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596B1 -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 Google Patents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596B1
KR102600596B1 KR1020210181332A KR20210181332A KR102600596B1 KR 102600596 B1 KR102600596 B1 KR 102600596B1 KR 1020210181332 A KR1020210181332 A KR 1020210181332A KR 20210181332 A KR20210181332 A KR 20210181332A KR 102600596 B1 KR102600596 B1 KR 10260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sediment
moving
buoyancy bodies
dred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2186A (ko
Inventor
김석규
Original Assignee
김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규 filed Critical 김석규
Priority to KR102021018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5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9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16Mobile land installations
    • E02F3/8825Mobile land installation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oil-shifting equipment is mounted on a dipper-arm, backho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사이에 공간부를 두고 좌 및 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부력체, 상기 부력체들 사이의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부력체들의 전방에 배치되어 강, 저수지, 바다 또는 항구에 퇴적된 퇴적물을 굴삭한 후 흡입하는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 및 상기 부력체들 사이의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부력체들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변형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는 강, 저수지, 바다 또는 항구에 퇴적된 퇴적물을 준설할 때 다양한 수심에 대응할 수 있고, 준설작업 및 이동작업을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수저에 퇴적된 퇴적물을 균일하게 준설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Changeable Dredge Equipment To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Depth Of Water}
본 발명은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 저수지, 바다 및 항구 등에 퇴적된 퇴적물을 준설할 때 다양한 수심에 대응할 수 있고, 준설작업 및 이동작업을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 항만, 호수, 농업용 저수지 등에 오랫동안 퇴적된 퇴적오니 등으로 인해 악취 및 수질오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하천 등의 기능이 저하된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의 퇴적오니는 수질을 더욱 악화시켜 농업용수로서 공급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에, 오니 준설이 필요하다.
퇴적물의 준설을 위하여 대선(선체)의 뒷쪽 및 좌, 우측에 장착되어 작동하는 수차형 이동장치가 준설선을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준설선의 전진과 동시에 앞부분에 장착된 굴삭 및 흡입 수단에 설치된 나선형 스크류 형상의 굴삭 블레이드가 회전하여 퇴적물을 굴삭하면 그러한 퇴적물은 흡입펌프에 의해 육상의 침전지로 이송되고 처리된다.
이러한 준설작업에는 흡입펌프에 의하여 강력한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준설선은 불안정해질 뿐만 아니라 위치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준설선의 후방 또는 측방에 선체 고정 폴대를 배치하고 그러한 선체 고정 폴대를 퇴적물 바닥에 꽂아 선체를 고정한다.
그러나, 선체 고정 폴대에 의한 선체 고정은 준설작업을 매우 더디게 하여 준설작업의 효율을 크게 떨어뜨린다. 구체적으로, 선체 고정 폴대로 선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굴삭 및 흡입 수단을 작동시켜 한 지점에서 준설작업을 수행한다. 해당 지점에서의 준설작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선체 고정 폴대를 해제하고 준설선의 이동수단에 의하여 약간 전진한 후 다시 선체 고정 폴대를 퇴적물 바닥에 꽂아 선체를 고정하고 굴삭 및 흡입 수단을 다시 작동시켜 이동한 해당 지점에서 준설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준설선의 전진 이동을 위하여 사용되는 준설선의 이동수단은 일반적으로 엔진에 의하여 동작하는 회전 스크류 또는 수차이고, 이러한 회전 스크류 또는 수차는 물에 약간 잠기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물에 떠 있는 상태이다. 이에, 준설선을 정확하게 직진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정교한 조정이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아무리 정교하게 조정하더라도 바람, 물결 등의 환경 요인에 의하여 준설선의 정확한 직진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준설선의 직진작업에 약간의 오차라도 발생한다면 그러한 오차의 누적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준설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0378981호(2003. 03. 24. 등록) 특허등록 제10-0808243호(2008. 02. 21. 등록) 특허등록 제10-0937733호(2010. 01. 12. 등록) 특허등록 제10-0991725호(2010. 10. 28. 등록) 특허등록 제10-1013508호(2011. 01. 31. 등록) 특허등록 제10-1198609호(2012. 11. 01. 등록) 특허공개 제10-2012-0049653호(2012. 05. 17. 공개) 특허등록 제10-2231198호(2021. 03. 17.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335227호(2003. 11. 26.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 저수지, 바다 또는 항구에 퇴적된 퇴적물을 준설할 때 다양한 수심에 대응할 수 있고, 준설작업 및 이동작업을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저 바닥에 퇴적된 퇴적물을 균일하게 준설할 수 있는,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는 사이에 공간부를 두고 좌 및 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부력체, 상기 부력체들 사이의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부력체들의 전방에 배치되어 강, 저수지, 바다 또는 항구에 퇴적된 퇴적물을 굴삭한 후 흡입하는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 및 상기 부력체들 사이의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부력체들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변형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은 상기 부력체들의 사이에 있는 상기 공간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회동가능한 전방 아암부, 상기 전방 아암부의 전방 말단부에 연결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들의 전방에 배치되는 굴삭 프레임부, 상기 굴삭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굴삭 회전축, 상기 굴삭 회전축 둘레에 결합하여 상기 퇴적물을 굴삭하는 굴삭 블레이드, 상기 굴삭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굴삭 블레이드에 의하여 굴삭된 상기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에 의하여 흡입된 상기 퇴적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압송배관, 및 상기 부력체들 상에 설치되고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전방 아암부 또는 상기 굴삭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 아암부를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전방 