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453B1 -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453B1
KR101690453B1 KR1020160009565A KR20160009565A KR101690453B1 KR 101690453 B1 KR101690453 B1 KR 101690453B1 KR 1020160009565 A KR1020160009565 A KR 1020160009565A KR 20160009565 A KR20160009565 A KR 20160009565A KR 101690453 B1 KR101690453 B1 KR 10169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adjusting
guiding
drainage
drain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이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진 filed Critical 이우진
Priority to KR102016000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배수부재와 하부 배수부재사이에 좌우위치조정부재와, 전후위치조정부재와, 그리고 지지부재순으로 조립된 2방향 유도구조(G)를 설치함으로써 전후좌우 2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욕조라인 및 측벽 등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부 배수부재의 위치선택 및 그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욕실내의 상부 배수부재의 배치 및 그 외관이 더 한층 미려하도록 하는 한편, 2방향이동구조가 평면구조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2방향이동이 용이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전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Apparatus of floor drainage movable in all direction}
본 발명은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배수부재와 하부 배수부재사이에 좌우위치조정부재와, 전후위치조정부재와, 그리고 지지부재순으로 조립된 2방향 유도구조(G)를 설치함으로써 전후좌우 2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욕조라인 및 측벽 등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부 배수부재의 위치선택 및 그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욕실내의 상부 배수부재의 배치 및 그 외관이 한층 더 미려하도록 하는 한편, 2방향이동구조가 평면구조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2방향이동이 용이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전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발명이다.
또한 전후좌우 2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2방향 유도구조(G)에 나선ㆍ결합에 의한 2중 높이조정구조가 더해짐으로써 3차원적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발명이다.
욕실바닥면에는 통상 바닥배수구가 설치된다.
이와 관련된 3개의 종래기술을 중심으로 이들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개의 종래기술을 중심으로 에 대하여 종래기술의 하나는
3개의 종래기술은, 공개실용신안실1998-066891호[바닥배수용 트랩(Trap), 이하 종래기술-1이라한다]이고, 다른 하나는 특허등록번호 10-0899085호(루프 드레인, 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이며, 또 다른 하나는 특허등록번호 10-1148237호(욕실용 배수장치, 이하 종래기술-3이라한다)이다.
먼저, 종래기술-1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1a, b에 의하면, 욕실바닥면에는 원통 본체(10)의 가장자리 지지판(12)이 설치된다. 가장자리 지지판(12)은 욕실바닥면과 동일 레벨이다.
2단 연결 원통체(30)는 원통 본체(10)의 하부에 조립ㆍ연결된다. 배수구(20)는 원통 본체(10)내부에 조립된다. 원통 본체(10)와 2단 연결 원통체(30)는 슬래브콘크리트에 매설된다. 바닥배수의 경로를 보면, 바닥면에서 망판(1)으로 흘러들어 온 물은 배수구(20)와 2단 연결 원통체(30)를 거쳐 하부배수관을 통해 배수된다. 하부배수관은 2단 연결 원통체(30)의 배수구와 수직선으로 일치된다. 하부배수관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전후좌우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런데 종래기술-1에는 고정된 하부배수관에 대하여 바닥배수구의 위치를 전후좌우로 변경할 수 있는 변경구조가 없다.
위치변경구조가 없으므로 바닥배수구의 설치위치가 욕실바닥면과의 레벨 및 욕조라인 등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 욕실바닥의 외관이 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종래기술-2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2에 의하면, 바닥면에는 높이조절플랜지(20)의 패널부재(21)가 설치된다. 패널부재(21)는 바닥면과 동일 레벨이다. 고정플랜지(30)는 볼트관(25)과, 그리고 하부몸체(40)와 조립ㆍ연결된다. 높이조절플랜지(20)와 하부몸체(40)는 슬래브층(S)에 매설된다. 배수관(60)은 끼움부(51)에 삽입되고, 그 하부는 슬래브층(S)밖으로 돌출된다.
종래기술-2역시 종래기술-1과 같이 고정된 하부배수관에 대하여 바닥배수구의 위치를 전후좌우로 변경할 수 있는 변경구조가 없다.
