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306A - 다분기 수전 유닛 - Google Patents

다분기 수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306A
KR20230054306A KR1020220133579A KR20220133579A KR20230054306A KR 20230054306 A KR20230054306 A KR 20230054306A KR 1020220133579 A KR1020220133579 A KR 1020220133579A KR 20220133579 A KR20220133579 A KR 20220133579A KR 20230054306 A KR20230054306 A KR 2023005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aucet
branch
power receiv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숙란
신보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신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신보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Publication of KR2023005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 유닛 내부로 유입된 냉온수 배관을 필요에 따라 분기하여 배관되도록 하는 수전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벽체 매립재에 접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 내에 삽입되어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으로부터의 냉온수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수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전 유닛은, 내부에 상기 내부관 및 분기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절개되어 개방된 채널형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수전박스와;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구성고, 상기 내부관이 관통하여 수전박스에 인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와; 상기 수전박스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관을 통해 유입된 유입수를 수전박스 전면을 통해 수전구로 공급하거나, 상기 수전박스 측면으로 분기하는 분기구; 그리고 상기 수전박스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전박스 내부공간을 보호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감커버에는, 상기 분기구로부터 냉온수를 수전구에 공급하기 위한 연결배관이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하나의 수전박스를 이용하여, 세면대, 샤워기 등 다양한 매립위치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분기 수전 유닛의 범용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분기 수전 유닛 { HYDRANT HOUSING UNIT HAVING MULTI BRANCHED PIPE }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는 수전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 유닛 내부로 유입된 냉온수 배관을 필요에 따라 분기하여 배관되도록 하는 수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있어서, 건물의 신축 또는 증축 시, 건물 내부로 수전을 공급하기 위해, 냉온수관을 연결하여, 욕실, 주방, 발코니, 다용도실 등 기타 수전이 필요한 수요처에 위치하도록 분배기, 바닥매립형박스, 벽체매립형박스 등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수전 배관 시공 방법은 배관 매립 이후 누수가 발생하거나 파손이 발생된 경우, 배관을 교체 및 수리하기 위하여, 외부관과 내부관을 이용하는 이중관 방식이 적용하여, 바닥과 벽의 손상 없이 매립형 박스 내에서 내부관인 냉온수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시공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25509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때, 매립형 박스는 벽체를 조적하거나,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벽체철근에 위치를 잡아 설치하고, 박스 내부로 배관을 삽입하여 연결구와 결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벽체에 시공되는 다른 배관 및 배선과 충돌을 방지하도록 시공된다.
한편, 이와 같은 매립형 수전박스는 설치되는 위치 및 배관의 방향 및 개수에 따라 미리 설계된 제품을 사용하고 있고, 이에 따라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분기관의 방향, 개수 및 수전박스의 크기)의 수전박스가 제작되어야 하므로, 수전박스의 제작원가가 증가되고, 남은 자재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5509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동일한 하나의 수전박스를 이용하여, 세면대, 샤워기 등 다양한 매립위치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확보된 다분기 수전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벽체 내에 매립되는 타 배관 및 배선에 따라 분기관의 위치를 다양한 위치 및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범용성이 확보된 다분기 수전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벽체 매립재에 접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 내에 삽입되어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으로부터의 냉온수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수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전 유닛은, 내부에 상기 내부관 및 분기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절개되어 개방된 채널형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수전박스와;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구성고, 상기 내부관이 관통하여 수전박스에 인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와; 상기 수전박스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관을 통해 유입된 유입수를 수전박스 전면을 통해 수전구로 공급하거나, 상기 수전박스 측면으로 분기하는 분기구; 그리고 상기 수전박스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전박스 내부공간을 보호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감커버에는, 상기 분기구로부터 냉온수를 수전구에 공급하기 위한 연결배관이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전박스와 상기 마감커버 사이에는, 상기 수전박스의 테두리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전박스 전면에 결합하여, 상기 수전박스와 상기 마감커버 사이의 이격거리를 소정의 길이로 이격시키는 연장박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관은,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 및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판상의 삽입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주름관이 결합되는 체결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플레이트 측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도록 삽입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 측면에는,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전박스 저면에는, 상기 분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래킷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는 두 개의 고정브래킷이 설치되어, 두 개의 분기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장박스 양측 하부에는, 두개의 분기구에서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쌍의 배수구가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커버 양측 하부에는, 상기 배수구가 관통되는 배출공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고정브래킷은, 상기 수전박스 저면이 밀착되어 설치되는 저단브래킷과; 상기 수전박스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고단브래킷으로 구성되어, 상기 두 개의 분기구 고정 위치가 전후로 서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체결환이 상기 삽입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상부 또는 하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체결 방향에 따라 상기 관통공이 상기 수전박스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체결환이 상기 삽입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상부 및 하부의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분기 수전 유닛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하나의 수전박스를 이용하여, 세면대, 샤워기 등 다양한 매립위치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분기 수전 유닛의 범용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벽체 내에 매립되는 타 배관 및 배선에 따라 분기관의 위치를 다양한 위치 및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어, 다분기 수전 유닛의 범용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수전박스 