절판(29),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47b), 장력조절판(29)의 순서로 장력연동조절축(30)을 삽입하는데 4장의 장력조절판(29)의 각도가 같게 하여 삽입하고, 각각의 장력조절볼트(42a,42b) 곁에 밀착시키는 스냅링(23)을 끼우고, 장력연동조절축(30) 양편에 장력연동손잡이(40)를 장착한 구조이고,
피구동롤러(9)를 밀어내는 방법의 장력연동조절장치의 작동은, 장력연동조절손잡이(40)를 돌려 프레임(3a,3b)에 고정된 장력연동조절축(30)을 회전시키면 축에 고정된 장력조절판(29)도 함께 회전하여 스프링밀기와셔(31)를 밀고 이어서 장력조절스프링(45a,45b)은 장력조절너트(44a,44b)와 장력조절볼트(42a,42b)를 미는데 긴 타원형의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47a,47b)내에 장력연동조절축(30)이 고정되어 있어, 장력조절볼트(42a,42b)는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47a,47b) 내에서 전후진이 가능하며, 벨트출력베드(6)의 장력을 조절하고, 피구동롤러(9)를 밀어내는 힘을 양쪽 장력조절너트(44a,44b)로 세밀하게 조정해 놓고, 작업을 할 때는, 장력연동조절손잡이(40)를 돌리는 간단한 조작으로 출력베드(2)에 벨트출력베드(6)를 밀착시키고, 벨트출력베드(6)의 회전도 안정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벨트출력베드(6)는, 섬유를 직조한 심체를 중심으로 고기능수지를 코팅한 구조이며, 특히 표면의 코팅재료는 출력물의 품질에 영향을 크게 미치므로 신중하게 선택되고, 출력베드(2)를 감싸므로, 밀착이 잘 되게 얇고 가볍게 제작된다.
구성하는 재료는, 블록 적층방식과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방식으로 나누고,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방식에서는 출력물의 재료에 따라 선택하는데, 벨트출력베드(6) 또는 히트베드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성형하는 경우에는, 벨트출력베드(6)의 표면까지 열전도성이 좋은, 심체의 재료와 표면의 코팅재료이라야 하므로, 열에 강하고, 고온 인장강도가 높은 재료가 필수적이며, 그래서 매우 가늘고 강한 금속실, 합성섬유, 유리섬유에서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고 직조하여 심체로 사용하고, 표면에 코팅하는 재료 역시 열전도성, 내열성, 기계적 특성, 특히 분리가 용이한 비점착성이 좋은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좋고, 블록 적층방식의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 적층방식의, 단일규격의 블록벨트출력베드(64)는, 블록의 특성상 블록벨트출력베드(64) 표면이 높은 정밀도로 평평해야 하므로, 열의 영향을 적게 받고, 기계적인 내구성이 좋고, 인장강도가 강한 금속실, 합성섬유, 유리섬유에서 선택하여 심체를 직조하고, 합성고무, 불소고무, 실리콘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블록 적층방식에 적합하고 블록규격에 맞는 블록홈(65)을 표면에 성형 코팅하며, 특히 분리시에 먼지가 많이 남거나 심지어 작은 찌꺼기라도 남게 되면, 다음 작업에서 블록(66)을 블록홈(65)에 삽입하면 그대로 층이 생기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물을 얻을 수 없게 되므로, 분리가 용이한 비점착성의 재료가 필수적이고 청소롤러를 빠르게 회전시켜 깨끗이 청소하는 구조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블록 적층방식의 복합규격의 블록벨트출력베드(64)는, 표면이 높은 정밀도로 평평해야 하므로 열의 영향을 적게 받고, 기계적인 내구성이 좋고, 인장강도가 강한 금속실, 합성섬유, 유리섬유에서 선택하여 심체를 직조하고, 합성고무, 불소고무, 실리콘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블록 적층방식에 적합하고 블록규격에 맞는 블록홈(65)을 표면에 성형 코팅하며, 볼록(66)규격이 각각 다른 블록벨트출력베드구획(63)을 2~3개 구비하여 사용자가 출력환경 설정에서 원하는 규격의 블록(66)을 선택하면, 도 14와 도 15의 흐름도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가 그에 대응하는 블록벨트출력베드구획(63)을 선택하여 정위치에 정지시켜 출력하고, 출력물이 완성되면, 분리하기 위하여 설정된 타이머에 의하거나 온도의 측정값을 비교하는데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하게 설정할 수도 있으며 그 값이 맞으면 스텝모터를 구동하여 출력물을 이송하게 되고, 메인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된다.(흐름의 일부는 설명을 생략하고 흐름도로 대치함).
