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193B1 - 준설선의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준설선의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193B1
KR101690193B1 KR1020150024430A KR20150024430A KR101690193B1 KR 101690193 B1 KR101690193 B1 KR 101690193B1 KR 1020150024430 A KR1020150024430 A KR 1020150024430A KR 20150024430 A KR20150024430 A KR 20150024430A KR 101690193 B1 KR101690193 B1 KR 101690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ud
dredger
rotary
spool
rotar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812A (ko
Inventor
김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중
김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중, 김창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중
Priority to KR102015002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19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6Floating substructures as supports
    • E02F9/062Advancing equipment, e.g. spuds for floating dred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02F9/04Walking gears moving the dredger forward step-by-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land waters, e.g. for use on canals or 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선의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준설선 이동 장치는, 준설선(10)의 상판에 형성된 스퍼드 통과홀(12); 스퍼드(110); 스퍼드(110)에 외삽하고 있고 스퍼드(11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재(150)와, 제2 회전부재(150)에 연결되어 있고 제2 회전부재(150)와 스퍼드(110)를 함께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예인선에 의하지 않고도 준설선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 작업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준설선의 이동 장치{A MOVING APPARATUS FOR DREDGE}
본 발명은 준설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퍼드를 준설바닥으로부터 띄운 상태에서 스퍼드를 일방향으로 기울인 후에 기울어진 스퍼드를 준설바닥에 다시 꽂고 이후 스퍼드를 반대방향으로 다시 기울이는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예인선을 이용하지 않고도 준설선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준설선 이동 작업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호수 등의 수면 아래쪽 바닥에는 우천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오폐수에 의하여 슬러지가 퇴적되거나, 인위적인 투척에 의해 슬러지가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각종 슬러지는 수질오염을 가속화시켜 생태환경을 파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면에 쌓여 있는 슬러지 제거 및 준설을 위하여 준설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준설선은 준설할 수역의 깊이와 바닥의 토질의 종류, 준설된 물질의 운반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설비와 장비를 탑재하여, 강, 운하, 항만, 항로의 깊이를 깊게 하기 위한 준설작업을 하며, 물밑의 슬러지를 포함하는 흙, 모래, 광물 등을 채취하는 작업, 수중구조물 축조의 기초공사, 해저 폐기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종래의 준설선을 이용한 준설작업에 있어서 스퍼드(spud)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에 작업하는 경우도 있었고, 스퍼드가 없는 준설선도 있다.
이와 같이 준설선에 구비되는 스퍼드는 준설선의 상판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서 준설대상의 바닥에 꽂아서 준설선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스퍼드를 바닥에 꽂기 위하여 스퍼드를 하강하거나 또는 바닥에 꽂힌 스퍼드를 위로 올리기 위한 장치로서 스퍼드 승하강수단이 있는데, 이 스퍼드 승하강수단은 예컨대 윈치나 랙기어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있다.
그리고, 스퍼드가 장착된 준설선은 계류식 준설선에 비하여 준설 수역 바닥에 준설선의 선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속 또는 해류가 빠른 수역에서도 안정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준설선을 이용한 준설작업의 경우, 통상 준설선의 작업 반경은 5 ~ 10 m 정도이고 작업시간은 대략 30 분 ~ 1 시간 정도이기 때문에 한 지점에서 오랫동안 준설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주 이동을 필요로 하였다.