호이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형 이동수단은 상기 부력체들의 사이에 있는 상기 공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회동가능한 후방 아암부, 상기 후방 아암부의 후방 말단부에 연결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들의 후방에 배치되는 이동 프레임부, 상기 이동 프레임부의 왼쪽 및 오른쪽 부분에서 상기 이동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바퀴체, 상기 바퀴체들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모터, 및 상기 부력체들 상에 설치되고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후방 아암부 또는 상기 이동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 아암부를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후방 호이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호이스트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방 아암부가 아래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굴삭 블레이드가 상기 상기 퇴적물에 닿은 상태에서 그리고 상기 후방 호이스트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후방 아암부가 아래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바퀴체가 상기 퇴적물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에 의한 상기 퇴적물의 굴삭 및 상기 가변형 이동 수단에 의한 상기 준설장치의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형 이동수단에서 상기 바퀴체는 상기 이동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회전축, 상기 이동 회전축에 연결되는 드럼형 바퀴 몸체부 및 상기 드럼형 바퀴 몸체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판상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에서 상기 굴삭 블레이드의 형상은 상기 퇴적물을 굴삭할 때 왼쪽 및 오른쪽에서 굴삭되는 상기 퇴적물이 모두 중앙으로 모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입펌프는 중앙에 모인 상기 퇴적물을 흡입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준설장치는 상기 한 쌍의 부력체 각각에 설치되어 엔진 또는 전기 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고 물에 잠겨서 작동하는 한 쌍의 회전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준설장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스크류의 작동에 의하여 선회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준설장치에서 상기 한 쌍의 부력체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좌측 레일 및 우측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 레일 및 상기 우측 레일의 전방에는 각각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 및 상기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방 동력전달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좌측 레일 및 상기 우측 레일의 후방에는 각각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 상기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후방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와 상기 후방 동력전달수단을 상기 레일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동력전달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퇴적물을 굴삭할 때 상기 준설장치를 선회시켜야 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 및 상기 한 쌍의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가 상기 퇴적물에 꽂혀 상기 준설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원하는 선회방향에 있는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를 해당 후방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들어올린 후 해당 이동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해당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 및 해당 후방 동력전달수단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에, 해당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를 해당 후방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상기 퇴적물에 꽂는 한편 나머지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 및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들을 들어올리고 해당 이동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해당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를 상기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선회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는 강, 저수지, 바다 또는 항구에 퇴적된 퇴적물을 준설할 때 다양한 수심에 대응할 수 있고, 준설작업 및 이동작업을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수저에 퇴적된 퇴적물을 균일하게 준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준설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준설장치에 대한 개략적 구성을 평면도에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준설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준설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준설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 및 B 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준설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에 적용되는 예시적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을 부분적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에 적용되는 예시적 가변형 이동수단을 부분적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에 적용되는 예시적 부력체들 간의 연결구조를 부분적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에 적용되는 부력체 상에 설치되는 설치물을 부분적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준설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부력체(110 및 120),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200) 및 가변형 이동수단(30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부력체(110 및 120)는 사이에 공간부를 두고 좌 및 우에 배치된다. 부력체들(110 및 120)은 예를 들어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의 강재로 형성되어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력체들(110 및 120)은 사이에 공간부를 두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부력체들(110 및 1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구조물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그 외에 다양한 연결구조물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200)은 부력체들(110 및 120) 사이의 공간부 및 부력체들(110 및 120)의 전방에 배치되어 강, 저수지 등에 퇴적된 퇴적물을 굴삭하고 흡입하기 위한 것이다.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200)은 전방 아암부(210), 굴삭 프레임부(220), 굴삭 회전축(230), 굴삭 블레이드(240), 유압모터(250), 흡입펌프(260), 압송배관(270) 및 전방 호이스트(280)를 포함한다.
