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995B1 -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995B1
KR101691995B1 KR1020160140677A KR20160140677A KR101691995B1 KR 101691995 B1 KR101691995 B1 KR 101691995B1 KR 1020160140677 A KR1020160140677 A KR 1020160140677A KR 20160140677 A KR20160140677 A KR 20160140677A KR 101691995 B1 KR101691995 B1 KR 101691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filtration
discharge pipe
primary
storm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6014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를 차집(遮集) 하고, 차집된 우수를 여과하여 수계(水系)로 배출하는 처리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를 유입하는 유입관, 유입된 우수내 슬러지를 침강시켜 내부 바닥 일면에 모으는 1차 슬러지 수집홈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1차 슬러지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1차 침전부, 1차 침전부 내부 중앙에 포함되되 격벽에 의하여 나누어져 있으며, 1차 침전부에서 유입되는 우수내 슬러지를 침강시켜 모으는 2차 슬러지 수집홈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2차 슬러지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2차 침전부, 평면상 다각형으로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형상으로 2차 침전부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각 측면 상부 영역의 스크린 망을 통하여 2차 침전부에서 우수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내부에 충진된 여과볼에 의하여 여과시켜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여과부 및 유입되는 우수가 저수위시 흡입관, 주입관 및 펌프를 이용하여 여과부로 보내는 저수위부로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두 단계에 걸쳐 슬러지를 침전하는 구성과 여과 구성으로만 이루어져 우수의 처리과정이 간편하고,초기 설비 비용 및 유지비용을 저감시키고, 여과부의 형상이 다각형의 하우징 형상이고, 각 면에 스크린망이 상부영역에 설치되어 대량의 우수 유입시에도 여과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과 응집제 및 여과볼에 의한 여과 효율이 높고, 처리 공정에 드는 시간이 종래 우수처리 시스템보다 적게 든다.

Description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Rainwater collection and filtration system}
본 발명은 우수를 차집(遮集) 하고, 차집된 우수를 여과하여 수계(水系)로 배출하는 처리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를 유입하는 유입관, 유입된 우수내 슬러지를 침강시켜 내부 바닥 일면에 모으는 1차 슬러지 수집홈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1차 슬러지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1차 침전부, 1차 침전부 내부 중앙에 포함되되 격벽에 의하여 나누어져 있으며, 1차 침전부에서 유입되는 우수내 슬러지를 침강시켜 모으는 2차 슬러지 수집홈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2차 슬러지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2차 침전부, 평면상 다각형으로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형상으로 2차 침전부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각 측면 상부 영역의 스크린 망을 통하여 2차 침전부에서 우수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내부에 충진된 여과볼에 의하여 여과시켜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여과부 및 유입되는 우수가 저수위시 흡입관, 주입관 및 펌프를 이용하여 여과부로 보내는 저수위부로 이루어지는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녹조 현상은 수온, 햇빛, 영양염류 및 유속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고 있고, 그에 따라서 수생태계의 파괴와 가축이나 야생동물의 폐사 등의 원인이 되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녹조 발생원인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영양염류는 생활하수, 공업폐수 및 우수에 의한 비점오염원등의 원인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영양염류의 원인 중 생활하수와 공업폐수는 고도처리를 이용하는 하수처리 시설 및 개인하수 처리시설등이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되어 시설되는 수가 꾸준히 늘어가고 있어 오염 배출량이 해마다 줄고 있는 반면 비점오염원을 포함하는 우수의 경우 별다른 처리 없이 수계로 배출되어 녹조 현상과 수질오염을 야기 시키고 있다.
