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985B1 -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 Google Patents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985B1
KR101690985B1 KR1020160070106A KR20160070106A KR101690985B1 KR 101690985 B1 KR101690985 B1 KR 101690985B1 KR 1020160070106 A KR1020160070106 A KR 1020160070106A KR 20160070106 A KR20160070106 A KR 20160070106A KR 101690985 B1 KR101690985 B1 KR 101690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ressing
net
main frame
ins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해피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피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피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망 프레임에 방충망을 체결/고정 시키기 위한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충망 프레임에 고정되는 방충망에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더라도 방충망이 방충망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추락 및 낙하의 인명피해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Safe mosquito net frame with avoid falling}
본 발명은 방충망 프레임에 방충망을 체결/고정 시키기 위한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충망 프레임에 고정되는 방충망에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더라도 방충망이 방충망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추락 및 낙하의 인명피해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의 창문에는 창문의 개방시 외부로부터 모기, 파리등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을 구비한 방충창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충창은 통상 철선을 엮어서 만든 방충망을 방충망 고정프레임 내에 설치하여 창틀 내에서 슬라이딩시켜 방충창을 개폐하거나 개방하도록 미닫이식으로 설치하여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방충망은 금속세선이나 나일론사 등으로 직조하여 제작된 망체로 형성되어 방충망 고정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방충망 고정프레임과 방충망의 결합시에는 체결고정식, 끼움식 등과 같은 다양한 고정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나사못을 사용하여 망체를 방충망 고정프레임에 체결고정식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나사못을 고정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수행해야 하는 공정이 증가하여 생산저하 및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 나사못 사이의 공간부가 취약하여 견고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홈과 돌기를 사용하여 망체를 방충망 고정프레임에 끼움식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망체에 외부의 충격이 부여되면 홈과 돌기 사이의 결합상태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되므로 방충망 고정프레임에서 망체가 탈락되어 방충창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체결고정식 및 끼움식을 채용한 종래의 방충망 고정프레임은 지지강도 및 결합강도가 미약하여 외부의 침입이나 어린이의 추락사고를 방지하지 못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0519호 '이탈방지용 방충망장치' (출원일자 2012.08.09)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7855호 '방충망 교체가 용이한 방충창틀' (출원일자 2016.03.03)
본 발명은 종래 방충망 설치구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층 아파트 적어도 1층 이상의 높은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충망에 사람이 기대거나 기타 다른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방충망에 충격을 전달하는 경우 방충망 프레임에 고정되는 방충망이 방충망 프레임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은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충망(100); 상기 방충망(10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방충망(100)의 측면을 감싸며 격자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200); 상기 방충망(10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상기 방충망(100)의 가장자리 일부를 절곡한 후 상기 방충망(100)의 절곡된 가장자리를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압박고정하는 압박핀(300); 상기 방충망(100)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힘(F)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압박핀(300)이 상기 메인프레임(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에 노출된 상기 압박핀(300)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내측면이 상기 압박핀(300)과 접촉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가압로드(410); 상기 가압로드(410)의 일측단에 상기 가압로드(4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충망(100)을 가압하는 지지로드(420); 및 상기 가압로드(410)의 타측단에 상기 지지로드(4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압로드(410)가 상기 압박핀(300)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로드(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상기 압박핀(3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방충망(1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수평로드(210)와 상기 제1 수평로드(210)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 수평로드(210)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되는 제2 수평로드(220)가 형성되되,
