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597B1 -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597B1
KR102129597B1 KR1020180116694A KR20180116694A KR102129597B1 KR 102129597 B1 KR102129597 B1 KR 102129597B1 KR 1020180116694 A KR1020180116694 A KR 1020180116694A KR 20180116694 A KR20180116694 A KR 20180116694A KR 102129597 B1 KR102129597 B1 KR 102129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loating
fluid
rack gea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465A (ko
Inventor
백도선
Original Assignee
(주)백건준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건준설 filed Critical (주)백건준설
Publication of KR20190108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2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by means of tension le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02B17/081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ipulator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준설선이나 바지선과 같은 수상부유체에 장착되어 수상부유체를 수저면에 고정하거나 수상부유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은 레그를 수저면의 지반에 따라 기울기를 조절하여 수저면에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수상부유체를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Fixing and elevating system for floating body}
본 발명은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준설선이나 바지선과 같은 수상부유체에 장착되어 수상부유체를 수저면에 고정하거나 수상부유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준설선은 강, 운하, 항만, 항로의 깊이를 깊게 하기 위한 준설작업을 하며, 물 밑의 흙, 모래, 광물 등을 채취하는 작업, 수중구조물 축조의 기초공사, 해저 폐기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준설선은 준설할 수역의 깊이와 바닥의 토질의 종류, 준설된 물질의 운반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설비와 장비를 갖추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준설선은 기관을 가지고 자력으로 항해할 수 있는 준설선, 기관이 없고 예인선에 의해서만 이동되는 준설선, 선체에 준설된 흙이나 모래를 담아서 버릴 수 있는 저개식선 창 즉, 호퍼(hopper)를 구비한 준설선 등이 있다.
한편, 바지선(barge)은 항내, 내해, 호수 ,하천, 운하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해상작업용 공사장비를 탑재하고 해상작업을 하는 무동력 선박을 일컫는 것으로, 대량의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를 해상으로 운반하거나 해상에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선체 상부에 넓은 공간을 확보한 형태로 제조된 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바지선은 두 지점 사이에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항내에 대형선이 접안할 수 없는 경우 등에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해 본선 옆에 대는 배로 사용되거나 각종 공사장비를 탑재하여 해안공사를 실시하는데 사용되며, 대부분은 자체적으로 운항을 위한 동력을 구비하지 않고 예인선에 의해 끌리거나 밀배에 밀려서 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준설선이나 바지선과 같이 수상에 일정위치에 부유하여 중량체의 하역작업이나, 준설과 같은 작업을 해야하는 수상부유체는 작업의 안정성을 위하여 수상부유체의 유동을 줄일 수 있는 고정구조가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 수상부유체를 수면에 대해 부상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6858호에는 바지선을 잭업(jack-up)시키는 바지선의 잭업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8391호에는 복수의 스퍼드를 구비한 밸런스 바지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3718호에는 복수 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에 개시된 레그파이프와 스퍼드(이하 '레그'라 함)는 직립 방향으로만 승강되므로 수저면의 상태에 따라 레그 고정시 제약이 많아,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6858호 : 바지선의 잭업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8391호 : 2개의 스퍼드를 이용한 밸런스 바지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3718호 : 복수 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반상태에 따라 수저면에 레그가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레그가 회동가능한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니언기어에 치합되어 레그와 함께 승강하는 랙기어 측으로 레그가 편심되지 않도록 하여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그 승강 완료 후, 레그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랙기어를 지지하여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은 수상에 부유하는 수상부유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저면으로 하강되어 상기 수상부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상기 수상부유체의 승강을 안내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연장된 복수의 레그와; 상기 레그가 내측으로 관통연장되고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레그를 상기 수상부유체에 대해 승강시키는 피니언 기어가 장착되어, 상기 수상부유체에 대해 상기 레그의 승강을 가이드하거나 수저면에 고정된 상기 레그에 대해 상기 수상부유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지지하우징를 포함하는 승강조절유닛과;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게 상기 수상부유체에 장착되되 내측으로 관통연장되는 상기 레그와 함께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하우징과,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을 일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상기 레그가 상기 회동하우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유닛을 포함하는 레그 회동조절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조절유닛은 상기 랙기어를 지지하거나 지지해제되게 상기 승강지지하우징 내측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그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 레그 회동조절유닛은 상기 레그가 관통연장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상기 수상부유체의 관통부의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수상부유체의 상면에 장착되며 내측이 상기 레그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형성되며 상기 레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상부유체 연장방향인 제1방향으로 나란한 제1 및 제2레일부가 형성된 프레임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의 양측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상호 동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을 상기 제1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상기 회동하우징과 상기 레그를 회동시키는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프레임유닛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고, 길이 신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제1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 회동조절유닛은 하방으로 갈수록 관통폭이 상기 제1방향으로 확장되는 상기 관통부 내에서 상기 회동하우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회동하우징의 양측에서 상호 멀어지게 돌출된 제1 및 제2회동축을 관통지지하는 제1 및제2회동지지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조절유닛은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된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 시 상기 