우수에 의한 오염물질은 하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생물산화, 흡착 및 침전 작용 등의 자정작용에 의해 정화되지만, 자정작용에 의해 충분히 정화되려면 긴 구간에 걸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과 국내 4대강 사업 이후 느려진 유속등의 문제점들로 녹조 현상은 발생시기가 빨라지고, 녹조 발생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우수를 차집하여 정화하는 선행기술들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56173호(2006.12.13.) 비점오염원 초기 우수의 선택적 차집 시스템으로 비점오염원 근처의 집수정으로부터 우수가 흐르도록 연결된 월류맨홀과; 상기 월류맨홀의 하측으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추기우수저장집수정과; 상기 초기우수저장집수정으로부터 우수를 연결관을 통하여 공급받아 정화하는 필터가 구비된 정화조와; 상기 월류맨홀의 상측과 상기 정화조의 필터 하류를 직접 연결하는 월류우수관과; 상기 정화조의 필터 하류인 상기 정화조의 상부로부터 우수를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구비된 방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한국등록특허 제10-1333546호(2013.11.28.) 빗물을 집수하여 재이용하기 위한 맞춤형 우수 처리시설은 비점오염원이 높은 초기우수를 배제한 빗물을 받아 침강시키는 집수조와, 집수조에서 이물질이 침강된 빗물을 펌핑하여 저장하는 저류조와 저류조내의 빗물을 펌핑하여 잡용수용 필터부를 통해 정화한 다음, 사용자가 원할 때 바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제1정수조와 잡용수용 필터부를 통해 정화한 용수를 다시 음용수용 필터부를 통해 정화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바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제2정수조와, 집수조, 저류조, 제1정수조 및 제2정수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그에 따라서 초기 시설 비용과 필터 교체와 관리비등의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특히 홍수등의 다량의 우수가 유입시 처리능력의 한계가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56173호(2006.12.13.) 한국등록특허 제10-1333546호(2013.11.2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들이 가지고 있는 대규모와 복잡한 설비에 의한 우수 차집 설비의 시설에 의한 높은 초기비용 및 유지비용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홍수 또는 높은 강수량에 따른 대량 우수 발생시 처리량을 높이고 처리시간이 단축시키는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은 1차 침전부(10), 2차 침전부(20), 여과부(30) 및 저수위부(40)로 구성되되 상기 1차 침전부(10)는 입자 크기가 큰 슬러지가 관로 유입전 스크린 또는 격자망에 의하여 제거된 우수를 상부에서 내부 하방으로 유입하도록 설치된 유입관(12), 유입된 우수내 슬러지를 중력에 의하여 침강시켜 내부 바닥 일면에 모으는 1차 슬러지 수집홈(14)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1차 슬러지 배출관(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침전부(20)는 1차 침전부(10) 내부 중앙에 포함되어 격벽에 의하여 1차 침전부(10)와 구간이 나누어져 있으며, 1차 침전부(10)에서 월류되어 유입되는 우수내 슬러지를 중력에 의하여 침강시켜 모으는 2차 슬러지 수집홈(22)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2차 슬러지 배출관(2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부(3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으로 덮개(32)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이루고, 2차 침전부(20)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각 측면 상부에 스크린 망(36)을 통하여 2차 침전부(20)에서 집수되는 우수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내부에 충진된 여과볼(34)에 의하여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관(3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저수위부(40)는 유입되는 우수가 저수위시 흡입관(42), 주입관(46) 및 펌프(44)를 이용하여 여과부로 보낸다.
상기 1차 침전부(10)는 농도가 30~55%인 산화알루미늄(Al2O3) 30~70 중량부와 석회석 30~40 중량부와 활성 규사 분말 15~30 중량부를 혼합 후 가열한 후 산화나트륨(Na2O)의 농도가 10~40%인 가성소다 10~30 중량부와 Mg-sericite(마그네슘-견운모) 30~50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200℃에서 5~10시간 반응시킨 뒤 냉각시켜 제조된 응집제를 투입하여 우수내 미세부유 입자를 응집한다.
상기 2차 슬러지 배출관(24)은 끝단이 1차 슬러지 배출관(16)에 통공되어 연결되고 슬러지 배출을 동시에 실시하여 슬러지 처리효율을 높인다.