위치변경구조가 없으므로 종래기술-1과 같이 욕실바닥면과의 레벨 및 욕조라인 등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 욕실바닥의 외관이 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다음으로, 종래기술-3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3에 의하면, 욕실용 배수장치의 본체(10)는 배수공(12을 갖는 뚜껑(11)과, 베이스판(16)과, 배수트랩(18)과, 그리고 끼움돌기(22)가 형성된 배수관 덮개(20)로 되어있다.
배수관 덮개(20)의 끼움돌기(22)에 의하여 배수관(30) 직경의 크기에 맞게 삽입ㆍ고정이 가능하다. 예컨대, 원형의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끼움돌기(22)에, 직경이 다른 65㎜, 75㎜, 100㎜의 배수관삽입고정이 가능하게 된 구조이기 때문이다.
종래기술-3은 직경이 서로 다른 65㎜, 75㎜, 100㎜의 배수관의 삽입고정이 가능하지만
고정된 배수관(30)에 대하여 욕실용 배수장치의 위치를 변경하는 변구조가 없다.
종래기술-3역시 종래기술-1, 2와 같이 고정된 하부배수관에 대하여 바닥배수구의 위치를 전후좌우로 변경할 수 있는 변경구조가 없다.
위치변경구조가 없으므로 종래기술-1과 같이 욕실바닥면과의 레벨 및 욕조라인 등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 욕실바닥의 외관이 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 본 발명은 상부 배수부재와 하부 배수부재사이에 좌우위치조정부재와, 전후위치조정부재와, 그리고 지지부재순으로 조립된 2방향 유도구조(G)를 설치함으로써 전후좌우 2방향으로의 상부 배수부재의 위치변경이 자유로워 상부 배수부재설치위치의 조정에 의해 욕실바닥면과 조화를 이루게 하여 그 배치 및 외관이 한층 더 미려하게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2방향 유도구조(G)는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긴 하나 부재의 개수에 관계없이 전후좌우 2방향이동이 평면구조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2방향이동이 용이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또 그 조립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전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전후좌우 2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2방향 유도구조(G)에 나선ㆍ결합에 의한 2중 높이조정구조가 더해짐으로써 3차원적 위치이동이 가능토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부 배수부재(10)와 하부 배수부재(60)로 이루어지면서 그 사이에 배수트랩을 갖는 통상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부 배수부재(10)와 하부 배수부재(60)사이에 좌우위치조정부재(20)와, 전후위치조정부재(30)와, 그리고 지지부재(40)순으로 조립된 2방향 유도구조(G)를 설치하되 좌우위치조정부재(20)는 통수공(26)을 갖는 상부 수직원통부(25)와,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22)와, 그리고 하부 좌우길이방향유도돌출부(23) 및 하부 스톱퍼(24)로 일체로 이루어지고, 전후위치조정부재(30)는 통수공(36)과,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32)와,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33)와, 상부 좌우길이방향돌출유도부(34)와, 그리고 하부 전후길이방향유도돌출부(35)로 일체로 이루어지며, 지지부재(40)는 통수공(46)과,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42)와, 상부 전후길이방향돌출유도부(43)와, 그리고 수평ㆍ수직지지턱(45)(44)으로 일체로 이루어지는 한편, 전후길이방향으로의 위치조정은 지지부재(40)위에서의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전후이동에 의하여, 그리고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조정은 전후위치조정부재(30)위에서의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좌우이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되 전후이동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32)가 지지부재(40)위의 상부 전후길이방향돌출유도부(43)를 따라, 그리고 하부 전후방향유도돌출부(35)는 지지부재(40)의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42)를 따라 이루어지고,
또 좌우이동은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22)가 전후위치조정부재(30)위의 상부 좌우길이방향돌출유도부(34)를 따라, 그리고 하부 좌우방향유도돌출부(23)는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33)를 따라 이루어지며, 전후길이방향돌출유도부(43)와 좌우길이방향돌출유도부(34)가 서로 직각방향이 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이다.
