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412B1 - 고도 후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도 후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412B1
KR101940412B1 KR1020170106213A KR20170106213A KR101940412B1 KR 101940412 B1 KR101940412 B1 KR 101940412B1 KR 1020170106213 A KR1020170106213 A KR 1020170106213A KR 20170106213 A KR20170106213 A KR 20170106213A KR 101940412 B1 KR101940412 B1 KR 101940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ludge
water
wastewater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천
허우명
Original Assignee
엠씨이 코리아 주식회사
허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씨이 코리아 주식회사, 허우명 filed Critical 엠씨이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응집제와 반응시킨 하폐수가 유입구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고도 처리되고, 고도 처리를 마친 처리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 내에 물을 공급하여 침전물이나 부유물이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흐름을 증대시키는 물공급부; 상기 처리조 내에서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 양측면에 접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놓여지고, 여과망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폐수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필터링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무한궤도 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여과이송부; 및 상기 여과이송부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방으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활하수처리나 폐수처리 단계에서 최종 침전조를 통해 방류되는 방류수가 종종 방류수 기준을 초과하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높은 농도의 영양염류가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하·폐수 처리장의 후단에 설치하여 처리수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여과장치의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간편하면서도 우수한 처리 효율을 제공할 수 있고, 서버의 구축에 의해 중앙통제실에서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면서 사용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도 후 처리 시스템{Advanced Post-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수의 안전을 보장하고, 간편하면서도 우수한 처리 효율을 제공하도록 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수 내에는 많은 양의 유기물과 무기물이 존재하는데, 이들 물질은 오염수 내에 부유(suspended)되어 있거나, 용존(dissolved)되어 있다. 따라서 하·폐수처리공정은 오염수 내의 이들 물질을 적절하게 처리·제거한 후 방류하는 시설이나 장치를 의미한다.
고농도의 영양염류가 방류될 경우, 주변 수계(하천, 호수, 하구 및 해역 등)는 부영양화가 촉진되고, 이로 인해 조류(algae)의 대량발생(water bloom)이 유발되는 악영향이 나타난다. 하·폐수처리공정은 일차적으로 거대 입자를 제거한 후, 활성오니 미생물에 의한 2차 처리를 걸쳐서 오니(슬러지)를 침전 제거한 후 방류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고도처리공정은 활성오니 미생물공정을 보다 더 활성화시키고(질산화 및 탈질화 촉진 등), 후단에 총인 처리시설 등을 추가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하·폐수처리장에서 방류되는 방류수는 총인(TP), 총질소(TN), BOD, COD, SS(부유물질) 및 대장균군 등에 대하여, 법적으로 방류수기준을 적용받고 있다. 총인과 총질소는 높은 농도가 방류될 경우, 주변 수계(하천, 호수, 하구 및 해역 등)에 부영양화를 유발하여 조류(algae)의 과다증식 등 다양한 형태의 물 문제를 야기한다. BOD나 COD는 유기물오염의 지표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물질은 수계에 다량 배출될 경우, 수체(water body) 내에 용존산소를 감소시켜 어류 등 수서생물의 폐사를 유발한다. 또한 서식지를 훼손시켜 생물종의 다양성이 감소되고, 전체적으로 수계생태계의 건강성이 악화되는 현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하·폐수처리에 대한 방류수의 법적 기준이 점점 강화되는 추세에 있어, 이들 기준을 적용받는 많은 처리장에서는 총인(TP)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고도처리공법을 도입하고 있다.
종래의 고도 처리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92174호의 "하폐수고도처리장치"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포기 및 교반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n개(n은 자연수)의 가변형 반응조로 이루어지는 반응조 모듈; 및 말단에 위치되는 가변형 반응조와 연결되어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가변형 반응조들은, 호기성 조건을 지속시키는 포기모드, 무산소 또는 혐기성 조건을 지속시키는 비포기 교반모드 및 설정된 조건에 따라 포기와 비포기 교반을 교차 반복하는 간헐포기모드의 3종류 운전모드 중에서 선택된 운전모드로 작동되며, 상기 반응조 모듈은, 유입하폐수가 순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n개의 가변형 반응조가 직렬 설치되고, n개의 가변형 반응조의 운전모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3n(3의 n승)개의 처리공정 중에서, 유입유량, 유입성상 또는 수온 등의 운전조건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처리공정이 수행되고, 상기 운전조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n개의 가변형 반응조들의 운전모드가 재조합되어 다른 처리공정이 수행됨으로써, 운전조건에 따라 3n개의 처리공정이 가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하·폐수처리공정에서 방류수에 영향을 주는 인자(factor)가 너무 많아, 고도처리에 의한 효과가 크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하·폐수처리 공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은 유입수의 수온, 폭기조내의 MLSS(mixed liquer suspended solid, 혼합액의 평균 부유물 농도)농도, 알칼리도, pH, 용존산소(DO)농도, 미생물 체류시간(호기조), 질산화 및 탈질 정도, C/N비, C/P비, 저농도 및 고농도 유입시, 응집제 및 여과시설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고도처리공정에서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응집제를 투여하여 슬러지(오니)를 침전 혹은 부상시켜 제거하거나, 여과시설을 통해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응집제는 황산알루미늄(Alum), 염화제이철, 황산제이철 및 폴리염화알루미늄(PAC) 등이다. 이들 물질은 사용시에 pH 저하(황산알루미늄), 처리시설의 부식(염화제이철, 황산제이철) 및 자연계에 알루미늄농도 증가(황산알루미늄, 폴리염화알루미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농도는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즉, 총인처리시설에 과다하게 사용되는 이들 물질이 향후 자연 수계 생태계에서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고도처리시설에는 다양한 형태의 여과시설(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과기술은 분리기술(separation technology)의 일종으로 유체속에 들어 있는 불순입자를 모래(sand), 섬유사(fiber), 스폰지, 망(mesh) 및 막(membrane)과 같이 기공을 가지고 있는 재질에 통과시켜 유체와 불순물 입자를 분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여과시설(장치)은 미세입자나 플록(floc)에 의해 쉽게 막히게 되므로, 역세척, 교환(교체) 및 약품세정 등의 방법으로 주기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역세척이 많이 발생하는 여과시설(장치)은 처리효율이 크게 감소할 수 있으며, 교환(교체)주기가 짧은 경우는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약품세정의 경우는 또 다른 오염물질(폐수발생)을 배출하는 악영향이 되풀이 될 수 있다.