출력물인 블록(66)의 적층이 완성되면 블록벨트출력베드(64) 끝단에 이르면, 구동롤러(도시되지 아니함)를 감아 돌면서 자연스럽게 분리되고 출력물이 블록벨트출력베드(64)에 단단하게 고착된 것도 스크랩커터롤러(도시되지 아니함)가 안전하게 분리하여 저장통(도시되지 아니함)으로 안내한다.
블록벨트출력베드(64) 표면이 스크랩커터롤러와 교차하면서 표면에 남아있는 찌꺼기를 제거하면 청소롤러(도시되지 아니함)가 마주보며 회전하면서 먼지를 털어내고 다음 작업에 대비한다.
상기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의 벨트출력베드(6) 재료는, 출력베드(2) 또는 히트베드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성형을 시작하는 경우에는 벨트출력베드(6)의 표면까지 열이 빠르고 골고루 전달되어야 하므로 열전도성이 좋은, 심체의 재료와 표면의 코팅재료이라야 하므로, 열에 강하고, 고온 인장강도가 높은 재료가 필수적이며, 그래서 가늘고 강한 금속실, 합성섬유, 유리섬유에서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고 직조하여 심체로 사용하고, 표면에 코팅하는 재료 역시 합성고무, 불소고무, 실리콘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열전도성, 내열성, 기계적 특성, 특히 분리가 용이한 비점착성이 좋은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벨트출력베드(6)를 가열하지 않아도 되는 재료 역시 내마모성이나 기계적 특성과 비점착성도 좋아야 되므로 상기의 재료에서 선택한다.
벨트출력베드(6) 표면가공은, 출력물(18)이 벨트출력베드(6)의 표면에 잘 안착할 수 있게 오목홈(50)을 새기는데, 별, 마름모, 원, 타원, 사각형의 모양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고, 여러 모양 중에서 다수종류를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배열할 수도 있으며, 그렇게 선택된 모양으로 오목홈(50)을 성형하는데 재료에 따라 깊이를 달리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표면을 코팅 가공하거나, 엠보싱으로 코팅 가공하거나, 심체의 직조 섬유가 드러나게 얇게 코팅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과 같이 오목홈(50)의 예를 보면, 도 6(D)를 참조하여, 가로벽은 수직으로 새기고, 도 6(C)를 참조하여, 세로벽은 예각으로 새겨 오목홈의 바닥내부가 더 넓어 노즐을 통해 나온 재료가 오목홈(50)에 들어가 굳으면 출력물의 바탕이 되는 레프트(51)가 분리되거나 박리되지 않아 출력물이 잘 안착하게 되며, 출력물(18)을 분리는 과정은, 설정한 타이머의 작동, 또는 출력물의 온도, 챔버내의 온도, 베드의 온도(센서는 도시되지 아니함)를 측정한 정보와 설정한 온도 수치가 같거나 아래로 내려가면, 메인 컨트롤러가 스텝모터(7)를 구동하여 벨트출력베드(6)를 회전시키고, 도 6-4를 참조하여, 출력물(18)이 끝단에 이송되면 벨트출력베드(6)가 구동롤러(8)를 감아 돌면서 표면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오목홈(50)에 사출된 재료가 굳은 돌기(52)가 빠져나오면서 레프트(51)도 분리되고 표면에 안착된 출력물(18)이 안전하게 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단일재료 벨트출력베드(6)는, 출력물의 재료 특성에 맞는 상기의 재료 중에서 선택하고, 출력물의 재료 특성에 맞는 상기의 표면가공 중에서 선택하여 가공한 것으로, 출력을 위한 테이핑 작업, 필라멘트를 녹인 용액을 도포, 등 불필요한 작업을 배제하고, 출력물의 분리 역시 쉬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합재료 벨트출력베드(6)는, 벨트출력베드(6) 표면에 벨트출력베드구획(19)을 2~3개 표시하고 각각의 구획마다, 출력물(18)의 재료 특성에 맞는 상기의 재료 중에서 선택하고, 출력물(18)의 재료 특성에 맞는 상기의 표면가공 중에서 선택하여 가공한 것으로, 구획의 갯수만큼 재료가 각각 다른 출력물을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출력을 위한 테이핑 작업, 필라멘트를 녹인 용액을 도포, 등 불필요한 작업을 배제하고, 출력물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컨베이어는 메인 컨트롤러(도시되지 아니함)와 스텝모터(7) 및 벨트출력베드위치센서(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물의 재료에 따른 최적화한 벨트출력베드구획(19)을 선택하여 지정한 위치에 정지되고, 출력 대기하며, 복합적으로 연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 컨베이어.