설치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분기 수전 유닛이 세면대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분기 수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분기 수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분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전 유닛 전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효과,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분기 수전 유닛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분기 수전 유닛이 세면대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분기 수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분기 수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전박스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분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전 유닛 전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전유닛을 살피면, 본 발명에 의한 수전유닛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수전박스(100), 연장박스(200), 마감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전박스(100)는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전박스(100)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도를 수도전으로 공급하는 분기구(5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전박스(100) 측면에는 절개되어 개방된 채널형의 결합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에는, 슬라이딩에 의해 삽입되어, 내부관이 관통하여 수전박스에 인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의 구성을 상세히 살피면, 상기 커넥터는 삽입플레이트와 체결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삽입플레이트는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판상의 부재고, 상기 체결환은 상기 삽입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공 외측으로 연장 돌출형성되어 주름관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플레이트 측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도록 삽입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 측면에는,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120)는 상기 관통공은 전방이 개방된 채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전방이라 함은 상기 수전박스(100)의 개방된 전면 방향을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120)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플레이트 측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측면에는 함몰된 형태의 삽입슬롯이 형성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삽입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은 서로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박스(100)의 관통공은 바닥면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개구된 『∪』 형태의 절개구조로, 상단부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저항력이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단부와 삽입슬롯 단부에 수전박스 내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내측 돌출부와 외측 돌출부를 형성하고, 내측 돌출부와 외측 돌출부의 측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내측 돌출부와 외측 돌출부 측면의 접촉면에서의 저항력에 의해 관통구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변형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수전박스는 이격된 틈이 발생되지 않아, 수전박스(100) 외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수전박스 내부로 유입될 우려와 수전박스 내의 누수가 벽체로 유출될 우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수전박스(100) 내부에는 분기구(5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분기구(500)는 상기 체결환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전박스(100) 내부로 연장된 내부관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관을 통해 유입된 유입수를 수전박스 전면을 통해 수전구로 공급하거나, 상기 수전박스 측면으로 분기한다.
상기 분기구(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구, 6구 뿐만 아니라, 5구, 7구 등 다분기 분기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분기구(5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51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평 유출입구(520)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의 수직 유출입구(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다수개의 수평 유출입구(520) 중 시공 현장에 따라 필요한 수평 유출입구(520)는 배관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은 수평 유출입구(520)는 차폐캡(미도시)을 이용하여 차단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은 특정 방향으로만 다수개의 분기관을 배관하고, 특정 방향은 분기관의 배관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여, 배관방향의 선택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박스 저면에는 상기 분기구(5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래킷(1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기구(500)는 설치위치와 배관 상태에 따라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 두 개의 고정브래킷(110)이 설치되어, 두 개의 분기구(50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기구(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 고정브래킷(110)을 이용하여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냉수용 분기구와 온수용 분기구가 각각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분기구(500)를 고정하는 방법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 데, 첫 번째는 고정브래킷(110)에 『Ω』형태의 클립이 형성되어, 분기구의 원형관이 클립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브래킷에 『∪』형태의 하부클립이 형성되어, 분기구(500)의 원형관이 하부클립에 안착된 상태에서 『∩』형태의 상부클립이 분기구의 원형관을 감싼 상태로 하부클립에 체결되어 분기구를 고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분기구 고정 방식은 설치 구조 및 시공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고정방식이 각각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배관은 이중관 배관으로 외부관인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름관 내부로 상기 내부관이 삽입되는데, 상기 내부관은 이동수가 이동하는 관으로,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41)과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42)이 각각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수배관(41)은 냉수용 분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배관(42)은 온수용 분기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배관(41)과 상기 온수배관(42) 외부로 상기 냉수배관과 상기 온수배관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주름관이 구비되는데, 상기 주름관(500)은 상기 수전박스(100) 측면에 체결된 커넥터(200)의 체결환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수전박스(100)와 상기 마감커버(300)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연장박스(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박스(200)는 상기 수전박스(100)의 테두리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전박스(100) 전면에 결합하여, 상기 수전박스(100)와 상기 마감커버(3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소정의 길이로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전박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20) 벽면에 설치되어, 세면기 수도전(10)에 냉온수를 공급할 수도 있고, 샤워기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세면기 벽면의 경우, 상기 수전박스(100)는 세면기(20) 하부의 덮개(일명 반다리, 30)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벽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샤워기 벽체에 매립되는 경우에 비하여, 비교적 깊은 깊이로 매설된다.