이때 종래의 경우에는 이러한 준설선을 이동하기 위해서 예인선을 이용하였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예인선을 이용하여 준설선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예인선 이용 비용이 비싸서 전체적으로 준설작업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예인선을 이용하는 경우 예인선을 준설선에의 연결 및 연결 해제 작업에 시간이 걸려서 전체적으로 이동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324695호(공고일: 2013년 11월 01일)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1339890호(공고일: 2013년 12월 1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의 목적은,
첫째, 스퍼드를 준설바닥으로부터 띄운 상태에서 스퍼드를 일방향으로 기울인 후에 기울어진 스퍼드를 준설바닥에 꽂아서 이를 반대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예인선을 이용하지 않고도 준설선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준설선 이동 작업 비용과 시간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제1,2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스퍼드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퍼드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기울이는 작업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원가를 절감하면서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준설 작업시에 스퍼드를 준설바닥에 꽂아서 준설선을 고정하고, 상기 스퍼드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스퍼드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준설선에 있어서:
준설선의 상판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스퍼드 통과홀; 스퍼드 승하강수단에 의해서 홀딩되어 있고, 상기 스퍼드 통과홀에 회전유격공간을 두고 관통 삽입되어 있고, 하천, 운하, 항만, 항로, 바다, 호수, 호소를 포함하는 준설대상의 준설바닥에 하단이 꽂혀서 준설 작업시 준설선을 고정하는 스퍼드(spud); 상기 스퍼드의 외주면과 승강공차를 유지하면서 외삽하고 있고, 스퍼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의 어느 일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스퍼드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재; 상기 제2 회전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2 회전부재와 스퍼드를 함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상기 스퍼드 통과홀에 인접하여서 상기 준설선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대향하도록 제1 브라켓의 맞은편에서 상기 스퍼드 통과홀에 인접하여서 상기 준설선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1 회전부재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작용하는 제1 회전구동수단; 상기 제2 회전부재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회전구동수단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관형상으로서 외주면에는 제1 외부 회전축과 제2 외부 회전축이 각각 제1,2 브라켓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에 상기 제1 외부 회전축과 제2 외부 회전축에 의해서 축결합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2 외부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관형상으로서, 상기 스퍼드가 상하방향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승강공차를 유지하면서 내주면에 내삽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외향으로 제1 내부 회전축과 제2 내부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내부 회전축과 제2 내부 회전축이 상기 제1 회전부재에 축결합하고, 상기 제1 회전부재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2 내부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1 회전부재의 내부공간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상기 스퍼드 통과홀은 일측과 상기 일측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대향측에 있는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상기 스퍼드 통과홀은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상기 제1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제1 외부 회전축 또는 제2 외부 회전축 중에서 어느 하나에 축결합하는 제1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상기 제2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제1 내부 회전축 또는 제2 내부 회전축 중에서 어느 하나에 축결합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제1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제1 외부 회전축 또는 제2 외부 회전축 중에서 어느 하나에 축결합하여서 체결되어서 회전축을 돌릴 수 있는 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상기 제2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제1 내부 회전축 또는 제2 내부 회전축 중에서 어느 하나에 축결합하여서 체결되어서 회전축을 돌릴 수 있는 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방법은, 준설선의 상판에 형성된 스퍼드 통과홀에 통과되어 있는 스퍼드와, 스퍼드의 어느 한 부분을 승강공차를 유지하면서 외삽하고 있어서 스퍼드를 스퍼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의 어느 일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에 연결되어서 상기 일축에 직교하는 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2 회전부재와 스퍼드를 일체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선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준설선을 이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퍼드가 준설바닥에 꽂는 단계; 준설바닥에 꽂혀진 상태에서 스퍼드의 하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타방향으로 스퍼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준설선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방법은, 스퍼드가 준설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단계와, 이격되어 있는 스퍼드를 상기 타방향의 반대방향인 일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스퍼드를 제1 각도로 기울이는 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스퍼드가 준설바닥에 꽂히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스퍼드가 준설바닥에 꽂히는 단계는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스퍼드를 그 기울어진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강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퍼드를 준설바닥으로부터 띄운 상태에서 스퍼드를 일방향으로 기울인 후에 기울어진 스퍼드를 준설바닥에 꽂아서 이를 반대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예인선을 이용하지 않고도 준설선을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예인선을 이용하지 않고도 준설선을 좌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예인선 이용하는 경우의 과도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어서 전체적인 준설선 이동 코스트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예인선을 이용한 이동에 비하여 이동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둘째, 제1,2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스퍼드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퍼드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기울이는 작업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쉽고 신속하게 이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준설선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로서, 도 4는 스퍼드(110)가 상승하는 동작도이고, 도 5는 상승한 스퍼드(110)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동작도이며, 도 6은 도 5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7은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스퍼드(110)가 그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하면서 준설바닥(Wb)에 꽂히는 동작도이며, 도 8은 스퍼드가 타방향으로 회전에 의해서 준설선이 이동되는 동작도이다.