상기 방충망(100)의 가장자리가 상기 압박핀(300)의 측면 일부를 감싸며 절곡되어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경우 상기 방충망(100)이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끝단이 상기 압박핀(300)과 함께 삽입된 방충망(100)의 절곡된 부위를 가압 지지하는 제1 압박로드(211)와 제2 압박로드(221)가 상기 제1 수평로드(210)의 끝단과 제2 수평로드(220)의 끝단에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메인 프레임(200)에 상기 삽입로드(43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S2)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수평로드(22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지지턱(230)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로드(430)가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후 상기 방충망(100)에 상기 제1 가압힘(F)이 작용하면 상기 압박핀(300)이 상기 가압로드(410)를 가압하여 상기 삽입로드(430)가 상기 삽입공간(S1)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로드(430)의 하면이 상기 지지턱(23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박핀을 통해 방충망을 1차로 고정하고, 방충망에 가해지는 가압힘이 증가하더라도 지지프레임이 압박핀을 지지해줌으로써 방충망이 메인프레임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경우 외부에서 지지프레임을 탈착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과 메인프레임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였으며, 별도의 고정부재가 불필요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노동력감소 및 생산량 증가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압박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압박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 및 지지프레임 각각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압박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압박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압박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 및 지지프레임 각각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은 방충망(100)을 갖는다. 방충망(100)은 격자구조 즉, 그물망 형상으로 촘촘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방충망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화이버 그라스, PET 필라멘트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0.1 ~ 0.3mm 정도의 가는 다수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그물망 형상이다. 방충망(100)은 통상적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상의 규격으로 절단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방충망(100)의 측면 가장자리를 감싸며 사각형상의 격자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메임프레임(200)이 형성된다. 메인프레임(200)은 창틀에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방충망(100)이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방충망(10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방충망(100)을 메인프레임(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인 압박핀(300)이 구비된다. 압박핀(300)은 방충망(10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메인프레임(200)에 압박,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압박핀(300)은 방충망(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장자리의 일부를 압박핀(300)의 형상에 맞게 절곡시킨다. 이후 메인프레임(200)에 함입 형성된 삽입공간((S1)이하, 상세하게 설명))에 압박핀(300)이 삽입되도록 강한 토크로 압박핀(300)을 압박하여 방충망(100)을 메인프레임(200)에 고정시킨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압박핀(300)이 메인프레임(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프레임(200)에 고정 지지되는 지지프레임(400)이 구비된다. 지지프레임(400)은 메인프레임(200)에 압박 고정되어 메인프레임(200) 외부에 노출된 압박핀(300)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지지프레임(400)에 메인프레임(200)에 고정되면 지지프레임(400)의 내측면과 압박핀(300)이 밀착되어 압박핀(300)이 메인프레임(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3 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팽팽하게 긴장된 방충망(100)에 어린아이나 사람이 기대면 방충망(100)의 표면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힘(F)이작용한다. 동시에 제1 가압힘(F)에 의해 방충망(100)이 메인프레임(200)에서 인출되려는 제1 작용힘(F2)이 가해진다. 제1 작용힘(F2)에 의해 메인프레임(200)에 고정된 압박핀(300)에는 압박핀(300)을 메인프레임(200)에서 인출시키기 위한 제2 작용힘(F3)이 작용한다. 이때 지지프레임(400)이 메인프레임(200)에 고정되어 압박핀(30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압박핀(300)을 지지하고 있음으로 방충망(100)이 메인프레임(200)에서 슬라이딩되며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400)은 가압로드(410), 지지로드(420) 및 삽입로드(430)를 포함한다. 가압로드(410)는 지지프레임(400)이 메인프레임(200)에 삽입 고정될 때 압박핀(300)과 접촉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로드(420)는 가압로드(410)의 일측단으로부터 가압로드(410)가 세워져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즉, 가압로드(410)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질 때 가압로드(410)의 세워지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지지로드(420)의 끝단은 방충망(100)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 방충망(100)에 상기 제1 가압힘(F)이 작용하면 방충망(100)이 메인프레임(200)의 상단에 지지되어 방충망(100)이 슬라이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로드(430)는 가압로드(410)의 타측단에 지지로드(4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로드(410)가 압박핀(300)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삽입로드(430)는 메인프레임(200)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삽입로드(430)는 지지로드(420)보다 더 돌출되어 메인프레임(200)에 삽입 고정된다. 삽입로드(430)의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지지프레임(400)의 고정력이 증가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메인프레임(200), 바람직하게는 메인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제1 수평로드(210)가 돌출 형성된다. 제1 수평로드(210)는 압박핀(30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해 방충망(100)이 세워지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1 수평로드(210)의 하측에는 제1 수평로드(210)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제1 수평로드(210)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수평로드(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수평로드(210)와 제2 수평로드(220)의 이격된 사이가 압박핀(30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1)에 해당한다.
