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718A -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3718A KR20100053718A KR1020080112458A KR20080112458A KR20100053718A KR 20100053718 A KR20100053718 A KR 20100053718A KR 1020080112458 A KR1020080112458 A KR 1020080112458A KR 20080112458 A KR20080112458 A KR 20080112458A KR 20100053718 A KR20100053718 A KR 201000537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ud
- dredger
- fixed
- wire means
- fixed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63B35/30—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 B63B35/303—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discharging by suction, pressing or was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5—Floating installations self propelled, e.g. ship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58—Submerg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10—Pipelines for conveying excavated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6—Floating substructures as supports
- E02F9/062—Advancing equipment, e.g. spuds for floating dred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준설선의 폰톤 내부 단부에 복수개 설치되되, 그 몸체의 상단부가 폰톤의 상단외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몸체의 상,하 양끝단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는고정공간부재와;상기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고 그 몸체가 일정길이의 봉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부재와;상기 고정공간부재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스퍼드부재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유압실리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준설선의 폰톤(ponton) 내부에 고정공간부재를 설치한다음 이 고정공간부재내에 수직설치된 유압실리더 혹은 유압윈치장치와 그것에 의해 동작되는 스퍼드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스퍼드 겟츄리가 필요없이 고정공간부재에 수직설치된 유압실린더 혹은 유압윈치장치에 의해 스퍼드장치가 견고히 강바닥에 고정설치되어 준설선을 요동없이 균형있게 고정하게 된다.
준설선, 스퍼드, 수직설치 유압실린더, 유압윈치장치, 폰톤, 고정공간부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준설선의 폰톤(ponton) 내부에 고정공간부재를 설치한다음 이 고정공간부재내에 수직설치된 유압실리더 혹은 유압윈치장치와 그것에 의해 동작되는 스퍼드장치가 설치된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준설선은 강, 운하, 항만, 항로의 깊이를 깊게 하기 위한 준설작업을 하며, 물 밑의 흙, 모래, 광물 등을 채취하는 작업, 수중구조물 축조의 기초공사, 해저 폐기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준설선은 준설할 수역의 깊이와 바닥의 토질의 종류, 준설된 물질의 운반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설비와 장비를 갖추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준설선은 기관을 가지고 자력으로 항해할 수 있는 준설선, 기관이 없고 예인선에 의해서만 이동되는 준설선, 선체에 준설된 흙이나 모래를 담아서 버릴 수 있는 저개식선창 즉, 호퍼(hopper)를 구비한 준설선 등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 준설선의 기본 형태는 다음 형태와 특징이 있는 데,먼저, 디퍼 준설선(dipper dredger)은 동력으로 작동되는 강력한 셔블을 이용하여 물밑 바닥을 퍼 올리는 것으로, 바닥의 토질이 바위가 아닌 경우에는 준설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그래브 준설선(grab dredger)은 그래브 버킷을 줄에 매달아 그래브를 벌린 채 물밑 바닥에 떨어뜨려 흙, 모래, 자갈 등을 퍼서 들어올리는 것으로, 깊이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래더 준설선(ladder dredger)은 상향식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사다리를 물밑까지 내리고 체인으로 연결된 많은 버킷들이 사다리 주위를 무한궤도로 돌게 하면, 빈 버킷이 사다리의 뒷면을 타고 내려와 바닥의 흙이나 모래 등을 긁어 담아서 사다리의 앞면을 타고 올라간 후 최정점을 지나 내려오는 순간 이들을 활강로에 쏟으면서 자연히 끌어올린 진흙, 모래, 자갈 등이 선창으로 미끄러져 들어가서 모이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아울러, 하이드로릭 준설선(hydraulic dredger)은 흡입식 준설선이라고도 한다. 원심력 펌프로 물밑 바닥의 진흙, 모래,자갈 등을 물과 함께 퍼올려 수면상에 설치한 파이프를 통해 폐기장소로 보내어 버린다. 또는, 펌프로 퍼올린 물, 흙, 모래,자갈 등의 혼합물 중에서 물은 배출시키고 흙, 모래, 자갈 등 고체물질만을 선창에 모아서 폐기장소에 폐기한다. 흡입식 준설선 중에는 흡입구 끝에 커터를 설치하여 커터의 회전으로 물밑 바닥의 토질을 흩뜨려 빨려 들어오기 쉽게 한 것과 넓은 면적의 흡입면으로 이용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준설선의 일례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추진력 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된 추진엔진(도시안됨)과;
상기 추진엔진에 연결되어 그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스쿠류(도시안됨)와;
상기 준설선(70)의 전방에 설치되어 흡입망(71)이 끝단에 구비된 흡입관(72)이 형성되되, 흡입관(72)에 연통되게 내부로 이동관로(73)가 좌우측 및 후방으로 형성되고, 이동관로(73)에 토출관(74)이 연결되어 형성된 배형상의 몸체부(75)와;