도 9는 준설선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 단계에서의 요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준설선의 이동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준설 작업시에 스퍼드(110)를 준설바닥(Wb)에 꽂아서 준설선(10)을 고정하고, 상기 스퍼드(11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면서 동시에 스퍼드(110)를 홀딩 고정하고 있는 스퍼드 승강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는 준설선(10)에 있어서, 준설선(10)의 상판에 적어도 일개소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스퍼드 통과홀(12)과 제2 회전부재(150)와 제1 회전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퍼드 승하강수단(미도시) 자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출원 전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미 공지된 구성으로서 스퍼드(110)를 위로 올리거나 또는 바닥으로 내리는 장치인데, 예컨대 윈치, 랙기어 등으로 구현된다.
상기 스퍼드(110)는 스퍼드 승하강수단에 의해서 홀딩되어 있고, 제2 회전부재(150)의 내주면(150a)에 슬라이딩 공차(즉, 승강 공차)를 유지하면서 제2 회전부재(150)에 내삽되어 있으며, 상기 스퍼드 통과홀(12)에 준설선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과 전후방향에 수평면상으로 직교하는 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유격공간(Sr)을 두고 관통 삽입되어 있고, 하천, 운하, 항만, 항로, 바다, 호수, 호소 등의 준설대상(W)의 준설바닥(Wb)에 하단이 꽂혀서 준설 작업시 준설선(10)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퍼드(110) 자체는 본원발명의 출원 전에 공지된 구성이지만, 스퍼드(110)가 준설선(10)의 스퍼드 통과홀(12)에 삽입된 연결 구성과, 스퍼드(110)의 외주면에 제2 회전부재(150)가 외삽된 연결 구성은 본원발명 특유의 기술적 특징이다.
상기 제2 회전부재(150)는 상기 스퍼드(110)의 외주면과 슬라이딩 공차(승강공차)를 유지하면서 외삽하고 있고, 스퍼드(1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의 어느 일축(도 3의 z축)(준설선(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스퍼드(11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회전부재(130)는 제2 회전부재(15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부재(150)의 회전축(z축)에 직교하는 타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2 회전부재(150)와 스퍼드(110)를 함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는 제1 브라켓(121)과 제2 브라켓(122)과 제1 회전구동수단(170)과 제2 회전구동수단(18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브라켓(121)은 스퍼드 통과홀(12)에 인접하여서 상기 준설선(10)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2 브라켓(122)은 제1 브라켓(121)과 대향하도록 제1 브라켓(121)의 맞은편에서 상기 스퍼드 통과홀(12)에 인접하여서 상기 준설선(10)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회전구동수단(170)은 제1 브라켓(121) 또는 제2 브라켓(122)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130)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작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2 회전구동수단(180)은 제2 회전부재(150)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13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관형상으로서 외주면(130b)에는 제1 외부 회전축(141)과 제2 외부 회전축(142)이 각각 제1,2 브라켓(121,122)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브라켓(121)과 제2 브라켓(122)에 형성된 제1 브라켓 축공(121a)과 제2 브라켓 축공(122a)에 상기 제1 외부 회전축(141)과 제2 외부 회전축(142)에 의해서 축결합함으로써 제1 회전구동수단(170)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2 외부 회전축(141,142)을 축으로 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재(15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관형상으로서, 상기 스퍼드(110)가 상하방향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공차를 유지하면서 내주면(150a)에 내삽되어 있고, 외주면(150b)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제1 내부 회전축(161)과 제2 내부 회전축(16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내부 회전축(161)과 제2 내부 회전축(162)이 상기 제1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제1 외부축공(131)과 제2 외부축공(132)에 축결합하고, 상기 제1 회전부재(130)의 내주면(130a)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제1 회전부재(13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바람직하게는 동축으로 내삽 구비됨),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2 내부 회전축(161,162)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1 