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527B1 - 니트 디자인 시스템과 니트 디자인 방법 - Google Patents

니트 디자인 시스템과 니트 디자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527B1
KR101690527B1 KR1020150036639A KR20150036639A KR101690527B1 KR 101690527 B1 KR101690527 B1 KR 101690527B1 KR 1020150036639 A KR1020150036639 A KR 1020150036639A KR 20150036639 A KR20150036639 A KR 20150036639A KR 101690527 B1 KR101690527 B1 KR 10169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stitches
stitch
grid line
k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776A (ko
Inventor
고이치 데라이
히로후미 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10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니트 패브릭의 외형 사이즈를 단시간에 연산할 수 있도록 한다.
(구성)
코스방향의 피치 및 웨일방향의 피치의 2종류의 피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의 배열피치를, 동종의 스티치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피치와 이종의 스티치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피치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기억한다. 코스방향을 따른 스티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코스방향의 그리드 라인을, 그리드 라인에 속하는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피치의 평균에 따라 웨일방향으로 변형시킨다. 또한 웨일방향을 따른 스티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웨일방향의 그리드 라인을, 그리드 라인에 속하는 스티치의 코스방향의 피치의 평균에 따라 코스방향으로 변형시킨다. 그리고 변형시킨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편성포의 외형을 구한다.

Description

니트 디자인 시스템과 니트 디자인 방법{KNIT DESIGN SYSTEM AND KNIT DESIGN METHOD}
본 발명은 니트 디자인(knit design)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성포(編成布)(니트 패브릭(knit fabric))의 외형 사이즈(外形 size)의 산출에 관한 것이다.
니트 패브릭에서는, 지시 사이즈(指示 size)대로 제품을 편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원인으로서 예를 들면,
· 스티치(stitch)의 루프 길이(loop length)가 목표치로부터 벗어나는,
· 편성후의 마무리 가공에서 사이즈가 변화되는,
· 편성포는,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만이나 혹은 백 스티치(back stitch)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를 포함하고, 스티치 이동(stitch 移動)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많고,
· 코스방향(course方向) 혹은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접속되어 있는 스티치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스티치의 사이즈가 복잡하게 변화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허문헌1(JP2676182B)은, 루프 길이를 제어하면서 복수의 촉감 샘플(觸感 sample)을 편성하고, 마무리 가공후에 최적의 촉감을 지닌 샘플을 선택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최적 샘플(最適 sample)의 루프 길이에 따라 편성하면, 목표 사이즈(目標 size)에 가깝고 또한 촉감이 좋은 편성포가 얻어진다. 그러나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혼재되고 또한 스티치 이동이 있는 니트 패브릭에 대하여는, 특허문헌1의 방법에 의하여 지시 사이즈대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은 어렵다.
특허문헌2(WO2007/013296A)는, 편성포의 3차원 형상(3次元 形狀)의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개개의 스티치에 가해지는 텐션(tension), 비뚤어짐, 휘어짐을 계산하여 스티치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편성포의 형상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편성포의 형상이 수렴될 때까지 반복 계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허문헌3(JP2009-120987A)은, 편성포의 좌우측에서 즉 편성폭의 일부와 나머지의 부분에서 코스수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에, 코스수의 차이를 웨일방향을 따라 분산하여 배치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 JP2676182B : WO2007/013296A : JP2009-120987A
일반적인 니트 패브릭 특히 니트 패브릭의 의류는,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혼재되고 또한 스티치 이동을 포함하고 있다. 조직패턴(structure pattern)은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혼재되고, 스티치 이동을 포함하는 것이 많아, 코늘림(widening stitch), 코줄임(narrowing stitch), 코빼기(bind-off) 등을 위하여 스티치 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의류 등의 니트 패브릭에 대하여, 지시 사이즈대로 패브릭을 편성할 수 있을지 여부를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편성할 수 없을 경우에, 편성포의 형상 데이터(形狀 data), 패턴 데이터(pattern data), 니트 디자인 데이터(knit design data) 등을 수정하고, 필요하면 지시 사이즈대로 패브릭이 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게 하면 거의 지시 사이즈대로 니트 패브릭이 얻어지는 니트 디자인 데이터 등을, 실제로 샘플의 편성도, 시간이 걸리는 시뮬레이션도 하지 않고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지시 사이즈대로 니트 패브릭을 편성할 수 있을지 여부를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니트 패브릭의 외형 사이즈를 단시간에 연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니트 디자인 시스템은,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을 따라 스티치가 배열되어 있는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를 니트 디자인 데이터 혹은 니트 데이터로부터 구하고, 코스방향의 피치 및 웨일방향의 피치의 2종류의 피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의 배열피치를 동종의 스티치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피치와 이종의 스티치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피치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기억하는 피치 기억부와,
코스방향을 따른 스티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코스방향의 그리드 라인을, 그리드 라인에 속하는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피치의 평균에 따라 웨일방향으로 변형시키고, 또한 웨일방향을 따른 스티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웨일방향의 그리드 라인을, 그리드 라인에 속하는 스티치의 코스방향의 피치의 평균에 따라 코스방향으로 변형시키는 그리드 라인 변형부와,
변형시킨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편성포의 외형을 구하는 외형추출부를 구비하고,
스티치의 피치를 따라 그리드 라인을 변형시킴으로써 편성포의 외형을 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니트 디자인 방법은,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을 따라 스티치가 배열되어 있는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를, 니트 디자인 데이터 혹은 니트 데이터로부터 니트 디자인 시스템에 의하여 구하고,
코스방향의 피치 및 웨일방향의 피치의 2종류의 피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의 배열피치를, 동종의 스티치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피치와 이종의 스티치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피치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상기 니트 디자인 시스템이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니트 디자인 시스템에 의하여, 코스방향을 따른 스티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코스방향의 그리드 라인을, 그리드 라인에 속하는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피치의 평균에 따라 웨일방향으로 변형시키고, 또한 웨일방향을 따른 스티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웨일방향의 그리드 라인을, 그리드 라인에 속하는 스티치의 코스방향의 피치의 평균에 따라 코스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스텝과,
변형시킨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편성포의 외형을 구하는 스텝을 실행함으로써,
스티치의 피치를 따라 그리드 라인을 변형시킴으로써, 편성포의 외형을 구한다.