상기 몸체부(75)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준설선(70)의 작동 및 이동을 제어하는 운전실(76)과;
상기 운전실(76)의 전방에 연결 고정되어 운전실(76)의 조작으로 작동되어 버켓(77)이 장착된 굴삭기에 이용되는 형상의 붐(78)에 흡입관(71)이 와이어(79)를 이용하여 붐(78)의 하부에 연결되는 붐제어부(80)와;
상기 몸체부(75)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하우징(81)과;
상기 몸체부(75) 및 하우징(81)에 연결되어서 상기 하우징(81)을 상기 몸체부(75)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유압실린더(82)와;
상기 준설선(70)의 몸체부(75)의 후미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회동유압실린더(82)의 회전력에 의해 수중으로 내려져 고정되는 스퍼드부재(83)와;
상기 하우징(81)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수단(도시안됨)를 통해 회동유압실린더(8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스퍼드부재(83)를 상,하유동되게 안내하며, 그 내부에 스퍼드부재(83)를 수용하는 빔안내부(84)와;
상기 빔안내부(84)에 외벽을 따라 대략 ‘X’자형태의 고정결합체에 의해 고정되어 스퍼드부재(83)의 유동을 완충시켜주는 스퍼드겟츄리(SPUD GETRY:85)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준설선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준설선(70)이 이동하여 강이나 하천의 준설위치에 안착할 경우 엔지니어가 운전실(76)에서 내부 제어판(도시안됨)을 작동하여 몸체부(75)의 전면에 위치한 붐(78)을 작동시켜 전방의 지면에 버켓(77)을 이용하여 지지하게 된다. 그와동시에 , 상기 한쌍의 회동유압실린더(82)를 작동시켜 그 회전력이 하우징(81)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수단(도시안됨)를 통해 스퍼드부재(83)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스퍼드부재(83)는 빔안내부(84)의 내부를 따라 수중으로 내려져 수중지면에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과정후에 상기 준설선(70)의 엔지니어는 붐(78)의 버켓(77)보다 흡입관(72)의 흡입망(71)이 하천의 바닥에 먼저 닿을 수 있도록 조절한 후 붐(78)을 수중으로 침수시키고 내부의 흡입원심펌프(도시안됨) 및 유무기응집제투입장치(도시안됨) 등을 작동시키게 되면 흡입망(71)을 통해 슬러지 및 오탁수가 흡입관(72), 이동관로(73)의 순서로 이동되어 토출관(74)을 통해 하천의 제방으로 배출하게 되며, 별도의 슬러지 및 오탁수 처리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처리장치로 투입되도록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유무기응집제가 투입되면 슬러지는 고형물형태로 응결되어 매립하거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준설선은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바닥에 퇴적된 오염퇴적물을 준설작업할 경우 회동유압실린더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준설선의 스퍼드를 수중바닥면에 견고히 고정할 수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흐르는 물의 유속에 의해 준설선이 부유하여 준설작업위치를 벗어나는 문제점에 있었 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준설선은 스퍼드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부재들이 모두 폰톤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교적 긴길이의 스퍼드를 고정하기위해 긴 길이의 스퍼드 겟츄리를 사용해야 하므로 그에 따라 준설선의 제조비용이 상당히 증가되었음은 물론 준설선의 공간설계성도 상당히 저하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준설선은 준설작업시 좌우로 흔들려 작업이 어렵고, 준설선이 기울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나아가, 상기와 같은 종래 준설선은 스퍼드를 수중바닥에 삽입고정하기위해 유압실린더가 매우 유용하지만 이러한 유압실린더를 준설선의 외부에 장착하면 여러원인에 의해 유압실린더가 폭발할 경우 유압기름이 유출되어 준설선이 위치한 강주변을 심각히 오염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스퍼드 겟츄리가 필요없이 고정공간부재에 수직설치된 유압실린더 혹은 유압윈치장치에 의해 스퍼드장치가 견고히 강바닥에 고정설치되어 준설선을 요동없이 균형있게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직설치된 유압실린더 혹은 유압윈치장치가 모두 폰톤의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원인에 의해 유압실린더 혹은 유압윈치장치가 폭발하여 유압기름이 유출된다하더라도 그 기름이 모두 폰톤 내부에서만 유동하게되므로 그에 따라 준설선이 위치하는 강의 오염방지를 극대화시키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전단부에 준설장비가 설치되고 그 후미에 폰톤이 구비된 준설선에 있어서,
상기 폰톤 내부 단부에 복수개 설치되되, 그 몸체의 상단부가 폰톤의 상단외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몸체의 상,하 양끝단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는 고정공간부재와;
상기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고 그 몸체가 일정길이의 봉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부재와;
상기 고정공간부재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스퍼드부재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유압실리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몸체의 전단부에 준설장비가 설치되고 그 후미에 폰톤이 구비된 준설선에 있어서,
상기 폰톤 내부 단부에 복수개 설치되되, 그 몸체의 상단부가 폰톤의 상단외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몸체의 상,하 양끝단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는 고정공간부재와;
상기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고 그 몸체가 일정길이의 봉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부재와;
상기 스퍼드부재의 몸체 일측에 결합되고, 그 몸체가 긴 빔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나사체결공이 다수개 설치되는 빔결합부재와:
상기 빔결합부재의 나사체결공에 결합되어 와이어수단에 의해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서 상,하로 회전 연동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공간부재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동부재와 와이어수단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스퍼드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활차시브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와 활차시브부재를 와이어수단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고 폰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윈치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몸체의 전단부에 준설장비가 설치되고 그 후미에 폰톤이 구비된 준설선에 있어서,
상기 폰톤 내부 단부에 복수개 설치되되, 그 몸체의 상단부가 폰톤의 상단외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몸체의 상,하 양끝단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는 고정공간부재와;
상기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고 그 몸체가 일정길이의 봉형 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부재와;
상기 스퍼드부재의 몸체 일측에 결합되고, 그 몸체가 긴 빔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나사체결공이 다수개 설치되는 빔결합부재와:
상기 빔결합부재의 나사체결공에 결합되어 와이어수단에 의해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서 상,하로 회전 연동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공간부재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동부재와 와이어수단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스퍼드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 활차시브부재와;
상기 폰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와이어수단을 통해 제1 활차시브부재와 연동되는 제2 활차시브부재와;
상기 폰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2 활차시브부재의 후면부에 설치되고 제2 활차시브부재와 와이어수단을 통해 연동되는 제3 활차시브부재와;
상기 제3 활차시브부재을 매개로 와이어수단과 결합되어 이 와이어수단을 잡아 당기거나 놓을 수 있는 결합탭이 상단부에 구비된 실린더로드를 갖는, 폰톤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준설선의 폰톤(ponton) 내부에 고정공간부재를 설치한다음 이 고정공간부재내에 수직설치된 유압실리더 혹은 유압윈치장치와 그것에 의해 동작되는 스퍼드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스퍼드 겟츄리가 필요없이 고정공간부 재에 수직설치된 유압실린더 혹은 유압윈치장치에 의해 스퍼드장치가 견고히 강바닥에 고정설치되어 준설선을 요동없이 균형있게 고정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준설선의 작업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설치된 유압실린더 혹은 유압윈치장치가 모두 폰톤의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원인에 의해 유압실린더 혹은 유압윈치장치가 폭발하여 유압기름이 유출된다하더라도 그 기름이 모두 폰톤 내부에서만 유동하게되므로 그에 따라 준설선이 위치하는 강의 오염방지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더나아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 혹은 유압윈치장치를 모두 폰톤의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스퍼드 겟츄리가 필요없을 뿐만아니라 스퍼드의 길이도 짧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준설선의 제조비용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준설선의 공간설계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탑재되는 준설선(1)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준설선(1)의 내부에 설치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엔진(2)과;
상기 준설선(1)의 전방에 힌지부재(3)를 매개로 설치되어 하천이나 강바닥으로 상,하 회동하는 라다장치부(4)와;
상기 라다장치부(4)의 최단부에 설치되고 그 형상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준설시 유압모터(도시안됨)로부터 유압관(5)을 통해 제공된 유압에 의해 회전하여 하천이나 강바닥을 파훼치는 카타부재(6)와;
상기 라다장치부(4)의 내부에 긴관으로 수용되어 카타부재(6)가 준설할 경우 발생하는 부유물들을 흡입하여 토출관(7)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관(8)과;
상기 라다장치부(4)의 힌지부재(3)에 결합되고 이 라다부재(4)의 끝단부 일측에 와이어수단(9)으로 연결되어 와이어도로래(10)의 작용에 따라 라다장치부(4)를 수중으로 내리거나 끌어올리는 크레인부재(11)와;
상기 크레인부재(11)의 와이어수단(9)에 연결되어 이 와이어수단(9)을 끌어당기거나 혹은 풀어주어 라다장치부(4)의 유동을 구동하는 윈치장치부(12)와;
상기 준설선(1)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준설선(1)의 작동 및 이동을 제어하는 운전실(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 제1 실시예는 도 4(a-c)에 도시된 바와같이 준설선(1)의 후미에 위치한 폰톤(PONTON:14) 내부 단부에 복수개 설치되되, 그 몸체의 상단부가 폰톤(14)의 상단외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몸체의 상,하 양끝단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는 고정공간부재(15)와;
상기 고정공간부재(14)의 내부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고 그 몸체가 일정길이의 봉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부재(16)와;