상기 스크린망(36)은 알루미늄 재질로 전기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시켜 표면에 막을 생성시켜 코팅된 경질 스크린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볼(34)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고무 및 폴리우레탄 고무(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선택된 하나와 증류수로 세척 후 건조하고 분말화한 뒤 계면활성제로 표면 처리하여 표면 극성을 낮춘 패각 분말이 중량비율로 1:1로 혼합되어 구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배출관(38)은 여과부(30) 내방 끝단이 격자망으로 돔구조의 망을 고정부착시켜 여과볼(34)에 의하여 배출관(38)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저수위부(40)는 1차 침전부(10) 및 2차 침전부(20) 내부 상방으로부터 소정높이에서 흡입관(42)을 통하여 우수를 펌프(44)로 흡입하고, 주입관(46) 끝단이 여과부(30) 덮개(32)의 중공을 통하여 여과부(30) 내부로 우수를 주입하는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두 단계에 걸쳐 슬러지를 침전하는 구성과 여과 구성으로만 이루어져 우수의 처리과정이 간편하고, 그에 따라서 초기 설비 비용 및 유지비용을 저감시킨다.
(2) 본 발명은 여과부의 형상이 다각형의 하우징 형상이고, 각 면에 스크린망이 상부영역에 설치되어 대량의 우수 유입시에도 여과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응집제 및 여과볼에 의한 여과 효율이 높고, 처리 공정에 드는 시간이 종래 우수처리 시스템보다 적게 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의 우수 및 슬러지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위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명칭은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고 충분히 유추 가능한 별도의 기재는 생략하며 필요 경우 실시예 및 도면을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한정 해석하지 아니하며,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의 우수 및 슬러지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30)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38)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위부(4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의 사시도로 하기에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개진한다.
우수를 차집하고 여과하는 처리시스템은 1차 침전부(10), 2차 침전부(20), 여과부(30) 및 저수위부(40)로 구성되되 분류식의 도로변, 인도 측면에 설치되는 우수관거보다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1차 침전부는 입자 크기가 큰 슬러지가 관로 유입전 우수관거 유입부에 설치된 스크린 또는 격자망에 의하여 제거된 우수를 상부에서 내부 하방으로 유입하도록 설치된 유입관(12), 유입된 우수내 슬러지를 중력에 의하여 침강시켜 내부 바닥 일면에 모으는 1차 슬러지 수집홈(14)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1차 슬러지 배출관(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침전부(20)는 1차 침전부(10) 내부 중앙에 포함되어 격벽에 의하여 1차 침전부(10)와 구간이 나누어져 있으며, 1차 침전부(10)에서 월류되어 유입되는 우수내 슬러지를 중력에 의하여 침강시켜 모으는 2차 슬러지 수집홈(22)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2차 슬러지 배출관(2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부(3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으로 슬러지 침전이 일어지지 않은 우수가 1차 침전부(10)에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32)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지고, 2차 침전부(20)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각 측면 상부에 스크린 망(36)을 통하여 2차 침전부(20)에서 집수되는 우수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내부에 충진된 여과볼(34)에 의하여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관(3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저수위부(40)는 유입되는 우수가 저수위시 흡입관(42), 주입관(46) 및 펌프(44)를 이용하여 여과부(30)로 보낸다.
상기 1차 침전부(10)의 외관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고, 유입관(12)은 설치는 복수개 다방면으로 이루어져 다량의 우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격벽의 높이는 1차 침전부(10)의 외벽 높이보다 적어야 하고, 1차 슬러지 수집홈(14) 및 2차 슬러지 수집홈(22)은 각각 1차 침전부(10)와 2차 침전부(20)의 바닥면의 일측면에 하방으로 구배가 형성되어 슬러지가 수집홈에 집중되어 침전될 수 있는 구조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침전부(10)는 농도가 30~55%인 산화알루미늄(Al2O3) 30~70 중량부와 석회석 30~40 중량부와 활성 규사 분말 15~30 중량부를 혼합 후 가열한 후 산화나트륨(Na2O)의 농도가 10~40%인 가성소다 10~30 중량부와 Mg-sericite(마그네슘-견운모) 30~50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200℃에서 5~10시간 반응시킨 뒤 냉각시켜 제조된 응집제를 투입하여 우수내 미세부유 입자를 응집한다.
