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464B1 -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464B1
KR101635464B1 KR1020150150447A KR20150150447A KR101635464B1 KR 101635464 B1 KR101635464 B1 KR 101635464B1 KR 1020150150447 A KR1020150150447 A KR 1020150150447A KR 20150150447 A KR20150150447 A KR 20150150447A KR 101635464 B1 KR101635464 B1 KR 101635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elastic member
frame
n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801A (ko
Inventor
김재원
김민경
오창현
김윤영
도미애
Original Assignee
(주) 텍스토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텍스토머 filed Critical (주) 텍스토머
Priority to KR102015015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46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그루브가 형성되고, 그루브의 상부측 양단에 각각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프레임에 망체를 고정하기 위한 망체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체의 일측단부와 함께 그루브 내로 삽입 설치되어 망체의 일측단부를 그루브 내에 고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면서 그루브 내로 삽입되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망체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어떠한 형태의 프레임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Fiber mesh fixing apparatus for safety and prevention of falling}
본 발명은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충 망체가 프레임 상에서 쉽게 뜯겨 나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치수의 프레임에 모두 적용가능하도록 한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리나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실내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이나 출입문에 망체로 된 방충망이 설치된다. 방충망은 주로 하절기에 유리창문을 연 상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방충기능 외에도 어느 정도의 방범, 방호 기능 및 추락방지 기능을 갖추어야 하고, 이에 따른 방충망 조립구조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하지만 종래의 방충망 조립구조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외력에 의해 방충망의 단부가 쉽게 빠지거나 뜯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인이 건물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기 불가능하며, 실내에서 어린이들이 부주의하게 기대거나 밀치는 경우에 그 무게와 힘에 밀려 방충망이 찢기거나 단부가 뜯어질 수 있는 등 버팀작용이 취약하기 때문에 추락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방충망의 조립구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62358호에서는 방충망의 가장자리 영역을 물고 프레임 상의 그루브에 삽입되고 프레임 상의 걸림턱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부와, 그 수평부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와, 그 수직부에 형성되어 프레임 상의 걸림턱에 걸림되는 날개부를 구비하는 고정대를 사용하여 프레임 상에 방충망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글라스화이버 방충망을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방충망의 조립구조는 공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를 사용하여 그루브 내로 방충망을 밀어 넣게 되면 탄성 제작되는 고정대의 수직부에 의해 그루브 내로 삽입이 용이하고, 고정대의 날개부에 의해 걸림턱에 걸림됨으로써 고정이 유리하긴 하나,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보면 고정대의 수직부와 방충망이 서로 이격되고 또한 방충망과 그루브 내면이 이격되어 있고, 고정대의 수평부와 걸림턱에만 밀착되어 있어 그만큼 밀착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방충망이 외력에 버티기 힘든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뿐 아니라, 상기 구조의 상태에서는 방충망에 당김 외력이 작용시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고정대 및 그 날개부가 프레임의 걸림턱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한 종래 구성에서는 수직부의 간격과 날개부의 형성위치가 프레임의 걸림턱 치수에 맞게 형성되어야 하지만, 상기 걸림턱은 각 제조사마다 치수가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하나의 고정대는 해당 고정대 치수와 대응되는 프레임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고정대 제조사는 다수개의 치수가 다른 고정대를 제조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제조사별로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제조사의 경우 생산비와 설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23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프레임에 형성된 그루브 내로 방충 망체를 탄성부재에 의해 밀착한 상태에서 걸림날개부를 갖는 고정대로 망체를 고정함으로써, 탄성부재와 고정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망체가 프레임 상에서 쉽게 뜯겨 나가지 않고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제조사마다 다양한 치수로 형성되는 프레임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고정대를 형성하여, 생산을 위한 치수별 설비가 요구되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가 저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그루브가 