회전부재(130)의 내부공간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재(150)가 제1 회전부재(130)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유격공간(S1)을 두고서 상기 제2 회전부재(150)는 제1 회전부재(130)의 내부 공간에 삽입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제2 회전부재(150)가 제1 회전부재(13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 통과홀(12)은 일측과 상기 일측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대향측에 있는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 통과홀(12)은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스퍼드(110)가 원활하게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구동수단(170)은 상기 제1 외부 회전축(141) 또는 제2 외부 회전축(142) 중에서 어느 하나에 축결합하는 제1 모터(17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 회전구동수단(170)은 제1 모터(171)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제1 모터(171)와 제1 감속기(172)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 감속기(172)가 제1 외부 회전축(141) 또는 제2 외부 회전축(142)에 축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구동수단(180)은 상기 제1 내부 회전축(161) 또는 제2 내부 회전축(162) 중에서 어느 하나에 축결합하는 제2 모터(18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2 회전구동수단(180)은 제2 모터(181)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제2 모터(181)와 제2 감속기(182)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 감속기(162)가 제1 내부 회전축(161) 또는 제2 내부 회전축(162)에 축결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회전구동수단은 예컨대 상기 제1 외부 회전축(141) 또는 제2 외부 회전축(142) 중에서 어느 하나에 축결합하여서 체결되어서 회전축을 돌릴 수 있는 핸들(미도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제1 내부 회전축(161) 또는 제2 내부 회전축(162) 중에서 어느 하나에 축결합하여서 체결되어서 회전축을 돌릴 수 있는 핸들(미도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2 회전구동수단의 구동(회전)을 제어하기 위해서 스위치버튼 등이 구비된 컨트롤박스가 더 포함되어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준설선의 이동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방법은, 준설선(10)의 상판에 형성된 스퍼드 통과홀(12)에 통과되어 있는 스퍼드(110)와, 스퍼드(110)의 어느 한 부분을 슬라이딩 공차(승강공차)를 유지하면서 외삽하고 있어서 스퍼드(110)를 스퍼드(1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의 어느 일축(도 3의 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재(150)와, 상기 제2 회전부재(150)에 연결되어서 상기 일축에 직교하는 타축(예컨대 도 3의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2 회전부재(150)와 스퍼드(110)를 일체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선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준설선을 이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퍼드(110)가 준설바닥(Wb)에 꽂는 단계(S214)와, 준설바닥(Wb)에 꽂혀진 상태에서 스퍼드(110)의 하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스퍼드(110)를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준설선을 이동시키는 단계(S2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설선의 이동 방법에 있어서, 스퍼드(110)가 준설바닥(Wb)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단계(S210)와, 이격되어 있는 스퍼드(110)를 상기 타방향의 반대방향인 일방향(예컨대 +θ 방향)으로 제1 각도(θ)만큼 회전시켜서 스퍼드(110)를 제1 각도로 기울이는 단계(S212)가 수행된 후에, 상기 스퍼드(110)가 준설바닥(Wb)에 꽂히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스퍼드(110)가 준설바닥(Wb)에 꽂히는 단계는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스퍼드(110)를 그 기울어진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강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S210 단계 내지 S216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전후방향[준설선의 길이방향으로서 도 3의 y축방향]의 이동 중에서 전방(y축)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 스퍼드(110)가 준설바닥(Wb)에 박혀 있는 상태에 있을 수도 있고(도 1), 또는 스퍼드(110)가 준설바닥(Wb)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위치할 수도 있으며(도 4), 어느 경우에나 초기 위치로 잡을 수 있다.
기술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최초에 스퍼드(110)는 그 하단이 준설바닥(Wb)에 박혀 있는 상태를 초기 위치로 하고 설명한다.