여기에다 일측 곡선 형태(47a)와, 이에 대응되는 타측 직선형태(47b)로 이루어진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표면형상과 지지부재(40)의 표면형상과 동일하고, 그 크기에 있어서도 거의 같으면서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타측 직선형태(47b)쪽에 연장평면이 더 길게 형성되어있는 한편, 연장평면과 곡선 형태(47a)의 평면에 각각 전후절단홈(3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이다.
또한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평면부(21)의 길이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폭보다 긴 연장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평면에 좌우 절단홈(2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이다.
그뿐 아니라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하부에 하부 스톱퍼(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상부 수직원통부(25)내부에 부분나선부(25a)를 형성하고, 배수트랩(50)이 배수공(144)에 삽입된 바닥배수구(14)의 돌출부(142)의 나선부(142a)와 나선ㆍ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이다.
또한 상기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상부 수직원통부(25)내부에 부분나선부(25a)를 형성하고, 배수트랩(50)이 반원부(122)가 있는 배수공(126)에 삽입된 트렌치(12)의 수직돌출부(124)의 나선부(124a)와 나선ㆍ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이다.
그리고 하부 배수부재(60)의 돌출부(62) 나선부(64)와 슬리브(70)의 나선부(72)와 나선ㆍ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이다.
첫 번째로, 2방향 유도구조(G)에 의한 전후좌우위치이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전후좌우는 도5a 및 도5b에 의하여 설명의 편의상 전후를 x방향으로, 좌우를 y방향으로 한다.
첫째, 전후위치이동은 전후위치조정부재(30)와 지지부재(40)와의 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전후위치조정부재(30)가 지지부재(40)위에서 전후로 이동된다. 이때 지지부재(40)는 하부 배수부재(60)에 결합ㆍ고정된 상태이므로 움직일 수가 없다. 지지부재(40)는 정지상태다.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전후이동은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32)가 지지부재(40)의 상부 전후길이방향돌출유도부(43)를 따라, 그리고 하부 전후방향유도돌출부(35)가 지지부재(40)의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42)를 따라 이동되는 구조이다.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전후이동은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하부 좌우길이방향유도돌출부(23)에 의해 스톱된다.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하부좌우방향유도돌출부(23)가 지지부재(40)의 하단평면부(41)까지 돌출되어있기 때문이다(도7의 c-c 단면도 참조).
둘째, 좌우이동은 좌우위치조정부재(20)와 전후위치조정부재(30)와의 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좌우위치조정부재(20)가 전후위치조정부재(30)위에서 좌우로 이동된다. 이때 전후위치조정부재(30)는 정지된 상태다.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좌우이동은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22)가 전후위치조정부재(30)위의 상부 좌우길이방향돌출유도부(34)를 따라, 그리고 하부 좌우방향유도돌출부(23)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33)를 따라 이동되는 구조이다.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좌우이동의 멈춤은 하부 스톱퍼(24)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스톱단부(33a)에 걸림으로써 스톱된다(도5b 참조).
또한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하부 좌우길이방향유도돌출부(23)는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22)와의 유도로로서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전후방향이동에 대한 스톱퍼로서 역할을 겸하게 된다. 하부 좌우길이방향유도돌출부(23)는 지지부재(40)의 하단평면부(41) 및 수직지지턱(44)에 걸리는 높이로 돌출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길이조절 절단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 곡선 형태(38a)(47a)와, 이에 대응되는 타측 직선형태(38b)(47b)로 이루어진 전후위치조정부재(30)와 지지부재(40)의 평면형상은 동일하다.
다만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타측 직선형태(47b)쪽에 연장평면(39)이 지지부재(40)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있다는 점에 있어서만 다르다.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연장평면(39)과 곡선 형태(38a)에 각각 전후절단홈(37)이 형성된다.
또한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평면부(21)의 길이는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폭보다 길다. 그 확장평면(28)에 좌우 절단홈(27)이 형성된다.