상기 고정공간부재(15)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스퍼드부재(16)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유압실리더부재(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간부재(14)의 상단부 일측과 하단부 일측에는 스퍼드부재(16)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로울러부재(18)가 각기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공간부재(14)의 외부에 설치된 고정프레임부재(20)에는 스퍼드부재(16)를 그 내부에 안치하여 스퍼드부재(16)가 준설선(1)의 유동에 영향을 받지않고 상,하로 슬라이딩 유동되도록 스퍼드 가이드부재(19)를 예컨대, 스퍼드부재를 일정간격으로 3분할된 위치에 다수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퍼드부재(16)에는 몸체의 하단부가 침형상의 침부(21)가 형성된 원뿔형태로 형성되고 그 몸체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결합공(22)이 다수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부재(17)에는 스퍼드부재(16)의 고정결합공(22)에 나사체결로 결합된 고정걸이핀(23)에 수직으로 실린더로드(24)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스퍼드 가이드부재(19)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준설선(1)의 후미에 위치한 폰톤(14) 내부 단부에 그 내부가 빈 고정공간부재(1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준설선(1)의 후미 양끝단부에 복수개 형성된 고정공간부재(14)의 내부 각각에 고정프레임부재(20)상에 예컨대, 스퍼드부재를 일정간격으로 3분할된 위치에 각기 설치된 스퍼드 가이드부재(19)의 안내구멍(25)으로 스퍼드부재(16)를 끼워넣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스퍼드부재(16)를 스퍼드 가이드부재(19)의 안내구멍(25)으로 끼워넣으면 스퍼드부재(16)가 스퍼드 가이드부재(19)의 안내구멍(25)에서만 유동을 하므로 준설선(1)이 유동을 하더라도 유격이 발생되지않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퍼드부재(16)가 스퍼드 가이드부재(19)의 안내구멍(25)에 조립됨과 더불어 고정공간부재(15)의 일측에 유압실리더부재(17)를 수직으로 설치한다음 상기 스퍼드부재(16)의 고정결합공(22)에 나사체결로 결합된 고정걸이핀(23)에 수직으로 실린더로드(24)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본발명에서와 같이 유압실리더부재(17)를 수직으로 고정공간부재(15)상에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 준설선과 같이 별도로 스퍼드겟츄리부재(spud getry)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간활용성이나 제조비용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설치과정중에 로울러부재(18)도 상기 고정공간부재(14)의 상단부 일측과 하단부 일측에 스퍼드부재(16)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각기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수퍼드부재(16)에는 고정결합공(22)이 스퍼드부재(16)의 길이에 비례하여 몸체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이나 하천의 깊이 혹은 스퍼드부재(16)의 전체길이에 맞춰 해당 고정결합공(22)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고정결합공(22)에 상기 고정걸이핀(23)을 결합시켜 스퍼드부재(16)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엔지니 어가 본 발명 준설선(1)의 운전실(13)에 올라 추진엔진(2)를 구동하여 강이나 하천의 준설할 위치로 이동하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설선(1)이 강이나 하천의 준설할 위치로 이동했을 경우 준설선(1)을 본발명의 스퍼드장치로 고정하게되는데, 이때, 운전실(13)에서 엔지니어가 제어판을 통해 준설선(1)의 후미에 설치된 스퍼드부재(16)를 구동하는 유압실린더부재(17)로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유압실린더부재(17)는, 평상시에는 실린더로드(24)가 최대로 상부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퍼드부재(16)에 고정걸이핀(23)에 고정되어 있다가 준설선(1)이 준설할 위치에 이르면,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실린더로드(24)를 하부수직방향으로 끌어당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실린더로드(24)가 하부수직방향으로 끌어당겨져 유압실린더부재(17)의 내부로 수용될 경우 상기 실린더로드(24)에 고정걸이핀(23)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스퍼드부재(16)도 하부수직방향으로 강력한 힘을 받아 끌려내려가게된다.
이때, 상기 스퍼드부재(16)는 일정간격으로 3분할된 위치에 각기 설치된 스퍼드 가이드부재(19)의 안내구멍(25)과 폰톤(14)의 내부에 고정설치된 고정공간부재(15)의 내부를 따라 하부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준설할 위치의 강 혹은 하천바닥에 접하게되는데, 여기서, 상기 스퍼드부재(16)에는 몸체의 하단부가 원뿔형태의 침부(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준설할 위치의 강 혹은 하천바닥에 깊이 박히게 되어 준설선(1)의 유동을 방지하게된다.
물론, 상기 스퍼드부재(16)를 끌러올릴 경우에는 유압실린더부재(17)의 실린더로 드(24)를 수직방향으로 최대로 밀어올리면 되는데, 그렇게 될 경우 상기 과정과 반대로 동작하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라 스퍼드부재(16)를 고정할 경우 준설선(1)은 좌우로 균형을 유지하므로 외부요인에 의해 쉽게 유동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의 스퍼드부재(16)가 준설할 위치의 강 혹은 하천바닥에 깊이 박히게 되어 준설선(1)의 유동을 방지하게될 경우 운전실(13)의 엔지니어는 내부 제어판(도시안됨)을 작동시켜 준설선(1)의 전면에 위치한 윈치장치부(12)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윈치장치부(12)는 구동되어 와이어수단(9)를 풀어주게되고 그에 따라 이 와이어수단(9)이 크레인부재(11)의 와이어도로래(10)를 따라 풀어주게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수단(9)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라다장치부(4)의 몸체가 준설위치의 강이나 하천바닥으로 내려가게된다.