최근 고도처리공정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가압부상방식은 응집제 투여 후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통해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플록(floc)을 부상하게 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과다한 에너지비용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처리장의 효율이 저하되면 영양염류가 과다하게 방류될 수 있어 처리장의 정상적인 운영 및 관리는 수계 부영양화 제어에 매우 중요하다.
상기 과정으로 부영양화된 수계는 조류의 이상 증식으로 호수 물의 착색, 이취미 원인 물질(2-MIB, Geosmine) 및 조류독소(microcystin-LR 등) 증가, 투명도 감소, 탁도 증가 및 호수 심층부의 혐기화가 가속화되며, 어·폐류 및 가축 폐사와 같은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수생태계의 건강성이 급격히 악화되어 수자원 이용의 효율성 저하 및 가치하락으로 사회·경제적인 비용부담의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심미적 및 경관적 가치 하락으로 생태계 서비스에 악영향을 초래하여 관광산업 등 지역경제에 많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하·폐수처리나 고도처리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도출된 기술로서, 생활하수처리나 폐수처리 단계에서 최종 침전조를 통해 방류되는 방류수가 종종 방류수 기준을 초과하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높은 농도의 영양염류가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하·폐수 처리장의 후단에 설치하여 처리수의 안전을 보장하고, 여과장치의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하며, 간편하면서도 우수한 처리 효율을 제공하고, 서버의 구축에 의해 중앙통제실에서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면서 사용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보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응집제와 반응시킨 하폐수가 유입구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고도 처리되고, 고도 처리를 마친 처리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 내에 물을 공급하여 침전물이나 부유물이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흐름을 증대시키는 물공급부; 상기 처리조 내에서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 양측면에 접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놓여지고, 여과망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폐수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필터링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무한궤도 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여과이송부; 및 상기 여과이송부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방으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처리조는,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에서 상기 유입구 측에 하부를 제외한 영역을 차단시키도록 상부물막이가 설치되고, 내측에 격벽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를 전환시켜서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처리조는, 바닥에 V자 단면 형태를 가지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V자의 하단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의 상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슬러지배출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배출관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는, 물의 공급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급수펌프; 상기 급수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다수로 분배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분배박스; 상기 분배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고, 절곡됨으로써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부메인라인; 상기 상부메인라인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상기 이동경로에 순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상부급수라인; 상기 분배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고, 절곡됨으로써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하부메인라인; 및 상기 하부메인라인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상기 이동경로에 순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하부급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이송부는,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1차 여과이송부, 2차 여과이송부 및 3차 여과이송부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1차 여과이송부 및 상기 2차 여과이송부가 일렬로 배열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의 컨베이어벨트를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상기 3차 여과이송부가 컨베이어벨트를 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1차 여과이송부, 상기 2차 여과이송부 및 상기 3차 여과이송부 각각은, 상기 처리조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되게 상하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되는 롤러에 상기 여과망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벨트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컨베이어모터의 회전력이 체인이나 타이밍벨트에 의해 상기 롤러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1차 여과이송부, 상기 2차 여과이송부 및 상기 3차 여과이송부 각각은, 차수로 높을수록 컨베이어벨트의 메쉬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여과이송부, 상기 2차 여과이송부 및 상기 3차 여과이송부 각각은,
상부에 컨베이어벨트로부터 슬러지를 이탈시키기 위한 클리너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1차 여과이송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2차 여과이송부에 슬러지이송받이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러지이송받이에 의해 상기 1차 여과이송부로부터 슬러지를 자중에 의해 상기 2차 여과이송부에 전달하고, 상기 2차 여과이송부의 상단으로부터 슬러지이송컨베이어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러지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2차 여과이송부로부터 슬러지를 제 1 슬러지받이에 회수되도록 하며, 상기 3차 여과이송부의 상단에 제 2 슬러지받이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 2 슬러지받이에 상기 3차 여과이송부로부터 상방으로 이송되는 슬러지가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처리조에 유입되는 하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 1 유량측정부; 상기 처리조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 2 유량측정부; 상기 응집제를 상기 하폐수에 투입하는 응집제투입부; 상기 처리조로부터 슬러지를 이송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펌프;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제 