세 번째로, 전후좌우 위치이동과 함께 2중 높이 조절이 더해짐으로써 3차원위치이동이 가능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상부 수직원통부(25)의 상부 수직원통부 부분나선부(25a)에 트렌치(12)의 나선부(124a)가 결합된다. 바닥배수구인 경우에도 이와 같다. 트렌치(12)나 바닥배수구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기술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트렌치(12)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렌치(12)의 수직돌출부(124)의 나선부(124a)와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상부 수직원통부(25)의 상부 수직원통부 부분나선부(25a)가 서로 나선ㆍ결합됨으로써 나선부의 길이만큼 1차적으로 높이조정이 가능하다.
여기에다 하부 배수부재(60)의 돌출부(62) 나선부(64)에 슬리브(70) 나선부(72)를 나선ㆍ결합하게 되면, 나선부의 길이만큼 2차적으로 높이조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1, 2차 높이조정은 전후좌우위치이동의 2방향 유도구조(G)와 함께 3차원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네 번째로, 지지부재(40)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조립관계와, 그리고 좌우위치조정부재(20)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조립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5a 및 도5b, 도7, 도8a 및 8b, 도9 참조).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하부 전후길이방향유도돌출부(35)와 지지부재(40)의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42)가 서로 조립되면서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전후이동이 유도된다.
이때 하부 전후길이방향유도돌출부(35)는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42)를 약간 감싼 상태로 조립된다. 감싼 상태의 조립은 합성수지의 탄성력에 의한 것이다. 지지부재(40)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조립이 탄성조립이므로 양부재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하부 좌우길이방향유도돌출부(23)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33)가 서로 조립되면서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좌우이동이 유도된다. 하부 좌우길이방향유도돌출부(23)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33)에 조립된 형태는 위의 하부 전후길이방향유도돌출부(35)가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42)에 조립된 형태와 마찬가지다. 좌우위치조정부재(20)와 전후위치조정부재(30)역시 탄성조립이므로 양부재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전후위치조정부재(30)는 지지부재(40)와 탄성ㆍ조립되고, 또 좌우위치조정부재(20)는 전후위치조정부재(30)와 탄성ㆍ조립된 상태이므로 3개의 부재는 탄성ㆍ조립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하나로 결합된 조립체이다. 탄성 조립체이므로 취급이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섯 번째로, 트렌치(12)의 길이방향과 욕조라인과의 관계에서 전후좌우위치조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상부 수직원통부(25)의 상부 수직원통부 부분나선부(25a)에 트렌치(12)가 결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전후좌우위치이동에 대한 욕실라인과의 외관 조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b에서 보는바와 같이 욕조라인은 길이방향이다. 통상 트렌치(12)의 길이방향은 욕조라인을 따라 설치된다.
트렌치(12)의 길이방향과 욕조라인과의 이격거리가 작을수록 2개의 라인으로 인한 외관이 조화를 이룬다. 반대로 이격거리가 크게 되면 2개의 라인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외관이 흉하게 된다.
또한 수직배수관파이프와 욕조라인과의 거리가 멀수록 이격거리가 커진다.
이격거리가 큰 수직배수관파이프를 이동시킬 수도 없다. 이미 수직배수관파이프의 위치가 정해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수직배수관파이프를 그대로 두고 종래기술은 상부트렌치(12)만을 전후좌우로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배수관파이프의 설치위치가 욕조라인과의 이격거리가 클수록 를 크게 하는 주범이다. 그렇다고 배수관파이프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도 없다. 배수관파이프는 독립된 파이프가 아니다. 서로 시스템적으로 연결된 것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종래기술은 전후좌우위치이동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본 발명은 2방향 유도구조(G)에 의해 전후좌우위치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를 통해 트렌치(12)와 욕조라인과의 이격거리조정이 가능하다.
측벽라인의 경우에도 욕조라인과 마찬가지로 그 이동이 가능하다.