이때, 상기 라다장치부(4)의 끝단부에 위치한 카타부재(6)도 유압에 의해 구동되어 준설 위치의 강이나 하천바닥의 지면에 박히여 강력하게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카타부재(6)의 후면에 장착된 흡입관(8)이 카타부재(6)가 바닥을 훼집음에 따라 발생되는 부유물들을 흡입하여 토출관(7)을 통해 하천의 제방으로 배출하게 되며, 별도의 슬러지 및 오탁수 처리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처리장치로 투입되도록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유무기응집제가 투입되면 슬러지는 고형물형태로 응결되어 매립하거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 제2 실시예는 도 5(a-c)에 도시된 바와같이 준설선(1)의 후미에 위치한 폰톤(PONTON:14)의 내부 단부에 복수개 설치되되, 그 몸체의 상단부가 폰톤(14)의 상단외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몸체의 상,하 양끝단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는 고정공간부재(15)와;
상기 고정공간부재(14)의 내부에 상,하 유동되게 수납설치되고 그 몸체가 일정길이의 봉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부재(16)와;
상기 스퍼드부재(16)의 몸체 일측에 결합되고, 그 몸체가 긴 빔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나사체결공(26)이 다수개 설치되는 빔결합부재(27)와:
상기 빔결합부재(27)의 나사체결공(26)에 결합되어 와이어수단(28)에 의해 고정공간부재(14)의 내부에서 상,하로 회전 연동하는 회동부재(29)와;
상기 고정공간부재(15)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동부재(29)와 와이어수단(28)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스퍼드부재(16)를 상,하 이동시키는 활차시브부재(30)와;
상기 회동부재(29)와 활차시브부재(30)를 와이어수단(28)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고 폰톤(14)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윈치장치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퍼드부재(16)에는 몸체의 하단부가 침형상의 침부(21)가 형성된 원뿔형태로 형성되고 그 몸체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결합공(22)이 다수개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준설선(1) 의 후미에 위치한 폰톤(14) 내부 단부에 그 내부가 빈 고정공간부재(1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준설선(1)의 후미 양끝단부에 복수개 형성된 고정공간부재(14)의 내부 각각에 빔결합부재(27)가 그 몸체에 견고히 고정된 스퍼드부재(16)의 하단부를 일정길이만 끼워넣는다.
그리고, 상기 스퍼드부재(16)에 결합된 빔결합부재(27)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체결공(26)중 스퍼드부재(16)가 수중으로 내려가는 깊이를 고려하여 선택된 나사체결공(26)에 회동부재(29)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공간부재(15)의 상단부 일측에 활차시브부재(30)를 설치한 다음 상기 활차시브부재(29)와 회동부재(30)에 와이어수단(28)을 걸어 윈치장치부(31)에 연동되도록 고정하므로 윈치장치부(31)가 폰톤(14)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도 회동부재(30)와 활차시브부재(29)를 와이어수단(28)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스퍼드부재(16)를 상,하 구동되게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본발명 제2 실시예서와 같이 스퍼드부재(16)가 수직으로 고정공간부재(15)상에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 준설선과 같이 별도로 스퍼드겟츄리부재(spud getry)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간활용성이나 제조비용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엔지니어가 본 발명 준설선(1)의 운전실(13)에 올라 추진엔진(2)를 구동하여 강이나 하천 의 준설할 위치로 이동하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설선(1)이 강이나 하천의 준설할 위치로 이동했을 경우 준설선(1)을 본발명의 스퍼드장치로 고정하게되는데, 이때, 운전실(13)에서 엔지니어가 제어판을 통해 준설선(1)의 후미에 설치된 스퍼드부재(16)를 구동하는 윈치장치부(31)로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스퍼드부재(16)는 평상시에 그 결합되어 있는 빔결합부재(27)가 고정공간부재(15)내에서 최대로 상부수직방향으로 올려져있기때문에 그와 결합되어 있는 스퍼드부재(16)도 최대로 상부수직방향으로 끌어올려져 있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준설선(1)이 준설할 위치에 이르러 윈치장치부(31)로부터 구동력이 인가될경우, 이 구동력은 와이어수단(28)을 통해 제1 활차시브부재(30)에 전달되어 이 제1 활차시브부재(30)를 회전시키게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제1 활차시브부재(30)가 회전하게될 경우 이 제1 활차시브부재(30)와 와이어수단(28)을 통해 연동하는 빔결합부재(27)에 고정된 회동부재(29)도 함께 연동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9)는 그 감겨진 와이어수단(28)을 매개로 상기 제1 활차시브부재(30)의 회전력에 의해 수직하부방향으로 강력히 힘을 받게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동부재(29)가 고정된 빔결합부재(27)와 결합되어 있는 스퍼드부재(16)역시 수직하부방향으로 강력히 힘을 받게되어 이 스퍼드부재(16)가 고정공간부재(15)의 내부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강 혹은 하천의 바닥과 접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스퍼드부재(16)에는 몸체의 하단부가 원뿔형태의 침부(21)가 형성되어 있 어서, 준설할 위치의 강 혹은 하천바닥에 깊이 박히게 되어 준설선(1)의 유동을 방지하게된다.