전방 아암부(210)는 부력체들(110 및 120)의 사이에 있는 공간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전방 아암부(210)는 또한 아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전방 아암부(210)는 예를 들어 부력체들(110 및 120) 간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전방 아암부(210)가 배치되는 위치는 부력체들(110 및 120)의 사이 공간부에서 저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중간부분 또는 상부일 수도 있다. 전방 아암부(210)는 부력체들(110 및 120) 사이의 공간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몸체부(211), 몸체부(211)의 전방 말단부로부터 좌우로 연장되어 부력체들(110 및 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연장부(213) 및 연장부(213)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판(2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215)에는 볼트결합을 위한 볼트 관통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굴삭 프레임부(220)는 전방 아암부(210)의 전방 말단부에 연결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부력체들(110 및 120)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8 및 도 9에서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굴삭 프레임부(220)는 후면, 양측면 및 상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앞면 및 저면은 개방되어 있다. 굴삭 프레임부(220)의 상면은 일부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 상부에는 흡입펌프(260)의 흡입부가 배치될 수 있다. 흡입펌프(260)의 흡입부에 의하여 퇴적물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흡입펌프(260)의 흡입부는 저면, 즉 굴삭 프레임부(220)의 상면 및 흡입펌프(260)의 몸체부와 연결되는 후면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폐쇄된다. 즉, 흡입펌프(260)의 흡입부는 흡입부 폐쇄 프레임부(222)에 의해 폐쇄된다. 굴삭 프레임부(220)의 후면에는 전방 아암부(210)의 결합판들(215)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방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결합판(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판들(224)에는 볼트결합을 위한 볼트 관통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결합판들(224)은 그것들의 측면이 전방 아암부(210)의 결합판들(215)의 측면과 접촉하게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들(215) 및 결합판들(224)에는 3 종류의 볼트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3 종류의 볼트 관통공은 하나의 중앙 관통공, 중앙 관통공을 중심으로 전방 아암부측 원호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각도조절용 관통공 및 중앙 관통공을 중심으로 굴삭 프레임부측 원호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각도조절용 관통공이다. 중앙 관통공에 볼트를 끼우고 너트에 의해 고정하면 전방 아암부(210)에 굴삭 프레임부(220)가 연결되지만 굴삭 프레임부(220)는 그것의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회전하게 된다. 굴삭 프레임부(220)를 전방 아암부(210)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해서는 제1 각도조절용 관통공 및 제2 각도조절용 관통공 중 최소한 한 부분에 바람직하게는 양쪽 모두에 볼트를 끼우고 너트에 의해 고정하여야 한다. 이때, 복수개의 제1 각도조절용 관통공 또는 복수개의 제2 각도조절용 관통공 중 볼트를 끼워야 할 관통공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볼트와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전방 아암부(210)에 대한 굴삭 프레임부(22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방 아암부(210)가 회전되어 굴삭 프레임부(220)가 준설될 수중 바닥에 닿을 때 굴삭 프레임부(220)의 개방된 저면은 수중 바닥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준설되어야 할 수심에 따라서 전방 아암부(210)에 대한 굴삭 프레임부(220)의 결합각도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굴삭 회전축(230)은 굴삭 프레임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굴삭 회전축(230)은 굴삭 프레임부(220)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굴삭 회전축(230)은 유압모터(250)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250)를 설치하고 유압모터(250)와 굴삭 회전축(230)을 연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굴삭 프레임부(220)의 한 측면으로부터 굴삭 프레임부(220)의 상면 위로 연장되어 모터 설치부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 설치부는 굴삭 프레임부(220)의 한 측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것 내부가 폐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압모터(250)는 모터 설치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유압모터(250)의 축은 모터 설치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압모터(250)의 축은 모터 설치부 내부의 한 지점에서 구동기어와 연결되고, 굴삭 회전축(230)은 모터 설치부 내부의 다른 지점에서 피동기어와 연결되며, 양 기어는 체인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유압모터(250)의 회전 동력이 굴삭 회전축(23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한 동력전달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구조로 동력전달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굴삭 회전축(230) 둘레에는 퇴적물을 굴삭하는 굴삭 블레이드(240)가 설치된다. 