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368B1 -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368B1
KR101689368B1 KR1020150016924A KR20150016924A KR101689368B1 KR 101689368 B1 KR101689368 B1 KR 101689368B1 KR 1020150016924 A KR1020150016924 A KR 1020150016924A KR 20150016924 A KR20150016924 A KR 20150016924A KR 101689368 B1 KR101689368 B1 KR 10168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display unit
display
connection termina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535A (ko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1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3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돌출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밴드부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밴드부의 형상 변형에 따라 함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진동부를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장치의 입력방식은 사용자가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 입력방식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방식의 경우 사용자에게 터치감을 전달하기 위해 진동 피드백 기능이 구비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진동 피드백을 편심 진동 모터 또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다만, 진동 모터 또는 압전소자의 경우 소형화하기 어려우며 형상 변화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진동 피드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소형화에 유리하며 형상변화가 용이한 진동체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에 유리하며 형상변화가 가능한 진동부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돌출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밴드부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밴드부의 형상 변형에 따라 함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부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으로 구비되며, 상기 PVDF 필름이 상기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은 상기 밴드부의 내측에 상기 밴드부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진동부를 PVDF(polyvinylidene fluoride)필름으로 구비하여 형태를 유연하게 가변할 수 있으며, 밴드부와 일체로 구비하여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진동부가 유연하게 가변할 수 있으며,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밴드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밴드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개략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디스플레이부(100), 밴드부(200) 및 진동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진동 피드백 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를 통칭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500)가 전자시계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전자신호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며, 일예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101)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101)은 디스플레이부(100)의 최외측에 구비된다. 즉,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게 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 패널(101)의 상면에는 윈도우가 구비되어, 손가락등의 접촉물체로부터 터치입력을 인가받는다.
또한, 윈도우는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갖는다.
즉, 윈도우는 유리 또는 강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윈도우의 재료는 제안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 플라스틱 등 투명성을 갖고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0)를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터치감을 주기 위해 진동 피드백 기능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사용 시 사용자에게 알림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진동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는 진동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진동부(300)에 대해선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00)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후술할 연결단자(215)가 삽입되는 연결단자 삽입홈(130)이 구비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는 진동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동부(300)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디스플레이부(100)는 연결단자(215)를 통해 진동부(300)와 연결된다.
다시 말해, 연결단자(215)는 연결단자 삽입홈(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은 디스플레이부(100)와 연결되고 타측은 진동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의 저면에는 외부전원단자(120)가 구비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 내측에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작동을 위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게 되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외부전원단자(120)를 충전용 단자(미도시)와 접촉시킴으로써 충전된다.
디스플레이부(100)의 후크부(212)와 대응되는 측면에는 단차지도록 걸림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00)는 밴드부(200)결합되는데 결합력 향상을 위해 밴드부(200)와 후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의 측면에는 걸림부(110)가 구비되며 후크부(212)는 걸림부(110)에 걸림되어 디스플레이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00)는 밴드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밴드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0)를 사용자의 손목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고무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밴드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0)가 결합되는 중심부(210)와 중심부의 양단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220)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220)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감기는 부분으로서 중심부(210)에서 연장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부(21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결합부(221)와 중심부(210)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 결합부(222)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결합부는 중심부(210)의 마주보는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21)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홀(221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걸림홀(221a)은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22)의 단부에는 제1 결합부(221)의 걸림홀(221a)에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222a)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걸림돌기(222a)가 삽입되는 걸림홀(221a)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결합부(2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합부(220)의 결합방식은 제안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버클 또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220)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가능하다.
또한, 제1 결합부(221) 및 제2 결합부(222)에는 내측으로 단차진 진동부 결합홈(221b, 222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결합부(221, 222)에는 진동부(3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중심부(210)에는 디스플레이부(1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중심부(210)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이 구비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는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0)의 외측면은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을 형성하는 중심부(21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바닥면에는 디스플레이부(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도전성의 연결단자(215)가 돌출 구비되며, 연결단자(215)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연결단자 삽입홈(130)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부(100)와 진동부(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바닥면 중 디스플레이부(100)에 구비되는 외부전원단자(12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관통형성되어 외부전원단자(120)를 노출시키는 외부전원단자 노출홀(213)이 구비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가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전원단자(12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0)를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에서 분리하지 않고, 충전단자와 연결함으로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테두리에는 돌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0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부(212)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후크부(212)는 디스플레이부(100)와 밴드부(2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다시 말해,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0)는 밴드부(200)의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에 압입결합되며, 추가적으로, 후크부(212)와 결합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와 밴드부(200)의 결합력은 증진될 수 있다.
후크부(212)는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테두리의 마주보는 양측에 구비되거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0)에는 걸림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걸림부(11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외측면 중 후크부(2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후크부(212)가 걸림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테두리에는 후크부(212)가 구비되는 대신에, 테두리를 따라 격벽부(2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격벽부(214)는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의 테두리를따라 연속적으로 상측으로돌출되어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100)가 삽입결합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격벽부(214)의 상측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격벽부(214)는 일예로써 고무(rubber)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는 격벽부(214) 및 디스플레이부 결합홈(211)이 형성하는 공간에 압입결합될 수 있다.
밴드부(200)에는 연결단자(2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1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300)가 구비된다.
즉, 진동부(300)는 사용자에게 터치감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밴드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부(300)는 적어도 하나가 밴드부(200)의 결합부(2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제1 및 제2 결합부(221, 222)의 중심부(210)와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진동부(300)는 연결단자(215)와 전기배선(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배선은 결합부(210)를 따라 연장구비되어 연결단자(215)와 진동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300)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진동부(300)로 사용되는 소자는 압전 재료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이루어지면 충분하고 PVDF 필름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진동부(300)는 일반적인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사용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일예로써 복수개의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적층하여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하여, 이러한 진동부(30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진동부(300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밴드부(200)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진동부(300)가 PVDF 필름(310)을 포함하는 경우로 가정하겠다.
Figure 112015011692188-pat00001
[표 1]
여기서, 표 1을 참조하여 PVDF 필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PVDF 필름은 압전 물성을 가지는 소재로서,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압력이나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즉, PVDF 필름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PVDF 필름은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PVDF 필름(310)은 연결단자(215)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0) 내측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전력 및 전기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PVDF 필름은 경도가 높지 않고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특징(flexible)이 있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PVDF 필름(310)은 결합부(220)에 구비되는 진동부 결합홈(221b, 222b)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PVDF 필름(310)과 진동부 결합홈(221b, 222b)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즉, PVDF 필름(310)은 진동부 결합홈(221b, 222b)에 접착제에 의한 본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PVDF 필름(310) 상측에는 코팅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20)은 PVDF 필름(310)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 예로써 라미네이트 코팅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PVDF 필름을 사용하여 형상 변경이 가능한 진동부(300)를 구현할 수 있으며, 진동부(300)를 디스플레이부(100) 내부가 아닌 밴드부(200)에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에 구비되는 PVDF 필름(310)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PVDF 필름(310)은 결합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결합부(220)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PVDF 필름(310)을 결합부(220)를 따라 연장구비함으로써, 전체적인 진동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PVDF 필름(310)의 상측에는 PVDF 필름(310)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320)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PVDF 필름(310)은 밴드부(200)의 결합부(220) 내측에 구비되어 밴드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밴드부(200) 성형시 PVDF 필름(31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밴드부(200) 내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PVDF 필름(310)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코팅층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진동부(300)를 별개의 모듈로 제작하여 밴드부(200)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진동부(300)는 별개의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설계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디스플레이부 110: 걸림부
120: 외부전원단자 130: 연결단자 삽입홈
200: 밴드부 210: 중심부
220: 결합부 300: 진동부
310: PVDF 필름 320: 코팅층