한편, 제1 수평로드(210)의 끝단에는 하방향, 즉, 압박핀(3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제1 압박로드(211)가 돌출 형성된다. 제1 압박로드(211)는 방충망(100)의 가장자리가 압박핀(300)의 측면 일부를 감싸며 절곡되어 압박핀(300)과 함께 삽입공간(S1)에 삽입된 경우 방충망(100)이 압박핀(300)에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방충망(100)의 압박핀(300)의 측면을 따라 절곡된 부위를 가압 지지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제2 수평로드(220)의 끝단에는 제1 압박로드(211)와 대칭을 이루는 제2 압박로드(221)가 돌출 형성된다. 제2 압박로드(221) 또한, 압박핀(300)에 절곡된 상태를 유지한 방충망(100)의 일부분을 가압 지지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로 인해 방충망(100)에 제1 가압힘(F)이 가해져도 제1 압박로드(211)가 방충망(100)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방충망(100)이 미끄러져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200)에 삽입로드(43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2 수평로드(22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지지턱(230)이 형성된다. 제2 수평로드(220)과 지지턱(230)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S2)은 삽입로드(430)가 삽입, 바람직하게는 억지끼움될 수 있다. 이때 삽입공간(S2)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제1 돌기(S2-1)가 형성되고, 삽입로드(430)의 측면에는 제1 돌기(S2-1)과 대응하는 제2 돌기(430-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삽입로드(430)가 삽입공간(S2)에 삽입되면 쉽게 외부로 인출되지 못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삽입로드(430)가 삽입공간(S1)에 삽입된 후 방충망(100)에 제1 가압힘(F)이 작용하면, 압박핀(300)이 인출되려는 제3 작용힘(F3)에 의해 압박핀(300)이 가압로드(410)를 가압한다. 동시에 가압로드(410)에 의해 삽입로드(430)에는 제3 작용힘(F3)이 작용된다. 따라서, 지지턱(230)이 제3 작용힘(F3) 보다 큰 힘으로 삽입로드(430)의 하면을 지지해줌으로써, 삽입공간(S1)에 삽입된 삽입로드(430)가 제2 및 제3 작용힘(F2,F3)에 의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압박핀(300)의 형상은 수용공간(S1)에서 쉽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압박핀(300)의 일측이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며 벌어진 일측이 메인프레임(200)에 고정된다. 이때 벌어지는 각도(r)는 방충망(100)의 종류, 두께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은 방충망(100)에 전달되는 외력이 증가하더라도 방충망(100)이 메인프레임(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시공이 간편하여 노동력감소 및 생산량 증가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100 : 방충망 200 : 메인프레임
210 : 제1 수평로드 211 : 제1 압박로드
220 : 제2 수평로드 221 : 제2 압박로드
230 : 지지턱 300 : 압박핀
400 : 지지프레임 410 : 가압로드
420 : 지지로드 430 : 삽입로드
S1 : 수용공간 S2 : 수용공간

Claims (4)

  1.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충망(100);
    상기 방충망(10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방충망(100)의 측면을 감싸며 격자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200);
    상기 방충망(10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상기 방충망(100)의 가장자리 일부를 절곡한 후 상기 방충망(100)의 절곡된 가장자리를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압박고정하는 압박핀(300);
    상기 방충망(100)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힘(F)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압박핀(300)이 상기 메인프레임(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에 노출된 상기 압박핀(300)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40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내측면이 상기 압박핀(300)과 접촉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가압로드(410);
    상기 가압로드(410)의 일측단에 상기 가압로드(4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상기 방충망(100)을 가압하여 상기 방충망(100)이 상기 메인프레임(200)에서 슬라이딩되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로드(420);
    상기 가압로드(410)의 타측단에 상기 지지로드(4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압로드(410)가 상기 압박핀(300)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0)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로드(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상기 압박핀(3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방충망(1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수평로드(210)와 상기 제1 수평로드(210)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 수평로드(210)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되는 제2 수평로드(220)가 형성되되,
