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048Y1 -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048Y1
KR200395048Y1 KR20-2005-0016191U KR20050016191U KR200395048Y1 KR 200395048 Y1 KR200395048 Y1 KR 200395048Y1 KR 20050016191 U KR20050016191 U KR 20050016191U KR 200395048 Y1 KR200395048 Y1 KR 200395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creen
fixed
insec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Original Assignee
정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영 filed Critical 정수영
Priority to KR20-2005-0016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0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창문에 설치되어 곤충이나 벌레들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충창에 있어 방충망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방충창틀에 내측으로 개방되는 사각의 고정홈을 구성하되 방충망의 가장자리를 표면에 감아 고정핀을 통해 고정 부착시킨 사각 봉상의 고정대를 상기 고정홈에 끼워준 상태에서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방충망을 고정홈의 바닥에 고정시킨 후 방충창틀의 외부에서 고정나사를 통해 방충창틀과 방충망 고정대를 고정시키도록 한 것으로, 방충망을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방충창틀을 전부 해체하기 전에는 무단으로 방충망의 분리, 변형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난방지와 어린이들의 추락방지를 통한 안전도의 향상과 미관의 저하방지, 품질의 고급화와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Window for insect protection}
본 고안은 건축물의 창문에 설치되어 곤충이나 벌레들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충창에 있어 방충망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방충창틀에 내측으로 개방되는 사각의 고정홈을 구성하되 방충망의 가장자리를 표면에 감아 고정핀을 통해 고정 부착시킨 사각 봉상의 고정대를 상기 고정홈에 끼워준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충망을 고정홈의 바닥에 고정시킨 후 방충창틀의 외부에서 고정나사를 통해 방충창틀과 방충망 고정대를 고정시키도록 한 것으로, 고정홈과 고정대를 사각으로 구성토록 하여 고정대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대의 모서리에 의해 방충망이 일정한 꺽임각을 가지고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외력에도 방충망이 풀려나오지 않도록 하며 추가적으로 접착부재와 나사의 체결을 통해 방충창틀과 방충망 및 고정대를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방충망을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방충창틀을 전부 해체하기 전에는 무단으로 방충망의 분리, 변형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난방지와 어린이들의 추락방지를 통한 안전도의 향상과 미관의 저하방지, 품질의 고급화와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창문에는 곤충이나 벌레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 창문의 외부에 방충망을 별도의 방충창틀에 끼워 붙인 방충 창을 고정 또는 슬라이드 개폐식으로 설치하게 되는 데 이러한 기존의 방충 창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개구부를 따라 고정홈(H)을 구비시킨 방충창틀(WF)을 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조립하고, 상기 방충창틀(WF)에 고정하기 위해 얇은 실사로 직조된 방충망(G)을 방충창틀(WF)의 개구부 크기보다 조금 크게 절단하여 방충창틀(WF)의 고정홈(H)에 맞댄 후, 별도의 조립 공구를 사용하여 방충망(G)의 가장자리를 방충창틀(WF)의 고정홈(H)에 밀어 넣은 다음, 공구를 사용하여 방충망이 삽입된 방충창틀(WF)의 고정홈(H)을 따라 고정대(S)인 고무링을 긴밀히 삽입하여서 삽입된 방충망이 빠져나오지 않고 지지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에서 방충망의 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대는 알미늄 샷시용과 합성수지 샷시용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는 데 전자의 알미늄 샷시용은 틀체의 고정홈에 억지로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의 합성수지 관체로 형성되고 후자의 합성수지 샷시용은 합성수지 관체의 상단에 고정홈을 은폐할 수 있는 커버가 일체로 연설된 구조로 되어 당해 고정대를 방충망과 함께 틀체의 고정홈으로 억지 끼움함으로써 방충망을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정대(S)는 착탈의 용이성을 위해 재질이 고무나 실리콘수지 등의 신축,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단면이 원형이 원형 봉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홈(H)으로 부터 쉽게 빼낼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대에 감긴 방충망이 호형의 라운딩 상태로 감겨지게 됨으로써 외력의 부여 시 풀림에 저항할수 있는 꺽임각이 없게 되어 고정대를 고정홈(H)에 설치한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방충망(G)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고정대(S)에 의해 고정홈에 억지 끼움된 상태에서도 방충망이 미끄러지면서 고정홈(H)으로 부터 빠져 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도난의 우려는 물론 집안에서 어린아이들의 추락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등 안전성이 미흡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방충망에 경미한 충격이 가해져도 쉽게 방충망이 유동되어 방충망이 평면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울룩 불룩하게 요철되고 고정대(S)가 방충창틀의 측면이 아닌 관찰이 쉬운 전면으로 노출되어 미관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방충망 고정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대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대의 모서리에 의해 방충망이 일정한 꺽임각을 가지고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외력에도 방충망이 풀려나오지 않도록 하며 추가적으로 접착제와 나사의 체결을 통해 방충창틀과 방충망 및 고정대를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방충망을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방충창틀을 