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026B1 -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026B1
KR101692026B1 KR1020160094888A KR20160094888A KR101692026B1 KR 101692026 B1 KR101692026 B1 KR 101692026B1 KR 1020160094888 A KR1020160094888 A KR 1020160094888A KR 20160094888 A KR20160094888 A KR 20160094888A KR 101692026 B1 KR101692026 B1 KR 101692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re
adhesive
ve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태
Original Assignee
디에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씨(주) filed Critical 디에스씨(주)
Priority to KR102016009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패널은,
표면에 이산화티탄과 오가노 실리케이트(Organo Silicate)의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지는 나노세라믹(Nano-ceramic) 입자의 도료층이 코팅된 두 장의 베이스패널;
두 장의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높이와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마루부와 골부가 연속형성된 코어패널; 및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와 상기 베이스패널이 맞닿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A Construction Composit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패널과 코어패널 사이에 충진된 접착층과 베이스패널, 코어패널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혀 접착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박리현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접착층에 이용되는 접착층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을 억제한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패널은 건물의 외벽이나 내벽, 또는 인테리어 작업 시의 칸막이의 재료로써 사용되는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 내벽 뿐 아니라 차량이나 항공기 등의 제작 시에도 이용된다.
이러한 건축용 패널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두랄루민과 같음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로 이루어진 두 장의 패널 사이에 벌집(honeycomb) 또는 파형(波形)의 코어가 배치된 상태에서 패널과 코어가 서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건축용 패널에 대한 발명으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0-0133871호 ‘건축용 벽재 및 그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건축용 벽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용 벽재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며 난연성을 높이고, 건축물의 철거시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방음과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발명은 철 및 비철금속과 같은 금속재를 얇게 형성한 금속박판을 상하로 요철이 형성되게 가공한 금속결속판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결속판의 양측에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금속측판을 접합수단에 의하여 접합하여 금속 벽재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발명은 건축용 벽재를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금속결속판과 금속측판을 접합하여 벽재를 형성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고 난연성이 향상되며 건축폐기물을 유발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향상된 건축용 벽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금속박판 및 금속결속판의 결합에 있어 수지접합부를 이용한 단열 접합이 일어나는데, 이 때 결합부위가 작아 접착강도가 극히 취약함은 물론, 이에 따라 결합부위의 박리 및 휨강도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베이스패널과 코어패널 사이에 충진된 접착층과 베이스패널, 코어패널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혀 접착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박리현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접착층에 이용되는 접착층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을 억제한, 신규하고 진보한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패널과 코어패널 사이에 충진된 접착층과 베이스패널, 코어패널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혀 접착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박리현상을 방지한 건축용 복합 패널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층으로서 이용되는 접착제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건축용 복합 패널 용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패널과 코어패널의 접착력을 높이되, 접착층이 외부 또는 불필요한 부분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간구조체 및 그를 통한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패널은, 표면에 이산화티탄과 오가노 실리케이트(Organo Silicate)의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지는 나노세라믹(Nano-ceramic) 입자의 도료층이 코팅된 두 장의 베이스패널; 두 장의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높이와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마루부와 골부가 연속형성된 코어패널; 및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와 상기 베이스패널이 맞닿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패널은, 상기 마루부 및 골부와 맞닿는 표면에서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메인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패널은, 상기 메인벤트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 형성된 코어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메인벤트는, 상기 코어패널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외협내광(外狹內廣)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베이스패널은, 각각의 상기 메인벤트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서브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접착층은, 피톤치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점도가 8,000 내지 50,000 (cps at 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는 두 장의 베이스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마루부 및 골부가 형성된 코어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의 외측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코어패널을 위치시키고 열융착하여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로서 당량 150 내지 250(g/eq), 점도 10,000 내지 15,000 (cps at 25℃)인 액상 수지 60 내지 80 중량%와, 아민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계면활성제 4 내지 8 중량%, 정제수 15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제 1 접착용제를 형성하는 단계 아민가(mg KOH/g) 200 내지 350, 점도 5,000 내지 50,000인 폴리아미드 60 내지 80 중량%, 디에틸렌트리아민 10 내지 20 중량%,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접착용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접착용제 40 내지 60 