랙기어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레그가 승강시 상기 피니언기어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의 내주면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의 타측에 내측으로 관통하는 상기 레그의 측부가 개방되게 절제된 절제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레그와 접촉되는 마찰저감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은 내측으로 상기 레그가 관통되게 상기 레그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의 외주면에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지지축이 각각 마련된 레그관통부와, 상기 랙기어가 관통연장되게 상기 레그관통부의 일측 내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그관통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과 연통형성되되 상기 피니언기어가 진입되어 상기 랙기어와 치합 될 수 있게 상기 레그관통부에서 돌출된 방향 일측이 일부 개방된 랙기어수용공이 형성된 랙기어관통부와, 상기 랙기어관통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수용공으로 일부 진입되는 상기 피니언기어에 관통 결합된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니언기어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구동모터장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은 상기 랙기어관통부에서 상기 레그관통부에 멀어지게 돌출되되 단부가 상기 수상부유체 방향을 향하도록 하향경사지게 돌출되고 내측에 상기 랙기어수용공과 연통되며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스토퍼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유체의 양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랙기어수용공으로 진입되거나 후퇴되게 상기 스토퍼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스토퍼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은 레그를 수저면의 지반에 따라 기울기를 조절하여 수저면에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수상부유체를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은 랙기어 측으로 진입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레그 승강완료 후, 레그의 하강이 제한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은 마찰저감롤러에 의해 피니언기어측으로 편심되는 레그와의 마찰을 줄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이 장착된 수상부유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동승강레그를 지지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를 지지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에 대한 일부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1승강조절유닛에 대한 일부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2승강조절유닛과 레그회동조절유닛에 대한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2승강조절유닛에 대한 일부분리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레그회동조절유닛에 대한 일부분리 확대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수상부유체의 후미에 제2승강조절유닛과 레그회동조절유닛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스토퍼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회동승강레그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의 제1승강조절유닛에 대한 일부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의 제2승강조절유닛에 대한 일부분리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은 준설선이나 바지선과 같은 수상에 부유하는 수상부유체(1)에 장착되어 수상부유체(1)가 수상에 일정 위치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수상부유체(1)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수상부유체의 승강을 안내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5)은 복수의 레그(10)와, 복수의 제1승강조절유닛(16)과, 제2승강조절유닛(60)과, 레그회동조절유닛(100)과, 유체공급유닛(240)을 구비한다.
그리고, 수상부유체(1)는 선수에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동일 간격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관통되어 복수의 레그(10)가 각각 관통되는 제1 및 제2관통부(2,3)와, 후미에 폭 방향의 중심 측에 레그(10)가 승강시 관통되며 레그(10)가 회동이 용이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수상부유체(1)의 길이방향인 제1방향으로 관통폭이 확장되게 관통되는 제3관통부(4)가 형성된다.
복수의 레그(10)는 수상부유체(1)를 수상에 고정시킬 목적으로 수저면까지 수직으로 각각 하강되는 원기둥 형상의 지주로서, 각각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랙기어(17)가 연장되고 각 하부는 수저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팁부(14)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레그(10)는 랙기어(17)의 하중에 의해 승강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타측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편심방지플레이트(15)가 각각 장착된다.
또한, 복수의 레그(10)는 하단부가 수저면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승강조절유닛(16,60) 작동시 수상부유체(1)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랙기어(17)는 레그(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소정거리 상호 이격되는 판상의 복수의 랙플레이트(18)와, 복수의 랙플레이트(18) 이격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복수의 랙플레이트(18)에 각각 결합되며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서포트핀(19)을 구비한다.
복수의 레그(10)는 동일 구조를 가지나 장착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수직승강레그(11,12)와, 회동승강레그(13)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수직승강레그(11,12)는 제1 및 제2관통부(2,3)에 각각 관통되어 수상부유체(1)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수상부유체(1)의 선수에 장착된다.
회동승강레그(13)는 제3관통부(4)를 관통하며 수상부유체(1)의 후미에 장착되는 후술되는 회동조절유닛(10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복수의 제1승강조절유닛(16)은 제1 및 제2수직승강레그(11,12)를 각각 수상부유체(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킨다.
복수의 제1승강조절유닛(16)은 도 4를 참고하면,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의 랙기어(17)와, 제1 또는 제2관통부(2,3)에 각각 관통장착되며 내측으로 관통되는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승강지지하우징(25)과, 복수의 제1승강지지하우징(25)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랙기어(17)와 치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1피니언기어(20)와, 제1승강지지하우징(25)에 장착되어 제1피니언기어(20)를 회전시키는 제1양방향 구동모터(51)와, 랙기어(17)를 지지하거나 지지해제되게 제1승강지지하우징(25)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44)를 각각 구비한다.
제1피니언기어(20)는 상호 이격되는 서포트핀(19)들 사이로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가 삽입되어 랙기어(17)와 치합된다.
제1승강지지하우징(25)은 제1레그관통부(26)와, 제1랙기어관통부(28)와, 제1피니언기어지지부(30)와, 제1구동모터장착부(33)와, 제1스토퍼지지부(36)와, 제1마찰저감롤러 장착부(39)를 구비한다.
제1레그관통부(26)는 원통형상으로 제1 또는 제2레그(11,12)가 관통되게 내측에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1중공(27)이 형성된다.
제1랙기어관통부(28)는 제1 또는 제2레그(11,12)의 외주면에 장착된 랙기어(17)가 관통 연장되게 제1레그관통부(26)의 일측 내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레그관통부(2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중공(27)과 연통되는 제1랙기어수용공(29)형성된다. 제1랙기어관통부(28)는 제1피니언기어(20)가 제1랙기어수용공(29)으로 진입되어 랙기어(17)와 치합될 수 있게 제1레그관통부(26)에서 돌출되는 방향인 제1방향에 대응되는 일측이 일부 개방 형성된다.