상기 Mg-sericite(마그네슘-견운모)은 견운모(sericite)와 MgCl2을 1:1 중량비율로 혼합 후 상기 혼합 중량과 증류수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70~90℃에서 12시간 동안 혼합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증류수와 견운모와 MgCl2의 개질한 파우더를 분리시킨 후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2차 슬러지 배출관(24)은 끝단이 1차 슬러지 배출관(16)에 통공되어 내부로 연결되고, 일정량의 슬러지가 침전되면, 소정의 높이의 우수와 함께 슬러지 배출을 실시하여 슬러지로 인한 슬러지 배출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처리효율을 높인다.
상기 스크린망(36)은 알루미늄 재질로 전기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시켜 표면에 막을 생성시켜 코팅된 경질 스크린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볼(34)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고무 및 폴리우레탄 고무(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선택된 하나와 증류수로 세척 후 건조하고 분말화 한뒤 계면활성제로 표면 처리하여 표면 극성을 낮춘 패각 분말이 중량비율로 1:1로 혼합되어 지름이 3~10㎝의 구 형태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여과볼(34) 뿐만 아니라 중금속 흡착능이 높은 폐콘크리트를 추가로 여과볼과 충진할 수 있고, 이때 폐콘크리는 건설 폐기물의 폐콘크리트를 분쇄 과정을 통해서 철근을 분리하고,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를를 탈착시켜서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얻은 후 세척시킨 뒤 100~500℃에서 12시간동안 가열 및 건조를 실시하여 제조하며, 여과볼과 동일한 지름 또는 그 이하의 크기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관(38)은 여과부(30) 내방 끝단이 격자망으로 돔구조의 망을 고정부착시켜 여과볼(34)에 의하여 배출관(38)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저수위부(40)는 소량의 우수가 유입시 일정시간이 지나서 월류에 의한 우수 이동이 없을시 1차 침전부(10) 및 2차 침전부(20) 내부 상방으로부터 소정높이에서 흡입관(42)을 통하여 우수를 펌프로 흡입하고, 주입관(46) 끝단이 여과부 덮개(32)의 중공을 통하여 여과부(30) 내부로 우수를 주입하여 여과후 수계로 배출한다.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과된 처리수의 재사용을 위한 정수 과정을 둘 수 있으며, 이때 막분리부를 추가하여 여과부(30)에서 배출된 처리수를 정수 처리할 수 있으며, 막분리부의 제조는 불소계 폴리플루오린화비닐라덴(PVDF), 소수성(PMMA: Poly(poly(methylmethacrylate)))과 친수성(PPEGMEMA: Poly(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의 공중합체인 PMMA-b-PPEGMEMA 및 염화리튬(LiCl)로 혼합된 용액을 부직포 위에 부은 후 독터 블레이드로 캐스팅을 한 후 25℃ 증류수에 함침하여 제조된 막을 이용하여 막의 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은 두 단계에 걸쳐 슬러지를 침전하는 구성과 여과 구성으로만 이루어져 우수의 처리과정이 간편하고, 그에 따라서 초기 설비 비용 및 유지비용을 저감시키고, 여과부의 형상이 다각형의 하우징 형상이고, 각 면에 스크린망이 상부영역에 설치되어 대량의 우수 유입시에도 여과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과 응집제 및 여과볼에 의한 여과 효율이 높고, 처리 공정에 드는 시간이 종래 우수처리 시스템보다 적게 든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은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1차 침전부 32 : 덮개
12 : 유입관 34 : 여과볼
14 : 1차 슬러지 수집홈 36 : 스크린망
16 : 1차 슬러지 배출관 38 : 배출관
20 : 2차 침전부 40 : 저수위부
22 : 2차 슬러지 수집홈 42 : 흡입관
24 : 2차 슬러지 배출관 44 : 펌프
30 : 여과부 46 : 주입관

Claims (7)

  1. 우수를 차집하고 여과하는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처리시스템은 1차 침전부, 2차 침전부, 여과부 및 저수위부로 구성되되