본 발명에서는, 반복 계산 없이 단시간에 스티치의 현실적인 배치를 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시간에 편성포의 외형을 구할 수 있어 예를 들면 편성포의 디자인과 완성된 것과의, 사이즈의 차이점을 단시간에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대로 사이즈가 되도록 편성포를 용이하게 디자인하거나 혹은 디자인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또 이 명세서에 있어서 니트 디자인 시스템에 관한 기재는, 그대로 니트 디자인 방법에도 적용된다. 이 명세서에서 니트 디자인 데이터는 편성포의 디자인 데이터이고, 니트 데이터는 편성기로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데이터이며, 니트 디자인 데이터는 니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균이 그리드 라인을 따른 이동평균이고 또한 상기 평균은 그리드 라인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근접한 스티치에는 서로의 위치를 정렬하려고 하는 상호작용이 작동하고, 원격의 스티치에서는 스티치 사이의 상호작용이 약하다. 그래서 이동평균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실제적인 스티치의 배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티치가 코스방향을 따라 스티치 이동되고 있는 경우의 코스방향의 피치 및 웨일방향의 피치를, 상기 피치 기억부가 기억하거나 상기 피치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피치로부터 연산한다. 편성포가 의류가 되는 경우 등은, 코늘림, 코줄임, 코빼기, 조직패턴 등에 따라 스티치 이동이 있는 스티치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치 이동이 있는 스티치를 편성포에 대하여도 그리드 라인을 변형시켜서, 편성포의 형상을 단시간에 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니트 디자인 시스템은, 편성포의 단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변형후의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정해지는 스티치의 위치를 스무딩 하는 스무딩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드 라인의 변형에서는, 단부 혹은 단부 부근의 스티치는 부자연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스무딩에 의하여 단부의 스티치를 근처의 리얼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스무딩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2의 방법을, 편성포 혹은 편성포가 복수의 부분품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부분품의 단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니트 디자인 시스템은, 스티치의 종류와, 변형후의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정해지는 스티치의 위치와, 스티치 사이의 접속관계에 의거하여, 실의 루프에 의하여 스티치를 나타내는 화상을 실이 서로 접속되도록 배치하는 루프 배치부를 구비하고 있다. 스티치의 배치는, 그리드 라인의 변형에 의하여 수정완료된다. 그리고 스티치의 종류, 스티치 사이의 접속관계는 편성포의 디자인 등으로부터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스티치를 실의 루프를 나타내는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시간에 편성포의 루프 표시를 할 수 있다. 또 단부의 스티치의 배치를 스무딩해 두면, 더 리얼한 루프 표시를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니트 디자인 시스템은, 편성포의 목표 사이즈를 나타내는 화상과, 변형후의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정해지는 편성포의 화상을 컬러 모니터에 포개서 표시함과 아울러, 편성포의 디자인을 정하는 데이터의 변경을 접수하는 표시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편성포의 목표 사이즈로부터 어느 정도의 차이가 어느 부분에 발생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편성포의 디자인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 있으며,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컬러 모니터를 2 이상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일방의 화면에 편성포의 목표 사이즈를 나타내는 화상과, 변형후의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정해지는 편성포의 화상을 포개서 표시한다. 그리고 타방의 화면으로부터, 디자인을 정하는 데이터의 변경을 접수한다.
도1은, 실시예의 니트 디자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는, 실시예의 각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편성포의 외형 데이터의 연산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실시예에서의 게이지와 피치의 취득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5는, 실시예에서의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의 연산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6은, 실시예에서의 스티치의 피치 그리드 라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실시예에서의 스티치 이동에 있어서 스티치의 피치의 연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실시예에서의 다른 스티치 이동에 있어서 스티치에 대한 피치의 연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실시예에서의 또 다른 스티치 이동에 있어서 스티치에 대한 피치의 연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실시예에서의 늘어나게 된 스티치에 대한 피치의 연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2×2의 케이블 패턴에 대한, 실시예에서의 그리드 라인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코빼기가 있는 부분품에 대한, 실시예에서의 그리드 라인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실시예에 있어서 외형 사이즈를 구한 후의 부분품 단부의 스무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14는, 실시예에서의 루프의 표시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15는, 실시예에서의 니트 디자인의 수정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1∼도15에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1은 실시예의 니트 디자인 시스템(knit design system)(2)을 나타내고, 4는 버스(bus), 6은 컬러 모니터(color monitor), 8은 스타일러스(stylus), 마우스(mouse), 키보드(keyboard) 등의 매뉴얼 입력장치(manual 入力裝置)이다. 10은 LAN 인터페이스(LAN interface), 디스크드라이브(disk drive), 외부 메모리(外部 memory) 등의 파일 입출력장치(file 入出力裝置)로서, 지시 사이즈(指示 size), 니트 디자인 데이터(knit design data), 니트 데이터(knit data) 등의 파일을 입출력한다. 12는 컬러 프린터(color printer), 14는 메모리로서, 적절한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data base), 프로그램(program) 등을 기억하고, 그 이외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CPU가 있다.