중량%와 상기 제 2 접착용제 40 내지 60 중량%를 혼합하여 접착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를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코어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다음에는,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에 코어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패널에 상기 코어벤트가 형성된 상기 코어패널을 위치시켜 메인벤트를 형성할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위치에 메인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메인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메인벤트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서브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패널과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서브벤트를 통해 상기 접착층 주변에 2차 접착용제를 주입하여 상기 코어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을 2차 접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2차 접착용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실리콘 중합체 및 아크릴계 모노머 중 어느 하나 70 내지 80 중량%와,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정제수 15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1차 반응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반응액 90 내지 95 중량%에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추출물 1 내지 5 중량%와, 증점제 0.5 내지 2 중량%을 혼합하여 최종 반응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마루부 및 골부에 코어벤트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는, 60 내지 240℃ 의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체를 250 내지 300℃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와, 상기 코어패널을 가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의 높이 대비 10 내지 40% 만큼 상기 용융된 열가소체에 함침하여 중간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메인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메인벤트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서브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패널과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단계는, 열에 의해 용해되어 상기 서브벤트를 통해 토출된 상기 중간레이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열가소체는, 응고 시 점도 7,000 내지 10,000 cp, 용융 시 점도 100 내지 2,000cp를 나타내고, 상기 중간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패널을 가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의 높이 대비 10 내지 40% 만큼 용융된 열가소체에 5 내지 10분 간 함침한 뒤 꺼내어 중간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레이어를 20 내지 40℃에서 7,000 내지 10,000 cp의 점도값을 나타내도록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된 중간레이어를 상기 마루부와 상기 골부와 같은 높이를 갖도록 절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패널과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단계는, 핫프레스를 60 내지 240℃로 가열하고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코어패널을 상기 핫프레스에 위치시키고 1차 압착하는 단계, 1차 압착에 의해 토출된 상기 중간레이어를 1차 제거하는 단계, 핫프레스를 250 내지 400℃로 가열하고 1차 압착된 상기 건축용 복합 패널을 상기 핫프레스에 위치시켜 2차 압착하는 단계 및, 2차 압착에 의해 토출된 상기 중간레이어를 2차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은,
1) 베이스패널 및 코어패널에 각각 형성된 메인벤트 및 서브벤트를 통해 베이스패널과 코어패널 사이에 충진된 접착층과 베이스패널, 코어패널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혀 접착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박리현상을 방지한 건축용 복합 패널의 구조를 제공하며,
2) 피톤치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통해 접착층으로서 이용되는 접착제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3) 함침 및 경화, 절삭공정을 통해 형성되고 용융 시 서브벤트를 통해 토출되는 중간레이어를 통해 접착층이 형성되는 가이드영역을 제시함으로서 베이스패널과 코어패널의 접착력을 높이되, 접착층이 외부 또는 불필요한 부분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의 기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메인벤트 및 코어벤트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메인벤트, 코어벤트 및 서브벤트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2차 접착용제 주입이 포함된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2차 접착용제가 주입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중간레이어 공정이 포함된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중간레이어 관련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의 기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은 기본적으로 표면에 이산화티탄과 오가노 실리케이트(Organo Silicate)의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지는 나노세라믹(Nano-ceramic) 입자의 도료층이 코팅된 두 장의 베이스패널(100); 두 장의 상기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높이와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마루부(210)와 골부(220)가 연속형성된 코어패널(200); 및 상기 베이스패널(100)과 상기 코어패널(200)을 접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루부(210) 및 상기 골부(220)와 상기 베이스패널(100)이 맞닿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접착층(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패널은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는 두 장의 베이스패널(100) 및, 두 장의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접착층(300)에 의해 접착되는 코어패널(20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패널(100)은 표면에 이산화티탄과 오가노 실리케이트(Organo Silicate)의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지는 나노세라믹(Nano-ceramic) 입자의 도료층이 코팅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건축용 복합패널의 표면에 친수성의 자체 세정기능이 부여되어 오염물질이 흡착되지 않는 것은 물론, 표면의 오염물질이 도막표면 내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시공 후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시공 초기상태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간단한 세척으로도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유지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코어패널(200)은 그 표면과 이면에서 동일한 높이와 깊이를 갖는 마루부(210)와 골부(220)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 때 마루부(210)는 도면 상 상측으로 돌출된 표면을 지칭하고, 골부(220)는 이면 측으로 돌출된 표면을 지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각각의 마루부(210) 및 골부(220)는 두 장의 베이스패널(100)과 각각 맞닿게 되며, 접착층(300)에 의해 마루부(210)와 골부(220)가 베이스패널(100)에 접착되어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패널이 제작되는 것이다.