    상기 1차 침전부는 입자 크기가 큰 슬러지가 관로 유입전 스크린 또는 격자망에 의하여 제거된 우수를 상부에서 내부 하방으로 유입하도록 설치된 유입관, 유입된 우수내 슬러지를 중력에 의하여 침강시켜 내부 바닥 일면에 모으는 1차 슬러지 수집홈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1차 슬러지 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침전부는 1차 침전부 내부 중앙에 포함되어 격벽에 의하여 1차 침전부와 구간이 나누어져 있으며, 1차 침전부에서 월류되어 유입되는 우수내 슬러지를 중력에 의하여 침강시켜 모으는 2차 슬러지 수집홈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2차 슬러지 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으로 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이루고, 2차 침전부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각 측면 상부에 스크린 망을 통하여 2차 침전부에서 집수되는 우수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내부에 충진된 여과볼에 의하여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저수위부는 유입되는 우수가 저수위시 흡입관, 주입관 및 펌프를 이용하여 여과부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침전부는 농도가 30~55%인 산화알루미늄(Al2O3) 30~70 중량부와 석회석 30~40 중량부와 활성 규사 분말 15~30 중량부를 혼합 후 가열한 후 산화나트륨(Na2O)의 농도가 10~40%인 가성소다 10~30 중량부와 Mg-sericite(마그네슘-견운모) 30~50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200℃에서 5~10시간 반응시킨 뒤 냉각시켜 제조된 응집제를 투입하여 우수내 미세부유 입자를 응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슬러지 배출관은 끝단이 1차 슬러지 배출관에 통공되어 연결되고 슬러지 배출을 동시에 실시하여 슬러지 처리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망은 알루미늄 재질로 전기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시켜 표면에 막을 생성시켜 코팅된 경질 스크린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볼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고무 및 폴리우레탄 고무(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선택된 하나와 증류수로 세척 후 건조하고 분말화한 뒤 계면활성제로 표면 처리하여 표면 극성을 낮춘 패각 분말이 중량비율로 1:1로 혼합되어 구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여과부 내방 끝단이 격자망으로 돔구조의 망을 고정부착시켜 여과볼에 의하여 배출관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위부는 1차 침전부 및 2차 침전부 내부 상방으로부터 소정높이에서 흡입관을 통하여 우수를 펌프로 흡입하고, 주입관 끝단이 여과부 덮개의 중공을 통하여 여과부 내부로 우수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KR1020160140677A 2016-10-27 2016-10-27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KR101691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677A KR101691995B1 (ko) 2016-10-27 2016-10-27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677A KR101691995B1 (ko) 2016-10-27 2016-10-27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995B1 true KR101691995B1 (ko) 2017-01-02

Family

ID=5781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677A KR101691995B1 (ko) 2016-10-27 2016-10-27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99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442B1 (ko) * 2017-01-11 2017-06-27 주식회사 케이엔씨 초음파장치를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스템
CN108017192A (zh) * 2017-11-17 2018-05-11 贺州学院 一种采用碳酸钙复合材料处理废水的方法
KR101940412B1 (ko) * 2017-08-22 2019-04-10 엠씨이 코리아 주식회사 고도 후 처리 시스템
KR101987613B1 (ko) * 2019-01-02 2019-06-10 김종근 하수관로의 환기장치
CN110029702A (zh) * 2019-05-22 2019-07-19 毅康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净化装置
KR102078752B1 (ko) 2019-06-18 2020-02-18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중공사 분리막과 빗물을 이용한 재처리 화장실 용수를 사용하는 친환경 화장실
CN116253419A (zh) * 2023-05-16 2023-06-13 烟台鲁东分析测试有限公司 一种重金属废水沉淀设备