굴삭 블레이드(240)는 굴삭 회전축(230)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굴삭 블레이드(240)의 형상은 퇴적물을 굴삭할 때 왼쪽 및 오른쪽에서 굴삭되는 퇴적물이 모두 중앙으로 모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특허등록 제10-2231198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오거와 같은 형상 및 구조로 굴삭 블레이드(2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굴삭 블레이드(240)는 굴삭 회전축(230)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의 나선형으로 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펌프(260)는 굴삭 블레이드(240)에 의하여 굴삭된 퇴적물을 흡입한다. 특히, 흡입펌프(260)는 굴삭 블레이드(240)에 의하여 굴삭되고 중앙에 모인 퇴적물을 흡입한다. 흡입펌프(260)의 흡입부는 흡입부 폐쇄 프레임부(222)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펌프(260)의 몸체부는 흡입부 폐쇄 프레임부(222)의 후면을 관통하여 배치된다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흡입펌프(260)의 배출부에는 압송배관(270)이 연결된다. 압송배관(270)은 흡입펌프(260)에 의하여 흡입된 퇴적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전방 호이스트(280)는 부력체들(110 및 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전방 호이스트(280)는 강재 케이블에 의하여 전방 아암부(210) 또는 굴삭 프레임부(220)와 연결된다. 이에, 전방 아암부(210) 또는 굴삭 프레임부(220)에는 케이블을 걸 수 있는 걸이부 또는 고리가 마련된다. 전방 호이스트(280)는 전방 아암부(210)를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방 호이스트(280)는 전방 아암부(210)가 수평으로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을 푸는 방향으로 케이블 권취부를 풀면 전방 아암부(210)는 그것의 자중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회동은 굴삭 프레임부(220) 및 굴삭 블레이드(240)가 수중 바닥에 닿을 때까지 계속되고, 굴삭 프레임부(220) 및 굴삭 블레이드(240)가 수중 바닥에 닿으면, 전방 호이스트(280)의 케이블 권취부 작동을 멈춘다. 그 상태에서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200)을 작동시키면 퇴적물의 굴삭 및 흡입 작업이 수행된다. 준설작업이 끝난 후에는 전방 호이스트(280)는 전방 아암부(210)를 원래 상태로 돌릴 수 있다. 즉, 전방 호이스트(280)는 케이블 권취부를 감음으로써 전방 아암부(21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전방 아암부(210)가 원래 상태, 즉 수평상태가 되면 전방 호이스트(280)의 케이블 권취부 작동을 멈춘다.
가변형 이동수단(300)은 준설장치가 준설작업을 하는 중에 준설장치를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변형 이동수단(300)은 후방 아암부(310), 이동 프레임부(320), 한 쌍의 바퀴체(330), 한 쌍의 유압모터(340), 후방 호이스트(350)를 포함한다.
후방 아암부(310)는 부력체들(110 및 120)의 사이에 있는 공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후방 아암부(310)는 또한 아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후방 아암부(310)는 예를 들어 부력체들(110 및 120) 간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후방 아암부(310)가 배치되는 위치는 부력체들(110 및 120)의 사이 공간부에서 저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중간부분 또는 상부일 수도 있다. 후방 아암부(310)는 부력체들(110 및 120) 사이의 공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몸체부(311) 및 몸체부(311)의 후방 말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 결합판(3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판(313)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이동 프레임부(320)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결합판(313)의 말단부에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 아암부(310)는 이동 프레임부(320)와의 결합을 더욱 공고하게 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결합판을 가질 수도 있다.
이동 프레임부(320)는 후방 아암부(310)의 후방 말단부에 연결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부력체들(110 및 120)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부(320)는 속이 비고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21)의 후면 중간 부분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 결합판(323)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결합판(323)에는 한 쌍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된다.