이 때 접착층(300)은 상기 마루부(210) 및 상기 골부(220)와 상기 베이스패널(100)이 맞닿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서, 그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에폭시계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접착층(300)의 형성 방법 및 그 두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패널의 전체 두께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다양한 접착층(300) 형성 방법을 통해 접착층(300)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더불어 접착층(300)은 접착제 성분을 포함하는 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착층(300)은 피톤치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접착층(300)의 점도는 8,000 내지 50,000 (cps at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패널(100)과 코어패널(200)의 접착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핫프레스를 통한 열융착 방식이 이용되며, 이에 따라 접착층(300)을 열경화수지로 구성하여 핫프레스를 통한 열융착 시 열에 의해 경화되며 베이스패널(100)과 코어패널(200) 사이를 보다 강력하게 접착하게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메인벤트(110) 및 코어벤트(230)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패널은 코어패널(200)과 베이스패널(100) 사이의 접착력을 보다 높이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패널(100)은, 상기 마루부(210) 및 골부(220)와 맞닿는 표면에서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메인벤트(1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어패널(200)은, 상기 메인벤트(11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 형성된 코어벤트(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핫프레스를 통한 열융착 시 접착층(300)에 포함된 접착 성분이 메인벤트(110) 및 코어벤트(230)로 일정 수준 토출됨으로써 메인벤트(110) 및 코어벤트(230)에 접착층(300)을 구성하는 접착제 성분이 고이게 됨으로써, 메인패널과 코어패널(200)이 접착층(300)과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보다 강한 접착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메인벤트(110)를 통해 접착층(300)에 포함된 접착제 성분이 과하게 토출되어 베이스패널(100) 밖으로 노출되더라도, 베이스패널(100)에는 나노세라믹(Nano-ceramic) 입자의 도료층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메인벤트(110)를 통한 접착층(300)에 포함된 접착제 성분의 외부로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벤트(110)를 상기 코어패널(200)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형태로, 다시 말해 외협내광(外狹內廣)하게 형성하여 코어패널(200) 측에서 토출된 접착제 성분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벤트(110) 형성으로 인한 접착층(300) 노출 면적 증가를 통해 메인패널과 코어패널(200)의 접착력을 보다 증대시키면서도 접착층(300) 토출로 인한 외관 저해 효과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메인벤트(110), 코어벤트(230) 및 서브벤트(120)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을 구성하는 상기 베이스패널(100)은, 각각의 상기 메인벤트(1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서브벤트(120)를 더 포함할 수 있어 베이스패널(100)에는 메인벤트(110) 및 서브벤트(120)가 형성될 수 있고, 코어패널(200)에는 코어벤트(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벤트(120)는 접착층(300)의 형성 시 보다 정확한 면적에 접착층(300)이 형성되어 불필요한 곳에 접착제가 튀지 않도록 하는 중간구조체의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층(300)을 통한 베이스패널(100)과 코어패널(200) 간의 접착력을 보다 증대시키는 공정 등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패널의 제조방법과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서브벤트(12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메인벤트(110) 사이마다 서브벤트(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겠지만 메인벤트(110)와 서브벤트(120)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조정하고, 두 개의 메인벤트(110) 사이에 두 개의 서브벤트(120)가 구성되는 것 역시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패널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이용 가능하다.