⒜ 본 발명은 상부 배수부재와 하부 배수부재사이에 좌우위치조정부재와, 전후위치조정부재와, 그리고 지지부재순으로 조립된 2방향 유도구조(G)를 설치한 구성이므로 전후좌우 2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욕조라인 및 측벽 등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부 배수부재의 위치선택 및 그 조정이 가능하여 이로 인해 욕실내의 상부 배수부재의 배치 및 그 외관이 더 한층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고,
⒝ 2방향 유도구조(G)는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긴 하나 부재의 개수에 관계없이 전후좌우 2방향이동이 평면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2방향이동이 용이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또 그 조립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전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 전후좌우 2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2방향 유도구조(G)에 나선ㆍ결합에 의한 2중 높이조정구조를 더한 것이므로 3차원적 위치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지니게 된다.
[도1a] 종래기술-1의 바닥배수통 트랩의 분해사시도
[도1b] 도1a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2] 종래기술-2의 배수구의 사시도
[도3] 종래기술-3의 트렌치 배수구의 분해사시도
[도4a] 트렌치를 예로 든 본 발명 2방향 유도구조(G)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4b] 도4a의 결합사시도
[도5a] 본 발명 2방향 유도구조(G)를 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5b] 본 발명 2방향 유도구조(G)를 밑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6a] 본 발명 2방향 유도구조(G)를 밑에서 본 결합 사시도
[도6b] 도6a의 밑에서 본 평면도
[도7a] 본 발명 2방향 유도구조(G)를 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7b] 도7b의 b-b단면도
[도7c] 도7b의 c-c단면도
[도8a] 본 발명 하부배수부재에 지지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8b] 도8a의 a-a단면도
[도9] 본 발명 하부배수부재에 지지부재와 그리고 지지부재위에 전후위치조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전후위치조정부재위에 좌우위치조정부재를 조립하기위한 분해사시도
[도10a, b] 본 발명 좌우위치조정부재가 좌우 y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11a, b] 본 발명 전후위치조정부재가 전후 x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
본 발명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의 실시내용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치위치가 고정된 수직배수관파이프위에 하부 배수부재(60)를 설치한다. 이때 하부 배수부재(60)의 돌출부(62) 나선부(64)에 슬리브(70)의 나선부(72)를 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하부 배수부재(60)위에 지지부재(40)→전후위치조정부재(30)→좌우위치조정부재(20)순으로 조립ㆍ결합한다.
미리 지지부재(40)→전후위치조정부재(30)→좌우위치조정부재(20)를 탄성ㆍ조립하여 하나의 조립체, 즉 2방향 유도구조(G)로 조립한 다음, 이 조립체를 하부 배수부재(60)위에 한 번에 조립ㆍ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조립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좌우위치조정부재(20)위에 트렌치(12) 또는 바닥배수구를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ㆍ결합된 경우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통수공(26)과,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통수공(36)과, 지지부재(40)의 통수공(46)은 서로 연통된다. 상부 배수부재(10)인 트렌치(12)의 배수공(126)과 바닥배수구(14)의 배수공(144)과도 연통된다.
트렌치(12)의 반원부(122)는 통수량이 큰 원형상의 배수트랩(50)의 삽입이 원활하게 하기위해서다. 트렌치(12)의 배수공(126)에 배수트랩(50)을 설치한다.
걸름망(127)의 설치도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부재들의 조립과정에서 특히 하부 배수부재(60)와 지지부재(40)와의 조립과정과, 그리고 좌우위치조정부재(20)와 바닥배수구(14) 또는 트렌치(12)와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배수부재(60)와 지지부재(40)와의 조립과정을 보면, 하부 배수부재(60)의 상단부(66)에는 지지부재(40)의 수평지지턱(45)이 지지되고 , 그리고 하부 배수부재(60)의 내부에는 지지부재(40)의 수직지지턱(44)이 삽입된다.
다음으로, 좌우위치조정부재(20)와 바닥배수구(14) 또는 트렌치(12)와의 조립과정을 보면,
트렌치(12)의 수직돌출부(124)의 나선부(124a)와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상부 수직원통부(25)의 상부 수직원통부 부분나선부(25a)가 서로 나선ㆍ결합된다.