1 유량측정부 및 상기 제 2 유량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또는 수작업에 의해, 상기 응집제투입부에 의한 응집제의 투입량 조절, 상기 물공급부에 의한 물 공급량 조절 및 상기 여과이송부와 상기 회수부의 동작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 및 상기 제 1 유량측정부 및 상기 제 2 유량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로부터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받아,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응집제투입부, 상기 물공급부, 상기 여과이송부 및 상기 회수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생활하수처리나 폐수처리 단계에서 최종 침전조를 통해 방류되는 방류수가 종종 방류수 기준을 초과하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높은 농도의 영양염류가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하·폐수 처리장의 후단에 설치하여 처리수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여과장치의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간편하면서도 우수한 처리 효율을 제공할 수 있고, 서버의 구축에 의해 중앙통제실에서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면서 사용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서 물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서 여과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서 여과이송부 각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서 1차 및 2차 여과이송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서 3차 여과이송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서 처리조의 홈부 및 배출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서 클리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서 물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에서 여과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100)은 처리조(110), 물공급부(120), 여과이송부(130,140,150) 및 회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조(110)는 응집제와 반응시킨 하폐수가 유입구(111)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고도 처리되고, 고도 처리를 마친 처리수가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처리조(110)는 하폐수의 이동경로에서 유입구(111) 측에 하부를 제외한 영역을 차단시키도록 상부물막이(113)가 설치되고, 내측에 격벽(114)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하폐수의 이동경로를 전환시켜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지그재그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처리조(110)는 지상이나 지하에 설치가 가능하며, 내부가 격벽식 수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물의 수위는 바닥으로부터 3/4 ~ 4/5 높이까지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유입되는 하폐수는 처리조(110) 내로 유입시키기 전에 응집제와 반응시키고, 처리조(110)에서 상하 방향으로 2/3를 차지함으로써 하부가 개방되도록 상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는 상부물막이(113)를 통해 처리조(110) 내에서 아래쪽으로 흐르도록 한다.
응집제는 천연원료(식물 및 광물 추출액)를 바탕으로 개발된 워터헬스(water health)를 사용할 수 있는데, 워터헬스는 기존의 특허제품으로 조류(algae)의 응집·부상 제거 및 수질관리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먹는물 수처리용으로도 등록된 제품이다. 또한 워터헬스는 물벼룩, 송사리 및 생쥐 실험을 통한 안전성 평가를 취득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제품이다. 이러한 응집제에 의해 응집된 플록(floc)과 슬러지(오니)는 자연적으로 부상되는 것과 물공급부(120)에 의해 부유시켜서 컨베이어벨트 방식의 여과이송부(130,140,150)를 통해 슬러지를 부상시켜 배출하고, 처리수는 자연 흐름방식으로 방류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처리조(110)는 바닥에 V자 단면 형태를 가지는 홈부(115)가 형성되고, V자의 하단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출관(116)이 설치되며, 배출관(116)의 상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흡입구(116a)가 형성되고, 슬러지배출펌프(174; 도 9 참조)의 펌핑력에 의해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구(116a)를 통해 흡입하여 배출관(11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관(116)은 처리조(110)의 바닥에 형성되는 방출구(117)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조(110) 내에서 침전슬러지가 바닥에 쌓이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방출구(117)가 침전슬러지의 배출을 위하여 하단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이 V자 모양으로 경사를 가지는 홈부(115)를 형성함으로써 슬러지가 쉽게 모이도록 하고, V자 모양의 홈부(115) 내에는 흡입구(116a)가 형성된 배출관(116)을 설치함으로써, 슬러지배출펌프(174; 도 9에 참조)로 슬러지를 강제로 뽑아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공급부(120)는 처리조(110) 내에 물을 공급하여 침전물이나 부유물이 배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흐름을 증대시킨다. 물공급부(120)는 바닥의 침전물이나 부유되어 있는 슬러지를 순방향, 즉 배출구(112)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내고 부유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하폐수의 원활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물공급부(120)는 처리조(110) 내에서 바닥층과 표층부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일례로, 물의 공급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급수펌프(121)와, 급수펌프(12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다수로 분배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분배박스(122)와, 분배박스(122)에 연결되어 처리조(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고, 절곡됨으로써 하폐수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부메인라인(123)과, 상부메인라인(123)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하폐수의 이동경로에 순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상부급수라인(124)과, 분배박스(122)에 연결되어 처리조(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고, 절곡됨으로써 하폐수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하부메인라인(125)과, 하부메인라인(125)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하폐수의 이동경로에 순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하부급수라인(126)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박스(122)는 자바라호스 등과 같은 연결관(121a)을 통해 급수펌프(121)에 연결될 수 있고, 급수펌프(12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다수의 경로, 예컨대 처리조(110)의 상부와 하부에 해당하는 2개의 경로로 분배하도록 한다.