제1피니언기어지지부(30)는 제1레그관통부(26)에서 제1랙기어관통부(28)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브라켓지지부(31)와, 복수의 지지부의 상단에 각각 장착되어 제1랙기어수용공(29)으로 일부 진입된 제1피니언기어(20)의 중심에 관통결합되는 회전축(52)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제1회전축지지브라켓(32)을 구비한다.
제1구동모터장착부(33)는 제1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되 상하방향으로 폭을 갖는 판상으로 제1양방향구동모터(51)의 회전축(52)이 제1피니언기어(20)의 중심에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제1양방향구동모터(51)가 장착되는 제1구동모터결합플레이트(34)와, 제1랙기어관통부(28)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제1레그관통부(26)의 외주면에서 제1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구동모터결합플레이트(34)의 타단부와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결합브라켓(35)을 구비한다.
제1스토퍼지지부(36)는 제1랙기어관통부(28)에서 제1방향으로 제1레그관통부(26)에 멀어지게 돌출되되 단부가 수상부유체(1) 방향을 향하도록 하향경사지게 돌출된다. 제1스토퍼지지부(36)는 내측에 제1랙기어수용공(29)과 연통되며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제1스토퍼수용공간(37)이 형성되어, 제1스토퍼수용공간(37)으로 유입된 유체의 양에 의해 후술되는 스토퍼(44)가 제1랙기어수용공(29)으로 진입되거나 후퇴되게 스토퍼(44)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제1마찰저감롤러 장착부(39)는 제1승강지지하우징(25)의 일측에 장착된 제1 피니언기어(20)의 회전 시 랙기어(17) 측으로 가해지는 편심력에 의해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가 승강시 제1피니언기어(20)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승강지지하우징(25)의 내주면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인다.
제1마찰저감롤러 장착부(39)는 제1승강지지하우징(25)의 타측에 내측으로 관통하는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의 측부가 개방되게 절제된 제1절제부(40)와, 제1절제부(40)의 양측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제1레그관통부(26)의 외주면에 나란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제1장착편(41)과, 복수의 제1장착편(41)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와 접촉되도록 일부 진입되게 장착되는 제1마찰저감롤러(43)와 제1장착편(41)을 덮는 제1롤러하우징(42)을 구비한다.
제1마찰저감롤러 장착부(39)는 편심력의 분산이 용이하도록 제1방향에 나란하며 제1승강지지하우징(25)의 중심과 제1랙기어관통부(28)를 가로지르는 연장선상(a)에 대해 수상부유체(1)의 폭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양방향 구동모터(51)는 회전축(52)을 통해 제1피니언기어(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한다. 제1양방향 구동모터(51)는 유압에너지에 의해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로서 감속기가 장착되며, 유체공급유닛(240)의 제1 및 제2유체유입유출관(241,243)과 연결된다.
스토퍼(44)는 도 9를 참고하면, 제1스토퍼지지부(36)의 스토퍼수용공간(37)에 수용되며 제1스토퍼수용공간(37) 연장방향의 상단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스토퍼본체하우징(47)과, 스토퍼본체하우징(47) 내에 수용되며 스토퍼본체하우징(47)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스토퍼본체하우징(47)의 개방된 상단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연장되게 제1랙기어수용공(29)으로 진입되어 랙기어(17)를 지지하는 스토퍼본체(45)를 구비한다.
스토퍼본체하우징(47)은 개방된 상단에 스토퍼본체(44)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48)이 형성되고, 유체공급유닛(240)의 스토퍼유체공급관(249)과 연결된다.
스토퍼본체(45)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형상으로 형성된 서포트핀(19)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상단부(45a)가 서포트핀(19)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인입 형성되며 하단부에 이탈방지턱(48)에 간섭되는 플렌지부(46)가 형성된다.
한편, 제2 및 제3관통부(2,3)는 내측으로 관통결합되는 제1승강지지하우징(25)이 유격 없이 장착될 수 있도록 제1승강지지하우징(25)의 제1레그관통부(26)와 제1랙기어관통부(28)가 형성하는 횡단면형상에 대응되게 각각 관통형성된다.
제2승강조절유닛(60)은 회동승강레그(13)를 수상부유체(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제2승강조절유닛(60)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회동승강레그(13)의 랙기어(17)와, 제3관통부(4)의 상방에서 위치되게 후술되는 레그회동조절유닛(1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측으로 관통되는 회동승강레그(13)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2승강지지하우징(70)과, 제2승강지지하우징(7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동승강레그(13)의 랙기어(17)와 치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승강레그(13)를 승강시키는 제2피니언기어(66)와, 제2승강지지하우징(70)에 장착되어 제2피니언기어(66)를 회전시키는 제2양방향 구동모터(90)와, 랙기어(17)를 지지하거나 지지해제되게 제2승강지지하우징(70)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승강레그(13)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44)를 구비한다.
제2피니언기어(66)는 상호 이격되는 서포트핀(19)들 사이로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가 삽입되어 회동승강레그(13)에 장착된 랙기어(17)와 치합된다.
제2승강지지하우징(70)은 제2레그관통부(71)와, 제2랙기어관통부(73)와, 제2피니언기어지지부(75)와, 제2구동모터장착부(78)와, 제2스토퍼지지부(81)와, 마찰저감롤러 장착부(83)와 복수의 회동지지축(92,93)을 구비한다. .
제2레그관통부(71)와 제2랙기어관통부(73)는 각각 제1레그관통부(26)와 제1랙기어관통부(28)와 동일 구조를 갖되 제1레그관통부(26)와 제1랙기어관통부(28)보다 짧게 연장형성된다.