이에 기존에는 세면기용 수전박스와 샤워기용 수전박스의 깊이를 달리하여 별개로 생산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세면기 벽체에 수전박스(100)를 시공하는 경우, 상기 연장박스(200)를 설치하도록 하여, 하나의 수전박스를 다양한 깊이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장박스(200) 양측 하부에는, 두개의 분기구(냉수용 분기수 및 온수용 분기구)에서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배수구(210)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수를 통해 누수되는 물을 관측하여, 수전박스(100)내에 누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 방향에 따라 냉온수 배관 중 어느 쪽에 누수가 발생되었는 지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커버(300)는 상기 수전박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관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수전박스(100) 전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수전박스(100) 전면에 연장박스(20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장박스(200) 전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커버(300)는 판상형의 형태로, 상기 분기구(500)가 외부로 돌출되어 수도전 연결배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하는 체결공(3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커버(300) 양측 하부에는, 양측의 상기 배수구가 관통되는 배출공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마감커버(300)는 욕실 벽면에 노출되는 커버로, 마감커버(300) 전면에는 냉수배관과 온수배관이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체결공(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320)에는 냉수분기관 및 온수분기관의 전면 배출공에 각각 결합된 전면 분기관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체결공(320)과 냉온수배관 단부의 결합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상기 체결공(320) 외측으로 전면이 차폐되고 내측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냉온수배관 단부에는 단부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인입된 위치에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형태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냉온수배관이 체결공(320) 내측으로부터 전면으로 삽입시,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결합되되, 차폐된 전면에 안착되어 냉온수배관의 상기 체결공(320) 돌출 길이를 제한하고, 냉온수 배관의 회전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냉온수 배관과 마감커버(300)의 결합 시공은 용이하나, 마감커버(300)의 체결공(320)에 냉온수 배관이 완전히 고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체결공(320)과 냉온수 배관 단부의 두 번째 결합 방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320) 외측에 마감커버(300)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는 나사홈(321)을 형성하고, 상기 냉온수배관 단부가 체결공(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홈(321)에 고정나사(42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이때, 상기 나사홈(321)의 측면 또는 고정나사 헤드부의 측면이 테이퍼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나사(420)가 나사홈(321)에 삽입되는 삽입길기가 깊어질수록, 고정나사(420)의 헤드부가 상기 냉온수배관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커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냉온수배관 단부에는 상기 체결공(320)에 삽입되는 결합너트(4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자는 필요(벽체의 종류, 예상 수압 등)에 따라 고정나사(420)의 삽입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냉온수배관과 마감커버(300)의 결합력을 조정할 수 있고, 냉온수배관과 마감커버(300) 사이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을 적절한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반다리(하부커버)는 세면기 하부 배관을 차폐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반면에, 상기 반다리를 『ㄱ』자형 브래킷을 욕실 벽체에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브래켓과 하부커버 측면을 다시 나사로 고정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하부커버의 설치과정에서 브래킷을 욕실 벽체에 고정시 고정나사가 벽체 내부에 배설된 분기관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고, 벽체에 나사를 타공시 욕실 타일 등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감커버(300)에 고정브래킷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삽입홈(310)을 형성하고, 결합볼트를 『ㄱ』자형 고정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삽입홈(310)에 체결하여 고정브래킷을 마감커버(300)상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감커버(300)의 볼트삽입홈(310)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수전박스(100) 및 연장박스(200)에는 결합볼트가 안정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결합부가 형성되어, 볼트삽입홈(310)을 관통한 볼트 단부가 견고하게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고정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에 의해 배관이나 벽체 타일이 훼손될 우려가 없다.
나아가, 상기 볼트삽입홈(3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마감커버(반다리)의 형태에 따라 고정브래킷의 좌우 설치폭을 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전박스(100) 내에 두개의 분기구(500)가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경우, 각 분기구(500)는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어, 연결되는 내부배관의 높이를 상/하 2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전박스(100) 내측면에 설치되는 두 개의 고정브래킷 중 하나는 상기 수전박스(100) 저면이 밀착되어 설치되는 저단브래킷(111)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수전박스(100)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고단브래킷(11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냉수배관 및 온수배관 중 어느 하나는 낮은 위치로 결합 및 분기되고, 다른 하나는 높은 위치로 결합 및 분기된다.