니트 패브릭(knit fabric)의 디자인은, 지시 사이즈 등을 기초로 편성포(編成布)의 각 부분품의 형상을 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형상을 코스방향(course方向)과 웨일방향(wale方向)의 스티치(stitch)의 수(數)로 변환한 것이, 패턴 데이터(pattern data)이다. 니트 디자인 데이터는,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의 스티치의 수, 개개의 스티치의 종류, 스티치 사이의 접속관계 등을 나타내는 디자인 데이터로서, 패턴 데이터에 의거하는 디자인 데이터이다. 패턴 데이터, 니트 디자인 데이터 등에 의하여 지정되는 디자인을 니트 디자인이라고 한다. 니트 데이터는, 횡편기(橫編機), 원형 편성기(circular knitting machine) 등의 편성기(編成機)를 구동시켜서 니트 디자인 데이터에 따른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니트 디자인 데이터를 편성기의 구동용으로 변환시킨 것이다.
니트 디자인부(knit design部)(16)는, 파일 입출력장치(10)로부터의 입력 파일, 매뉴얼 입력장치(8)로부터의 매뉴얼 입력 등에 의거하여 니트 패브릭을 디자인한다. 그리고 디자인한 니트 패브릭에 대한 니트 디자인 데이터를 출력함과 아울러 니트 디자인 데이터를 니트 데이터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피치 기억부(pitch 記憶部)(17)는, 스티치의 게이지(gauge)와 피치를 기억한다. 게이지는 소정의 길이당 스티치 수로서, 코스방향의 게이지와 웨일방향의 게이지가 있으며 예를 들면 최적의 촉감 샘플(觸感 sample)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또 게이지는,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만의 조직이나 혹은 백 스티치(back stitch)만의 조직에서의 스티치 사이즈를 나타낸다.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스티치 사이의 피치가 문제이다. 피치에는 프론트 스티치-프론트 스티치 사이의 피치와, 백 스티치-백 스티치 사이의 피치 및 프론트 스티치-백 스티치 사이 등의 피치가 있으며, 프론트 스티치-프론트 스티치 사이의 피치와 백 스티치-백 스티치 사이의 피치는 동일하다. 또한 프론트 스티치-백 스티치 사이의 피치와 백 스티치-프론트 스티치 사이의 피치는 동일하다. 피치에는, 코스방향(도6 등에서의 x방향)의 피치와, 웨일방향(도6 등에서의 y방향)의 피치가 있다. 프론트 스티치-백 스티치 사이 등의 피치가 문제가 되는 것은, 리브(rib), 가터(garter), 조직패턴(structure pattern) 등의 편성조직(編成組織)이 있기 때문에 프론트 스티치만이나 혹은 백 스티치만으로 이루어지는 조직만인 경우에, 게이지로 충분하다. 그 이외에 스티치 이동이 있는 스티치에 대한 피치를 피치 기억부(17)에서 기억하더라도 좋다.
외형산출부(外形算出部)(18)는, 피치 기억부(17)에서의 스티치의 게이지와 피치에 의거하여 니트 데이터에 의거하는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를 연산한다. 외형산출부(18)는, 스티치를 코스방향의 라인(line)과 웨일방향의 라인(이들을 그리드 라인(grid line)이라고 한다) 상에 배열하고, 스티치의 피치, 스티치 이동에 의거하여 그리드 라인을 변형시키는 그리드 라인 변형부(grid line 變形部)(1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형산출부(18)는, 변형후의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편성포의 외형형상 특히 외형 사이즈를 구하는 외형추출부(外形抽出部)(2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스티치의 위치는, 변형후의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판명된다.
그리드 라인의 변형에서는, 코스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는 스티치를 서로 정렬하여 이동시키고, 마찬가지로 웨일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는 스티치를 서로 정렬하여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개개의 스티치의 이동이 아니라 그리드 라인의 변형을 연산한다. 그리고 스티치를 정렬하여 이동시키는 정도를, 이동평균(移動平均)이거나 혹은 코스 및 웨일 등 전체 길이에 걸치는 평균인가에 의하여 정하며, 특히 이동평균에서 평균화하는 길이에 의하여 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리드 라인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개개의 스티치가 불규칙하게 이동되지 않아, 외형의 연산에 반복 계산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개개의 스티치의 위치를 알면 편성포의 외형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시간에 편성포의 외형 혹은 편성포의 부분품의 외형을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단시간에 외형 사이즈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드 라인 변형부(19)는, 그리드 라인을 변형시킴으로써 스티치의 위치를 구한다. 그러나 편성포 혹은 부분품의 단부(端部)에서는, 스티치의 위치에 혼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스무딩부(smoothing部)(24)에 의하여, 단부의 스티치 혹은 단부로부터 소정의 코스내(예를 들면 5코스내, 3코스내 등)의 스티치에 대하여 스티치의 위치를 스무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 배치부(loop 配置部)(26)는, 외형산출부(18)에서 구한 스티치의 위치 혹은 이것을 스무딩부(24)에서 스무딩한 스티치의 위치를 바탕으로 스티치를 루프로 표현한 화상(畵像)을 생성한다. 루프 배치부(26)에 대한 입력 데이터로부터, 스티치의 기준위치(基準位置)(예를 들면 시점위치(始點位置))와 종단위치(終端位置) 등이 판명되고 또한 스티치 사이의 접속관계 및 스티치의 종류도 판명되고 있다. 루프 배치부(26)는, 이들 데이터에 따라 스티치를 실의 루프로 나타낸다.