전부 해체하기 전에는 무단으로 방충망의 분리, 변형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난방지와 어린이들의 추락방지를 통한 안전도의 향상과 미관의 저하방지, 품질의 고급화와 추구할 수 있는 방충망의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방충창틀에 내측으로 개방되는 사각의 고정홈을 구성하되 방충망의 가장자리를 표면에 감아 고정핀을 통해 고정 부착시킨 사각 봉상의 고정대를 상기 고정홈에 끼워준 상태에서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방충망을 고정홈의 바닥에 고정시킨 후 방충창틀의 외부에서 고정나사를 통해 방충창틀과 방충망 고정대를 고정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고정대와 방충망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고정핀으로 방충망을 고정대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방충망을 고정대에 고정 권취한 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은 종, 횡의 창틀부재(1A)(1B)가 사각 틀 형태로 고정 결합되며 각 창틀부재(1A)(1B)는 내, 외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호 이격된 이중의 연결부(1C)(1D)를 구비하는 공지의 방충창틀(1)에 있어,
각 창틀부재(1A)(1B)의 내측으로 구성되고 폭 방향과 일치하는 개방부(11)를 가지며 바닥(12)과 양 벽체(13)가 직각을 이루는 사각요구 형태의 고정홈(10)과;
상기 고정홈(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단면이 사각인 봉상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고정대(20)와;
상기 고정대(20)의 전, 후면과 외면에 고정 상태로 부착되는 방충망(30)과;
상기 방충망(30)을 고정대(20)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40)과;
상기 고정홈(10)의 바닥(12)에 일정 두께로 도포 구성되며 소정시간의 경과 시 경화되는 성질을 통해 고정홈(10)에 결합된 고정대(20)와 이에 감겨진 방충망(30)을 고정홈(10)에 일체로 접착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부재(50)와;
상기 이중의 연결부(1A)(1B)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방충창틀(1)과 방충망(30) 및 고정대(20)를 상호 일체로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6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에서와 같이 사각 틀로 짜여지는 방충창틀(1)에 적용되어 방충창(W)을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대(20)를 사각 틀로 조립 구성한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적정한 규격으로 재단된 방충망(3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공압용 타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핀(40)을 일정 간격으로 박아주면 방충망(30)이 고정대(20)의 한 면에 고정 부착된다.
이후 도 4에서와 같이 방충망(30)의 가장자리를 밖에서 안으로 감아 절곡시켜 "ㄷ"형태로 고정대(20)에 붙여 줌과 동시에 고정홈(10)의 바닥(12)에는 일정시간 후 자연 고강도로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 공지 접착제의 일종인 접착부재(50)를 일정 두께로 도포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방충망(30)이 감겨진 고정대(20)의 각 변에 종, 횡의 창틀부재(1A)(1B)의 고정홈(10)을 대고 밀어 넣어 결합시키면 각 고정홈(10)의 바닥(12)과 접하는 방충망(30)과 고정대(20)의 해당 부위가 접착부재(50)와 접착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때 고정홈(10)의 내부도 사각이고 이에 끼워지는 고정대(20)도 사각이어서 고정대(20)의 회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접착부재(50)의 경화가 완료되면 종, 횡의 창틀부재(1A)(1B)의 단부를 나사 결합하여 사각 틀체로 구성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종, 횡의 창틀부재(1A)(1B)의 외부에서 고정나사(60)를 박아 줌으로써 고정나사(60)가 연결부(1A)(1B)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방충창틀(1)과 방충망(30) 및 고정대(20)를 도 5에서와 같이 상호 일체로 체결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정대(10)의 회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방충망(30)은 고정핀(40)과, 접착부재(50), 고정나사(60)에 의해 3중으로 고정 지지되는 것이므로 방충망 소재의 자체적인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한 결합부위에서의 유동이나 이탈이 완벽하게 억제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방충망(30)은 특정소재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날카로운 칼이나 공구 등에 쉽게 절결되는 일반적인 알루미늄 사(絲)나 합성수지사로 직조되는 망체(網體)가 아니고 고강도의 스텐레스스틸 사(絲)를 적용한 망체로서, 도난이나 훼손, 변형 등에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성과 같은 본 고안은 고정홈과 고정대를 사각으로 구성하여 끼워진 고정대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고정대의 모서리에 의해 방충망이 일정한 꺽임 각을 가지고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외력에도 방충망이 풀려나오지 않게 되며, 또한 고정대와 방충망에 3중의 고정 수단을 적용하여 강력하게 일체화시킴으로써 방충망을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방충창틀을 전부 해체하기 전에는 무단으로 방충망의 분리, 변형이 불가능하여 도난방지와 어린이들의 추락방지를 통한 안전도의 향상과 미관의 저하방지, 품질의 고급화와 추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적용 상태를 보이는 방충창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고정대와 방충망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고정핀으로 방충망을 고정대에 부착시킨 상태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
도 4는 방충망을 고정대에 고정 권취한 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6은 기존의 방충망 고정구조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방충창틀
10:고정홈
11:개방부
12:바닥
13:벽체
20:고정대
30:방충망
40:고정핀
50:접착부재
60:고정나사

Claims (1)

  1. 종, 횡의 창틀부재(1A)(1B)가 사각 틀 형태로 고정 결합되며 각 창틀부재(1A)(1B)는 내, 외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호 이격된 이중의 연결부(1C)(1D)를 구비하는 공지의 방충창틀(1)에 있어,