제2레그관통부(71)는 원통형상으로 회동승강레그(13)가 관통되게 회동승강레그(13)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2중공(72)이 형성된다.
제2랙기어관통부(73)는 회동승강레그(13)의 랙기어(17)가 관통 연장되게 제2레그관통부(73)의 일측 내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레그관통부(7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중공(72)과 연통되는 제2랙기어수용공(74)형성된다. 제2랙기어관통부(73)는 제2피니언기어(66)가 제2랙기어수용공(74)으로 진입되어 랙기어(17)와 치합될 수 있게 제2레그관통부(71)에서 돌출되는 방향인 제1방향에 대응되는 일측이 일부 개방 형성된다.
제2피니언기어지지부(75)는 제2레그관통부(71)에서 제2랙기어관통부(73)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브라켓지지부(76)와, 복수의 제2브라켓지지부(76)의 상단에 각각 장착되어 제2랙기어수용공(72)으로 일부 진입된 제2피니언기어(66)의 중심에 관통결합되는 제2구동모터(90)의 회전축(91)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제2회전축지지브라켓(77)을 구비한다.
제2구동모터장착부(78)는 제1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되 상하방향으로 폭을 갖는 판상으로 제2양방향구동모터(90)의 회전축(91)이 제2피니언기어(66)의 중심에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제2양방향구동모터(90)가 장착되는 제2구동모터결합플레이트(79)와, 제2랙기어관통부(73)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제2레그관통부(71)의 외주면에서 제1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구동모터결합플레이트(79)의 타단부와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결합브라켓(80)을 구비한다.
제2스토퍼지지부(81)는 제2랙기어관통부(73)에서 제1방향으로 제2레그 관통부(71)에 멀어지게 돌출되되 단부가 수상부유체(1) 방향을 향하도록 하향경사지게 돌출된다. 제2스토퍼지지부(81)는 내측에 제2랙기어수용공(74)과 연통되며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제2스토퍼수용공간(82)이 형성되어, 제2스토퍼수용공간(82)으로 유입된 유체의 양에 의해 스토퍼(44)가 제2랙기어수용공(74)으로 진입되거나 후퇴되게 스토퍼(44)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제2마찰저감롤러 장착부(83)는 제2승강지지하우징(70)의 일측에 장착된 제2 피니언기어(66)의 회전 시 랙기어(17) 측으로 가해지는 편심력에 의해 회동승강레그(13)가 승강시 제2피니언기어(66)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2승강지지하우징(70)의 내주면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인다.
제2마찰저감롤러 장착부(83)는 도 6을 참고하면, 제2승강지지하우징(70)의 타측에 내측으로 관통하는 회동승강레그(13)의 측부가 개방되게 절제된 제2절제부(84)와, 제2절제부(84)의 양측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제2스퍼트관통부(71)의 외주면에 나란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제2장착편(85)과, 복수의 제2장착편(85)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회동승강레그(13)와 접촉되게 일부 진입되게 장착되는 제2마찰저감롤러(88)와 제2장착편(85)를 덮는는 제2롤러하우징(87)을 구비한다.
제2마찰저감롤러 장착부(83)는 편심력의 분산이 용이하도록 제1방향에 나란하며 제2레그관통부(71)의 중심과 제2랙기어관통부(73)를 가로지르는 연장선상(b)에 대해 수상부유체(1)의 폭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양방향 구동모터(90)는 제1양방향구동모터(51)와 동일한 양방향 유압모터로서, 회전축(91)이 제2피니언기어(66)와 결합되어 제2피니언기어(6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한다. 제2양방향 구동모터(90)는 유체공급유닛(240)의 제1 및 제2유체유입유출관(241,243)과 연결된다.
제2스토퍼지지부(81)의 제2스토퍼수용공간(82)에 수용되는 스토퍼(44)는 스토퍼본체하우징(47)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스토퍼본체(45)가 스토퍼본체하우징(47)의 개방된 상단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연장되게 상승되어 제2랙기어수용공(74)으로 진입되어 회동승강레그(13)에 장착된 랙기어(17)를 지지한다.
복수의 회동지지축(92,93)은 제2레그관통부(71)의 외주면에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멀어지게 돌출되어 후술되는 레그회동조절유닛(100)의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레그회동조절유닛(100)은 도 5 및 도8을 참고하면, 회동하우징(110)과, 제1 및 제2회동지지판(121,126)과, 프레임유닛(135)과, 제1 및 제2실린더유닛(190,200)과,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을 구비한다.
회동하우징(110)은 제2승강지지하우징(70)의 하방에 위치되게 수상부유체(1)에 장착되는데, 도 2를 참고하면, 내측으로 회동승강레그(13)가 관통되며 제3관통부(4) 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회동하우징(110)은 제3레그관통부(111)와, 제3랙기어관통부(113)와, 제1 및 제2회동축(116,117)을 구비한다.
제3레그관통부(111)는 원통형상으로 회동승강레그(13)가 관통되게 회동승강레그(13)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3중공(112)이 형성된다.
제3랙기어관통부(113)는 회동승강레그(13)의 랙기어(17)가 관통 연장되게 제3레그관통부(111)의 일측 내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3레그관통부(1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3중공(112)과 연통되는 제3랙기어수용공(114)형성된다.