CN116495837A (zh) * 2023-06-15 2023-07-28 北京建工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主再生的地下水污染物截留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173B1 (ko) 2006-05-12 2006-12-13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비점오염원 초기 우수의 선택적 차집 시스템
KR101333546B1 (ko) 2013-05-29 2013-1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을 집수하여 재이용하기 위한 맞춤형 우수 처리시설
KR20130137963A (ko) * 2012-06-08 2013-12-18 신흥대학산학협력단 초기빗물 배제장치
KR101527466B1 (ko) * 2014-11-19 2015-06-15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비점오염저감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173B1 (ko) 2006-05-12 2006-12-13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비점오염원 초기 우수의 선택적 차집 시스템
KR20130137963A (ko) * 2012-06-08 2013-12-18 신흥대학산학협력단 초기빗물 배제장치
KR101333546B1 (ko) 2013-05-29 2013-1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을 집수하여 재이용하기 위한 맞춤형 우수 처리시설
KR101527466B1 (ko) * 2014-11-19 2015-06-15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비점오염저감시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442B1 (ko) * 2017-01-11 2017-06-27 주식회사 케이엔씨 초음파장치를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스템
KR101940412B1 (ko) * 2017-08-22 2019-04-10 엠씨이 코리아 주식회사 고도 후 처리 시스템
CN108017192A (zh) * 2017-11-17 2018-05-11 贺州学院 一种采用碳酸钙复合材料处理废水的方法
KR101987613B1 (ko) * 2019-01-02 2019-06-10 김종근 하수관로의 환기장치
CN110029702A (zh) * 2019-05-22 2019-07-19 毅康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净化装置
CN110029702B (zh) * 2019-05-22 2024-02-09 毅康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净化装置
KR102078752B1 (ko) 2019-06-18 2020-02-18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중공사 분리막과 빗물을 이용한 재처리 화장실 용수를 사용하는 친환경 화장실
CN116253419A (zh) * 2023-05-16 2023-06-13 烟台鲁东分析测试有限公司 一种重金属废水沉淀设备
CN116253419B (zh) * 2023-05-16 2023-07-28 烟台鲁东分析测试有限公司 一种重金属废水沉淀设备
CN116495837A (zh) * 2023-06-15 2023-07-28 北京建工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主再生的地下水污染物截留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95B1 (ko)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CN105155615B (zh) 一种带自清洗功能的初雨收集处理系统
CN108178383B (zh) 一种含泥沙污水的净化处理装置
CN106567504A (zh) 建筑物屋面雨水分质收集处理系统及方法
KR101757211B1 (ko)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수처리 장치
CN203959896U (zh) 竖流式沉淀过滤器
CN102247728A (zh) 一种初雨处理系统
CN105013244B (zh) 多级雨水净化处理设备
CN102493545A (zh) 具有混凝沉淀功能的雨污水调蓄池
KR100939325B1 (ko)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7500434A (zh) 一种污水处理装置及隧道废水处理系统及方法
CN207294510U (zh) 一种人工湿地水净化装置
CN102583599B (zh) 污水处理系统
CN104876364A (zh) 一种高效污水深度处理成套化装置
CN104261588A (zh) 含油地下水的处理装置及控制方法
CN204824436U (zh) 一种高效污水深度处理成套化装置
CN207862039U (zh) 一种含油工业废水处理系统
CN102583832B (zh) 漂浮移动式水质净化器
CN113187022A (zh) 一种雨水收集排放生态系统
CN207361961U (zh) 一种城市污水环保沉淀处理装置
CN211712869U (zh) 一种初期雨水处理系统
CN204848509U (zh) 一种泥浆水处理系统
CN217780903U (zh) 一种雨水处理回用装置
CN108751478A (zh) 一种反冲洗式污水处理装置
CN108892254A (zh) 一种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