이에 따라, 냉온수 배관이 관통하는 커넥터(120)의 관통공 높이도 높은 것과 낮은 것 두가지로 구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다음 두가지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120)의 첫번째 실시예는, 상기 체결환이 상기 삽입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상부 또는 하부의 중앙에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플레이트를 삽입방향 상/하부로 양분하고, 이들 상부 또는 하분 중 어느 한 영역의 중앙에 체결환을 형성하여, 대칭형의 삽입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체결환이 어느 일측으로 편중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120)는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환이 상기 수전박스의 바닥면 쪽에 구비되어 저단브래킷(111)에 체결된 분기구(500)와 결합될 수도 있고; 상부족에 구비되어 고단브래킷(113)에 체결된 분기구(50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120)는 두 번째 실시예는, 상기 체결환이 상기 삽입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상부 및 하부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120)에는 상하부 각각에 체결환 및 관통공이 형성되어,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냉수 배관 및 온수 배관 한쌍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전박스(100)에서 두 개의 커넥터(120)를 통해 냉/온수 배관 각각을 유입 및 분기 시킬 수 있는 바, 두 개의 커넥터(120)를 상기 수전박스(100)의 한면에 배치시키면, 배관 방향을 한 방향으로 집중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전박스(100)의 설치 위치가 벽면 단부 또는 모서리에 밀착되거나, 다른 배관이나 배선이 복잡하게 배치된 경우, 매우 유용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수전 유닛 내부로 유입된 냉온수 배관을 필요에 따라 분기하여 배관되도록 하는 수전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하나의 수전박스를 이용하여, 세면대, 샤워기 등 다양한 매립위치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분기 수전 유닛의 범용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10 : 수전구 20 : 세면기
30 : 반다리 41 : 냉수배관
42 : 온수배관 100 : 수전박스
110 : 고정브래킷 111 : 저단브래킷
113 : 고단브래킷 120 : 커넥터
200 : 연장박스 210 : 배수구
300 : 마감커버 310 : 삽입홈
320 : 체결공 321 : 나사홈
410 : 결합너트 420 : 고정나사
500 : 분기구 510 : 몸체
520 : 수평 유출입구 530 : 수직 유출입구

Claims (9)

  1. 벽체 매립재에 접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 내에 삽입되어 이동수가 이동하는 내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으로부터의 냉온수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수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전 유닛은,
    내부에 상기 내부관 및 분기구가 위치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절개되어 개방된 채널형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수전박스와;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구성고, 상기 내부관이 관통하여 수전박스에 인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와;
    상기 수전박스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관을 통해 유입된 유입수를 수전박스 전면을 통해 수전구로 공급하거나, 상기 수전박스 측면으로 분기하는 분기구와;
    상기 수전박스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전박스 내부공간을 보호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감커버에는,
    상기 분기구로부터 냉온수를 수전구에 공급하기 위한 연결배관이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수전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박스와 상기 마감커버 사이에는,
    상기 수전박스의 테두리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전박스 전면에 결합하여, 상기 수전박스와 상기 마감커버 사이의 이격거리를 소정의 길이로 이격시키는 연장박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수전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은,
    냉수가 이동하는 냉수배관 및 온수가 이동하는 온수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수전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되는 판상의 삽입플레이트와;
    상기 삽입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주름관이 결합되는 체결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수전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플레이트 측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도록 삽입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 측면에는,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수전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박스 저면에는,
    상기 분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래킷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수전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는 두 개의 고정브래킷이 설치되어, 두 개의 분기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수전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박스 양측 하부에는,
    두개의 분기구에서 누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쌍의 배수구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수전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 양측 하부에는,
    상기 배수구가 관통되는 배출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수전 유닛.
KR1020220133579A 2021-10-15 2022-10-17 다분기 수전 유닛 KR20230054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7687 2021-10-15
KR1020210137687 2021-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306A true KR20230054306A (ko) 2023-04-24

Family

ID=8614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579A KR20230054306A (ko) 2021-10-15 2022-10-17 다분기 수전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43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09B1 (ko) 2013-08-20 2014-08-04 (주)케이에스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09B1 (ko) 2013-08-20 2014-08-04 (주)케이에스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0654B1 (ru) Вмонтированная в стену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водоснабжения
RU2765566C1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настенного монтажа, содержащая проход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линии
CA2868668A1 (en) Pipe connector
KR200395234Y1 (ko) 양구형 헤더가 내장된 냉,온수용 분배기박스
EP1589154A2 (en) Multifunction unit for sanitary fittings
KR20230054306A (ko) 다분기 수전 유닛
KR20080076267A (ko) 벽체 매립 상자
JP7064497B2 (ja) 洗面台等の設置及び壁取付けのための構成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AU2008202427A1 (en) A coupler for plumbing fixtures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CN211145610U (zh) 一种预埋式管道及具有其的卫浴墙板
KR101287503B1 (ko) 혼합수전 체결장치
RU278159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настенного монтажа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101663103B1 (ko)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2626941B1 (ko) 수전박스용 연장구
KR102339280B1 (ko)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KR102351576B1 (ko)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US20220090704A1 (en) Mid-stream bracket
KR102351575B1 (ko)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407289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20160002651U (ko) 이중관 수전 연결부재
JP2011043228A (ja) 分岐弁
KR20080071239A (ko) 방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