2 : 출력베드.
3a : 좌측프레임
3b : 우측프레임
4 : 볼트.
5 : 출력베드판.
6 : 벨트출력베드.
7 : 스텝모터.
8 : 구동롤러.
9 : 피구동롤러.
10 : 스크랩커터롤러.
11 : 청소롤러.
12 : 웜.
13 : 구동롤러 웜기어.
14 : 스크랩커터롤러 웜기어.
15a : 좌측장력조절볼트,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
15b : 우측장력조절볼트,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
16a : 좌측장력조절스프링,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
16b : 우측장력조절스프링,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
17a : 좌측장력조절너트,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
17b : 우측장력조절너트,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조절장치.
18 : 출력물.
19 : 벨트출력베드구획.
20 : 벨트출력베드위치센서.
21 : 출력물감지센서.
22a : 좌측프레임 직사각형 홀.
22b : 좌측프레임 직사각형 홀(도시되지 아니함).
23 : 스냅링.
24 : 내기어.
25 : 청소롤러 기어.
26a : 좌측장력조절볼트홀.
26b : 우측장력조절볼트홀.
27a : 좌측스프링고정턱, 프레임.
27b : 우측 스프링고정턱, 프레임.
28a : 좌측장력조절프레임홀.
28b : 우측장력조절프레임홀(도시되지 아니함).
29 : 장력조절판.
30 : 장력연동조절축.
31 : 스프링밀기와셔.
32a : 좌측장력조절볼트,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
32b : 우측장력조절볼트,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
33a : 좌측장력조절볼트홀,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
33b : 우측장력조절볼트홀,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
34a : 좌측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
34b : 우측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
35a : 좌측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도시되지 아니함).
35b : 우측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도시되지 아니함).
36 : 역회전방지스프링,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
38a : 좌측장력조절스프링,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도시되지 아니함).
38b : 우측장력조절스프링,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도시되지 아니함).
39a : 좌측장력조절너트,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
39b : 우측장력조절너트, 피구동롤러를 당기는 장력연동조절장치(도시되지 아니함).
40 : 장력조절연동손잡이
41a : 좌측장력조절프레임홀,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1b : 우 측장력조절프레임홀,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2a : 좌측장력조절볼트,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2b : 우측장력조절볼트,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3a : 좌측장력조절볼트홀,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3b : 우좌측장력조절볼트홀,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4a : 좌측장력조절너트,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4b : 우측장력조절너트,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5a : 좌측장력조절스프링,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5b : 우측장력조절스프링,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7a : 좌측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7b : 우측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8a : 좌측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도시되지 아니함).
48b : 우측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49 : 역회전방지스프링, 피구동롤러를 밀어내는 장력연동조절장치.
50 : 오목홈.
51 : 레프트.
52 : 돌기.
53 : 날.
54 : 출력베드판.
55 : 출력베드 수평조절스프링.
56 : 출력베드 수평조절나사.
57 : 베드마크.
58 : 프레임고정볼트홀.
59 : 'ㄷ' 모양의 홈.
60a : 좌측구동롤러축프레임홀, 프레임.
60b : 우측구동롤러축프레임홀, 프레임(도시되지 아니함).
61a : 좌측스크랩커터롤러축프레임홀, 프레임.
61b : 우측스크랩커터롤러축프레임홀, 프레임(도시되지 아니함).
62a : 좌측청소롤러프레임홀, 프레임.