    상기 방충망(100)의 가장자리가 상기 압박핀(300)의 측면 일부를 감싸며 절곡되어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경우
    상기 방충망(100)이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끝단이 상기 압박핀(300)과 함께 삽입된 방충망(100)의 절곡된 부위를 가압 지지하는 제1 압박로드(211)와 제2 압박로드(221)가 상기 제1 수평로드(210)의 끝단과 제2 수평로드(220)의 끝단에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0)에 상기 삽입로드(43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S2)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수평로드(22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지지턱(230)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로드(430)가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후 상기 방충망(100)에 상기 제1 가압힘(F)이 작용하면 상기 압박핀(300)이 상기 가압로드(410)를 가압하여 상기 삽입로드(430)가 상기 삽입공간(S1)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로드(430)의 하면이 상기 지지턱(23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20160070106A 2016-06-07 2016-06-07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169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106A KR101690985B1 (ko) 2016-06-07 2016-06-07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106A KR101690985B1 (ko) 2016-06-07 2016-06-07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985B1 true KR101690985B1 (ko) 2016-12-29

Family

ID=5773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106A KR101690985B1 (ko) 2016-06-07 2016-06-07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8530A (ja) * 2018-03-30 2019-10-17 株式会社Lixil 網戸
KR102196387B1 (ko) * 2019-12-30 2020-12-29 주식회사 디에스하우징 기밀형 가스켓 및 이를 이용한 안전 방진망 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153A (ja) * 2006-08-07 2007-08-16 Seiki Hanbai Co Ltd 網戸用ネットの押さえ部材
KR20140020519A (ko) 2012-08-09 2014-02-19 강민성 이탈방지용 방충망장치
KR20150105779A (ko) * 2014-03-10 2015-09-18 강민성 복층 방충망 창틀 장치
KR20160037855A (ko) 2015-09-18 2016-04-06 김선이 방충망 교체가 용이한 방충창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153A (ja) * 2006-08-07 2007-08-16 Seiki Hanbai Co Ltd 網戸用ネットの押さえ部材
KR20140020519A (ko) 2012-08-09 2014-02-19 강민성 이탈방지용 방충망장치
KR20150105779A (ko) * 2014-03-10 2015-09-18 강민성 복층 방충망 창틀 장치
KR20160037855A (ko) 2015-09-18 2016-04-06 김선이 방충망 교체가 용이한 방충창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8530A (ja) * 2018-03-30 2019-10-17 株式会社Lixil 網戸
JP7097731B2 (ja) 2018-03-30 2022-07-08 株式会社Lixil 網戸
KR102196387B1 (ko) * 2019-12-30 2020-12-29 주식회사 디에스하우징 기밀형 가스켓 및 이를 이용한 안전 방진망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985B1 (ko)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US20150267459A1 (en) Adjustable Screen Tensioning System
US10188888B2 (en) Spring enclosed trampoline
KR200437799Y1 (ko) 방충망 조립체
KR101635464B1 (ko)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KR200395048Y1 (ko)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
KR20140020519A (ko) 이탈방지용 방충망장치
KR20090012116U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KR101606538B1 (ko) 방충망 고정장치
EP2910702A1 (en) Building panel for ceilings or walls
KR100750806B1 (ko) 방범창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200459938Y1 (ko) 방충망 고정장치
KR101862647B1 (ko) 창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 시스템
KR101961470B1 (ko) 방범 방충망 결합구조
KR20160101619A (ko) 슬라이드식 연동형 방충망장치
KR101795578B1 (ko)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
KR200479250Y1 (ko) 방충망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KR102434205B1 (ko) 이탈 방지부를 갖는 방충망
KR101454573B1 (ko) 세탁물 건조대가 구비된 창문 보호장치
KR20170132542A (ko) 방범용 방충망이 구비된 샤시구조체
KR20150105147A (ko) 방충망 장치
JP3236700U (ja) 窓型インビジブルグリル
JP5350283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