더불어, 메인벤트(110) 및 서브벤트(120) 가 형성된 베이스패널(100)에 이산화티탄과 오가노 실리케이트(Organo Silicate)의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지는 나노세라믹(Nano-ceramic) 입자의 도료층을 다시 한 번 코팅하는 방법 등을 통해 메인벤트(100) 및 서브벤트(120)를 폐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제조 상 필요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은,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는 두 장의 베이스패널(100)을 준비하는 단계; 마루부(210) 및 골부(220)가 형성된 코어패널(20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루부(210) 및 상기 골부(220)의 외측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30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상기 접착층(300)이 형성된 상기 코어패널(200)을 위치시키고 열융착하여 상기 베이스패널(100)과 상기 코어패널(200)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패널(100)을 준비하는 단계는, 베이스패널(100)의 재료가 되는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 패널을 소정의 크기와 두께로 제작하여 베이스패널(100)로서 준비하는 단계이며, 이 때 베이스패널(100)에는 이산화티탄과 오가노 실리케이트(Organo Silicate)의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지는 나노세라믹(Nano-ceramic) 입자의 도료층이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나노세라믹 입자의 도료층 코팅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건축용 복합패널의 표면에 친수성의 자체 세정기능을 부여하여 오염물질이 흡착되지 않도록 하며, 표면의 오염물질이 도막표면 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 초기상태의 외관을 오래 유지할 수 있게 하고, 간단한 세척으로도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마루부(210) 및 골부(220)가 형성된 코어패널(200)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술한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 패널을 가공하여 동일한 높이와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마루부(210)와 골부(220)가 연속형성된 코어패널(200)을 준비하는 단계이며, 이 때 마루부(210) 및 골부(220)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다양한 가공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코어패널(200)의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마루부(210) 및 상기 골부(220)에 코어벤트(230)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때 코어벤트(23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모든 마루부(210) 및 골부(220)에 코어벤트(230)가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마루부(210) 및 골부(220)의 일부에만 코어벤트(230)가 형성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코어벤트(230)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베이스패널(100)에 상기 코어벤트(230)가 형성된 상기 코어패널(200)을 위치시켜 메인벤트(110)를 형성할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메인벤트(110)이 형성될 위치가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위치에 메인벤트(110)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벤트(230)와 메인벤트(110)를 통해 접착층(300)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후술할 상기 베이스패널(100)과 상기 코어패널(200)을 접착하는 단계에서의 접착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마루부(210) 및 상기 골부(220)의 외측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300)을 형성하는 단계는, 베이스패널(100)과 맞닿는 마루부(210) 및 골부(220)의 외측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으로서, 이 때 접착제의 도포 방법은 일반적으로 롤러를 이용한 도포가 이용되나 그 방법에 대해선 한정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접착층(300)을 이루는 접착제 성분에 대해서는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에폭시계, 아크릴계, 비닐계 수지 등 다양한 접착제 성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접착층(300) 형성에 있어 높은 접착성 뿐 아니라 접착제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한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접착층(300) 형성에 있어 추가적인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착층(300)을 형성하는 단계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로서 당량 150 내지 250(g/eq), 점도 10,000 내지 15,000 (cps at 25℃)인 액상 수지 92 내지 99 중량%와 폴리 에테르아민 1 내지 8 중량%를 혼합하여 제 1 접착용제를 형성하는 단계와, 아민가(mg KOH/g) 200 내지 350, 점도 5,000 내지 50,000인 폴리아미드 60 내지 80 중량%, 디에틸렌트리아민 10 내지 20 중량%,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접착용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접착용제 40 내지 60 중량%와 상기 제 2 접착용제 40 내지 60 중량%를 혼합하여 접착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를 상기 마루부(210) 및 상기 골부(220)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2형 액상의 에폭시계 접착제이나 제 2 접착용제에 식물성 수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접착용제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로서 당량 150 내지 250(g/eq), 점도 10,000 내지 15,000 (cps at 25℃)인 액상 수지 60 내지 80 중량%와, 아민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계면활성제 4 내지 8 중량%, 정제수 15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준비되며, 제 1 접착용제가 제 2 접착용제와 혼합될 경우 높은 가교결합 밀도를 갖는 도막을 형성하여 높은 접착력을 나타낸다. 이 때 반응성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물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 에테르아민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접착층(300)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접착용제의 주원료인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는 액상 형태의 에폭시 수지로서, 당량이 150 내지 250(g/eq)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00(g/eq)이다. 이러한 액상 에폭시 수지는 고체 에폭시수지에 비해 건조 속도가 느리나, 매우 높은 가교결합 밀도를 보이므로 좁은 면적에 의한 접착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패널에 있어 보다 높은 내구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액상의 에폭시 수지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제 2 접착용제는 아민가(mg KOH/g) 200 내지 350, 점도 5,000 내지 50,000인 폴리아미드 60 내지 80 중량%, 디에틸렌트리아민 10 내지 20 중량%,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준비되는 것으로서, 이 때 제 2 접착용제의 희석용제로서 식물성 추출물이 이용되는데, 이는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자작나무로부터 얻을 수 있는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접착용제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유기화합물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패널을 이용할 시 피톤치드를 통한 테라피 효과를 주기 위함이다.