제 1 및 제2회동축(116,117)은 제1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제2방향에 대응되는 제3레그관통부(111)의 양측에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 1 및 제2회동축(116,117)은 제1 및 제2회동지지판(121,126)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제3관통부(4)는 사각형상으로 하방으로 갈수록 관통면적이 확장되게 관통형성되는데, 제1방향에 나란한 일측면에서 제3관통부(4)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제3관통부(4)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수직결합리브(124,129)와, 제1방향에 직교하는 양측면에 제3관통부(4)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수평결합리브(125,130)가 장착된다.
제1 및 제2회동지지판(121,126)은 제1 및 제2수직연장판(122,127)과, 제1 및 제2수평연장리브(123,128)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수직연장판(122,127)은 회동하우징(110)을 사이에 두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1 및 제2수직결합리브(124,129)에 각각 결합되며, 제1 및 제2회동축(116,117)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관통된다.
제1 및 제2수평연장리브는 제2방향의 제3관통부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1 및 제2수직연장판(122,127)의 각 일면에서 제3관통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수평결합리브(125,130)와 각각 볼트결합된다.
프레임유닛(131)은 제3관통부(4)의 상방에 위치되게 수상부유체(1)의 상면에 장착되는데, 사각형상이며 내측이 회동승강레그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형성된다.
프레임유닛(131)은 제2방향에 대응되는 양측에 제1방향으로 나란한 제1 및 제2레일부(R1,R2)가 형성된다.
프레임유닛(131)은 도 7 및 도8을 참고하면, 제3관통부(4)를 사이에 두고 수상부유체(1)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제1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베이스프레임유닛(132,142)과, 제1베이스프레임유닛(132)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3레일프레임(153)과, 제2베이스프레임유닛(142)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며 제3레일프레임(153)과 나란하게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4레일프레임(157)과, 제1베이스프레임유닛(132)의 길이방향 양측 상단에 각가 장착되어 제3레일프레임(153)을 제1베이스프레임유닛(132)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시키는 제1 및 제2이격프레임(161,166)과, 제2베이스프레임유닛(142)의 길이방향 양측 상단에 장착되어 제4레일프레임(157)을 제2베이스프레임유닛(142)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시키는 제3 및 제4이격프레임(171,176)과,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베이스프레임유닛(132,142)을 연결하거나 제3레일프레임(153)과 제4레일프레임(157)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180)을 구비한다.
제1베이스프레임유닛(132)는 수상부유체(1)의 상면에 장착되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베이스프레임(133)과, 제1베이스프레임(133)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137)과,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137)의 상단을 연결하며 제1베이스프레임(133)과 나란한 제1레일프레임(138)과,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137)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1수직프레임(137)의 측부에서 수상부유체(1)의 폭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수상부유체(1)의 상면과 결합되는 복수의 제1지지플레이트(185)를 각각 구비한다.
제2베이스프레임유닛(142)는 수상부유체(1)의 상면에 장착되며 제1베이스프레임(133)과 나란한 제2베이스프레임(143)과, 제2베이스프레임(143)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제2수직프레임(147)과, 복수의 제2수직프레임(147)의 상단을 연결하며 제2베이스프레임(143)과 나란한 제2레일프레임(148)과, 복수의 제2수직프레임(147)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2수직프레임(147)의 측부에서 수상부유체(1)의 폭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수상부유체(1)의 상면과 결합되는 복수의 제2지지플레이트(186)를 각각 구비한다.
제1 내지 제4레일프레임(138,148,153,157)은 각각 횡단면이 'I'자 형상으로되는 동일 구조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레일프레임(138,148,153,157)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수평연장플레이트(139)와, 복수의 수평연장플레이트(139)들의 폭 방향의 각 중심을 연결하며 수평연장플레이트(139)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연결플레이트(140)와, 수평연장플레이트(139)들의 양측에서 연결프레임(180)과 마주하는 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프레임(180)과 결합되는 위한 사각형상의 복수의 결합편(141)을 구비한다.
제1레일프레임(138)과 제3레일프레임(153)은 후술되는 제1슬라이딩부재(210)의 롤러(231)가 지지되는 제1레일부(R1)를 형성하며, 제2레일프레임과 제4레일프레임은 제2슬라이딩부재의 롤러(231)가 지지되는 제2레일부(R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이격프레임(161,166,171,176)은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제3이격프레임(166)과 제4이격프레임(176)은 일면 중심측에서 돌출되어 후술되는 제1 및 제2실린더유닛(190,200)과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실린더유닛결합축(172,177)이 각각 형성된다.
제3이격프레임(166)과 제4이격프레임(176)은 제1실린더유닛결합축(172)과 제2실린더유닛결합축(177)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프레임유닛(131)은 제1레일프레임(138)과 제3레일프레임(153)사이, 제2레일프레임(148)과 제4레일프레임(157) 사이에 각각 후술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의 회동축결합부(228)가 제1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한 슬라이딩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제1 및 제2레일부(R1,R2)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방향의 제2승강지지하우징(70)의 양측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되는 제1 및 제2실린더유닛에 의해 제1방향으로 상호 동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승강지지하우징(70)을 제1방향에 나란한 전후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회동하우징(110)과 회동승강레그(13)를 회동시킨다.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는 동일구조를 가지며, 프레임유닛(131)에 상호 대칭되게 장착된다.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는 각가 제1 또는 제2실린더유닛과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실린더결합플레이트(226)와, 실린더결합플레이트(226)의 중심측에 결합되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프레임유닛(131)의 슬라이딩공간(S)에 삽입되며 제1회동축(116) 또는 제2회동축(117)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결합부(228)와, 회동축결합부(228)의 상하방에 위치되며 회전가능하게 실린더결합플레이트(226)에 결합되어 복수의 롤러(231)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실린더유닛(190,200)은 제1방향에 교차하는 프레임유닛(131)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와 연결되어, 길이 신축에 따라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를 제1방향에 나란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회동승강레그(13)가 회동하우징(110)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를 통해 제2승강지지하우징(70)을 수상부유체(1)의 선수 방향으로 당기거나 후미 방향으로 민다.