여과이송부(130,140,150)는 처리조(110) 내에서 하폐수의 이동경로 양측면에 접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놓여지고, 여과망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131,141,151)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하폐수가 컨베이어벨트(131,141,151)를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필터링되어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무한궤도 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여과이송부(130,140,150)는 다수로 설치되되, 다수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후술하게 될 제 3 여과이송부(150)에서와 같이 수면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응집제와 혼합된 하폐수가 유입하여 통과시 슬러지 등을 필터링하여 방류되도록 하는데, 하폐수의 처리 효율을 고려하여, 그 개수 내지 차수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여과이송부(130,140,150)는 하폐수의 이송경로를 따라 1차 여과이송부(130), 2차 여과이송부(140) 및 3차 여과이송부(15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1차 여과이송부(130) 및 2차 여과이송부(140)가 일렬로 배열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의 컨베이어벨트(131,141)를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3차 여과이송부(150)가 컨베이어벨트(151)를 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면아래에 설치된 1차 여과이송부(130)와 2차 여과이송부(140)는 회전할 때 바닥에 침전되어 있거나 부유되어 있는 슬러지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되, 물은 통과시키게 된다.
1차 여과이송부(130), 2차 여과이송부(140) 및 3차 여과이송부(150) 각각은, 처리조(110)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프레임(132,142,1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되게 상하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되는 롤러(133,143,153)에 여과망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벨트(131,141,151)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스크린프레임(132,142,152)의 상단에 고정되는 컨베이어모터(134,144,154)의 회전력이 체인이나 타이밍벨트(135,145,155)에 의해 롤러(133,143,153)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전달될 수 있다.
1차 여과이송부(130), 2차 여과이송부(140) 및 3차 여과이송부(150) 각각은 차수로 높을수록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메쉬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1차 여과이송부(130)는 비교적 큰 입자와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고, 3차 여과이송부(150) 또는 그 이상 차수의 여과이송부는 비교적 작은 입자와 슬러지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여과의 효율과 처리수(량)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과망에 해당하는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재질은 수중 사용에 적합하도록 폴리에틸렌, 테프론, 나일론 및 스테인리스스틸 망 등을 이용하여 용도에 적합하게 제작될 수 있다.
1차 여과이송부(130), 2차 여과이송부(140) 및 3차 여과이송부(150) 각각은 물 흐름에 대각선 방향으로 약간 기울여 설치하거나, 수직으로 설치 가능하고,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며, 여과 효율이 좋고, 슬러지 부상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정한 각도로 설치할 수 있다. 1차 여과이송부(130), 2차 여과이송부(140) 및 3차 여과이송부(150) 각각의 스크린프레임(131,141,151)은 처리조(110) 내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ㄷ자 형태의 돌출홈에 양측부가 끼워짐으로써 해체 및 분리를 용이하도록 설치되고, 이로 인해 컨베이어벨트(131,141,151)에 대한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도록 한다.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1차 여과이송부(130), 2차 여과이송부(140) 및 3차 여과이송부(150) 각각은 상부에 컨베이어벨트(131,141,151)로부터 슬러지를 이탈시키기 위한 클리너(136,146,156)가 마련될 수 있다. 클리너(136,146,156) 각각은 브라켓(137,147,157)에 의해 컨베이어벨트(131,141,151)와의 접촉에 의해 슬러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여과망인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재질에 따라 그 재질이나 모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131,141,151)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슬러지이송컨베이어(162)의 상부에도 클리너(162a)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클리너(162a)는 컨베이어벨트(131,141,151)에 설치되는 클리너(136,146,156)와 동일한 구조와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이송부(130,140,150)는 물속에서 작동하는 컨베이어벨트식 여과장치로서, 막힘이 발생하지 않아 역세척 등이 필요 없어 여과의 효율과 처리수(량)의 효율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물(유체)은 통과시키고, 컨베이어벨트(131,141,151)가 회전할 때 플록이나 슬러지는 위쪽으로 부유시켜 부유된 슬러지를 회수부(160)에 의해 회수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회수부(160)는 여과이송부(130,140,150)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방으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회수한다. 회수부(160)는 예컨대, 1차 여과이송부(130)의 상단으로부터 2차 여과이송부(140)에 슬러지이송받이(161)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슬러지이송받이(161)에 의해 1차 여과이송부(130)로부터 슬러지를 자중에 의해 2차 여과이송부(140)에 전달하고, 2차 여과이송부(140)의 상단으로부터 슬러지이송컨베이어(162)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슬러지이송컨베이어(162)에 의해 2차 여과이송부(140)로부터 슬러지를 제 1 슬러지받이(163)에 회수되도록 하며, 3차 여과이송부(150)의 상단에 제 2 슬러지받이(164)가 설치됨으로써, 제 2 슬러지받이(164)에 3차 여과이송부(150)로부터 상방으로 이송되는 슬러지가 회수되도록 한다. 따라서, 1차 여과이송부(130)와 2차 여과이송부(140) 사이에는 1차 여과이송부(130)가 회전할 때 부상한 슬러지를 슬러지이송받이(161)에 의해 2차 여과이송부(140) 후단에 부상한 슬러지의 이송을 위한 슬러지이송컨베이어(162)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슬러지이송받이(161)는 1차 여과이송부(130)에서 2차 여과이송부(140) 측으로 약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부상 슬러지를 자연스럽게 후단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제 1 슬러지받이(163)는 슬러지이송컨베이어(162)의 후단에 설치되고, 투명한 재질, 예컨대 투명아크릴이나 투명 PC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설치시 다른 물과 슬러지가 섞이지 않도록 한다.