스퍼드(110)의 하단이 준설바닥(Wb)에 박혀 있는 상태에서(도 1), 스퍼드 승강수단이 스퍼드(110)를 상승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스퍼드(110)가 상승하여 준설바닥(Wb)으로부터 이격된다(도 4)(S210)
스퍼드(110)가 준설바닥(Wb)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제2 회동구동수단(180)을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예컨대 제2 모터(181)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회전부재(150)가 제1,2 내부 회전축(161,162)을 축으로 하여 일방향(도 3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상기 제2 회전부재(150)가 일방향 회전에 따라서 그에 일체로 스퍼드(110)가 제2 회전부재(15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방향(+θ 방향)으로 제1 각도(θ)로 회전하고, 이 제1 각도(θ)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스퍼드(110)가 제1 각도(θ)로 기울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스퍼드 승강수단이 스퍼드(110)를 하강시키기 위한 동작을 하면 스퍼드(110)가 하강한다(도 7).
이와 같이 제1 각도(θ)로 기울어진 상태로 하강하면 스퍼드(110)가 준설바닥(Wb)에 제1 각도(θ)로 기울어진 상태로 박혀 있게 된다.
일방향으로 제1 각도(θ)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준설바닥(Wb)에 꽂힌 상태에서, 제2 회동구동수단(180)을 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예컨대 제2 모터(181)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회전부재(150)가 제1,2 내부 회전축(161,162)을 축으로 하여 타방향(도 3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상기 제2 회전부재(150)가 타방향 회전에 따라서, 스퍼드(110)의 하단이 준설바닥(Wb)에 박혀 있으므로 그에 일체로 스퍼드(110)가 그 하단을 지점으로 하여 타방향(-θ 방향)으로 제1 각도(θ)로 회전하면서 직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퍼드가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각도는 일방향으로 기울질 때의 회전각도(상기 예에서의 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각도(θ)보다 더 클 수도 있고 더 작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스퍼드(110)가 타방향(-θ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서 직립하게 되면 준설선(10)이 전방으로 이동(이동거리=h1*θ)하게 된다(도 8)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전방으로 원하는 거리만큼{총이동거리=[(h1*θ)*n](n: 자연수)}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퍼드(110)의 길이가 충분히 길므로, 스퍼드를 조금만 기울여도(즉 θ가 작더라도) 이동거리는 반경*각도라는 공식에 의해서 커지게 되는데, 여기에 본원발명의 기술적 의의가 더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이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 중에서 후방(-y방향)으로 후진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후방으로의 이동은 전방으로의 이동 동작의 역동작에 의해서 수행된다.
최초에 스퍼드(110)의 하단이 준설바닥(Wb)에 박혀 있는 상태에서(도 8), 스퍼드 승강수단이 스퍼드(110)를 상승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스퍼드(110)가 상승하여 준설바닥(Wb)으로부터 이격된다[도 9의 (a)](S210)
스퍼드(110)가 준설바닥(Wb)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제2 회동구동수단(180)을 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상기 제2 회전부재(150)가 제1,2 내부 회전축(161,162)을 축으로 하여 타방향(도 3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 회전부재(150)가 타방향 회전에 따라서 그에 일체로 스퍼드(110)가 제2 회전부재(15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타방향(-θ 방향)으로 제2 각도(φ)로 회전하고, 이 제2 각도(φ)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도 9의 (b)].
이와 같이 스퍼드(110)가 제2 각도(φ)로 기울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스퍼드 승강수단이 스퍼드(110)를 하강시키기 위한 동작을 하면 스퍼드(110)가 하강한다[도 9의 (c)].
이와 같이 제2 각도(φ)로 기울어진 상태로 하강하면 스퍼드(110)가 준설바닥(Wb)에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박혀 있게 된다[도 9의 (c)].
타방향으로 제2 각도(φ)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준설바닥(Wb)에 꽂힌 상태에서, 제2 회동구동수단(180)을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예컨대 제2 모터(181)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회전부재(150)가 제1,2 내부 회전축(161,162)을 축으로 하여 일방향(도 3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상기 제2 회전부재(150)가 일방향 회전에 따라서, 스퍼드(110)의 하단이 준설바닥(Wb)에 박혀 있으므로, 그에 일체로 스퍼드(110)가 그 하단을 지점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제2 각도(φ)로 회전하면서 직립하게 된다.