후방 아암부(310)는 한 쌍의 수평 결합판(313)에 의하여 이동 프레임부(32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아암부(310)의 수평 결합판들(313)은 이동 프레임부(320)의 몸체부(321)의 상면에 놓여서 지지된다. 이때, 수평 결합판들(313) 말단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은 몸체부(321) 상에 놓이지 않고 그것보다 후방에서 이동 프레임부(320)의 수평 결합판(323) 상부에 놓인다. 수평 결합판들(313)의 볼트관통공들과 수평 결합판(323)의 볼트관통공들은 서로 일치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에서 수평 결합판들(313)의 볼트관통공들과 수평 결합판(323)의 볼트관통공들에 볼트를 끼우고 반대편에서 너트를 조여 고정시킨다. 그럼으로써 후방 아암부(310)와 이동 프레임부(320)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 쌍의 바퀴체(330)가 이동 프레임부(320)의 왼쪽 및 오른쪽 부분에서 이동 프레임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퀴체(330)는 예를 들어 이동 회전축(332), 드럼형 바퀴 몸체부(334) 및 복수개의 판상 날개부(336)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 회전축(332)은 이동 프레임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드럼형 바퀴 몸체부(334)는 이동 회전축(332)에 연결되며, 판상 날개부(336)는 드럼형 바퀴 몸체부(334)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즉, 바퀴체(330)는 수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부(320)에 한 쌍의 바퀴체(3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이동 프레임부(320)에는 왼쪽 및 오른쪽 부분에 몸체부(32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바퀴체 결합판(325)이 형성된다. 한 쌍의 바퀴체 결합판(325)에는 바퀴체(330)의 이동 회전축(33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바퀴체(33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유압모터(340)가 설치된다. 유압모터(340)는 한 바퀴체(330)에 대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체 결합판(325)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특히 내측에 배치되는 바퀴체 결합판(325)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퀴체 결합판(325)에 설치된 유압모터(340)의 회전축은 이동 회전축(332)과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유압모터(34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 회전축(332)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후방 호이스트(350)는 부력체들(110 및 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후방 호이스트(350)는 강재 케이블에 의하여 후방 아암부(310) 또는 이동 프레임부(320)와 연결된다. 이에, 후방 아암부(310) 또는 이동 프레임부(320)에는 케이블을 걸 수 있는 걸이부 또는 고리가 마련된다. 후방 호이스트(350)는 후방 아암부(310)를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후방 호이스트(350)는 후방 아암부(310)가 수평으로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을 푸는 방향으로 케이블 권취부를 풀면 후방 아암부(310)는 그것의 자중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회동은 바퀴체(330)가 수중 바닥에 닿을 때까지 계속되고, 바퀴체(330)가 수중 바닥에 닿으면, 후방 호이스트(350)의 케이블 권취부 작동을 멈춘다. 그 상태에서 유압모터(340)를 작동시키면 바퀴체(330)가 굴러 본 발명의 준설장치는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준설장치는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200)에 의한 준설작업과 가변형 이동수단(300)에 의한 이동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준설작업이 끝난 후에는 후방 호이스트(350)는 후방 아암부(310)를 원래 상태로 돌릴 수 있다. 즉, 후방 호이스트(350)는 케이블 권취부를 감음으로써 후방 아암부(310)를 들어올릴 수 있다. 후방 아암부(310)가 원래 상태, 즉 수평상태가 되면 후방 호이스트(350)의 케이블 권취부 작동을 멈춘다.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에는 도 1, 도 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들(250 및 340), 흡입펌프(260) 및 전방 및 후방 호이스트(280 및 35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가 마련되고, 또한 그것들을 조정하기 위한 전기 콘트롤박스가 구비된 조정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준설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호이스트(280 및 350)에 의하여 전방 및 후방 아암부(210 및 310)를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200) 및 가변형 이동수단(300)을 수저 바닥에 닿게 하여 준설작업 및 이동작업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방 및 후방 아암부(210 및 310)는 0도(수평)에서 90도(수직)까지의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전방 및 후방 아암부(210 및 310)의 각도는 수심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는 다양한 수심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200) 및 가변형 이동수단(300)은 독립적으로 수저 바닥에 닿는 구조이므로 수저 바닥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는 잘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는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200) 및 가변형 이동수단(300)이 모두 수저 바닥에 안착된 상태에서 준설작업 및 이동작업을 수행하므로 외부 환경요인 및 작업 동안의 진동 등에 의하여 불안정해지지 않으며 준설작업을 해야 할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는 사용이 편리하고 준설작업을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의 가변형 이동수단(300)에서 바퀴체들(330)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유압모터들(340)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는 그 자리에서 선회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저 바닥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회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왼쪽 유압모터(340)는 작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오른쪽 유압모터(340)만을 전진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왼쪽 바퀴체(330)는 움직이지 않는 반면에 오른쪽 바퀴체(330)는 전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는 왼쪽 바퀴체(330)를 중심으로 피봇운동을 하게 되므로 그 자리에서 좌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를 직진 또는 후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압모터들(340) 모두를 동일한 힘으로 해당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된다.