슬러지이송받이(161)를 통해 이송된 슬러지는 2차 여과이송부(140)의 컨베이어벨트(141)의 회전에 의해 부상한 슬러지와 함께 2차 여과이송부(140)의 후단에 설치된 슬러지이송컨베이어(162)를 통해 제 1 슬러지받이(163)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3차 여과이송부(150)는 바닥부터 수면 위쪽까지 여과망인 컨베이어벨트(151)가 설치되며, 컨베이어벨트(151)가 회전할 때 부상되는 슬러지가 그 후단에 설치된 제 2 슬러지받이(164)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즉, 3차 여과이송부(150)는 물이 여과망을 통과해야만 배출이 가능하도록 컨베이어벨트(151)를 수면 위쪽까지 설치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슬러지받이(163,164)는 회수된 슬러지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163a,164a)가 각각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도 후 처리 시스템(100)은 처리조(110)에 유입되는 하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 1 유량측정부(171)와, 처리조(11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 2 유량측정부(172)와, 응집제를 하폐수에 투입하는 응집제투입부(173)와, 처리조(110)로부터 슬러지를 이송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펌프(174)와,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175)와, 통신부(175)를 통해서 제 1 유량측정부(171) 및 제 2 유량측정부(172)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또는 수작업에 의해, 응집제투입부(173)에 의한 응집제의 투입량 조절, 물공급부(120)에 의한 물 공급량 조절 및 여과이송부(130,140,150)와 회수부(160)의 동작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176)와, 제 1 유량측정부(171) 및 제 2 유량측정부(172)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통신부(175)를 통해서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176)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176)로부터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175)에 의해 수신받아, 제어신호에 상응하도록 응집제투입부(173), 물공급부(120), 여과이송부(130,140,150) 및 회수부(16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례로 중앙통제실(2) 등에 설치가 가능한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176)를 도입함으로써, 하폐수처리장 최종방류조(1)로부터 유입되는 하폐수에 대한 처리를 위하여, 중앙통제실(2)에서의 고도 후 처리 시스템(100)에 대한 중앙통제를 용이하도록 하고, 유입수 및 방류수 실시간 모니터링(TN, TP 등), 유량펌프 제어, 응집제 투입량 제어, 여과이송부(130,140,150) 및 회수부(160)의 제어, 슬러지 이송 배출제어, 처리수 이송 배출제어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하·폐수처리공정의 후단에 설치하여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총인(TP) 및 총질소(TN)를 추가적으로 처리하고, 해당 수계의 건강성 회복에 기여하며, 기존 처리장의 방류수 수질이 법적 기준을 초과하는 처리시설에 대해 보완 시설로 적용 가능하고, 기존 고도처리에서 사용하고 있는 응집제와 여과시설(장치)에 대해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입자나 플록(floc)에 의해 막히고 효율이 저하되는 여과시설을 물속에서 구동하는 컨베이어벨트(131,141,151) 여과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문제를 해결하고, 여과망인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메쉬 크기는 앞쪽에 설치되는 경우, 큰 입자와 플록을 거를 수 있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뒤쪽으로 갈수록 작은 입자 등을 제거하도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앞쪽에 설치되는 1차 여과이송부(130)와 2차 여과이송부(140)는 바닥부터 수면 바로 아래까지 여과망인 컨베이어벨트(131,141)가 설치되도록 하여, 여과망의 과부하(overload)시 유수(물)의 흐름을 위쪽 표면으로 유도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1차 여과이송부(130)의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큰 입자와 큰 플록만을 거를 수 있도록 메쉬 사이즈를 큰 것으로 설치하고, 여과망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물속에서 회전되도록 컨베이어벨트 방식을 채택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여과이송부(130) 동작시 부유되는 부상 슬러지는 2차 여과이송부(14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슬러지이송받이(161)에 의해 2차 여과이송부(140) 바로 직전까지 이송하고, 다시 2차 여과이송부(140) 동작시에 부상하는 부상 슬러지와 함께 2차 여과이송부(140) 후단에 설치된 슬러지이송컨베이어(162)로 이송하여, 그 후단에 설치된 제 1 슬러지받이(16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이때, 슬러지이송받이(161)는 자연유하가 가능하도록 경사를 두었으며, 제 1 슬러지받이(163)는 부상 슬러지가 주변의 물과 섞이지 않도록 설치되며, 수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 가능하다.