제1실린더유닛(190)은 제3이격프레임(166)의 제1실린더결합축(172)에 결합되는 제1실린더(191)와, 제1실린더(191)에 유입되는 유체의 방향에 따라 제1실린더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늘어나거나 축소되게 진퇴하며 제1슬라이딩이동부재(210)의 실린더결합플레이트(226)와 결합되는 제1로드(194)를 구비한다.
제2실린더유닛(200)은 제2슬라이딩이동부재(220)의 실린더결합플레이트(226)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201)와, 제2실린더에 유입되는 유체의 방향에 따라 제2실린더()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늘어나거나 축소되게 진퇴하며 제4이격프레임(176)의 제2실린더결합축(177)에 결합되는 제2로드(204)를 구비한다.
유체공급유닛(240)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및 제2양방향 구동모터(51,9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유체유입유출관(241,243)과, 제1실런더(191)와 제2실린더(201)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실린더유체공급과(245,247)과, 상기 제1 및 제2유체유입유출관(241,243)과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유체공급관(245,247)의 유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밸브(미도시), 컨트롤밸브와 연결되며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탱크(미도시), 유체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유체저장탱크의 유체를 상기 제1 및 제2유체유입유출관(241,243)과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유체공급관(245,247)으로 펌핑하는 유체공급펌프(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5)은 유체공급유닛(240)의 컨트롤밸브와, 유체공급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5)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제2수직승강레그(11,12), 회동승강레그(13)의 승강 또는 회동승강레그(13)가 회동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조작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5)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1승강조절유닛(16)에 장착된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의 승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통해 컨트롤밸브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유체유출유입관(241,243)으로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제1양방향구동모터(51)를 구동시킨다. 제1 또는 제2유체유출유입관(241,243)에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에 따라 제1양방향구동모터(51)의 회전축(52)의 회전방향이 정해지며 제1피니언기어(20)가 회전축(52)과 함께 회전된다.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는 제1피니언기어(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5)은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의 승강이 완료되면 제1 및 제2유체유출유입관(241,243)에 유체공급을 제한하고 스토퍼(44)와 컨트롤밸브에 연결된 스토퍼유체공급관(249)에 유체를 공급하여 스토퍼본체(45)의 상단부(45a)가 랙기어의 서포트핀(19)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본체를 제1랙기어수용공 내로 진입시켜,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의 하강을 제한한다.
그리고, 회동승강레그(13)의 승강 및 회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먼저 수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회동레그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복수의 제1 및 제2실린더유체공급관(245,247)에 유체를 공급하여 제1 및 제2실린더유닛(190,2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제1 및 제2실린더유닛(190,200)의 길이가 신축되면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가 수상부유체(1)의 선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의 이동에 따라 제2승강지지하우징(70)이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 이동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회동승강레그(13)는 팁부(14)가 수상부유체에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동하우징과 함께 회동된다.
한편, 제1 및 제2실린더유닛(190,200)의 길이가 신장되면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가 수상부유체(1)의 후미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의 이동에 따라 제2승강지지하우징(70)이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220)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동승강레그(13)는 팁부(14)가 수상부유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동하우징(110)과 함께 회동된다.
회동승강레그(13)의 회동이 완료되면, 컨트롤러를 통해 컨트롤밸브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유체유출유입관(241,243)으로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제2양방향구동모터(90)를 구동시킨다. 제2피니언기어(66)가 제2양방향구동모터(90)의 회전축(91)과 함께 회전되면서, 회동승강레그(13)는 제2피니언기어(66)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5)은 회동승강레그(13)의 승강이 완료되면 제1 및 제2유체유출유입관(241,243)에 유체공급을 제한하고 스토퍼(44)와 컨트롤밸브에 연결된 스토퍼유체공급관(249)에 유체를 공급하여 스토퍼본체(45)의 상단부(45a)가 랙기어의 서포트핀(19)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본체(45)를 제2랙기어수용공(114) 내로 진입시켜, 회동승강레그(13)의 하강을 제한한다.
제1 및 제2수직승강레그(11,12)와, 회동승강레그(13)를 다시 승강시키고자 할 때는 스토퍼본체하우징(47) 내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여 제1 또는 제2랙기어수용공(29,114)으로 진입된 스토퍼본체(45)를 랙기어(19)에 멀어지게 후퇴시킨 후, 제1 또는 제2양방향구동모터(51,90)를 구동시킨다.