물론, 상기 스퍼드부재(16)를 끌러올릴 경우에는 윈치장치부(31)의 회전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구동하면되는데, 그렇게 될 경우 상기 과정과 반대로 동작하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라 스퍼드부재(16)를 고정할 경우 준설선(1)은 좌우로 균형을 유지하므로 외부요인에 의해 쉽게 유동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의 스퍼드부재(16)가 준설할 위치의 강 혹은 하천바닥에 깊이 박히게 되어 준설선(1)의 유동을 방지하게될 경우 운전실(13)의 엔지니어는 내부 제어판(도시안됨)을 작동시켜 준설선(1)의 전면에 위치한 윈치장치부(12)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윈치장치부(12)는 구동되어 와이어수단(9)를 풀어주게되고 그에 따라 이 와이어수단(9)이 크레인부재(11)의 와이어도로래(10)를 따라 풀어주게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수단(9)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라다장치부(4)의 몸체가 준설위치의 강이나 하천바닥으로 내려가게된다.
이때, 상기 라다장치부(4)의 끝단부에 위치한 카타부재(6)도 유압에 의해 구동되어 준설 위치의 강이나 하천바닥의 지면에 박히여 강력하게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카타부재(6)의 후면에 장착된 흡입관(8)이 카타부재(6)가 바닥을 훼집음에 따라 발생되는 부유물들을 흡입하여 토출관(7)을 통해 하천의 제방으로 배출하게 되며, 별도의 슬러지 및 오탁수 처리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처리장치로 투입되도 록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유무기응집제가 투입되면 슬러지는 고형물형태로 응결되어 매립하거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 제3 실시예는 도 6(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준설선(1)의 후미에 위치한 폰톤(PONTON:14)의 내부 단부에 복수개 설치되되, 그 몸체의 상단부가 폰톤(14)의 상단외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몸체의 상,하 양끝단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는 고정공간부재(15)와;
상기 고정공간부재(14)의 내부에 상,하 유동되게 수납설치되고 그 몸체가 일정길이의 봉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부재(16)와;
상기 스퍼드부재(16)의 몸체 일측에 결합되고, 그 몸체가 긴 빔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나사체결공(26)이 다수개 설치되는 빔결합부재(27)와:
상기 빔결합부재(27)의 나사체결공(26)에 결합되어 와이어수단(28)에 의해 고정공간부재(14)의 내부에서 상,하로 회전 연동하는 회동부재(29)와;
상기 고정공간부재(15)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동부재(29)와 와이어수단(28)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스퍼드부재(16)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 활차시브부재(32)와;
상기 폰톤(14)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와이어수단(28)을 통해 제1 활차시브부재(32)와 연동되는 제2 활차시브부재(33)와;
상기 폰톤(14)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2 활차시브부재(33)의 후면부에 설 치되고 제2 활차시브부재(33)와 와이어수단(28)을 통해 연동되는 제3 활차시브부재(34)와;
상기 제3 활차시브부재(34)을 매개로 와이어수단(28)과 결합되어 이 와이어수단(28)를 잡아 당기거나 놓을 수 있는 결합탭(35)이 상단부에 구비된 실린더로드(36)를 갖는, 폰톤(14)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유압실린더(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발명 제3 실시예서와 같이 스퍼드부재(16)가 수직으로 고정공간부재(15)상에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 준설선과 같이 별도로 스퍼드겟츄리부재(spud getry)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간활용성이나 제조비용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발명의 제3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엔지니어가 본 발명 준설선(1)의 운전실(13)에 올라 추진엔진(2)를 구동하여 강이나 하천의 준설할 위치로 이동하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설선(1)이 강이나 하천의 준설할 위치로 이동했을 경우 준설선(1)을 본발명의 스퍼드장치로 고정하게되는데, 이때, 운전실(13)에서 엔지니어가 제어판을 통해 준설선(1)의 후미에 설치된 스퍼드부재(16)를 구동하는 유압실린더(37)로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스퍼드부재(16)는 평상시에 그 결합되어 있는 빔결합부재(27)가 고정공간부재(15)내에서 최대로 상부수직방향으로 올려져있기때문에 그와 결합되어 있는 스퍼드부재(16)도 최대로 상부수직방향으로 끌어올려져 있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준설선(1)이 준설할 위치에 이르러 유압실린더(37)가 구되면 이 유압실린더(37)는 최대로 돌출되어 있던 실린더로드(36)를 잡아당기게된다. 그러면, 상기 실린더로드(36)의 상단부에 결합된 결합탭(35)도 잡아당겨지게된다. 그러면, 상기 결합탭(35)에 제3 활차시브부재(34)를 매개로 걸려져 있는 와이수단(28)도 힘을 받게되고 그에 따라 이 구동력은 재차 와이어수단(28)을 통해 제2 활차시브부재(33)도 연동되어 제1 활차시브부재(32)로도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동력이 제1 활차시브부재(32)로 인가되면, 이 구동력은 와이어수단(28)을 통해 다시 제1 활차시브부재(32)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활차시브부재(30)가 회전을 하게될 경우 이 제1 활차시브부재(32)와 와이어수단(28)을 통해 연동하는 빔결합부재(27)에 고정된 회동부재(29)도 연동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9)가 그 감겨진 와이어수단(28)을 매개로 상기 제1 활차시브부재(32)의 회전력에 의해 수직하부방향으로 강력히 힘을 받게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동부재(29)가 고정된 빔결합부재(27)와 결합되어 있는 스퍼드부재(16)역시 수직하부방향으로 강력히 힘을 받게되어 이 스퍼드부재(16)가 고정공간부재(15)의 내부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강 혹은 하천의 바닥과 접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스퍼드부재(16)에는 몸체의 하단부가 원뿔형태의 침부(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준설할 위치의 강 혹은 하천바닥에 깊이 박히게 되어 준설선(1)의 유동을 방지하게된다.