스퍼드(110)가 일방향으로 회전에 의해서 직립하게 되면 준설선(1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9의 (d]).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후방으로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좌우방향(도 1의 z축방향)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우로 이동하는 방법은 전후로 이동하는 방법과 동일한 원리 및 동작으로 수행되므로 그 특징적인 부분만 설명한다.
스퍼드(110)의 하단이 준설바닥(Wb)에 박혀 있는 상태에서, 스퍼드 승강수단이 스퍼드(110)를 상승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스퍼드(110)가 상승하여 준설바닥(Wb)으로부터 이격되면, 제2 회동구동수단이 아닌 제1 회동구동수단(170)이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예컨대 제1 모터(171)의 정방향 회전]하면, 제1 회전부재(130)가 제1,2 외부 회전축(141,142)을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130)가 일방향 회전에 따라서 스퍼드(110)[및 제2 회전부재(150)]가 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기울어지게 되며, 이후 준설바닥(Wb)으로 하강하여 준설바닥(Wb)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박혀 있게 된다.
이후 제1 회동구동수단(170)을 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예컨대 제1 모터(171)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회전부재(130)가 제1,2 외부 회전축(141,142)을 축으로 하여 타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130)가 타방향 회전에 따라서, 스퍼드(110)의 하단이 준설바닥(Wb)에 박혀 있으므로, 그에 일체로 스퍼드(110)가 그 하단을 지점으로 하여 타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직립하게 된다.
스퍼드(110)가 타방향(-θ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서 직립하게 되면 준설선(10)이 좌측방 또는 우측방으로 이동하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10 : 스퍼드 121 : 제1 브라켓
121a : 제1 브라켓 축공 122 : 제2 브라켓
122a : 제2 브라켓 축공 130 : 제1 회전부재
131 : 제1 외부축공 132 : 제2 외부축공
130a : 제1 회전부재의 내주면 130b : 제1 회전부재의 외주면
141 : 제1 외부 회전축 142 : 제2 외부 회전축
150 : 제2 회전부재 150a : 제2 회전부재의 내주면
150b : 제2 회전부재의 외주면
161 : 제1 내부 회전축 162 : 제2 내부 회전축
170 : 제1 회전구동수단 171 : 제1 모터
172 : 제1 감속기 180 : 제2 회전구동수단
181 : 제2 모터 182 : 제2 감속기
S1,Sr : 회전유격공간
10 : 준설선 12 : 스퍼드 통과홀
W : 준설대상 Wb : 준설바닥

Claims (4)

  1. 준설 작업시에 스퍼드(110)를 준설바닥(Wb)에 꽂아서 고정하고, 상기 스퍼드(11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스퍼드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준설선(10)에 있어서:
    준설선(10)의 상판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스퍼드 통과홀(12);
    스퍼드 승하강수단에 의해서 홀딩되어 있고, 상기 스퍼드 통과홀(12)에 회전유격공간(Sr)을 두고 관통 삽입되어 있고, 하천, 운하, 항만, 항로, 바다, 호수, 호소를 포함하는 준설대상(W)의 준설바닥(Wb)에 하단이 꽂혀서 준설 작업시 준설선(10)을 고정하는 스퍼드(spud)(110);
    상기 스퍼드(110)의 외주면과 승강공차가 유지되면서 외삽되어 있고, 스퍼드(1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의 어느 일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스퍼드(11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재(150);
    상기 제2 회전부재(15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부재(150)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2 회전부재(150)와 스퍼드(110)를 함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선의 이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 통과홀(12)에 인접하여서 상기 준설선(10)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브라켓(121);
    상기 제1 브라켓(121)과 대향하도록 제1 브라켓(121)의 맞은편에서 상기 스퍼드 통과홀(12)에 인접하여서 상기 준설선(10)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제2 브라켓(122);
    상기 제1 회전부재(130)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작용하는 제1 회전구동수단(170);