스토퍼본체하우징(47) 내로 유입된 유체는 자중에 의해 스토퍼본체하우징에서 스토퍼유체공급관(249)으로 배출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배출펌프(미도시)에 의해 배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5)은 제1 및 제2 수직승강레그(11,12)와, 회동승강레그(13)가 하강되어 수저면에 삽입 고정되고 스토퍼(44)에 지재해제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피니언기어(20,66)를 제1 및 제2수직승강레그(11,12) 또는 회동승강레그(13)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켜 수상부유체(1)를 제1 및 제2수직승강레그(11,12)와, 회동승강레그(13)에 대해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5)은 제1 및 제2피니언기어(20,66)를 제1 및 제2수직승강레그(11,12) 또는 회동승강레그(13)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켜 상승된 수상부유체(1)를 하강시킬 수 있다. 수상부유체(1)는 제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1,12)와, 회동승강레그(13)에 대해 상승 하강시, 제 1 및 제2승강조절유닛(16,60)에 승강방향이 가이드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6)은 제1승강조절유닛(16)의 회전축(52)이 제1피니언기어(20)에 대해 양측으로 동일길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며, 회전축(5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1양방향 구동모터(51)와, 복수의 제1양방향 구동모터(51)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제1구동모터장착부(33)를 구비하는 것과, 제2승강조절유닛(60)의 회전축(91)이 제2피니언기어(66)에 대해 양측으로 동일길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며, 회전축(9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양방향구동모터(90)와, 복수의 제2양방향 구동모터(90)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제2구동모터장착부(78)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5)의 구조와 동일하다.
복수의 제1양방향 구동모터(51)는 상호 마주하여 회전축(52)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밸브에 의해 각 제1양방향 구동모터(51)에 연결된 유체공급유닛(240)의 제1 및 제2유체유입유출관(241,243)에 유체공급이 제어된다. 또한, 복수의 제2양방향 구동모터(90)는 상호 마주하여 회전축(91)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밸브에 의해 각 제2양방향 구동모터(90)에 연결된 유체공급유닛(240)의 제1 및 제2유체유입유출관(241,243)에 유체공급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6)은 제1피니언기어(20)와 제2피니언기어(66)가 양측에 위치된 복수의 제1양방향구동모터(51) 또는 복수의 제2양방향구동모터(90)에 의해 회전되므로, 제1피니언기어(20) 회전 시 제1승강레그(11) 또는 제2수직승강레그(12)의 하중에 의한 부하가 제1피니언기어(2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산되고, 제2피니언기어(66) 회전시 제3승강레그(13)의 하중에 의한 부하가 제2피니언기어(66)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산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제1피니언기어(20)와 제2피니언기어(66)를 각각 구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은 회동가능한 레그(10)를 수저면의 지반에 따라 기울기를 조절하여 수저면에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수상부유체를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은 랙기어(17) 측으로 진입되는 스토퍼(44)를 구비하여 레그(10) 승강완료 후, 레그(10)의 하강이 제한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5)은 제1 및 제2마찰저감롤러(43,88)에 의해 제1 및 제2피니언기어(20,66)측으로 편심되는 레그(10)와의 마찰을 줄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수상부유체 2 : 제1관통부
3 : 제2관통부 4 : 제3관통부
5 :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11 : 제1수직승강레그 12 : 제2수직승강레그
13 : 회동승강레그 15 : 편심방지플레이트
16 : 제1승강조절유닛 17 : 랙기어
20 : 제1피니언기어 25 : 제1승강지지하우징
26 : 제1레그관통부 28 : 제1랙기어관통부
30 : 제1피니언기어지지부 33 : 제1구동모터장착부
36 : 제1스토퍼지지부 39 : 제1마찰저감롤러장착부
43 : 제1마찰저감롤러 44 : 스토퍼
45 : 스토퍼 본체 47 : 스토퍼본체 하우징
51 : 제1양방향 구동모터 60 : 제2승강조절유닛
66 : 제2피니언기어 70 : 제2승강지지하우징
71 : 제2레그관통부 72 : 제2랙기어관통부
75 : 제2피니언기어지지부 78 : 제2구동모터장착부
81 : 제2스토퍼지지부 83 : 제2마찰저감롤러장착부
88 : 제2마찰저감롤러 90 : 제2양방향 구동모터
92,93 : 회동지지축 100 : 레그회동조절유닛
110 : 회동하우징 111 : 제3레그관통부
113 : 제3랙기어관통부 116 : 제1회동축
117 : 제2회동축 121 : 제1회동지지판
126 : 제2회동지지판 131 : 프레임유닛
132 : 제1베이스프레임유닛 138 : 제1레일프레임
142 : 제2베이스프레임유닛 148 : 제2레일프레임
153 : 제3레일프레임 157 : 제4레일프레임
190 : 제1실린더유닛 191 : 제1실린더
194 : 제1로드 200 : 제2실린더유닛
201 : 제2실린더 204 : 제2로드
210 : 제1슬라이딩부재 220 : 제2슬라이딩부재
240 : 유체공급유닛 241 : 제1유체유입유출관
243 : 제2유체유입유출관 245 : 제1실린더유체공급관
247 : 제2실린더유체공급관 249 : 스토퍼 유체공급관

Claims (7)

  1. 수상에 부유하는 수상부유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저면으로 하강되어 상기 수상부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상기 수상부유체의 승강을 안내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연장된 복수의 레그와;
    상기 레그가 내측으로 관통연장되고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레그를 상기 수상부유체에 대해 승강시키는 피니언 기어가 장착되어, 상기 수상부유체에 대해 상기 레그의 승강을 가이드하거나 수저면에 고정된 상기 레그에 대해 상기 수상부유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지지하우징를 포함하는 승강조절유닛과;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게 상기 수상부유체에 장착되되 내측으로 관통연장되는 상기 레그와 함께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하우징과,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을 일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상기 레그가 상기 회동하우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유닛을 포함하는 레그 회동조절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유닛은
    상기 랙기어를 지지하거나 지지해제되게 상기 승강지지하우징 내측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그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회동조절유닛은
    상기 레그가 관통연장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상기 수상부유체의 관통부의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수상부유체의 상면에 장착되며 내측이 상기 레그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형성되며 상기 레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상부유체 연장방향인 제1방향으로 나란한 제1 및 제2레일부가 형성된 프레임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의 양측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상호 동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을 상기 제1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상기 회동하우징과 상기 레그를 회동시키는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프레임유닛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고, 길이 신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제1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회동조절유닛은