62b : 좌측청소롤러프레임홀, 프레임(도시되지 아니함).
63 : 블록벨트출력베드구획.
64 : 블록벨트출력베드.
65 : 블록홈.
66 : 블록.

Claims (7)

  1. 컨베이어는, 프레임(3)에 원, 직사각, 타원형의 홀이 구비되어 있고, 벨트출력베드(6)로 출력베드(2)를 감싸듯이 끼워 넣고, 프레임(3a,3b)의 직사각형의 홀(22a,22b) 상부의 홈(59)에 출력베드(2)를 끼우고, 구동롤러(8)와 피구동롤러(9)는 벨트출력베드(6)안에 넣고, 각각의 축을 프레임(3a,3b)에 삽입하여 스냅링(23)으로 고정하고, 스크랩커터롤러(10)와 청소롤러(11)는 벨트출력베드(6) 바깥에서 프레임(3a,3b)에 삽입하여 스냅링(23)으로 고정하고, 긴 볼트(4)로 프레임(3a,3b)을 단단하게 고정한 구조에,
    장력조절볼트(15a,15b) 2개를 프레임(3a,3b)의 바깥으로 돌출한 피구동롤러(9) 축에 장력조절볼트홀(26a,26b) 부분을 각각 삽입하고 장력조절볼트(15a,15b)가 이탈하지 않게 스냅링(23)을 삽입한 후, 프레임(3a,3b) 끝단에 있는 스프링고정턱(27a,27b)의 홀 밖으로 장력조절볼트(15a,15b)를 이끌어내어 장력조절스프링(16a,16b)을 삽입하고 장력조절너트(17a,17b)로 벨트출력베드(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
    프레임(3a,3b)에 장착한 스텝모터(7)에는, 피치가 길고 짧은 2개의 웜(12)을 장착하고, 상대적으로 굵은 구동롤러(8)에는 피치가 짧은 구동롤러의 웜기어(13)를 장착하고, 스크랩커터롤러(10)에는 피치가 긴 스크랩커터롤러의 웜기어(14)를 장착하여 벨트출력베드(6)의 표면속도와 스크랩커터롤러(10)의 속도가 같고, 구동롤러(8)와 회전방향을 같게 하고, 스크랩커터롤러(10)는 베드의 폭보다 길며, 롤러 둘레를 다수 개수로 등분하여 각각을 가로로 길게 절삭하여 다수의 날(53)을 새긴 것을 구비하고, 구동롤러(8)의 다른 편에 장착한 내기어(24)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청소롤러(11)의 기어(25)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고, 두 기어의 비율이 커 청소롤러(11)가 빠르게 회전하며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전구동롤러, 후구동롤러, 스크랩커터롤러, 청소롤러, 4개의 롤러 내부에 모터를 내장하여 구동되고, 전후구동롤러의 규격을 같게 한 롤러의 반경에 벨트출력베드의 두께를 포함한 반경과 스크랩커터롤러의 반경을 같게 하여 벨트출력베드 표면에 성형한 출력물이 이송되는 속도와 스크랩커터롤러의 날 속도를 같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적층방식의, 블록벨트출력베드(64)의,
    심체는, 금속실, 합성섬유, 유리섬유에서 선택하여 직조하고,
    표면의 재료는, 합성고무, 불소고무, 실리콘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블록 적층방식의 출력물이 적층되는 표면 전체를, 블록규격에 맞춘 블록홈(65)과 상기 선택된 재료로 코팅 가공한 블록벨트출력베드(64)를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적층방식의 출력물이 적층되는 하나의 블록벨트출력베드(64)에,
    블록(66)의 크기와 모양을 맞춘 블록홈(65)과 상기 선택된 재료로 코팅 가공한 각각의 블록벨트출력베드구획(63)을 2~3개 구비하여, 메인 컨트롤러가 블록(66)의 크기와 모양, 재료에 맞는 적층구획을 선택하여, 블록(66)을 적층하고 완성된 출력물을 분리하는 것으로 메인 컨트롤러와 스텝모터 및 벨트출력베드위치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복합적으로 연동제어 되는 블록벨트출력베드(64)를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방식의 벨트출력베드(6)의,
    심체는, 금속실, 합성섬유, 유리섬유에서 선택하여 직조하고,