    상기 제2 회전부재(150)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회전구동수단(18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13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관형상으로서 외주면(130b)에는 제1 외부 회전축(141)과 제2 외부 회전축(142)이 각각 제1,2 브라켓(121,122)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브라켓(121)과 제2 브라켓(122)에 상기 제1 외부 회전축(141)과 제2 외부 회전축(142)에 의해서 축결합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2 외부 회전축(141,142)을 축으로 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제2 회전부재(15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관형상으로서, 상기 스퍼드(110)가 상하방향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공차를 유지하면서 내주면(150a)에 내삽되어 있고, 외주면(150b)에는 외향으로 제1 내부 회전축(161)과 제2 내부 회전축(16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내부 회전축(161)과 제2 내부 회전축(162)이 상기 제1 회전부재(130)에 축결합하고, 상기 제1 회전부재(13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2 내부 회전축(161,162)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1 회전부재(130)의 내부공간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선의 이동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50024430A 2015-02-17 2015-02-17 준설선의 이동 장치 KR101690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30A KR101690193B1 (ko) 2015-02-17 2015-02-17 준설선의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30A KR101690193B1 (ko) 2015-02-17 2015-02-17 준설선의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812A KR20160101812A (ko) 2016-08-26
KR101690193B1 true KR101690193B1 (ko) 2016-12-28

Family

ID=5688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430A KR101690193B1 (ko) 2015-02-17 2015-02-17 준설선의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465A (ko) * 2018-03-14 2019-09-24 (주) 백건준설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5777A (zh) * 2018-01-29 2018-07-10 芜湖市皖南造船有限公司 一种挖泥船双桩落地后横移绞车自动停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5970A (ja) * 2010-08-24 2012-03-08 Yorigami Maritime Construction Co Ltd 作業船の船体移動・係留装置
KR101324695B1 (ko) 2013-09-30 2013-11-01 주식회사 오성산업개발 준설선
KR101339890B1 (ko) 2011-11-14 2013-1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복합 준설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5970A (ja) * 2010-08-24 2012-03-08 Yorigami Maritime Construction Co Ltd 作業船の船体移動・係留装置
KR101339890B1 (ko) 2011-11-14 2013-1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복합 준설선
KR101324695B1 (ko) 2013-09-30 2013-11-01 주식회사 오성산업개발 준설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465A (ko) * 2018-03-14 2019-09-24 (주) 백건준설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KR102129597B1 (ko) 2018-03-14 2020-07-02 (주)백건준설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812A (ko) 201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04392A (en) Submarine pipe line trencher and method
NL2009108C2 (en) Vessel for forming a trench in a water bottom.
ES2438189T3 (es) Draga retroexcavadora marina
KR101690193B1 (ko) 준설선의 이동 장치
JP2005030138A (ja) 浚渫装置
KR20160101814A (ko) 준설선의 이동 장치
KR20100053718A (ko)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JP2890109B2 (ja) 水中土木作業用汎用装置
US10519625B2 (en) Dredger actuated from land
KR20210115286A (ko) 준설작업을 포함한 컨트롤 통합형 경량 수륙양용 준설선
KR102600596B1 (ko)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CN210011853U (zh) 一种挖泥船用定位桩
JP2005036410A (ja) 底質層耕耘装置及びその耕耘方法
JP7117024B2 (ja) 水中ブルドーザー
EP0655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edging a trench in a water bed
KR101568678B1 (ko) 준설장치
KR102443356B1 (ko) 유압식 수중 무인 준설장비 시스템
JP7224933B2 (ja) 浚渫装置および浚渫方法
JP4331555B2 (ja) 浚渫装置及び浚渫方法
JP2862428B2 (ja) 竪孔掘削工法及びその装置
JP3145551B2 (ja) 水底トンネル掘削機
JPH03125722A (ja) ケーソン沈下工法およびそのための浚渫装置
NL1041384B1 (nl) Werkwijze, zuiginrichting en zuigvaartuig voor het onderzuigen van een leiding.
JP3069822B2 (ja) 取水放水管の据付工法
US5743A (en) Floating excavat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