1차 여과이송부(130) 및 2차 여과이송부(140)는 수면 아래에 설치되며, 여과망인 컨베이어벨트(131,141)가 물속에서 회전하도록 하고, 3차 여과이송부(150)는 미세한 입자와 작은 플록까지 거를 수 있는 여과망에 해당하는 컨베이어벨트(151)를 채택하고, 이를 전체 격벽에 의한 수로(water channel)를 커버할 수 있도록 바닥부터 수면 위쪽까지 설치하고, 후단에는 부상 슬러지를 회수하기 위한 제 2 슬러지받이(164)를 두어 컨베이어벨트(151)의 회전에 의해 부상하는 부상 슬러지를 즉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모든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후단쪽에는 부착된 슬러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일례로 바(bar) 형태의 클리너(136,146,156)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하·폐수처리나 고도처리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도출된 기술로서, 생활하수처리나 폐수처리 단계에서 최종 침전조를 통해 방류되는 방류수가 종종 방류수 기준을 초과하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높은 농도의 영양염류가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하·폐수 처리장의 후단에 설치하여 처리수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여과장치의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간편하면서도 우수한 처리 효율을 제공할 수 있고, 서버의 구축에 의해 중앙통제실에서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면서 사용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하폐수처리장 최종방류조 2 : 중앙통제실
110 : 처리조 111 : 유입구
112 : 배출구 113 : 상부물막이
114 : 격벽 115 : 홈부
116 : 배출관 116a : 흡입구
117 : 방출구 120 : 물공급부
121 : 급수펌프 121a : 연결관
122 : 분배박스 123 : 상부메인라인
124 : 상부급수라인 125 : 하부메인라인
126 : 하부급수라인 130 : 1차 여과이송부
131 : 컨베이어벨트 132 : 스크린프레임
133 : 롤러 134 : 컨베이어모터
135 : 타이밍벨트 136 : 클리너
137 : 클리너브라켓 140 : 2차 여과이송부
141 : 컨베이어벨트 142 : 스크린프레임
143 : 롤러 144 : 컨베이어모터
145 : 타이밍벨트 146 : 클리너
147 : 클리너브라켓 150 : 3차 여과이송부
151 : 컨베이어벨트 152 : 스크린프레임
153 : 롤러 154 : 컨베이어모터
155 : 타이밍벨트 156 : 클리너
157 : 클리너브라켓 160 : 회수부
161 : 슬러지이송받이 162 : 슬러지이송컨베이어
163 : 제 1 슬러지받이 163a : 배출구
164 : 제 2 슬러지받이 164a : 배출구
171 : 제 1 유량측정부 172 : 제 2 유량측정부
173 : 응집제투입부 174 : 슬러지배출펌프
175 : 통신부 176 :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
177 : 제어부

Claims (13)

  1. 응집제와 반응시킨 하폐수가 유입구(111)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고도 처리되고, 고도 처리를 마친 처리수가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조(110);
    상기 처리조(110) 내에 물을 공급하여 침전물이나 부유물이 상기 배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흐름을 증대시키는 물공급부(120);
    상기 처리조(110) 내에서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 양측면에 접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놓여지고, 여과망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131,141,151)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폐수가 상기 컨베이어벨트(131,141,151)를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필터링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무한궤도 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여과이송부(130,140,150); 및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방으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회수하는 회수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는,
    다수로 설치되되, 상기 다수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수면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부(120)는,
    물의 공급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급수펌프(121);
    상기 급수펌프(12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다수로 분배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분배박스(122);
    상기 분배박스(122)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조(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고, 절곡됨으로써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부메인라인(123);
    상기 상부메인라인(123)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상기 이동경로에 순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상부급수라인(124);
    상기 분배박스(122)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조(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고, 절곡됨으로써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하부메인라인(125); 및
    상기 하부메인라인(125)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상기 이동경로에 순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하부급수라인(126);
    을 포함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는,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1차 여과이송부(130), 2차 여과이송부(140) 및 3차 여과이송부(15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1차 여과이송부(130) 및 상기 2차 여과이송부(140)가 일렬로 배열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의 컨베이어벨트(131,141)를 수면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상기 3차 여과이송부(150)가 컨베이어벨트(151)를 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110)는,
    바닥에 V자 단면 형태를 가지는 홈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V자의 하단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출관(116)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116)의 상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흡입구(116a)가 형성되고, 슬러지배출펌프(174)의 펌핑력에 의해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흡입구(116a)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배출관(11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 여과이송부(130), 상기 2차 여과이송부(140) 및 상기 3차 여과이송부(150) 각각은,
    상기 처리조(110)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프레임(132,142,1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되게 상하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되는 롤러(133,143,153)에 상기 여과망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벨트(131,141,151)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프레임(132,142,152)의 상단에 고정되는 컨베이어모터(134,144,154)의 회전력이 체인이나 타이밍벨트(135,145,155)에 의해 상기 롤러(133,143,153)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전달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 여과이송부(130), 상기 2차 여과이송부(140) 및 상기 3차 여과이송부(150) 각각은,
    차수가 높을수록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메쉬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 여과이송부(130), 상기 2차 여과이송부(140) 및 상기 3차 여과이송부(150) 각각은,