한편, 바퀴체(330)에 대한 수저 바닥 지형의 마찰력이 매우 큰 경우에는 하나의 바퀴체(330) 작동만으로는 작동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상기한 선회수단에 의하여 선회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준설장치는 수저 바닥 지형에 따라 다른 선회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준설창지는 한 쌍의 부력체(110 및 120) 각각에 설치되어 엔진 또는 전기 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고 물에 잠겨서 작동하는 한 쌍의 회전 스크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회전 스크류(400)가 부력체들(110 및 120)의 우측 모서리부 및 좌측 모서리부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회전 스크류들(400) 각각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준설장치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바퀴체들(330)에 의하여 선회하는 대신에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 스크류(400)의 작동에 의하여 선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준설장치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바퀴체들(330)에 의하여 선회하도록 조정할 것인지 아니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회전 스크류들(400)에 의하여 선회하도록 조정할 것인지 여부는 상황에 따라 조정자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준설장치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회전 스크류들(400)에 의하여 선회하는 구성 대신에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그 자리에서 선회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준설장치에서 한 쌍의 부력체(110 및 120)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좌측 레일 및 우측 레일(5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왼쪽 부력체(110)의 좌측 모서리 부분에 좌측 레일(510)이 형성되어 있고, 오른쪽 부력체(120)의 우측 모서리 부분에 우측 레일(510)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레일 및 우측 레일(510)의 전방에는 각각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Spud)(520) 및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5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방 동력전달수단(530)이 마련되어 있다.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520)는 수저 바닥에 꽂힐 수 있도록 끝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520)는 단면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의 한 측면에는 기어결합을 하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동력전달수단(530)은 프레임부(531) 및 모터, 특히 유압모터(532)를 포함한다. 프레임부(531)는 레일(5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유압모터(532)는 프레임부(531)에 설치된다.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520)는 프레임부(53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압모터(532)의 모터축(533)은 프레임부(531)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축(533)에는 구동기어(534)가 연결된다. 구동기어(534)는 체인(537)에 의하여 피동기어(535)와 연결되며, 피동기어(535)는 회전축(538)을 통하여 작동기어(536)와 연결된다. 작동기어(536)는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520)의 한 측면에 형성된 톱니와 기어결합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유압모터(532)가 작동하면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520)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좌측 레일 및 우측 레일(510)의 후방에는 각각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 및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후방 동력전달수단(550)이 마련되어 있다.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는 수저 바닥에 꽂힐 수 있도록 끝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는 단면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의 한 측면에는 기어결합을 하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동력전달수단(550)은 프레임부(551) 및 모터, 특히 유압모터(552)를 포함한다. 프레임부(551)는 레일(5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압모터(552)는 프레임부(551)에 설치된다.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는 프레임부(55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압모터(552)의 모터축(553)은 프레임부(551)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축(553)에는 구동기어(554)가 연결된다. 구동기어(554)는 체인(557)에 의하여 피동기어(555)와 연결되며, 피동기어(555)는 회전축(558)을 통하여 작동기어(556)와 연결된다. 작동기어(556)는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의 한 측면에 형성된 톱니와 기어결합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유압모터(552)가 작동하면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20)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좌측 레일 및 우측 레일(510)의 후방에는 또한 이동 동력전달수단(56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 동력전달수단(560)은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 및 후방 동력전달수단(550)을 레일(510)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동 동력전달수단(560)은 모터, 특히 유압모터(561)를 포함한다. 유압모터(561)는 프레임부(551)에 설치된다. 유압모터(561)의 모터축(562)은 프레임부(551)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축(553)에는 구동기어(563)가 연결된다. 구동기어(563)는 체인(565)에 의하여 피동기어(564)와 연결되며, 피동기어(564)는 이동축(566)을 통하여 이동기어(567)와 연결된다. 이동기어(567)는 레일(510)에 형성된 기어와 기어결합을 한다. 레일(510)에 기어가 형성되지 않고 레일(510)이 철도 레일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동기어(567)는 레일 바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압모터(561)의 작동에 의하여 이동기어(567)가 레일(510) 상에서 구름으로써 프레임부(551) 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기어(567) 하나만으로는 프레임부(551)의 전후 방향 이동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프레임부(551)에 회전 가능하게 별도의 이동축(568)을 설치하고, 이동축(568)에는 이동기어(569)가 연결된다. 이동기어(569)는 레일(510)에 형성된 기어와 기어결합을 한다. 