다른 한편, 트렌치(12)의 길이방향과 욕조라인과의 이격거리가 큰 경우, 이에 대한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위치이동과 이에 따른 연장평면(39)의 전후절단홈(37)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직선형태(38b)는 욕조라인으로 향한다.
트렌치(12)라인과 욕조라인의 이격거리가 긴 경우, 도11b와 같이 연장평면(39)을 x방향으로 길게 펼친다.
이와 반대로 트렌치(12)라인과 욕조라인의 이격거리가 짧은 경우 도11b와 같이 연장평면(39)을 x방향으로 길게 펼친 상태에서 적당한 이격거리가 되게 연장평면(39)의 전후절단홈(37)을 절단한다.
측벽라인의 경우도 이와 같다. 즉 도11a, b에서와 같이 y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2방향 유도구조(G)는 전후좌우 2방향이동이 평면구조에 의한 이동이므로 2방향이동이 용이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또 그 조립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전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상부 배수부재(10), 12; 트렌치(12), 122; 반원부(122), 124; 수직돌출부(124), 124a; 나선부(124a), 126; 배수공(126), 127; 걸름망(127),
G; 2방향 유도구조(G)
20; 좌우위치조정부재(20), 21; 평면부(21), 22;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22), 23; 하부 좌우길이방향유도돌출부(23), 24; 하부 스톱퍼(24), 25; 상부 수직원통부(25), 25a; 상부 수직원통부 부분나선부(25a), 26; 통수공(26), 27; 좌우 절단홈(27), 28; 확장평면(28)
30; 전후위치조정부재(30), 31; 평면부(31), 32;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32), 33;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33), 33a; 스톱단부(33a), 34; 상부 좌우길이방향돌출유도부(34), 35; 하부 전후길이방향유도돌출부(35), 36; 통수공(36), 37; 전후절단홈(37), 38a; 곡선형태, 38b; 직선형태, 39; 연장평면(39)
40;지지부재(40), 41; 평면부(41), 42;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42), 43; 상부 전후길이방향돌출유도부(43), 44; 수직지지턱(44), 45; 수평지지턱(45), 46; 통수공(46),
47a; 곡선형태, 47b; 직선형태
50; 배수트랩(50)
60; 하부 배수부재(60), 62; 돌출부(62), 64; 나선부(64)
70; 슬리브(70), 72; 나선부(72)

Claims (7)

  1. 상부 배수부재(10)와 하부 배수부재(60)로 이루어지면서 그 사이에 배수트랩을 갖는 통상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부 배수부재(10)와 슬리브(70)에 나선 결합되는 하부 배수부재(60)사이에 좌우위치조정부재(20)와, 전후위치조정부재(30)와, 그리고 지지부재(40)순으로 조립된 2방향 유도구조(G)를 설치하되 좌우위치조정부재(20)는 통수공(26)을 갖는 상부 수직원통부(25)와,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22)와, 그리고 하부 좌우길이방향유도돌출부(23) 및 하부 스톱퍼(24)로 일체로 이루어지고, 전후위치조정부재(30)는 통수공(36)과,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32)와,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33)와, 상부 좌우길이방향돌출유도부(34)와, 그리고 하부 전후길이방향유도돌출부(35)로 일체로 이루어지며, 지지부재(40)는 통수공(46)과,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42)와, 상부 전후길이방향돌출유도부(43)와, 그리고 수평ㆍ수직지지턱(45)(44)으로 일체로 이루어지는 한편, 전후길이방향으로의 위치조정은 지지부재(40)위에서의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전후이동에 의하여, 그리고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조정은 전후위치조정부재(30)위에서의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좌우이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되 전후이동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32)가 지지부재(40)위의 상부 전후길이방향돌출유도부(43)를 따라, 그리고 하부 전후방향유도돌출부(35)는 지지부재(40)의 전후길이방향 유도단부(42)를 따라 이루어지고, 또 좌우이동은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22)가 전후위치조정부재(30)위의 상부 좌우길이방향돌출유도부(34)를 따라, 그리고 하부 좌우방향유도돌출부(23)는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좌우길이방향 유도단부(33)를 따라 이루어지며, 전후길이방향돌출유도부(43)와 좌우길이방향돌출유도부(34)가 서로 직각방향이 되게 이루어지고, 하부 배수부재(60)의 회전방향이 슬리브(70)내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 곡선 형태(38a)와, 이에 대응되는 타측 직선형태(38b)로 