형성되고, 그루브의 상부측 양단에 각각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프레임에 망체를 고정하기 위한 망체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체의 일측단부와 함께 그루브 내로 삽입 설치되어 망체의 일측단부를 그루브 내에 고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면서 그루브 내로 삽입되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망체는 모노필라멘트사, PVC 코팅된 모노필라멘트사, PVC 코팅된 멀티필라멘트사, 합성수지사 또는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사와 PVC 코팅된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직된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는, 프레임의 그루브에 꽉차는 치수로 형성된 탄성부재에 의해 프레임의 그루브 내로 망체가 삽입되어 일차로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그루브 입구로 끼워지는 고정대에 의해 탄성부재가 가압 변형되면서 망체를 그루브 내면과 압착되게 재차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망체가 당김, 밀림 등의 외력을 받더라도 프레임 상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충 망체는 모노필라멘트사, PVC 코팅된 모노필라멘트사, PVC 코팅된 멀티필라멘트사, 합성수지사 또는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사와 PVC 코팅된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직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쉽게 끊기지 않으면서도 프레임 상에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설치 및 사용중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방충 망체를 방범용 및 추락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뿐 아니라 성인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결합강도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망체 고정장치의 분해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부재로 망체를 프레임 내에 밀어 넣은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대로 탄성부재를 가압하기 위해 그루브 입구에 위치시킨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대로 탄성부재를 가압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의 프레임 형태 및 치수 변형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해 창틀이나 문틀에 설치되는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는 망체(5)를 프레임(10)에 삽입고정하는 탄성부재(20) 및 고정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일측에 망체(5)가 삽입 고정되는 그루브(12)가 형성되고, 그루브(12)의 상부측 양단에는 걸림턱(13,14)이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14)과 프레임(10)의 표면까지는 상호 대향하는 지지벽(16,17)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벽(16,17)은 걸림턱(13,14)의 대향면으로 정의되거나 걸림턱(13,14)과 별도로 상부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벽(16,17)은 도 2 및 도 7에서와 같이 라운드 형태, 상광하협하게 경사진 형태 또는 수직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은 통상 알루미늄재 또는 PVC로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된다.
상기 프레임(10)의 그루브(12) 내에 삽입되는 망체(5)는 검정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함) 모노필라멘트사로 밀도 28-50EA/Inch, 개구사이즈 450-700㎛로 제직되어 일면에 형성된 금속나노코팅층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연질 투명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모노필라멘트사, PVC 코팅된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PVC 코팅된 멀티필라멘트사, 합성수지사 중에서 택일하여 제직된 것을 사용하는데, 상기에서 모노필라멘트사는 경질의 합성수지사로서 PET, PP, 나일론, PE 등에서 택일하여 사용하고, 그 사경은 0.15~0.25mm이며, 합성수지사의 예로는 PET계 엘라스토머사, PBT계 엘라스토머사, 우레탄계 엘라스토머사 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하며, 멀티필라멘트사는 PVC를 코팅하여 사용한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우수하면서도 외력에 쉽게 뜯기거나 절단되지 않는 강도를 지닌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사로 제작되도록 할 수도 있고, PVC 코팅된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PVC 코팅된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사는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사에 비해 유연성이 우수하여 형상변형이 용이함과 더불어 외피를 형성하는 PVC 코팅층에 의해 마찰력이 향상되므로 프레임(10)의 그루브(12) 내에 압착고정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연성 있는 섬유들을 사용하므로 현장시공이 가능하게 되므로 한번의 현장방문만으로 시공이 가능하지만, 기존에는 방범이나 추락방지를 위해 주로 스테인레스 스틸재를 이용하여 망체를 제작하였으므로, 현장에서 창문틀의 치수에 맞게 가공이 힘들기 때문에 공장에서 프레임과 일체로 제작해 와서 현장시공을 하여 왔으므로, 작업자가 치수를 재기 위하여 현장을 방문한 후, 완성된 제품을 설치하러 다시 방문하는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망체(5)를 그루브(12) 내에 삽입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탄성부재(20)는 프레임(10)의 그루브(12)에 꽉차는 치수로 탄성력이 있는 소재(고무 등)로 제작되며, 프레임(10)의 일측 지지벽(17)을 따라 그루브(12) 측으로 위치되는 망체(5)의 단부측을 그루브(12) 내로 밀어 넣으면서 삽입되어 양 걸림턱(13,14)의 하부에 걸림 지지된다. 이때 걸림력은 도 3에서와 같이 미약한 수준이나 후술되는 고정대(30)에 의해 가압되면 도 5에서와 같이 확고하게 걸림 지지된다.