    표면에는 벨트출력베드구획(19)을 2~3개 표시하고 각각의 구획마다 출력물의 재료가 다른 것에 대응할 수 있게,
    재료를, 합성고무, 불소고무, 실리콘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출력물 재료의 특성에 맞는, 엠보싱, 별, 마름모, 원, 타원, 다각형, 또는 앞의 모양을 복합적으로 배열하는 것, 중에서 선택한 모양의 오목홈(50)을 성형하는데 그 깊이를 달리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코팅 가공되거나, 또는 심체의 직조 섬유가 드러나게 얇게 코팅처리 하여 섬유의 형상이 드러나게 코팅 가공되고,
    메인 컨트롤러(도시되지 아니함)와 스텝모터(7) 및 벨트출력베드위치센서(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재료에 맞는 벨트출력베드구획(19)을 선택하여 지정한 위치에 정지되어, 출력 대기하며, 복합적으로 연동제어 되는, 벨트출력베드(6)를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6.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3a,3b) 각각에 장력조절프레임홀을 구비하여 피구동롤러(9)의 축을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스냅링을 삽입하여, 장력조절볼트 2개를 프레임(3a,3b) 바깥으로 돌출한 피구동롤러(9)의 축에 장력조절볼트홀(33a,33b)에 맞춰서 각각 삽입하고 그 장력조절볼트(32a,32b)가 이탈하지 않게 스냅링을 삽입한 후, 장력조절판,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 장력조절판, 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 역회전방지스프링, 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장력조절판,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 장력조절판의 순서로 장력연동조절축(30)을 삽입하고 4장의 장력조절판(29)을 각각의 장력조절볼트(32a,32b) 곁에 고정시키는 스냅링(23)을 끼우고, 장력조절볼트(32a,32b) 각각에 스프링밀기와셔(31)와 장력조절스프링을 삽입하고, 장력조절너트를 조이고, 장력연동조절축(30)에 장력조절연동손잡이(40) 장착하여 2곳의 장력을 연동하여 조절하고, 피구동롤러(9)를 당기는 방법으로 벨트출력베드(6)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7.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3a,3b) 각각에 장력조절프레임홀(41a,41b)을 구비하여 피구동롤러(9)의 축을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스냅링(23)을 삽입하여, 장력조절볼트(42a,42b) 2개를 프레임(3a,3b)의 바깥으로 돌출한 피구동롤러(9)의 축에 장력조절볼트홀(43a,43b)을 맞춰서 각각 삽입하고 장력조절볼트(42a,42b)가 이탈하지 않게 축에 스냅링(23)을 삽입한 후, 장력조절너트(44a,44b)를 돌려서 끝까지 넣고 장력조절스프링(45a,45b), 2개의 스프링밀기와셔(31)를 차례로 삽입하고, 장력조절판,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 장력조절판, 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 역회전방지스프링, 장력연동조절축프레임홀, 장력조절판, 장력연동조절축볼트홀, 장력조절판의 순서로 장력연동조절축(30)을 삽입하고 4장의 장력조절판(29)을 각각의 장력조절볼트(42a,42b) 곁에 고정시키는 스냅링(23)을 끼우고, 장력연동조절축(30) 양편에 장력조절연동손잡이(40)를 장착하여 2곳의 장력을 연동하여 조절하고, 피구동롤러(9)를 밀어내는 방법으로 벨트출력베드(6)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용 컨베이어.