표시제어부(表示制御部)(28)는, 컬러 모니터(6)의 표시를 제어하고 또한 매뉴얼 입력장치(8)로부터의 입력을 해석한다. 예를 들면 컬러 모니터(6)의 화면을 2화면 등으로 분할하고, 일방(一方)의 화면에 지시 사이즈에 의거하는 디자인과 외형추출부(20)에서 구한 외형을 포개서 표시하여, 오차를 유저(user)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화면에서, 패턴 데이터의 수정, 조직패턴의 디자인 수정, 스티치의 추가, 삭제 등을 접수한다.
도2는 실시예의 각 프로세스(process)를 나타내고, 프로세스(p1)에서는, 편성포의 사이즈를 지시하는 사이즈 데이터(size data)(지시 사이즈)와 촉감 데이터(觸感 data)(게이지 등) 및 스티치의 종류와 접속관계를 지정함으로써 니트 디자인 데이터와 니트 데이터를 작성한다. 프로세스(p2)에서는,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의 게이지, 프론트 스티치-백 스티치 사이의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의 피치 및 스티치 이동이 있는 스티치의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의 피치에 의거하여 그리드 라인을 변형한다. 스티치는 코스방향의 그리드 라인과 웨일방향의 그리드 라인의 교점(交點)에 있으며, 그리드 라인이 정해지면 스티치의 위치가 정해진다.
프로세스(p3∼p5)는 생략 가능하고, 프로세스(p3)에서는 단부 부근의 스티치 배치를 스무딩 하고, 프로세스(p4)에서는 각 스티치를 루프의 화상으로 치환한다. 프로세스(p5)에서는, 지시 사이즈에 의거하는 편성포의 형상과, 외형산출부(18) 등에서 구한 편성포의 외형을 포개서 1개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다른 화면으로부터, 매뉴얼 입력 등에 의거하여 패턴 데이터, 니트 디자인 데이터 등의 수정을 접수한다.
도3은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의 연산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박스(box)(30)는 니트 데이터를 나타내고, 실제로 박스(30)는 스티치의 종류와 스티치 이동 등을 컬러(color)로 구분해서 나타낸다. 박스(31)는 스티치의 외형 데이터를 나타내고, 박스(32)는 박스(31)에서의 스티치의 배치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스티치는,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으로 그리드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티치는 특히 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상하좌우의 스티치와 접속되고, 스티치 이동 등에 의하여 접속관계가 변화되면 스티치의 접속관계가 나타나 있다. 박스(32)의 표시는,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의 접속, 스티치에 있어서 스티치 이동 등에 의한 피치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사이즈는 실제적인 것은 아니다.
도4는, 게이지와 피치의 취득 알고리즘(取得 algorithm)을 나타낸다. 촉감 샘플 자체는 특허문헌1에 의하여 공지되고, 스텝(S1)에서, 프론트 스티치만이나 혹은 백 스티치만으로 이루어지는 조직 이외에, 리브(코스방향을 따라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교대로 나타나는 조직) 및 가터(웨일방향을 따라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교대로 나타나는 조직)를 포함하도록 촉감 샘플을 디자인한다. 그 이외에 스티치 이동 등을 포함해도 좋다.
촉감 샘플의 니트 디자인 데이터를 니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횡편기 등으로 니트하여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다(스텝(S2)). 이때에 스티치당 루프 길이를 바꾸어 복수의 촉감 샘플을 편성하여, 촉감이 최적인 샘플을 선택하고(스텝(S3)), 최적인 것이 없으면 루프 길이 등을 변경해서 다시 촉감 샘플을 편성한다.
최적 촉감 샘플에 대하여, 프론트 스티치와 프론트 스티치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 및 백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의, 스티치의 코스방향 피치(xp)와 웨일방향 피치(yp)를 구한다(스텝(S4)). 이들을 게이지로서 나타내면 최적 촉감 샘플에 대한 게이지가 얻어지고, 이 게이지를 사용한다.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의, 스티치의 코스방향 피치(xp)와, 웨일방향 피치(yp)를 앞쪽-뒤쪽 사이의 피치로서 구한다(스텝(S5)). 이들 피치에는 리브의 경우인 피치와, 가터의 경우인 피치가 있으며, 어느 것을 적용할지는 니트 데이터에서의 스티치의 종류로부터 구해진다. 주위를 프론트 스티치로 둘러싼 백 스티치 등인 경우에, 코스방향의 피치(xp)는 리브의 스티치의 피치에 의하여 정해지고, 웨일방향의 피치(yp)는 가터의 스티치의 피치에 의하여 정해지는 등의 모델(model)(룰(rules))을 따르거나 혹은 촉감 샘플에 이러한 스티치를 포함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촉감 샘플이 스티치 이동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스텝(S6)에서 스티치 이동의 코스방향 피치와 웨일방향 피치를 구한다. 이상의 수속에 의하여 스티치의 사이즈의 기초가 되는 게이지와 피치가 구해진다.