도면에는 이동기어(567)가 전방에 그리고 이동기어(569)가 후방에 배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반대의 배치도 가능하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가변형 준설장치로 퇴적물을 굴삭할 때 준설장치를 선회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한쌍의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520) 및 한 쌍의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가 퇴적물에 꽂혀 본 발명의 준설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원하는 선회방향에 있는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를 해당 후방 동력전달수단(550)에 의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회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측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를 우측 후방 동력전달수단(550)에 의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런 후, 해당 이동 동력전달수단(560), 즉 우측 이동 동력전달수단(560)에 의하여 해당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 즉 우측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 및 해당 후방 동력전달수단(550), 즉 우측 후방 동력전달수단(55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에, 해당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 즉 우측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를 해당 후방 동력전달수단(550), 즉 우측 후방 동력전달수단(550)에 의하여 퇴적물에 꽂는 한편 나머지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 즉 좌측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40) 및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들(520)을 들어올리고 해당 이동 동력전달수단(560), 즉 우측 이동 동력전달수단(560)에 의하여 해당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50), 즉 우측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550)를 레일(51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본 발명의 준설장치는 원하는 선회방향, 즉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선회수단은 회전 스크류들(400)에 의한 선회에 비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선회를 할 수 있게 하므로 준설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110,120: 부력체 200: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
210: 전방 아암부 211: 몸체부
213: 연장부 215: 결합판
220: 굴삭 프레임부 222: 흡입부 폐쇄 프레임부
224: 결합판 230: 굴삭 회전축
240: 굴삭 블레이드 250: 유압모터
260: 흡입펌프 270: 압송배관
280: 전방 호이스트 300: 가변형 이동수단
310: 후방 아암부 311: 몸체부
313: 수평 결합판 320: 이동 프레임부
321: 몸체부 323: 수평 결합판
325: 바퀴체 결합판 330: 바퀴체
332: 이동 회전축 334: 드럼형 바퀴 몸체부
336: 판상 날개부 340: 유압모터
350: 후방 호이스트 400: 회전 스크류
510: 레일 520: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
530: 전방 동력전달수단 531,551: 프레임부
532,552: 모터 533,553: 모터축
534,535,536,554,555,556: 기어 537,557: 체인
538,558: 회전축 540: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
550: 후방 동력전달수단 560: 이동 동력전달수단
561: 모터 562: 모터축
563,564: 기어 565: 체인
566,568: 이동축 567,569: 이동기어

Claims (5)

  1. 사이에 공간부를 두고 좌 및 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부력체, 상기 부력체들 사이의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부력체들의 전방에 배치되어 강, 저수지, 바다 또는 항구에 퇴적된 퇴적물을 굴삭한 후 흡입하는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 및 상기 부력체들 사이의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부력체들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변형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준설장치이고,
    상기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은 상기 부력체들의 사이에 있는 상기 공간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회동가능한 전방 아암부, 상기 전방 아암부의 말단부에 연결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들의 전방에 배치되는 굴삭 프레임부, 상기 굴삭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굴삭 회전축, 상기 굴삭 회전축 둘레에 결합하여 상기 퇴적물을 굴삭하는 굴삭 블레이드, 상기 굴삭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유압모터, 상기 굴삭 블레이드에 의하여 굴삭된 상기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에 의하여 흡입된 상기 퇴적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압송배관, 및 상기 부력체들 상에 설치되고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전방 아암부 또는 상기 굴삭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 아암부를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전방 호이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이동수단은 상기 부력체들의 사이에 있는 상기 공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회동가능한 후방 아암부, 상기 후방 아암부의 말단부에 연결되고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들의 후방에 배치되는 이동 프레임부, 상기 이동 프레임부의 왼쪽 및 오른쪽 부분에서 상기 이동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바퀴체, 상기 바퀴체들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유압모터, 및 상기 부력체들 상에 설치되고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후방 아암부 또는 상기 이동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 아암부를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후방 호이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호이스트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방 아암부가 아래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굴삭 블레이드가 상기 상기 퇴적물에 닿은 상태에서 그리고 상기 후방 호이스트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후방 아암부가 아래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바퀴체가 상기 퇴적물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에 의한 상기 퇴적물의 굴삭 및 상기 가변형 이동 수단에 의한 상기 준설장치의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이동수단에서 상기 바퀴체는 상기 