    각 창틀부재(1A)(1B)의 내측으로 구성되고 폭 방향과 일치하는 개방부(11)를 가지며 바닥(12)과 양 벽체(13)가 직각을 이루는 사각요구 형태의 고정홈(10)과;
    상기 고정홈(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단면이 사각인 봉상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고정대(20)와;
    상기 고정대(20)의 전, 후면과 외면에 고정 상태로 부착되는 방충망(30)과;
    상기 방충망(30)을 고정대(20)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40)과;
    상기 고정홈(10)의 바닥(12)에 일정 두께로 도포 구성되며 소정시간의 경과 시 경화되는 성질을 통해 고정홈(10)에 결합된 고정대(20)와 이에 감겨진 방충망(30)을 고정홈(10)에 일체로 접착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부재(50)와;
    상기 이중의 연결부(1A)(1B)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방충창틀(1)과 방충망(30) 및 고정대(20)를 상호 일체로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6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
KR20-2005-0016191U 2005-06-07 2005-06-07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 KR200395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91U KR200395048Y1 (ko) 2005-06-07 2005-06-07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91U KR200395048Y1 (ko) 2005-06-07 2005-06-07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048Y1 true KR200395048Y1 (ko) 2005-09-07

Family

ID=4369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191U KR200395048Y1 (ko) 2005-06-07 2005-06-07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048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06B1 (ko) 2007-03-19 2007-08-20 이성일 방범창
KR101369469B1 (ko) * 2012-04-10 2014-03-03 백남기 방범 및 방충 창호
KR200476548Y1 (ko) * 2013-09-04 2015-03-10 이지연 프로파일, 이를 이용한 안전 방충망용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방충망의 시공방법
US9045936B2 (en) 2013-05-30 2015-06-02 Corco America, Inc Safety window for hurricane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20170057785A (ko) * 2015-11-17 2017-05-25 고영민 방범창
KR20170002586U (ko) 2016-01-07 2017-07-18 한국메탈주식회사 방충망 고정구조체
KR102121584B1 (ko) * 2019-04-04 2020-06-10 (주)오투클린 방진망용 창틀 프레임
KR20210026983A (ko) 2019-08-30 2021-03-10 김영윤 자석 쫄대를 이용한 방진망
KR20220070822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대영오토 방충망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누름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06B1 (ko) 2007-03-19 2007-08-20 이성일 방범창
KR101369469B1 (ko) * 2012-04-10 2014-03-03 백남기 방범 및 방충 창호
US9045936B2 (en) 2013-05-30 2015-06-02 Corco America, Inc Safety window for hurricane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200476548Y1 (ko) * 2013-09-04 2015-03-10 이지연 프로파일, 이를 이용한 안전 방충망용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방충망의 시공방법
KR20170057785A (ko) * 2015-11-17 2017-05-25 고영민 방범창
KR101885551B1 (ko) * 2015-11-17 2018-08-06 고영민 방범창
KR20170002586U (ko) 2016-01-07 2017-07-18 한국메탈주식회사 방충망 고정구조체
KR102121584B1 (ko) * 2019-04-04 2020-06-10 (주)오투클린 방진망용 창틀 프레임
KR20210026983A (ko) 2019-08-30 2021-03-10 김영윤 자석 쫄대를 이용한 방진망
KR20220070822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대영오토 방충망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누름장치
KR102632554B1 (ko) 2020-11-23 2024-02-02 주식회사 대영오토 방충망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누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048Y1 (ko)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
US6108997A (en) Vinyl window screen frame
US8074698B2 (en) Window blind system
KR100924235B1 (ko) 탈착식 안전봉 어셈블리, 탈착식 안전봉 지지유닛, 그리고 안전봉 설치용 3중 창틀유닛
US7226093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inforce doors against windstorm
GB2570941A (en) Expanding window covering
KR102166037B1 (ko) 블라인드 및 커튼 설치용 브라켓 고정장치
US20140069019A1 (en) Door Seal Apparatus
KR20040074238A (ko) 권취식 방충망
EP3061899B1 (en)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JP2011026797A (ja) 補助建具付き建具
WO2016067485A1 (ja) 窓枠構造
KR101690985B1 (ko)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1369469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200437856Y1 (ko) 방충문이 구비된 이중문
KR20170034511A (ko) 방범방충창
JP2007056506A (ja) 引込戸
KR20110009449U (ko) 조립시공 및 교체시공이 용이한 방충망용 프레임 구조
KR200393561Y1 (ko) 복합 기능창
KR200357485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US11988039B2 (en) Material sheet frictional securing assembly
KR20240020937A (ko) 방충망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망 일체형 창호 시스템
KR100695679B1 (ko) 건축물 창문틀 고정 구조물
KR200258183Y1 (ko) 롤러식 스크린의 하우징 측면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