이루어진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표면형상과 지지부재(40)의 표면형상과 동일하고, 그 크기에 있어서도 거의 같으면서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타측 직선형태(38b)쪽에 연장평면이 더 길게 형성되어있는 한편, 연장평면과 곡선 형태(38a)의 평면에 각각 전후절단홈(3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평면부(21)의 길이가 전후위치조정부재(30)의 폭보다 긴 연장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평면에 좌우 절단홈(2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상부 수직원통부(25)내부에 부분나선부(25a)를 형성하고, 배수트랩(50)이 배수공(144)에 삽입된 바닥배수구(14)의 돌출부(142)의 나선부(142a)와 나선ㆍ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위치조정부재(20)의 상부 수직원통부(25)내부에 부분나선부(25a)를 형성하고, 배수트랩(50)이 반원부(122)가 있는 배수공(126)에 삽입된 트렌치(12)의 수직돌출부(124)의 나선부(124a)와 나선ㆍ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 배수부재(60)의 돌출부(62) 나선부(64)와 슬리브(70)의 나선부(72)와 나선ㆍ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KR1020160009565A 2016-01-26 2016-01-26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KR10169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65A KR101690453B1 (ko) 2016-01-26 2016-01-26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65A KR101690453B1 (ko) 2016-01-26 2016-01-26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453B1 true KR101690453B1 (ko) 2016-12-27

Family

ID=5773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565A KR101690453B1 (ko) 2016-01-26 2016-01-26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7402A (zh) * 2021-03-30 2021-06-29 肇庆高新区格兰新材料科技有限公司 环保防水板材用地漏装置及其应用、安装方法和安装工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651U (ko) * 1995-03-03 1996-10-24 장명석 배수전
KR0116052Y1 (ko) * 1995-02-16 1998-04-22 오주훈 양변기용 배수구
KR200182371Y1 (ko) * 1999-12-17 2000-05-15 김영보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052Y1 (ko) * 1995-02-16 1998-04-22 오주훈 양변기용 배수구
KR960031651U (ko) * 1995-03-03 1996-10-24 장명석 배수전
KR200182371Y1 (ko) * 1999-12-17 2000-05-15 김영보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7402A (zh) * 2021-03-30 2021-06-29 肇庆高新区格兰新材料科技有限公司 环保防水板材用地漏装置及其应用、安装方法和安装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92490A1 (en) Assembly for pipe finishing work
KR101690453B1 (ko) 전후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바닥 배수장치
KR101613490B1 (ko) 무볼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JP2022061254A (ja) 排水配管継手
KR20150001401A (ko) 변형 방지 조립식 수로관
KR200383206Y1 (ko) 슬라이딩커버를 갖는 매입형 전선함
KR101057871B1 (ko) 입상관 지지구
KR101261760B1 (ko) 스테인레스 배수 트랜치
JP2006275074A (ja) 配管固定具
KR101260475B1 (ko)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KR101663103B1 (ko)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JP2651619B2 (ja) 合成樹脂製桝を用いた下水道施工法
JP2007319445A (ja) 浴槽の設置構造
JP6351065B2 (ja) 排水ソケット
KR20200000682U (ko)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KR20230054306A (ko) 다분기 수전 유닛
JP5472676B2 (ja) 薄型排水トラップ
KR200394818Y1 (ko) 배수 트렌치
JP7445585B2 (ja) 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
KR102645117B1 (ko) 배수부 관통공을 구비한 수전함
CN102261110B (zh) 自动水龙头
JP2007222358A (ja) 洗面キャビネット
JP5349398B2 (ja) カバー水栓
CN105569142A (zh) 一种隐藏式冲厕水箱
US1332660A (en) Water-closet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