식물성 추출물은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자작나무를 압착하거나 정제수 또는 알코올 수용액 등을 통해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자작나무의 수액 등을 추출해 낸 것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톤치드의 발생량이 가장 높다고 알려진 편백나무 추출물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제 1 접착용제와 제 2 접착용제는 각각 40 내지 60 중량%으로 혼합되어 접착제를 형성하며, 준비된 접착제는 코어패널(200)의 마루부(210) 및 골부(220)에 도포되어 코어패널(200)에 접착층(30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착층(300)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상기 접착층(300)이 형성된 상기 코어패널(200)을 위치시키고 열융착하여 상기 베이스패널(100)과 상기 코어패널(200)을 접착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이는 핫프레스 등을 통한 열융착 방식으로서 베이스패널(100)과 코어패널(200)을 강하게 접착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벤트(230)와 메인벤트(110)가 형성된 경우, 열융착에 의해 접착층(300)이 코어벤트(230)와 메인벤트(110)로 일부 토출됨으로서 접착층(300)과 코어패널(200), 베이스패널(100)의 접촉면적을 높여 접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메인벤트(110) 및 코어벤트(230)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패널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패널(100)은, 각각의 상기 메인벤트(1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서브벤트(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함께 수반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2차 접착용제 주입이 포함된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2차 접착용제가 주입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도 5와 함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중 서브벤트(120)의 형성을 위해 상기 메인벤트(110)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메인벤트(1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서브벤트(120)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패널(100)과 코어패널(200)을 접착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서브벤트(120)를 통해 상기 접착층(300) 주변에 2차 접착용제를 주입하여 상기 코어패널(200)과 상기 베이스패널(100)을 2차 접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의 제조방법과 도 6의 제조방법을 비교하면, 베이스패널(100)에 서브벤트(120)를 관통 형성하고 2차 접착용제를 주입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는 상기 코어패널(200)과 상기 베이스패널(100)을 2차 접착하여 접착력을 보다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2차 접착용제의 주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접착층(300) 근처, 다시 말해 메인벤트(110)의 근처에 서브벤트(120)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며, 서브벤트(120)의 개수는 메인벤트(110)보다 더 많은 것이 원활한 주입을 위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건축용 복합패널의 단면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형성된 접착층(300)은 서브벤트(120)를 통해 주입된 2차 접착용제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며, 이러한 2차 접착용제는 접착층(300)과 코어패널(200), 베이스패널(100) 모두와 접촉하고 있어 접착력을 보다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층(300)을 이루는 접착제와 2차 접착용제 모두 접착제를 기반으로 하는 바, 접착층(300)과 2차 접착용제는 구분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는 양 단으로 갈수록 접착층(300)이 두꺼워지는 형태로서 2차 접착용제가 주입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2차 접착용제는 접착층(300)을 형성하는데 쓰인 접착제보다 점도가 보다 높으며, 이는 코어패널(200)의 굴곡진 표면에서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러한 2차 접착용제는 접착층(300)을 형성하는 접착제보다 점도가 큰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나, 피톤치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접착제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삭제
삭제