탄성부재(20)는 그루브(12) 내에서 형태 변형될 수 있도록 전체가 탄성재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형태 변형이 유리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통공(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루브(12) 내의 접촉면 및 망체(5)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외주연 전체에 요철부(23)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하는 고정대(30)는 그루브(12)의 외측에서부터 그루브(12) 내에 고정된 탄성부재(20)를 가압하여 망체(5)가 그루브(12)와 탄성부재(20) 사이에서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대(30)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탄성부재(20)에 밀착되며 걸림턱(13,14)에 걸림되어 지지되는 가압날개부(33)와, 상기 가압날개부(33)가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그루브로 삽입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32)는 호상 또는 ‘∩’형 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2)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턱(13,14)과 프레임(10)의 표면까지 상호 대향하는 지지벽(16,17)에 양단측이 밀착되는 헤드부(34)를 더 형성한다.
상기 헤드부(34)는 도 2에서와 같이 연결부(32)의 측면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며,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대(30)의 삽입 완료 후 본딩처리시 돌출된 헤드부(34)를 따라 접착제가 유도됨과 아울러 돌출된 헤드부(34)에 의해 형성된 연결부(32)와의 사이 공간으로 접착제가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대(30)는 가압날개부(33)가 연결부(32)에 의하여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그루브에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후에도 탄성부재(20)의 상부면을 가압하면서 걸림턱(13,14)에 걸림지지되고, 헤드부(34)에 의하여 지지벽(16,17)에 밀착된다.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망체를 프레임 상에 고정하는 순서는 하기와 같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의 그루브(12) 상부에 망체(5), 탄성부재(20) 및 고정대(30)를 마련한 다음, 도 3에서와 같이 탄성부재(20)를 사용하여 그루브(12) 내로 망체(5)를 밀어 넣는다. 이때 망체(5)의 일측단부는 일측 지지벽(17) 및 탄성부재(20)의 외주연을 거쳐 탄성부재(20)의 상부측에 충분한 여유 길이를 갖고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20)는 프레임(10) 상의 걸림턱(13,14)에 의해 걸림된다.
그런 다음,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대(30)를 사용하여 그루브(12)의 외측에서부터 망체(5)의 일측단부를 포함하여 그 일측단부를 밀착하면서 탄성부재(20)를 가압하게 되면, 탄성부재(20)의 외주연측이 그루브(12)에 밀착되어 그 사이에 위치된 망체(5)를 압착 고정하게 된다. 이때 고정대(30)의 헤드부(34) 양단측은 프레임(10)의 양 지지벽(16,17)에 밀착된다.
상기에서 탄성부재(20)와 망체(5)의 삽입 및 고정대(30)의 삽입 과정에서 각각 혹은 고정대(30) 삽입 후 접착제로 본딩처리를 더 수행하여 고정력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한편, 도 6은 공지의 제조사별 프레임 형태 및 치수 변형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제조사별로 A-Type, B-type 및 C-type 등으로 제작되며, 그 타입마다 치수에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의 고정대는 연결부(32)에의하여 탄성을 지니므로 상기한 프레임의 치수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A-Type 및 C-type에 본원발명의 고정대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B-type에 의한 실시예를 적용한 것으로서, 프레임(10)의 지지벽(16,17)이 라운드 형태, 상광하협하게 경사진 형태 또는 수직 형태 등으로 형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망체 고정장치의 적용 즉 고정대의 적용이 가능함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고정대는 프레임 형상에 상관없이 현재 제조되고 있는 어떠한 형태의 프레임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5 : 망체 10 : 프레임
12 : 그루브 13,14 : 걸림턱
16,17 : 지지벽 20 : 탄성부재
23 : 요철부 30 : 고정대
32 : 연결부 33 : 걸림날개부
34 : 헤드부

Claims (4)

  1. 일측에 그루브(12)가 형성되고, 그루브(12)의 상부측 양단에 각각 걸림턱(13,14)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프레임(10)에 망체(5)를 고정하기 위한 망체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12)에 꽉차는 치수로 변형가능하도록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망체(5)의 일측단부와 함께 그루브(12) 내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13,14)의 하부에 걸림지지됨으로서 망체의 일측단부를 그루브 내에 고정하는 탄성부재(20);