KR1020150060369A 2015-04-29 2015-04-29 3차원 프린터 출력베드 겸 배출 컨베이어 벨트 KR10169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369A KR101692146B1 (ko) 2015-04-29 2015-04-29 3차원 프린터 출력베드 겸 배출 컨베이어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369A KR101692146B1 (ko) 2015-04-29 2015-04-29 3차원 프린터 출력베드 겸 배출 컨베이어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57A KR20160128657A (ko) 2016-11-08
KR101692146B1 true KR101692146B1 (ko) 2017-01-03

Family

ID=5752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369A KR101692146B1 (ko) 2015-04-29 2015-04-29 3차원 프린터 출력베드 겸 배출 컨베이어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1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07Y1 (ko) * 2017-11-09 2018-04-03 홍국선 3d 프린팅 베드 어셈블리
KR20200084931A (ko) 2018-12-20 2020-07-14 이수빈 연속 모형 제작이 가능한 3d프린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533B1 (ko) * 2017-07-13 2019-10-04 (주) 허브인소프트 연속 출력이 가능한 3d 프린터용 베드 조립체
US10933587B2 (en) 2017-10-06 2021-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ving a printed item from a printer
WO2019094792A1 (en) 2017-11-10 2019-05-16 Local Motors IP, LLC Additive manufactur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1731342B2 (en) 2018-04-23 2023-08-22 Rapidflight Holdings, Llc Additively manufactur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200123212A (ko) 2018-04-23 2020-10-28 로컬 모터스 아이피, 엘엘씨 적층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813790B2 (en) 2019-08-12 2023-11-14 Rapidflight Holdings, Llc Additively manufactur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444863B1 (ko) * 2020-12-30 2022-09-19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이종유체를 수용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3d 프린터용 빌드플레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108B1 (ko) 2005-02-17 2006-03-30 일리정공 주식회사 이송벨트를 가지는 플랫베드 프린터
KR101310837B1 (ko) 2012-03-29 2013-10-14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장력 조절장치
WO2014079404A1 (de) 2012-11-25 2014-05-30 Voxeljet Ag Aufbau eines 3d-druckgerätes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406B1 (ko) 1995-12-07 1998-07-01 배문한 내열/내산화 및 내삭마성이 함유된 탄소섬유 복합재로의 제조 방법
GB0917936D0 (en) 2009-10-13 2009-11-25 3D Printer Aps Three-dimensional printer
KR101369617B1 (ko) 2013-11-13 2014-03-05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3차원 프린터용 출력베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108B1 (ko) 2005-02-17 2006-03-30 일리정공 주식회사 이송벨트를 가지는 플랫베드 프린터
KR101310837B1 (ko) 2012-03-29 2013-10-14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장력 조절장치
WO2014079404A1 (de) 2012-11-25 2014-05-30 Voxeljet Ag Aufbau eines 3d-druckgerätes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07Y1 (ko) * 2017-11-09 2018-04-03 홍국선 3d 프린팅 베드 어셈블리
KR20200084931A (ko) 2018-12-20 2020-07-14 이수빈 연속 모형 제작이 가능한 3d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57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146B1 (ko) 3차원 프린터 출력베드 겸 배출 컨베이어 벨트
CA2115455C (en) Process printed surface covering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100361914C (zh) 割划方法、刀轮、使用该刀轮的割划设备和制造该刀轮的设备
EP35607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roducts having a surface provided with embossment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CN101073932A (zh) 方便面碗商标纸连线生产装置
DE4211866C2 (ko)
CN110902002A (zh) 一种自动覆膜装置
CN211185840U (zh) 一种挤压切片烟叶片型切辊
CN210706094U (zh) 一种用于3d打印机带有清理功能的喷头保温罩
CN104487212B (zh) 用于切割塑料材料、具体是层叠窗玻璃元件的装置及方法
CN205097550U (zh) 一种多打印头3d打印机
CN208428685U (zh) 一种fdm型3d打印机的皮带传动双齿轮进料机构
RU2619609C2 (ru) Машины для декорирова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декорирования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ремня для декорирования указанных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DE2806080B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ntfernen von Etiketten und/oder Halsfolien von Leerflaschen
CN102914876A (zh) 立体图片、立体图片制作设备和制作方法
CN207724838U (zh) 一种具有切圆角功能的过塑机
CN210082404U (zh) 一种3d打印用高温耗材拉丝设备
CN211807831U (zh) 一种气泡消除装置以及生产线
CN213383443U (zh) 一种高效率复膜机
CN212827349U (zh) 一种地毯加工用热转印机的送热转印膜装置
CN210759542U (zh) 一种瓦楞纸用加工设备
DE202017006182U1 (de) Vorrichtung zum thermischen Heißprägen von Produkten, vorzugsweise von Lebensmitteln
CN213389362U (zh) 一种口罩生产用纱布压平装置
JP5307342B2 (ja) シート送りシャフ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41348A (ja) 凹凸付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