이러한 2차 접착용제의 최종 반응물은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편백나무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추출물을 1 내지 5 중량% 포함하므로 식물성 추출물로부터 발생된 피톤치드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 특유의 냄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피톤치드에 의한 테라피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2차 접착용제는 증점제를 통해 점도를 높임으로써 상술한 접착층(300)에 사용된 접착제에 비해 높은 점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겔 타입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가파른 곡면을 나타내는 코어패널(200)에서 2차 접착용제가 접착층(300)을 효과적으로 둘러싸지 못하고 과도하게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패널에 중간레이어(400) 공정이 포함된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중간레이어(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5와 함께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마루부(210) 및 골부(220)에 코어벤트(230)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는, 60 내지 240℃ 의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체를 250 내지 300℃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와, 상기 코어패널(200)을 가상 중심선(500)을 기준으로 상기 마루부(210) 및 상기 골부(220)의 높이 대비 10 내지 40% 만큼 상기 용융된 열가소체에 함침하여 중간레이어(400)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벤트(110)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메인벤트(1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서브벤트(120)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패널(100)과 코어패널(200)을 접착하는 단계는, 열에 의해 용해되어 상기 서브벤트(120)를 통해 토출된 상기 중간레이어(400)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중간레이어(400)라 함은, 상술한 접착층(300)이 열융착을 가할 시에도 코어벤트(230)와 메인벤트(110)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접착층(300)이 중간레이어(400)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코어벤트(230) 및 메인벤트(110) 영역으로 파고들게 되므로 접착층(300)을 통한 코어패널(200) 및 베이스패널(100)의 접착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간레이어(400)는 열융착 시 용융되어 서브벤트(120)를 통해 토출되므로, 최종적으로 생성된 건축용 복합패널에서는 상술한 도 3의 형태에서와 같이 나타나지 않는다.
중간레이어(400)는 용융된 열가소체에 마루부(210) 및 골부(220)를 함침한 뒤 경화시켜 생성되며, 열융착 시 다시 용융되어 서브벤트(120)를 통해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패널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 중간레이어(400)의 형성에 있어서는 마루부(210) 및 골부(220) 중 어느 한 쪽을 먼저 용융된 열가소체에 함침시켜 중간레이어(400)를 형성시키고, 나머지 한 쪽에 중간레이어(400)를 형성시킨다. 이 때 마루부(210) 및 골부(220)는 같은 형태와 높이를 지니므로 도 9에서는 마루부(210) 및 골부(220)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았다.
열가소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열가소체는, 응고 시 점도 7,000 내지 10,000 cp, 용융 시 점도 100 내지 2,000cp를 나타내는 물질로서 파라핀이나 소이왁스 등 용융점이 낮고 점도가 높은 다양할 물질들이 이용될 수 있다.
중간레이어(400)를 형성하는 단계에 대해서 도 9와 함께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중간레이어(400)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패널(200)을 가상 중심선(500)을 기준으로 상기 마루부(210) 및 상기 골부(220)의 높이 대비 10 내지 40% 만큼 용융된 열가소체에 5 내지 10분 간 함침한 뒤 꺼내어 중간레이어(400)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레이어(400)를 20 내지 40℃에서 7,000 내지 10,000 cp의 점도값을 나타내도록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된 중간레이어(400)를 상기 마루부(210)와 상기 골부(220)와 같은 높이를 갖도록 절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중간레이어(400)가 마루부(210) 및 골부(220) 표면에 형성되며, 중간레이어(400)가 코어패널(200)의 두께를 증가시킬 정도로 두껍게 형성될 경우 중간레이어(400)를 절삭하는 단계를 통해 마루부(210) 및 골부(220)의 높이와 동일하게 조절된다.