편성포에서는, 스티치는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치의 형상은 주위의 스티치의 영향을 받아서 변화된다. 주위의 스티치의 영향을 포함하고 또한 단시간에 반복 연산 없이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를 구하기 위해서, 도5∼도15의 처리를 한다.
도5의 스텝(S11)에서 지시 사이즈 등을 기초로 편성포의 형상을 정하고, 스텝(S12)에서 게이지를 기초로 지시 사이즈 등을 스티치 수로 변환하여 패턴 데이터로 하고, 스텝(S13)에서 편성조직, 스티치의 종류 등을 추가하여 니트 디자인 데이터로 한다. 그리고 스텝(S14)에서 니트 디자인 데이터를 니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에서의 스티치 수에는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접속되는 것, 스티치가 이동되는 것 등이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니트 데이터대로 편성하면 일반적으로 지시 사이즈와 다른 편성포가 된다.
스텝(S15)에서, 앞쪽-뒤쪽 사이의 피치 및 스티치 이동 피치에 의거하여 코스방향의 그리드 라인과 웨일방향의 그리드 라인을 변형시켜서, 보다 현실적인 스티치의 위치를 구한다. 스텝(S16)에서는, 구한 스티치의 위치에 의거하여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를 연산한다.
그리드 라인의 모델을 도6에 파선으로 나타낸다. 코스(c1∼c4)와 웨일(w1∼w5)이 표시되고, 웨일(w1∼w3)은 프론트 스티치, 웨일(w4, w5)은 백 스티치이고, 코스 번호를 j로, 웨일 번호를 i로 나타낸다. 각 코스(c1∼c4) 및 각 웨일(w1∼w5)에서의, 스티치가 배치되어 있는 직선 혹은 곡선이 그리드 라인이다. 또한 편성포의 기점(起點)을 예를 들면 도6의 좌측 아래에 둔다. 웨일(w2-w1)간의 피치는, 웨일(w2)의 4개의 스티치(j=1∼4)의 x방향 피치(xpj)의 평균으로 한다. 코스(c1-c2)간의 피치는, 코스(c2)의 5개의 스티치(i=1∼5)의 y방향 피치(ypi)의 평균으로 한다. 즉 스티치를 단독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스티치가 속하는 코스방향과 웨일방향과의 그리드 라인을 변형하고, 변형에는 각 스티치의 피치의 평균치 혹은 이동평균을 사용한다. 또 웨일(w1-w2, w4-w5) 등의 피치는, 게이지에 의하여 정해지는 피치와 동일하다. 또한 코스(c1-c2)의 피치는, 프론트 스티치-프론트 스티치의 피치×3과, 백 스티치-백 스티치의 피치×2의 가중평균(加重平均)으로서, 가중치(加重値)는 그 피치가 되는 스티치의 수이다. 또한 코스(c1-c2∼c3-c4)의 피치는 공통이다. 그리드 라인을 정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그리드 라인의 교점(스티치)의 좌표의 배열이며, 그리드 라인의 변형이라는 것은 스티치의 좌표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짧은 그리드 라인은 직선에 가깝고, 긴 그리드 라인은 직선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자연스럽다. 바꿔 말하면 1개의 스티치의 피치는, 멀리 멀어진 스티치의 배치에 조금밖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스티치의 위치가 직선상에 정렬되는 정도의 스티치 수로 평균하는, 이동평균이 바람직하다.
도7에 스티치 이동의 피치의 연산을 나타내고, 촉감 샘플에 스티치 이동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측정치를 사용한다. 스티치의 사이즈 자체는 스티치 이동에 의하여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하고, 프론트 스티치-프론트 스티치의 피치 혹은 프론트 스티치-백 스티치의 피치에 대응하는 표준적인 피치를 xp, yp(이하 동일)로 하여, 사이즈 (xp 2 +yp 2 ) 1/2 은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티치의 기단(基端) 등의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원(73)을 따라서 스티치(71)를 스티치(72)로 회전시킨다. 또 스티치 이동 피치를 구하기 위한 모델은 그 외에도 생각할 수 있어, 모델과 피치의 근사방법(近似方法)은 임의이다.
도8, 도9에, 스티치 이동에 있어서 스티치에 대한 피치의 연산방법을 보충해서 나타낸다. 스티치 이동된 스티치에 대하여 피치가 수축되는 방향만을 대상으로 하여, 도8의 ●는 스티치의 기점을, ○는 선단(先端)을 나타내고, 웨일(3-4)에 있어서 이 스티치의 피치를 생각한다. a를 스티치 이동하여 오기 전의 스티치의 선단위치, a'를 스티치 이동하여 온 후의 위치로 한다. 위치(a')가 웨일(3) 상에 있을 때에, 이 스티치의 웨일(3-4)에서의 피치를 0으로 한다. 위치(a')에 대하여 x, y를 도8과 같이 정의하면, 이 스티치의 웨일(3-4)에 있어서의 피치는 -xp+x(xp는 표준 피치(標準 pitch))가 되고, 코스(2-3)에 있어서의 피치는 y가 된다. 다음에 위치(a')는 기단과 위치(a)를 연결하는 선상에 있으며, 위치(a')와 기단과의 거리는 yp와 같다고 하면, x, y가 정해진다. 도9는, 다른 스티치에 대한 동일한 연산예를 나타낸다.