이동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회전축, 상기 이동 회전축에 연결되는 드럼형 바퀴 몸체부 및 상기 드럼형 바퀴 몸체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판상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굴삭 및 흡입 수단에서 상기 굴삭 블레이드의 형상은 상기 퇴적물을 굴삭할 때 왼쪽 및 오른쪽에서 굴삭되는 상기 퇴적물이 모두 중앙으로 모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입펌프는 중앙에 모인 상기 퇴적물을 흡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장치는 상기 한 쌍의 부력체 각각에 설치되어 엔진 또는 전기 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고 물에 잠겨서 작동하는 한 쌍의 회전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준설장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스크류의 작동에 의하여 선회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장치에서 상기 한 쌍의 부력체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좌측 레일 및 우측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 레일 및 상기 우측 레일의 전방에는 각각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 및 상기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방 동력전달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좌측 레일 및 상기 우측 레일의 후방에는 각각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 및 상기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후방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 및 상기 후방 동력전달수단을 상기 레일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동력전달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퇴적물을 굴삭할 때 상기 준설장치를 선회시켜야 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 및 상기 한 쌍의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가 상기 퇴적물에 꽂혀 상기 준설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원하는 선회방향에 있는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를 해당 후방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들어올린 후 해당 이동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해당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 및 해당 후방 동력전달수단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에, 해당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를 해당 후방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상기 퇴적물에 꽂는 한편 나머지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 및 전방 선체 고정 스퍼드들을 들어올리고 해당 이동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해당 후방 선체 고정 스퍼드를 상기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선회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KR1020210181332A 2021-12-17 2021-12-17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KR10260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332A KR102600596B1 (ko) 2021-12-17 2021-12-17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332A KR102600596B1 (ko) 2021-12-17 2021-12-17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186A KR20230092186A (ko) 2023-06-26
KR102600596B1 true KR102600596B1 (ko) 2023-11-08

Family

ID=8694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332A KR102600596B1 (ko) 2021-12-17 2021-12-17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5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08B1 (ko) 2010-04-21 2011-0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수륙양용 준설선
KR102041508B1 (ko) 2018-06-28 2019-11-06 (주)백건준설 준설선의 유압식 추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981B1 (en) 2002-10-17 2003-04-14 Won Tae Kim Sludge collecting apparatus
KR200335227Y1 (ko) 2003-08-26 2003-12-03 김원태 조향장치를 갖는 바퀴형 오니 준설선
KR100808243B1 (ko) 2006-10-24 2008-02-29 박중민 준설 장치
KR100937733B1 (ko) 2009-06-12 2010-01-21 제드준설 주식회사 친환경 준설선
KR100991725B1 (ko) 2010-02-22 2010-11-03 진명이십일 (주) 흡입식 준설장치
KR101198609B1 (ko) 2010-05-26 2012-11-07 신영구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
KR20120049653A (ko) 2010-11-09 2012-05-17 (주) 신해강 직선 견인 흡입식 준설장치
KR102231198B1 (ko) 2020-11-18 2021-03-23 한성종합개발 주식회사 흡입 이동식 준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08B1 (ko) 2010-04-21 2011-0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수륙양용 준설선
KR102041508B1 (ko) 2018-06-28 2019-11-06 (주)백건준설 준설선의 유압식 추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186A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88200A (zh) 一种模块化环保疏浚船
KR101853391B1 (ko) 다목적 수륙양용 준설선
CN212271048U (zh) 一种带支腿的自航多功能施工船
JP4700761B1 (ja) 水底均し装置
CN113152558A (zh) 一种能调节清淤深度的河道清淤船
CN102409711B (zh) 城市小河道清淤船
KR102600596B1 (ko)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CN106759601B (zh) 一种挖泥船
CN204252189U (zh) 一种适用于不规则河道流域的清淤泥船
CN202175972U (zh) 小流域河道挖泥船
US3486253A (en) Floating earthmoving apparatus
KR100508886B1 (ko) 수중 오니제거 로보트
CN218148605U (zh) 一种便于转移部署的水利工程用清淤装置
JP4778743B2 (ja) 水底の堆積土砂に対する浚渫システム
CN212534274U (zh) 一种环保绞吸挖泥船刮铲式清淤机具
KR101690193B1 (ko) 준설선의 이동 장치
CN212742696U (zh) 一种自适应旋挖吸泥船
CN211642530U (zh) 一种多功能工程船
CN111749299A (zh) 一种环保绞吸挖泥船刮铲式清淤机具
CN210887375U (zh) 一种内河吹泥船
KR102041508B1 (ko) 준설선의 유압식 추진장치
CN109518750B (zh) 一种小型挖泥船
CN111894065A (zh) 一种自适应旋挖吸泥船
CN210011853U (zh) 一种挖泥船用定位桩
KR20210115286A (ko) 준설작업을 포함한 컨트롤 통합형 경량 수륙양용 준설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