더불어 베이스패널(100)과 코어패널(200)의 열융착 시 열융착 및 중간레이어(400)의 토출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패널(100)과 코어패널(200)을 접착하는 단계는, 핫프레스를 60 내지 240℃로 가열하고 상기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상기 접착층(300)이 형성된 상기 코어패널(200)을 상기 핫프레스에 위치시키고 1차 압착하는 단계, 1차 압착에 의해 토출된 상기 중간레이어(400)를 1차 제거하는 단계, 핫프레스를 250 내지 400℃로 가열하고 1차 압착된 상기 건축용 복합 패널을 상기 핫프레스에 위치시켜 2차 압착하는 단계 및, 2차 압착에 의해 토출된 상기 중간레이어(400)를 2차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60 내지 240℃로 가열하고 1차 압착하는 단계를 통해 중간레이어(400)의 용융 및 1차 제거가 일어나고, 마저 토출되지 못한 잔여물은 250 내지 400℃로 가열하고 2차 압착하는 단계를 통해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열융착의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중간레이어(400)가 보다 원활히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중간레이어(400)가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을 시 일어날 수 있는 하중 증가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벤트(110) 및 서브벤트(120) 가 형성된 베이스패널(100)에 이산화티탄과 오가노 실리케이트(Organo Silicate)의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지는 나노세라믹(Nano-ceramic) 입자의 도료층을 다시 한 번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메인벤트(100) 및 서브벤트(120)를 폐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제조 상 필요에 따라 이용될 수 있어 제작된 건축용 복합 패널에서 메인벤트(110) 및 서브벤트(120)가 나타나지 않게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패널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패널 110 : 메인벤트
120 : 서브벤트 200 : 코어패널
210 : 마루부 220 : 골부
230 : 코어벤트 300 : 접착층
400 : 중간레이어 500 : 가상 중심선

Claims (13)

  1. 건축용 복합 패널으로서,
    표면에 이산화티탄과 오가노 실리케이트(Organo Silicate)의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지는 나노세라믹(Nano-ceramic) 입자의 도료층이 코팅된 두 장의 베이스패널;
    두 장의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높이와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마루부와 골부가 연속형성된 코어패널; 및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와 상기 베이스패널이 맞닿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패널은,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와 맞닿는 표면에서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메인벤트와, 각각의 상기 메인벤트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서브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패널은,
    상기 메인벤트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 형성된 코어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패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벤트는,
    상기 코어패널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외협내광(外狹內廣)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패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피톤치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점도가 8,000 내지 50,000 (cps at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패널.
  6.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는 두 장의 베이스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마루부 및 골부가 형성된 코어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의 외측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코어패널을 위치시키고 열융착하여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로서 당량 150 내지 250(g/eq), 점도 10,000 내지 15,000 (cps at 25℃)인 액상 수지 60 내지 80 중량%와, 아민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계면활성제 4 내지 8 중량%, 정제수 15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제 1 접착용제를 형성하는 단계,
    아민가(mg KOH/g) 200 내지 350, 점도 5,000 내지 50,000인 폴리아미드 60 내지 80 중량%, 디에틸렌트리아민 10 내지 20 중량%, 편백나무, 소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접착용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접착용제 40 내지 60 중량%와 상기 제 2 접착용제 40 내지 60 중량%를 혼합하여 접착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를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다음에는,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에 코어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패널에 상기 코어벤트가 형성된 상기 코어패널을 위치시켜 메인벤트를 형성할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위치에 메인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메인벤트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서브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서브벤트를 통해 상기 접착층 주변에 2차 접착용제를 주입하여 상기 코어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을 2차 접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에 코어벤트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는,
    60 내지 240℃ 의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체를 250 내지 300℃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와,
    상기 코어패널을 가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의 높이 대비 10 내지 40% 만큼 상기 용융된 열가소체에 함침하여 중간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메인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메인벤트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서브벤트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단계는,
    열에 의해 용해되어 상기 서브벤트를 통해 토출된 상기 중간레이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체는,