    상부에 컨베이어벨트(131,141,151)로부터 슬러지를 이탈시키기 위한 클리너(136,146,156)가 마련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160)는,
    상기 1차 여과이송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2차 여과이송부(140)에 슬러지이송받이(161)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러지이송받이(161)에 의해 상기 1차 여과이송부(130)로부터 슬러지를 자중에 의해 상기 2차 여과이송부(140)에 전달하고, 상기 2차 여과이송부(140)의 상단으로부터 슬러지이송컨베이어(162)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러지이송컨베이어(162)에 의해 상기 2차 여과이송부(140)로부터 슬러지를 제 1 슬러지받이(163)에 회수되도록 하며, 상기 3차 여과이송부(150)의 상단에 제 2 슬러지받이(164)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 2 슬러지받이(164)에 상기 3차 여과이송부(150)로부터 상방으로 이송되는 슬러지가 회수되도록 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9. 응집제와 반응시킨 하폐수가 유입구(111)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고도 처리되고, 고도 처리를 마친 처리수가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조(110);
    상기 처리조(110) 내에 물을 공급하여 침전물이나 부유물이 상기 배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흐름을 증대시키는 물공급부(120);
    상기 처리조(110) 내에서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 양측면에 접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놓여지고, 여과망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131,141,151)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폐수가 상기 컨베이어벨트(131,141,151)를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필터링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무한궤도 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여과이송부(130,140,150); 및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방으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회수하는 회수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는,
    다수로 설치되되, 상기 다수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수면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처리조(110)에 유입되는 하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 1 유량측정부(171);
    상기 처리조(11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 2 유량측정부(172);
    상기 응집제를 상기 하폐수에 투입하는 응집제투입부(173);
    상기 처리조(110)로부터 슬러지를 이송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펌프(174);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175);
    상기 통신부(175)를 통해서 상기 제 1 유량측정부(171) 및 상기 제 2 유량측정부(172)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또는 수작업에 의해, 상기 응집제투입부(173)에 의한 응집제의 투입량 조절, 상기 물공급부(120)에 의한 물 공급량 조절 및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와 상기 회수부(160)의 동작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176);
    상기 제 1 유량측정부(171) 및 상기 제 2 유량측정부(172)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상기 통신부(175)를 통해서 상기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176)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176)로부터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175)에 의해 수신받아,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응집제투입부(173), 상기 물공급부(120),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 및 상기 회수부(16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77);
    를 더 포함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10. 응집제와 반응시킨 하폐수가 유입구(111)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고도 처리되고, 고도 처리를 마친 처리수가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조(110);
    상기 처리조(110) 내에 물을 공급하여 침전물이나 부유물이 상기 배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흐름을 증대시키는 물공급부(120);
    상기 처리조(110) 내에서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 양측면에 접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놓여지고, 여과망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131,141,151)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폐수가 상기 컨베이어벨트(131,141,151)를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필터링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무한궤도 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여과이송부(130,140,150); 및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방으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회수하는 회수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조(110)는,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에서 상기 유입구(111) 측에 하부를 제외한 영역을 차단시키도록 상부물막이(113)가 설치되고, 내측에 격벽(114)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를 전환시켜서 확장시키며,
    상기 물공급부(120)는,
    물의 공급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급수펌프(121);
    상기 급수펌프(12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다수로 분배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분배박스(122);
    상기 분배박스(122)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조(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고, 절곡됨으로써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상부메인라인(123);
    상기 상부메인라인(123)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상기 이동경로에 순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상부급수라인(124);
    상기 분배박스(122)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조(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고, 절곡됨으로써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하부메인라인(125); 및
    상기 하부메인라인(125)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상기 이동경로에 순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하부급수라인(126);
    을 포함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110)는,
    바닥에 V자 단면 형태를 가지는 홈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V자의 하단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출관(116)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116)의 상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흡입구(116a)가 형성되고, 슬러지배출펌프(174)의 펌핑력에 의해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흡입구(116a)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배출관(11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12. 삭제