도10은, 늘어나게 된 스티치의 피치의 생각방식을 나타내고, 이 스티치의 선단은 위치(b)로부터 위치(b')로 수렴하는 것으로 한다. 코스(3-4)에 있어서 이 스티치의 피치를 생각하면, 선단의 위치(b')가 J=3의 그리드 라인 상에 있을 때에 피치를 0으로 한다. 선단의 위치(b')는 j=2의 그리드 라인 상에 수렴하기 때문에, 코스(3-4)에 있어서의 피치는 -yp로 한다.
도8, 도9의 모델을 사용하면, 도11에 있어서의 코스간의 피치와 웨일간의 피치를 연산할 수 있다. 도면의 코스(1) 등은, 코스(1-2)간 등의 피치를 나타낸다. 또한 a-d는 스티치의 기호이다. 또 웨일(2-3)에 있어서의 피치 (xp+xp-(xp-xpa)+xp)/4는, 피치(xp)의 스티치가 2개 있고, 스티치(a)는 피치가 -(xp-xpa)가 되고, 스티치(c)의 기단이 피치(xp) 분의 기여를 하고 있다고 생각해서 구했다. 다만 연산방법의 상세한 것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10의 모델과 도8 등의 모델을 사용하면, 도12에 있어서의 피치를 연산할 수 있다. 코스(3-4)에 있어서의 피치를 (2ypa+0)/3로 하는 것은, 스티치(a) 및 이것과 동일한 형상의 스티치의 기여가 2ypa이고, 스티치(e)는 선단이 j=3의 그리드 라인 상에 수렴하려고 하기 때문에 피치에 대한 기여는 0이다. 마찬가지로 하여 코스(4-5) 등에 있어서의 피치도 연산할 수 있다. 웨일(1-2)에 있어서의 피치는, 통상의 스티치가 2스티치로 기여가 2xp, 스티치(a)의 기여가 xpa로, 평균하면 (2xp+xpa)/3가 된다.
이렇게 하여 각 스티치의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의 피치를 구하여, 파선으로 나타내는 그리드 라인별로 평균하면, 변형후의 그리드 라인의 위치가 정해진다. 또 도11, 도12에서는 단순평균(單純平均)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리드 라인이 긴 경우에 이동평균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스티치 이동을 수반하는 경우의 피치는,
· 촉감 샘플로부터 측정하고
· 도8, 도9, 도10의 모델을 그대로 혹은 수정해서 사용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들 피치는, 피치 기억부(17)에 기억시키거나, 그때마다 그리드 라인 변형부(19)에서 연산해서 구한다. 또한 미스(miss) 및 턱(tuck)은, 그리드 라인의 변형에 관계되지 않는다고 하지만, 적절한 모델을 별도로 정해도 좋다. 그리고 그리드 라인이 어떻게 변형될지가 판명되면, 스티치의 위치가 구해진다. 이 처리는 반복 연산 없이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를 단시간에 구할 수 있다.
그리드 라인 단위로 스티치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부분품의 단부에서 스티치의 위치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해소하는 경우에 도13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21)에서, 부분품 단부의 스티치 혹은 단부로부터 5코스내, 3코스내 등의 소정의 코스내의 스티치를 추출한다. 부분품이 몸통이고 단부의 위치가 암홀(arm hole)인 경우에, 소매와 접합됨으로써 소매의 스티치에 끌려서, 단부의 스티치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단부가 다른 부분품의 단부와 접합되는 경우에, 다른 부분품의 스티치와의 접속 데이터를 가상적으로 추가한다(스텝(S22)). 단부의 스티치 수가 다른 부분품과 일치하는 경우에, 스티치를 1:1로 접속한다. 스티치 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예를 들면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에 의한 접속을 추가한다.
스텝(S23, S24)에서, 특허문헌2에 기재된 처리 등을 단부 부근의 스티치에 대해서만 실행하고, 스무딩 한다. 처리의 상세한 것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스티치별로 스티치 사이의 거리에 의거하는 텐션,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이 직교하지 않는 것에 의한 비뚤어짐, 편성포가 단부에서 컬(curl) 하려고 하는 것에 의거하는 코스방향의 휘어짐과 웨일방향의 휘어짐을 평가하고(스텝(S23)), 이들에 의거하여 스티치를 이동시킨다(스텝(S24)). 도13의 처리는 단부 부근에 대해서만 실행하기 때문에, 처리시간이 짧고 또한 단부 부근에서의 스티치의 배치를 보다 실제에 가까운 것으로 할 수 있다.
스티치의 배치를 구하고, 소망에 따라 단부 부근의 스티치 배치를 스무딩 하면, 개개의 스티치를 실의 루프에 의하여 나타냄으로써 편성포를 간단하게 루프로 표시할 수 있다. 이 처리를 도14에 나타내고, 스텝(S31)에서, 각 스티치에 대하여 기준점과 선단 등의 위치를 추출한다. 또한 각 스티치에 대하여, 주위의 스티치와의 접속관계 및 표리(表裏)의 스티치의 종류를 추출한다(스텝(S32)). 이들 데이터는, 니트 데이터 및 외형 사이즈의 연산 등에서 이미 구해져 있다. 이에 따라 스티치의 위치와 형상, 주위의 스티치와의 접속관계 등이 판명되기 때문에, 이들을 따라서 실의 화상을 배치하고, 실 단부가 스티치 사이의 경계에서 서로 접속되도록 하면, 스티치의 루프 표시를 할 수 있다(스텝(S33)).