물론, 상기 스퍼드부재(16)를 끌러올릴 경우에는 유압실린더(37)가 실린더로드(26) 를 최대로 돌출시키면 되는데, 그렇게 될 경우 상기 과정과 반대로 동작하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의 스퍼드부재(16)가 준설할 위치의 강 혹은 하천바닥에 깊이 박히게 되어 준설선(1)의 유동을 방지하게될 경우 운전실(13)의 엔지니어는 내부 제어판(도시안됨)을 작동시켜 준설선(1)의 전면에 위치한 윈치장치부(12)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윈치장치부(12)는 구동되어 와이어수단(9)를 풀어주게되고 그에 따라 이 와이어수단(9)이 크레인부재(11)의 와이어도로래(10)를 따라 풀어주게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수단(9)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라다장치부(4)의 몸체가 준설위치의 강이나 하천바닥으로 내려가게된다.
이때, 상기 라다장치부(4)의 끝단부에 위치한 카타부재(6)도 유압에 의해 구동되어 준설 위치의 강이나 하천바닥의 지면에 박히여 강력하게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카타부재(6)의 후면에 장착된 흡입관(8)이 카타부재(6)가 바닥을 훼집음에 따라 발생되는 부유물들을 흡입하여 토출관(7)을 통해 하천의 제방으로 배출하게 되며, 별도의 슬러지 및 오탁수 처리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처리장치로 투입되도록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유무기응집제가 투입되면 슬러지는 고형물형태로 응결되어 매립하거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준설선의 폰톤(ponton) 내부에 고정공간부재를 설치한다음 이 고정공간부재내에 수직설치된 유압실리더 혹은 유압윈치장치와 그것에 의해 동작되는 스퍼드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스퍼드 겟츄리가 필요없이 고정 공간부재에 수직설치된 유압실린더 혹은 유압윈치장치에 의해 스퍼드장치가 견고히 강바닥에 고정설치되어 준설선을 요동없이 균형있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강이나 하천의 준설을 위해 사용되는 준설선에 적용할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준설선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발명이 실현된 준설선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퍼드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a-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스퍼드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a-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a-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준설선 2 : 추진엔진
3 : 힌지부재 4 : 라다장치부
5 : 유압관 6 : 카타부재
7 : 토출관 8 : 흡입관
9 : 와이어수단 10: 와이어도르래
11: 크레인부재 12: 원치장치부
13: 운전실 14: 폰톤
15: 고정공간부재 16: 스퍼드부재
17: 유압실린더부재 18: 로울러부재
19: 스퍼드가이드부재 20: 고정프레임부재
21: 침부 22: 고정결합공
23: 고정걸이핀 24: 실린더로드
25: 안내구멍 26: 나사체결공
27: 빔결합부재 28: 와이어수단
29: 회동부재 30: 활차시브부재
31: 윈치장치부 32: 제1 활차시브부재
33: 제2 활차시브부재 34: 제3 활차시브부재
35: 결합탭 36: 실린더로드
37: 유압실린더
Claims (8)
- 몸체의 전단부에 준설장비가 설치되고 그 후미에 폰톤이 구비된 준설선에 있어서,상기 폰톤 내부 단부에 복수개 설치되되, 그 몸체의 상단부가 폰톤의 상단외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몸체의 상,하 양끝단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는 고정공간부재와;상기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고 그 몸체가 일정길이의 봉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부재와;상기 고정공간부재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스퍼드부재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유압실리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간부재의 상단부 일측과 하단부 일측에는 스퍼드부재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로울러부재가 각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간부재의 외부에 설치된 고정프레임부재에는 스퍼드부재를 그 내부에 안치하여 스퍼드부재가 준설선의 유동에 영향을 받지않고 상,하로 슬라이딩 유동되도록 하는 스퍼드 가이드부재를 다수개 설치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부재에는 그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결합공이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부재에는 스퍼드부재의 고정결합공에 나사체결로 결합된 고정걸이핀에 수직으로 실린더로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몸체의 전단부에 준설장비가 설치되고 그 후미에 폰톤이 구비된 준설선에 있어서,상기 폰톤 내부 단부에 복수개 설치되되, 그 몸체의 상단부가 폰톤의 상단외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몸체의 상,하 양끝단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는 고정공간부재와;상기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고 그 몸체가 일정길이의 봉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부재와;상기 스퍼드부재의 몸체 일측에 결합되고, 그 몸체가 긴 빔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나사체결공이 다수개 설치되는 빔결합부재와:상기 빔결합부재의 나사체결공에 결합되어 와이어수단에 의해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서 상,하로 회전 연동하는 회동부재와;상기 고정공간부재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동부재와 와이어수단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스퍼드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활차시브부재와;상기 회동부재와 활차시브부재를 와이어수단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고 폰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윈치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부재에는 