    상기 탄성부재(20)에 밀착되며 걸림턱(13,14)에 걸림되어 지지되는 가압날개부(33)와, 상기 가압날개부(33)가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그루브로 삽입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연결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하면서 그루브(12) 내로 삽입되어 망체(5)가 그루브(12)와 탄성부재(20) 사이에서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2)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턱(13,14)과 프레임(10)의 표면까지 상호 대향하는 지지벽(16,17)에 양단측이 밀착되는 헤드부(34)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0)는 외주연 전체에 요철부(23)가 연속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KR1020150150447A 2015-10-28 2015-10-28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KR101635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47A KR101635464B1 (ko) 2015-10-28 2015-10-28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47A KR101635464B1 (ko) 2015-10-28 2015-10-28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176A Division KR20150079136A (ko) 2013-12-31 2013-12-31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801A KR20150126801A (ko) 2015-11-13
KR101635464B1 true KR101635464B1 (ko) 2016-07-04

Family

ID=5461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447A KR101635464B1 (ko) 2015-10-28 2015-10-28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503A (ko) * 2017-01-13 2018-07-23 이우권 방충망 이탈방지용 프레임 조립체
KR20200141657A (ko) 2019-06-11 2020-12-21 김시백 방충망의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30B1 (ko) * 2017-06-19 2018-07-09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창
KR102100511B1 (ko) * 2019-09-06 2020-04-14 양동섭 방충망 고정부재
KR102648734B1 (ko) * 2023-01-06 2024-03-18 (주) 텍스토머 방충창용 프레임
KR102552846B1 (ko) * 2023-03-06 2023-07-07 (주)에스엔시 광촉매조성물이 코팅된 외면에 발수제 조성물이 추가로 코팅되어 항균, 소취, 방오 방충망을 형성하는 기능성 알루미늄 창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6941A (ja) * 2007-08-22 2009-03-05 Seiki Hanbai Co Ltd 網戸用ネット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39Y2 (ko) * 1984-12-26 1990-02-07
KR20000056823A (ko) * 1999-02-26 2000-09-15 강정화 내연기관의 실린더 라이너 재생방법
KR200462358Y1 (ko) 2012-01-17 2012-09-10 박상연 글라스 화이버 방충망 창 및 그에 사용되는 방충망 고정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6941A (ja) * 2007-08-22 2009-03-05 Seiki Hanbai Co Ltd 網戸用ネットの固定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503A (ko) * 2017-01-13 2018-07-23 이우권 방충망 이탈방지용 프레임 조립체
KR101982276B1 (ko) * 2017-01-13 2019-05-24 이우권 방충망 이탈방지용 프레임 조립체
KR20200141657A (ko) 2019-06-11 2020-12-21 김시백 방충망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801A (ko) 2015-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464B1 (ko)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KR101593156B1 (ko) 미세방충망 고정구조
KR101982276B1 (ko) 방충망 이탈방지용 프레임 조립체
KR101361064B1 (ko) 방충망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KR101654196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부착장치
KR200454362Y1 (ko) 방충창 프레임
KR20080076696A (ko)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 구조
KR200459186Y1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KR101363100B1 (ko) 방충망이탈방지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창호
KR20150079136A (ko) 방범과 추락방지를 위한 섬유 방충망 고정장치
KR101844446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832034B1 (ko) 방충망 프레임용 프로파일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2273258B1 (ko) 추락 방지 및 설치가 용이한 방충망
KR200459938Y1 (ko) 방충망 고정장치
KR101690985B1 (ko)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1881124B1 (ko) 방범용 방충망이 구비된 샤시구조체
KR20190099873A (ko) 방충창 이탈방지용 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754956B1 (ko) 방범방충창
KR101968155B1 (ko)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
KR101415151B1 (ko) 방충창용 창틀
KR200476548Y1 (ko) 프로파일, 이를 이용한 안전 방충망용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방충망의 시공방법
KR101218789B1 (ko) 방범방충창의 고정프레임
KR102434205B1 (ko) 이탈 방지부를 갖는 방충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