  13. 응집제와 반응시킨 하폐수가 유입구(111)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고도 처리되고, 고도 처리를 마친 처리수가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조(110);
    상기 처리조(110) 내에 물을 공급하여 침전물이나 부유물이 상기 배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흐름을 증대시키는 물공급부(120);
    상기 처리조(110) 내에서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 양측면에 접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놓여지고, 여과망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131,141,151)가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폐수가 상기 컨베이어벨트(131,141,151)를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필터링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1,141,151)의 무한궤도 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여과이송부(130,140,150); 및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방으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회수하는 회수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조(110)는,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에서 상기 유입구(111) 측에 하부를 제외한 영역을 차단시키도록 상부물막이(113)가 설치되고, 내측에 격벽(114)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폐수의 이동경로를 전환시켜서 확장시키며,
    상기 처리조(110)에 유입되는 하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 1 유량측정부(171);
    상기 처리조(11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 2 유량측정부(172);
    상기 응집제를 상기 하폐수에 투입하는 응집제투입부(173);
    상기 처리조(110)로부터 슬러지를 이송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펌프(174);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175);
    상기 통신부(175)를 통해서 상기 제 1 유량측정부(171) 및 상기 제 2 유량측정부(172)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또는 수작업에 의해, 상기 응집제투입부(173)에 의한 응집제의 투입량 조절, 상기 물공급부(120)에 의한 물 공급량 조절 및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와 상기 회수부(160)의 동작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176);
    상기 제 1 유량측정부(171) 및 상기 제 2 유량측정부(172)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상기 통신부(175)를 통해서 상기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176)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도처리모니터링서버(176)로부터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175)에 의해 수신받아,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응집제투입부(173), 상기 물공급부(120), 상기 여과이송부(130,140,150) 및 상기 회수부(16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77); 를 더 포함하는, 고도 후 처리 시스템.
KR1020170106213A 2017-08-22 2017-08-22 고도 후 처리 시스템 KR101940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213A KR101940412B1 (ko) 2017-08-22 2017-08-22 고도 후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213A KR101940412B1 (ko) 2017-08-22 2017-08-22 고도 후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412B1 true KR101940412B1 (ko) 2019-04-10

Family

ID=6616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213A KR101940412B1 (ko) 2017-08-22 2017-08-22 고도 후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4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941A (zh) * 2019-05-27 2019-11-15 宁波国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原位微生物净化装置
CN113877282A (zh) * 2021-10-29 2022-01-04 蒋豪 一种工业冷却水节水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539B1 (ko) * 1985-02-12 1990-03-12 스미드 앤드 러브리스 인코포레이티드 폐수의 생물학적 호기성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H07136662A (ja) * 1993-11-12 1995-05-30 Chuo Nippon Kogyo Kk 静流式スラッジ濾過乾燥装置
JP2012176346A (ja) * 2011-02-25 2012-09-13 Panasonic Corp 水処理装置
KR101691995B1 (ko) * 2016-10-27 2017-01-02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539B1 (ko) * 1985-02-12 1990-03-12 스미드 앤드 러브리스 인코포레이티드 폐수의 생물학적 호기성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H07136662A (ja) * 1993-11-12 1995-05-30 Chuo Nippon Kogyo Kk 静流式スラッジ濾過乾燥装置
JP2012176346A (ja) * 2011-02-25 2012-09-13 Panasonic Corp 水処理装置
KR101691995B1 (ko) * 2016-10-27 2017-01-02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우수 차집 및 여과 처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941A (zh) * 2019-05-27 2019-11-15 宁波国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原位微生物净化装置
CN110448941B (zh) * 2019-05-27 2024-03-12 宁波国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原位微生物净化装置
CN113877282A (zh) * 2021-10-29 2022-01-04 蒋豪 一种工业冷却水节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35622B2 (en) Wastewater treatment
US20220363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ediation of wastewater including aerobic and electrocoagulation treatment
US9951509B2 (en) Water treatment system
KR100893122B1 (ko) 오·폐수 고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0882200B1 (ko)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KR100808289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CN108558133A (zh) 一种废水处理工艺及系统
KR101940412B1 (ko) 고도 후 처리 시스템
Stuetz et al. Principles of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CN203700070U (zh) 一种钢铁废水和市政污水混合再生回用的装置
CN107619154A (zh) 移动式重污染河道水体处理装置
KR101190472B1 (ko) 순환교반기를 가진 무 배관 막 여과 생물반응조
CN111392964A (zh) 一种雨污合流泵站污水的处理方法及其装置
KR101612879B1 (ko) 하수의 질소, 인 및 부유물 제거 장치 및 방법
CN203200128U (zh) 食品废水一体化处理设备
JP2022125959A (ja) 水底浄化装置
CN108164038A (zh) 一种给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1991868B1 (ko)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2009674B1 (ko) 친환경 생활하수 처리시스템
KR101144673B1 (ko) 연속식 수질정화시스템의 오폐수 교반장치
CN102249492B (zh) 拉咪呋啶废水处理方法
JP2006218435A (ja) 活性汚泥処理システム
CN205347130U (zh) 一种处理高浓度有机废水一体化装置
KR101180338B1 (ko) 하수처리장치
KR101430105B1 (ko) 이중 난류생성프레임이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