Claims (18)

  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돌출구비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양단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의 테두리에는 돌출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후크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밴드부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밴드부의 형상 변형에 따라 함께 형상이 변형되며, PVDF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PVDF 필름은 상기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VDF필름의 상측에는 코팅층이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에는 내측으로 단차진 진동부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진동부 결합홈에 안착되어 결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VDF 필름은 상기 결합부의 상기 중심부와 인접하는 상면에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VDF 필름은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부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밴드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후크부에 대응되는 측면에는 상기 후크부가 걸림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저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측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위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외부전원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의 상기 외부전원단자와 대응하는 바닥면은 관통형성되어 외부전원단자를 노출 시키는 외부전원단자 노출홀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삽입결합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격벽부가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연결단자가 삽입되는 연결단자 삽입홈이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도전성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밴드부;
    상기 연결단자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밴드부에 결합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밴드부의 내측에 상기 밴드부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양단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의 테두리에는 돌출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후크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밴드부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밴드부의 형상 변형에 따라 함께 형상이 변형되며, PVDF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PVDF 필름은 상기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삭제
  18. 전자신호를 시각화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양측에서 연장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도전성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신호를 받아 진동력을 발생시키도록 PVDF(polyvinylidene fluoride)필름으로 형성되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는 형상이 변형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양단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결합홈의 테두리에는 돌출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후크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밴드부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밴드부의 형상 변형에 따라 함께 형상이 변형되고 상기 PVDF 필름은 상기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50016924A 2015-02-03 2015-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689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924A KR101689368B1 (ko) 2015-02-03 2015-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924A KR101689368B1 (ko) 2015-02-03 2015-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535A KR20160095535A (ko) 2016-08-11
KR101689368B1 true KR101689368B1 (ko) 2016-12-26

Family

ID=5671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924A KR101689368B1 (ko) 2015-02-03 2015-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3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05B1 (ko) 2017-11-10 2023-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62B1 (ko) * 2013-04-04 2014-09-17 주식회사 이도링크 스마트 와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50623B1 (ko) * 2014-04-29 2014-10-15 김진호 진동형 시계장치, 진동형 밴드시계 및 이를 이용한 현재시간인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62B1 (ko) * 2013-04-04 2014-09-17 주식회사 이도링크 스마트 와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50623B1 (ko) * 2014-04-29 2014-10-15 김진호 진동형 시계장치, 진동형 밴드시계 및 이를 이용한 현재시간인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535A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3912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10113875B2 (en)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426714B2 (ja) 電子機器
KR101288147B1 (ko)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US9743166B2 (en) Device generating sound
US11729918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removable adhesive member
WO2016088643A1 (ja) モジュール及びこのモジュールを用いた電子キー
JP2008224428A (ja) センサ装置
EP3467701A1 (en) Fingerprint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1689368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ES2758099T3 (es) Funda protectora y un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la tiene
JP2017103407A (ja) 電子装置
JP6335626B2 (ja) 触感伝達装置
JP6691301B2 (ja) 電子機器及び筐体
US11600900B2 (en) Electronic device
US10179536B2 (en) Illumination apparatus
KR20220039004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0465B1 (ko) 전자 장치
KR102285091B1 (ko) 표시장치
CN111343805A (zh) 电子装置以及外壳结构物
JP2007207473A (ja) 電子機器
KR20180046790A (ko)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680983B2 (ja) 携帯端末装置
JP2016111041A (ja) 基板及びこの基板を用いた電子キー
JP2014045295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