도15에, 2화면표시에 의한 니트 디자인의 수정을 나타낸다.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가 판명되면, 지시 사이즈와의 일치/불일치를 알 수 있다. 거기에서 구한 편성포의 외형형상을 지시 사이즈에 의거하는 형상 데이터 등과 비교한다. 그리고 1개의 화면에 편성포의 외형화상과 형상 데이터의 화상을 포개서 표시하고(스텝(S41)), 다른 화면으로부터 디자인의 수정입력을 접수한다(스텝(S42)). 예를 들면 패턴 데이터를 수정해서 스티치를 추가하거나 혹은 삭제하여, 편성조직의 디자인을 변경한다. 편성포의 일부에 스티치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3과 같이 하면 좋다. 그리고 소망에 따라 수정후의 디자인에 대한 편성포의 외형을 구하고(스텝(S43)), 스텝(S41)으로 되돌아가서 지시 사이즈와의 일치를 확인한다.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편성포의 외형을 단시간에 구할 수 있다.
2) 부분품의 단부 부근의 스티치에 대하여 스무딩을 실시하면, 보다 실제에 가까운 스티치 배치가 얻어진다.
3) 스티치를 루프의 화상으로 치환하면, 간단한 루프 시뮬레이션(loop simulation)을 할 수 있다.
4) 지시 사이즈와의 오차를 눈으로 확인하고, 패턴 데이터 등을 수정함으로써 지시 사이즈대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를 지시 사이즈와 일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편성포 형상에 있어서 간단한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본 발명을 사용해도 좋다. 복수 종류의 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실을 포함하는 촉감 샘플을 편성하여 최적의 루프 길이와, 게이지, 피치 등을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성폭 혹은 편성길이에 따라 스티치 사이즈가 변화되는 경우에, 촉감 샘플을 편성폭 혹은 편성길이를 바꾸어 복수 종류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 니트 디자인 장치
4 ; 버스
6 ; 컬러 모니터
8 ; 매뉴얼 입력장치
10 ; 파일 입출력장치
12 ; 컬러 프린터
14 ; 메모리
16 ; 니트 디자인부
17 ; 피치 기억부
18 ; 외형산출부
19 ; 그리드 라인 변형부
20 ; 외형추출부
24 ; 스무딩부
26 ; 루프 배치부
28 ; 표시제어부
30∼32 ; 박스
71, 72 ; 스티치
73 ; 원
c1∼c4 ; 코스
w1∼w5 ; 웨일
xp ; 웨일방향의 표준 피치
yp ; 코스방향의 표준 피치

Claims (7)

  1. 코스방향(course方向)과 웨일방향(wale方向)을 따라 스티치(stitch)가 배열되어 있는 편성포(編成布)의 외형 사이즈(外形 size)를, 니트 디자인 데이터(knit design data) 혹은 니트 데이터(knit data)로부터 구하는 니트 디자인 시스템(knit design system)으로서,
    코스방향의 피치(pitch) 및 웨일방향의 피치의 2종류의 피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의 배열피치를, 동종(同種)의 스티치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피치와 이종(異種)의 스티치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피치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피치의 입력값을 기억하는 피치 기억부(pitch 記憶部)와,
    코스방향을 따른 스티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코스방향의 그리드 라인(gride line)을, 그리드 라인에 속하는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피치의 평균에 따라 웨일방향에 있어서 상하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변형시키고, 또한 웨일방향을 따른 스티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웨일방향의 그리드 라인을, 그리드 라인에 속하는 스티치의 코스방향의 피치의 평균에 따라 코스방향에 있어서 좌우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그리드 라인 변형부(gride line 變形部)와,
    변형시킨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편성포의 외형을 구하는 외형추출부(外形抽出部)를
    구비하고,
    스티치의 피치를 따라 그리드 라인을 변형시킴으로써 편성포의 외형을 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니트 디자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이 그리드 라인을 따른 이동평균(移動平均)이고 또한 상기 평균은 그리드 라인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디자인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티치가 코스방향을 따라 스티치 이동(stitch 移動)되고 있는 경우의 코스방향의 피치 및 웨일방향의 피치를, 당해 피치의 입력값을 상기 피치 기억부가 기억하거나, 상기 피치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스티치 이동이 없는 경우의 피치로부터 연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디자인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편성포의 단부(端部)의 스티치에 대하여, 변형후의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정해지는 스티치의 위치를 스무딩(smoothing) 하는 스무딩부(smoothing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디자인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티치의 종류와, 변형후의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정해지는 스티치의 위치와, 스티치 사이의 접속관계에 의거하여, 실의 루프(loop)에 의하여 스티치를 나타내는 화상(畵像)을 실이 서로 접속되도록 배치하는 루프 배치부(loop 配置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디자인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편성포의 목표 사이즈(目標 size)를 나타내는 화상과, 변형후의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정해지는 편성포의 화상을 컬러 모니터(color monitor)에 포개서 표시함과 아울러, 편성포의 디자인을 정하는 데이터의 변경을 접수하는 표시제어부(表示制御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디자인 시스템.