    응고 시 점도 7,000 내지 10,000 cp, 용융 시 점도 100 내지 2,000cp를 나타내고,
    상기 중간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패널을 가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마루부 및 상기 골부의 높이 대비 10 내지 40% 만큼 용융된 열가소체에 5 내지 10분 간 함침한 뒤 꺼내어 중간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레이어를 20 내지 40℃에서 7,000 내지 10,000 cp의 점도값을 나타내도록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된 중간레이어를 상기 마루부와 상기 골부와 같은 높이를 갖도록 절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기 코어패널을 접착하는 단계는,
    핫프레스를 60 내지 240℃로 가열하고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에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코어패널을 상기 핫프레스에 위치시키고 1차 압착하는 단계,
    1차 압착에 의해 토출된 상기 중간레이어를 1차 제거하는 단계,
    핫프레스를 250 내지 400℃로 가열하고 1차 압착된 상기 건축용 복합 패널을 상기 핫프레스에 위치시켜 2차 압착하는 단계 및,
    2차 압착에 의해 토출된 상기 중간레이어를 2차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60094888A 2016-07-26 2016-07-26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9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888A KR101692026B1 (ko) 2016-07-26 2016-07-26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888A KR101692026B1 (ko) 2016-07-26 2016-07-26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026B1 true KR101692026B1 (ko) 2017-01-03

Family

ID=5779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888A KR101692026B1 (ko) 2016-07-26 2016-07-26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0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560B1 (ko) 2017-06-15 2017-08-31 무송건설산업 주식회사 밀폐성을 강화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67864B1 (ko) * 2018-11-06 2019-04-10 디에스씨(주) 접착력이 개선된 내오염성 건축용 콜루게이트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985239B1 (ko) * 2018-05-25 2019-06-03 디에스씨(주) 내구성을 강화한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2167B1 (ko) * 2019-04-03 2019-08-20 이재연 엣지필름 부착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작된 목재패널
CN111851922A (zh) * 2020-06-17 2020-10-30 文家洪 一种多级气流式工业光触媒地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713A (ko) * 2001-09-22 2003-03-29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친수성 표면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KR200395581Y1 (ko) * 2005-06-23 2005-09-13 주식회사 하니셀 건축용 패널
KR100750876B1 (ko) * 2005-05-10 2007-08-22 이승우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루 바닥재
KR20100133871A (ko) * 2009-09-02 2010-12-22 나성민 건축용 벽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713A (ko) * 2001-09-22 2003-03-29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친수성 표면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KR100750876B1 (ko) * 2005-05-10 2007-08-22 이승우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루 바닥재
KR200395581Y1 (ko) * 2005-06-23 2005-09-13 주식회사 하니셀 건축용 패널
KR20100133871A (ko) * 2009-09-02 2010-12-22 나성민 건축용 벽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560B1 (ko) 2017-06-15 2017-08-31 무송건설산업 주식회사 밀폐성을 강화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85239B1 (ko) * 2018-05-25 2019-06-03 디에스씨(주) 내구성을 강화한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7864B1 (ko) * 2018-11-06 2019-04-10 디에스씨(주) 접착력이 개선된 내오염성 건축용 콜루게이트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2167B1 (ko) * 2019-04-03 2019-08-20 이재연 엣지필름 부착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작된 목재패널
CN111851922A (zh) * 2020-06-17 2020-10-30 文家洪 一种多级气流式工业光触媒地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026B1 (ko) 건축용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6462864B2 (ja) エネルギ吸収を示し、かつ/または欠陥が存在しない表面を含む複合材構造
EP0077987B1 (en) Vibration damper of constrained laminate type
KR20060134097A (ko) 복합재 성분
US10688624B2 (en) Electronic device structure formed from porous metal bonded to plastic
CN101844387B (zh) 泡沫夹芯复合材料叶片及其制造工艺
JP7043311B2 (ja) 繊維複合材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複合材
JP2007229439A (ja) 家具用複合板の構造
JP2004345215A (ja) 木質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7059345U (zh) 船用声呐导流罩的复合料板
CA2296597C (en) Process for producing surface-finished molded parts consisting of nonwoven fabrics
CN104534554B (zh) 粘接结构、取暖器及粘接工艺
JP2005281976A (ja) 化粧ボード及び床材
CN205272756U (zh) 一种酚醛复合夹芯地板
JPH0418521B2 (ko)
JPH11348141A (ja) 架設成形体の補修方法、シート並びにその製法
CN101709203B (zh) 用于pvc软板与海绵粘合的粘合剂及其施工方法
JPS58119859A (ja) 合成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4324045A (ja) ドレン接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40589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H05131477A (ja) 繊維強化合成樹脂製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用シート
JPH0249907B2 (ja) Frpseikeihin
TW201606884A (zh) 一種封裝基板製造方法及封裝基板
JP2866695B2 (ja) 繊維強化樹脂の成形方法
JPH01120302A (ja) 成形合板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