    하방으로 갈수록 관통폭이 상기 제1방향으로 확장되는 상기 관통부 내에서 상기 회동하우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회동하우징의 양측에서 상호 멀어지게 돌출된 제1 및 제2회동축을 관통지지하는 제1 및제2회동지지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유닛은.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된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 시 상기 랙기어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레그가 승강시 상기 피니언기어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의 내주면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의 타측에 내측으로 관통하는 상기 레그의 측부가 개방되게 절제된 절제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레그와 접촉되는 마찰저감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은
    내측으로 상기 레그가 관통되게 상기 레그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의 외주면에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지지축이 각각 마련된 레그관통부와,
    상기 랙기어가 관통연장되게 상기 레그관통부의 일측 내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그관통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과 연통형성되되 상기 피니언기어가 진입되어 상기 랙기어와 치합 될 수 있게 상기 레그관통부에서 돌출된 방향 일측이 일부 개방된 랙기어수용공이 형성된 랙기어관통부와,
    상기 랙기어관통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수용공으로 일부 진입되는 상기 피니언기어에 관통 결합된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니언기어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구동모터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하우징은
    상기 랙기어관통부에서 상기 레그 관통부에 멀어지게 돌출되되 단부가 상기 수상부유체 방향을 향하도록 하향경사지게 돌출되고 내측에 상기 랙기어수용공과 연통되며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스토퍼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유체의 양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랙기어수용공으로 진입되거나 후퇴되게 상기 스토퍼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스토퍼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KR1020180116694A 2018-03-14 2018-10-01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KR102129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29744 2018-03-14
KR1020180029744 201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465A KR20190108465A (ko) 2019-09-24
KR102129597B1 true KR102129597B1 (ko) 2020-07-02

Family

ID=6806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694A KR102129597B1 (ko) 2018-03-14 2018-10-01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980B1 (ko) * 2020-12-30 2021-05-25 명일잭업해양 주식회사 잭업바지선의 워터해머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시스템
KR102496269B1 (ko) * 2021-04-16 2023-02-06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앵커 및 그 시공공법
KR102310439B1 (ko) * 2021-07-26 2021-10-08 명일잭업해양 주식회사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CN113550284A (zh) * 2021-07-30 2021-10-26 中国海洋大学 一种浒苔打捞平台及浒苔打包沉海方法
CN114575634B (zh) * 2022-03-18 2024-03-15 合肥硬派供水技术有限公司 一种高性能一体化智能泵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645B1 (ko) 2012-04-04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
KR101399940B1 (ko) 2012-06-29 2014-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550363B1 (ko) 2014-11-05 2015-09-07 주식회사 성한 디앤티 준설장치
KR101690193B1 (ko) 2015-02-17 2016-12-28 주식회사 삼중 준설선의 이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718A (ko) 2008-11-13 2010-05-24 미래로기업(주)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KR101078391B1 (ko) 2011-06-21 2011-11-01 주식회사 보강테크 2개의 스퍼드를 이용한 밸런스 바지선
KR101384712B1 (ko) * 2012-04-03 2014-04-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데크 승강시스템
KR101396858B1 (ko) 2012-10-31 2014-05-19 (주)살코 바지선의 잭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645B1 (ko) 2012-04-04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
KR101399940B1 (ko) 2012-06-29 2014-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550363B1 (ko) 2014-11-05 2015-09-07 주식회사 성한 디앤티 준설장치
KR101690193B1 (ko) 2015-02-17 2016-12-28 주식회사 삼중 준설선의 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465A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597B1 (ko)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US3797256A (en) Jack-up type offshore platform apparatus
US2589146A (en) Submersible deepwater drilling apparatus
KR101201959B1 (ko) 연장 가능한 반 잠수형 플랫폼
US6499914B1 (en) Movable self-elevating artificial work island with modular hull
KR101354383B1 (ko) 수중 발파작업용 작업선
CA2514065A1 (en) Underwater sediment management
WO2009027825A2 (en) Work-over rig assembly and methods thereof
US5807029A (en) Offshore construction and vessel
US3783626A (en)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unding a structure
JPH0119010B2 (ko)
KR20130049804A (ko) 하나 이상의 침수식 기둥/파일을 설치하기 위한 표면-분열식의 재사용할 수 있는 침수 가능한 템플릿
CN109372047B (zh) 一种适用于绞吸式挖泥船的三缆定位系统
EP2776633B1 (en) A footing for a marine structure support leg, and method of installing and removing a jack-up platform
KR102081031B1 (ko) 수륙양용 준설 바지선과 롱리치 굴삭기를 이용한 준설공법
US4038830A (en) Modular geometric offshore structures system
CN212738436U (zh) 一种挖泥船定位桩升降系统
KR102310439B1 (ko)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WO2009147448A2 (en) Transportation device and method
CN214143891U (zh) 一种水下整平设备
KR20230156119A (ko) 해저 앵커리지 설치 시스템
US3478526A (en) Ship launching apparatus and method
EP0205341A1 (en) Underwater ground working apparatus
KR101933971B1 (ko) 해양구조물
JP4038393B2 (ja) 地盤改良船および地盤改良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