  7.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을 따라 스티치가 배열되어 있는 편성포의 외형 사이즈를, 니트 디자인 데이터 혹은 니트 데이터로부터 니트 디자인 시스템에 의하여 구하는 니트 디자인 방법으로서,
    코스방향의 피치 및 웨일방향의 피치의 2종류의 피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의 배열피치를, 동종의 스티치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피치와 이종의 스티치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피치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함과 아울러, 피치의 입력값을 상기 니트 디자인 시스템이 기억하는 스텝(step)과,
    상기 니트 디자인 시스템에 의하여, 코스방향을 따른 스티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코스방향의 그리드 라인을, 그리드 라인에 속하는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피치의 평균에 따라 웨일방향에 있어서 상하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변형시키고, 또한 웨일방향을 따른 스티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웨일방향의 그리드 라인을, 그리드 라인에 속하는 스티치의 코스방향의 피치의 평균에 따라 코스방향에 있어서 좌우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스텝과,
    변형시킨 그리드 라인으로부터 편성포의 외형을 구하는 스텝을
    실행함으로써,
    스티치의 피치를 따라 그리드 라인을 변형시킴으로써 편성포의 외형을 구하는 니트 디자인 방법.
KR1020150036639A 2014-03-18 2015-03-17 니트 디자인 시스템과 니트 디자인 방법 KR101690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4915 2014-03-18
JP2014054915A JP6109105B2 (ja) 2014-03-18 2014-03-18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とニットデザイ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776A KR20150108776A (ko) 2015-09-30
KR101690527B1 true KR101690527B1 (ko) 2016-12-28

Family

ID=5269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639A KR101690527B1 (ko) 2014-03-18 2015-03-17 니트 디자인 시스템과 니트 디자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921581B1 (ko)
JP (1) JP6109105B2 (ko)
KR (1) KR101690527B1 (ko)
CN (1) CN1049332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55B1 (ko) 2015-11-18 2016-12-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Cellular automaton과 Iterative relocation system을 이용한 패턴디자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152302B2 (ja) * 2018-12-27 2022-10-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デザインシステム
JP7204589B2 (ja) * 2019-06-18 2023-01-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
JP7370269B2 (ja) * 2020-02-06 2023-10-2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製品のグレーディング方法とグレーディング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9668A1 (en) 2007-09-28 2009-04-02 Smartpatter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sign of stitched objects
WO2011065263A1 (ja) 2009-11-26 2011-06-0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装置とデザイン方法、デザイ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606B2 (ja) * 1990-08-06 1996-02-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数キャリッジで編成される1ガーメントの編成方法
JP2676182B2 (ja) * 1993-11-08 1997-11-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製品の生産方法
TW446774B (en) * 1998-08-28 2001-07-21 Shima Seiki Mfg Knitwear knitting method
JP4016030B2 (ja) * 2002-07-24 2007-12-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給糸装置
EP1605082B1 (en) * 2003-03-07 2011-06-08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ethod for knitting fabric
CN1316028C (zh) * 2003-04-25 2007-05-16 长春金赛药业有限责任公司 Nα-脱乙酰化人胸腺素α1单体的表达载体、工程菌及其制备方法
JP4237601B2 (ja) * 2003-10-15 2009-03-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ループ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とその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WO2007013296A1 (ja) 2005-07-28 2007-02-01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ループ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とその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09120987A (ja) 2007-11-14 2009-06-04 Shima Seiki Mfg Ltd 編成コース数の調整方法およびデザイン装置
WO2009113282A1 (ja) * 2008-03-12 2009-09-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デザインシステム
JP5595912B2 (ja) * 2008-07-03 2014-09-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製品の編目数の決定方法とデザインシステム、デザイ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9668A1 (en) 2007-09-28 2009-04-02 Smartpatter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sign of stitched objects
WO2011065263A1 (ja) 2009-11-26 2011-06-0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装置とデザイン方法、デザインプログラム
EP2505705B1 (en) 2009-11-26 2016-07-27 Shima Seiki Mfg. Ltd. Knit design device and desig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33217A (zh) 2015-09-23
KR20150108776A (ko) 2015-09-30
JP2015175083A (ja) 2015-10-05
EP2921581B1 (en) 2019-09-04
EP2921581A1 (en) 2015-09-23
JP6109105B2 (ja) 2017-04-05
CN104933217B (zh)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863B1 (ko) 니트 디자인 방법 및 장치
KR950000478B1 (ko) 니팅 설계시스템과 그 시스템용의 니팅 데이타의 작성방법
KR101690527B1 (ko) 니트 디자인 시스템과 니트 디자인 방법
US11293124B2 (en) Textile component produ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690526B1 (ko) 니트 디자인 시스템과 니트 디자인 방법
Underwood The design of 3D shape knitted preforms
JP4237601B2 (ja) ループ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とその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EP1900862B1 (en) Knit simulation device, knit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1356987B1 (ko) 니트 디자인 장치와 디자인 방법, 디자인 프로그램
US20060142891A1 (en) Device for designing tubular knot fabric and method of designing
WO2007058123A1 (ja) ニットデザイン装置とニットデザイン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496656B1 (ko) 니트 디자인 방법과 니트 디자인 장치
CN114547882B (zh) 多色调线横条针织物的可织性测试方法、装置及介质
CN102575392B (zh) 针织设计装置和设计方法
CN112084617B (zh) 编织设计系统
CN116090201B (zh) 少梳经编针织物的仿真方法、装置及系统
US20230357968A1 (en) Methods for fabrication of articles from three-dimensional models
CN109790669A (zh) 准备用于对织物(特别是地毯)进行簇绒的簇绒过程的方法,以及对织物进行簇绒的方法
EP2042632A1 (en) Simulation device, simulation method and simulation program of tubular fabric
EP2955258B1 (en) Design system for knitted fabric
CN117441976A (zh) 复合收针色码的使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