그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결합공이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몸체의 전단부에 준설장비가 설치되고 그 후미에 폰톤이 구비된 준설선에 있어서,상기 폰톤 내부 단부에 복수개 설치되되, 그 몸체의 상단부가 폰톤의 상단외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몸체의 상,하 양끝단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는 고정공간부재와;상기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고 그 몸체가 일정길이의 봉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퍼드부재와;상기 스퍼드부재의 몸체 일측에 결합되고, 그 몸체가 긴 빔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나사체결공이 다수개 설치되는 빔결합부재와:상기 빔결합부재의 나사체결공에 결합되어 와이어수단에 의해 고정공간부재의 내부에서 상,하로 회전 연동하는 회동부재와;상기 고정공간부재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동부재와 와이어수단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스퍼드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 활차시브부재와;상기 폰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와이어수단을 통해 제1 활차시브부재와 연동되는 제2 활차시브부재와;상기 폰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2 활차시브부재의 후면부에 설치되고 제2 활차시브부재와 와이어수단을 통해 연동되는 제3 활차시브부재와;상기 제3 활차시브부재을 매개로 와이어수단과 결합되어 이 와이어수단을 잡아 당기거나 놓을 수 있는 결합탭이 상단부에 구비된 실린더로드를 갖는, 폰톤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2458A KR20100053718A (ko) | 2008-11-13 | 2008-11-13 |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2458A KR20100053718A (ko) | 2008-11-13 | 2008-11-13 |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3718A true KR20100053718A (ko) | 2010-05-24 |
Family
ID=4227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2458A KR20100053718A (ko) | 2008-11-13 | 2008-11-13 |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53718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47124A (zh) * | 2016-05-12 | 2016-09-21 | 中国人民解放军镇江船艇学院 | 折叠式机动栈桥 |
CN109944287A (zh) * | 2019-04-17 | 2019-06-28 | 中交疏浚技术装备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 码头下方疏浚作业系统 |
KR20190108465A (ko) | 2018-03-14 | 2019-09-24 | (주) 백건준설 |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
CN112550558A (zh) * | 2020-12-22 | 2021-03-26 |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挖泥船钢桩安装系统及方法 |
-
2008
- 2008-11-13 KR KR1020080112458A patent/KR2010005371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47124A (zh) * | 2016-05-12 | 2016-09-21 | 中国人民解放军镇江船艇学院 | 折叠式机动栈桥 |
KR20190108465A (ko) | 2018-03-14 | 2019-09-24 | (주) 백건준설 |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
CN109944287A (zh) * | 2019-04-17 | 2019-06-28 | 中交疏浚技术装备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 码头下方疏浚作业系统 |
CN109944287B (zh) * | 2019-04-17 | 2024-02-20 | 中交疏浚技术装备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 码头下方疏浚作业系统 |
CN112550558A (zh) * | 2020-12-22 | 2021-03-26 |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挖泥船钢桩安装系统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9864B1 (ko) | 준설선 | |
KR20130052889A (ko) | 복합 준설선 및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 |
KR100880439B1 (ko) | 현장타설말뚝 천공기의 슬라임 제거장치 및 방법 | |
EP123683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charging deposit | |
Barnard | Prediction and control of dredged material dispersion around dredging and open-water pipeline disposal operations | |
KR101113208B1 (ko) | 조립형 준설선과 그 조립방법 | |
KR200425184Y1 (ko) | 준설선 | |
KR20100053718A (ko) |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 |
JP4938045B2 (ja) | 浚渫方法及びその装置 | |
NL9400818A (nl) | Vaartuig, baggermiddelen en samenstel daarvan. | |
JP6850052B1 (ja) | 浚渫装置 | |
KR101550363B1 (ko) | 준설장치 | |
JP2005240529A (ja) | 泥土浚渫装置 | |
KR20060030086A (ko) | 원격조정용 준설장치 | |
CN214940523U (zh) | 一种河道淤泥疏浚设备 | |
KR20100136027A (ko) | 부스터선을 이용하여 준설물을 전송하는 준설선 | |
KR101544196B1 (ko) | 하천 수중 오니 준설작업용 굴삭장치 | |
KR102231198B1 (ko) | 흡입 이동식 준설장치 | |
JP7319946B2 (ja) | 浚渫装置と浚渫システム、及び浚渫方法 | |
KR101198609B1 (ko) |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 | |
JP3363303B2 (ja) | 浚渫装置 | |
JP3706449B2 (ja) | 伏越し人孔における堆積土砂の浚渫方法及びその浚渫装置 | |
KR100997373B1 (ko) | 준설 플랜트 장치 | |
JP2021038511A (ja) | 浚渫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浚渫システム | |
KR200171739Y1 (ko) | 흡입식 준설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